KR20230003959A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959A
KR20230003959A KR1020210085648A KR20210085648A KR20230003959A KR 20230003959 A KR20230003959 A KR 20230003959A KR 1020210085648 A KR1020210085648 A KR 1020210085648A KR 20210085648 A KR20210085648 A KR 20210085648A KR 20230003959 A KR20230003959 A KR 2023000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bed
mode
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우
박상윤
윤병수
주원일
정웅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3959A/ko
Priority to CN202221663316.5U priority patent/CN219249668U/zh
Publication of KR202300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7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 A47C17/17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with tilting or lifting seat-back-rest piv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1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back-rest made of multiple movable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를 갖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제1 플랫폼; 상기 이동체에 지지되는 제2 플랫폼; 및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제1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고, 제2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의자모드 및 상기 침대모드로 선택적으로 변화되며, 상기 침대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 상기 제3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이 상기 지지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은 서로에 대하여 접혀서 서로 대향하되 상기 제2 플랫폼과는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침대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보다 더 큰 지면과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대{BED}
본 발명은 침대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의 침대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있을 수 있게 의자 형태와 침대 형태 간에 변환이 가능한 의자 겸용 침대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의자 겸용 침대에는 안마기구가 구비되어 의자 겸용 침대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할 수 있다. 이러한 의자 겸용 침대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의자 형태와 침대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 겸용 침대가 등받이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의자 겸용 침대는 벽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의자 형태로 벽에 붙여 보관할 때에는 침대 형태로 전환할 때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과학기술원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2707 "치료용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특허문헌 1)에는 의자 형태와 침대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는 의자 형태에서 침대 형태로 변환되기 위하여 등받이가 바닥판에 대해 후방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는 의자 형태로 보관될 때 등받이가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벽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는 의자 형태로 보관될 때 등받이가 벽에 밀착된 형태로 배치되지 못하고, 등받이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자 겸용 침대의 다리받침부가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의자 겸용 침대는 의자 형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라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4652 "슬라이드 방식의 온열 치료기"(특허문헌 2)에는 침대 형태에서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하부침대부재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고, 의자 형태에서 하부침대부재가 몸체와 겹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온열치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온열치료 장치는 하부침대부재와 몸체가 겹쳐지는 의자 형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2의 온열치료 장치가 의자 형태일 때, 사용자는 온열치료 장치에 불편한 자세로 앉아 치료를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한표와 최영숙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199227 "접이식 보호자 침대 겸용 의자"(특허문헌 3)에는 제1 매트, 제2 매트 및 제3 매트가 펼쳐지거나 접혀 침대 또는 의자로 전환되는 침대 겸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침대 겸용 의자가 침대이거나 의자일 때, 제 3매트와 지면과의 거리는 동일하므로, 제1 사이드 플레이트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안마모듈이 있을 경우, 제3 매트가 안마모듈에 걸려 침대 겸용 의자가 의자 또는 침대로 전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2707 (2011.06.10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4652 (2011.10.26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199227 (2020. 12. 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의자모드 또는 침대모드로 변형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벽에 접촉되어 배치되더라도 의자모드 또는 침대모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모드와 침대모드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를 갖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제1 플랫폼; 상기 이동체에 지지되는 제2 플랫폼; 및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제1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고, 제2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의자모드 및 상기 침대모드로 선택적으로 변화되며, 상기 침대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 상기 제3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이 상기 지지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은 서로에 대하여 접혀서 서로 대향하되 상기 제2 플랫폼과는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침대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보다 더 큰 지면과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모드와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전환될 때,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의자모드에서 상기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모드 및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드전환기구를 더 포함하는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침대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침대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침대모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제1 플랫폼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모드전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플랫폼이 상기 침대모드로부터 상기 의자모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랫폼에 상기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제1 플랫폼의 회전 중심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상기 제3 플랫폼과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 배치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 상기 제2 플랫폼 및 상기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 상기 제2 플랫폼 및 상기 지지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의자모드와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변화될 때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배치되는 안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마모듈은 상기 의자모드일 때보다 상기 침대모드일 때 더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안마모듈을 승강시키고 상기 침대모드에서 상기 안마모듈을 하강시키는 안마모듈 승하강기를 더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침대는 의자모드와 침대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침대는 벽에 접촉되어 배치되더라도 의자모드 또는 침대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의자모드와 침대모드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침대가 의자모드 또는 침대모드로 전환될 경우, 플랫폼과 안마모듈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가 의자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대를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대가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침대를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침대가 침대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침대를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가 의자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침대가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침대가 침대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침대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침대모드 및 의자모드 중 하나로 제공되어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침대(1)는 침대모드일 때, 사용자가 침대(1)에 누울 수 있게 사용자의 머리, 등, 허벅지 등을 지지하고, 의자모드일 때, 사용자가 침대(1)에 앉을 수 있게 사용자의 등, 엉덩이, 허벅지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침대(1)는 안마모듈(100), 지지체(200), 이동체(300), 제1 플랫폼(400), 제2 플랫폼(500), 제3 플랫폼(600), 모드전환기구(700), 승하강기(800), 롤러(900), 이동가이드부(1000) 및 암레스트(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모듈(1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도록 지지체(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마모듈(100)은 침대(1)가 침대모드일 때, 침대(1)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할 수 있다.
지지체(200)는 제1 플랫폼(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플랫폼(4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200)는 안마모듈(1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안마모듈(100)이 관통할 수 있는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이동체(300)는 침대(1)가 의자모드와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전환될 때, 지지체(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체(300)는 지지체(2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전방은 지지체(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지지체(20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체(300)는 지지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300)는 지지체(200)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의자모드에서 지지체(200)의 양측면과 전단부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이동체(300)는 의자모드일 때, 지지체(200)의 전단부를 향해 이동되어 지지체(200)를 수용할 수 있고, 침대모드일 때, 지지체(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의자모드에서 이동체(300)의 지면과의 거리는 침대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1 플랫폼(400)은 침대(1)가 침대모드일 때,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400)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체(2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랫폼(400)의 일측은 지지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3 플랫폼(6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침대(1)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제1 플랫폼(400)의 타측은 지지체(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침대(1)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제1 플랫폼(400)의 타측은 지지체(2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랫폼(400)은 침대모드에서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의자모드에서 제2 플랫폼(500)과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는 90° 이상 1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400)에는 안마모듈(1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랫폼(400)은 제1 신체접촉면(410)과 제1 신체비접촉면(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체접촉면(410)은 침대모드일 때, 사용자의 등, 머리 등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안착면일 수 있다. 또한, 제1 신체접촉면(410)은 침대모드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반대편에 배치된 제1 신체비접촉면(42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체접촉면(410)은 의자모드에서 제1 신체비접촉면(42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신체비접촉면(420)은 제1 신체접촉면(41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신체비접촉면(420)은 침대모드에서 지지체(2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신체비접촉면(420)은 의자모드에서 제3 플랫폼(6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신체비접촉면(420)은 의자모드에서 제3 플랫폼(600)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플랫폼(500)은 침대모드일 때, 사용자의 다리, 발 등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고, 의자모드일 때, 사용자의 허벅지, 엉덩이 등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랫폼(500)은 지면과 나란하도록 이동체(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랫폼(500)은 이동체(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랫폼(500)은 이동체(300)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플랫폼(500)의 일측은 제3 플랫폼(6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랫폼(500)은 침대모드에서 지지체(20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의자모드에서, 지지체(200)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랫폼(500)은 의자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는 침대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랫폼(500)은 제2 신체접촉면(510) 및 제2 신체비접촉면(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체접촉면(510)은 침대모드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발 등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안착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신체접촉면(510)은 의자모드일 때, 사용자의 엉덩이, 허벅지 등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안착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신체접촉면(510)은 침대모드 및 의자모드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체비접촉면(520)은 제2 신체접촉면(51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신체비접촉면(520)은 침대모드 및 의자모드에서 제2 신체접촉면(5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신체비접촉면(520)은 의자모드에서 지지체(2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랫폼(600)은 침대모드일 때,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 등을 지지할 수 있고, 의자모드일 때,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랫폼(600)의 일측은 제1 플랫폼(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제2 플랫폼(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플랫폼(600)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일측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플랫폼(400) 및 제2 플랫폼(50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3 플랫폼(600)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일측이 타측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제1 플랫폼(400) 및 제2 플랫폼(5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플랫폼(600)에 의해, 침대모드에서, 제1 플랫폼(400), 제2 플랫폼(500) 및 제3 플랫폼(600)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플랫폼(400), 제2 플랫폼(500) 및 제3 플랫폼(600)은 평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400)과 제3 플랫폼(600)은 의자모드에서 서로에 대하여 접혀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플랫폼(500)과는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의자모드에서 제3 플랫폼(600)은 제1 플랫폼(400)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3 플랫폼(600)은 의자모드에서 제2 플랫폼(500)과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는 90°이상 13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플랫폼(600)은 제3 신체접촉면(610) 및 제3 신체비접촉면(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체접촉면(610)은 침대모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허리 등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착면일 수 있다. 또한, 제3 신체접촉면(610)은 의자모드에서 사용자의 등과 같은 신체를 지지하는 안착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신체접촉면(610)은 침대모드에서 반대편에 위치한 제3 신체비접촉면(620)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신체접촉면(610)은 의자모드에서 제3 신체비접촉면(62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신체비접촉면(620)은 제3 신체접촉면(61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신체비접촉면(620)은 침대모드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제3 신체접촉면(6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신체비접촉면(620)은 의자모드에서 제1 플랫폼(6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신체비접촉면(620)은 의자모드에서 제1 플랫폼(400)의 제1 신체비접촉면(42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참조하면, 모드전환기구(700)는 침대(1)가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전환기구(700)는 구동부(710) 및 탄성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710)는 침대(1)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710)는 침대(1)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접힌 상태의 제1 플랫폼(400)과 제3 플랫폼(600) 간의 사이를 벌리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710)는 침대(1)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제1 플랫폼(400)과 제3 플랫폼(600)이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710)는 침대(1)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플랫폼(400)과 제3 플랫폼(600) 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10)는 모터, 에어포켓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720)는 침대(1)가 침대모드 또는 의자모드로 전환할 경우, 제1 플랫폼(400)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720)는 제1 플랫폼(400)이 침대모드로부터 의자모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 플랫폼(400)에 탄성력을 가해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제1 플랫폼(400)은 침대(1)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빠르게 회전되고, 침대(1)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저항을 받아 천천히 회전될 수 있다. 탄성부재(720)는 제1 플랫폼(400)과 지지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720)는 일단이 제1 플랫폼(400)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720)에 의해, 제1 플랫폼(400)의 회전 중심은 탄성부재(720)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제3 플랫폼(600)과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720)는 제1 플랫폼(400)에 일측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720)의 일단은 침대(1)가 의자모드일 때, 제1 플랫폼(400)의 회전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승하강기(800)는 안마모듈(1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기(800)는 침대모드에서 안마모듈(100)이 지지체(200)의 개방면과 제1 플랫폼(400)의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승하강기(800)는 의자모드에서 안마모듈(100)이 지지체(200)에 수용되도록 안마모듈(1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롤러(900)는 지지체(200), 이동체(300) 및 제2 플랫폼(5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이동체(300)와 지지체(20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롤러(900)는 지지체(200)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이동가이드부(1000)의 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000)는 지지체(200), 이동체(300) 및 제2 플랫폼(500) 중 롤러(900)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는 의자모드와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변화될 때, 롤러(9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23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가이드부(1000)는 제2 플랫폼(500)에 배치되고, 롤러(900)는 지지체(200)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이동가이드부(1000)는 제2 플랫폼(500)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제2 플랫폼(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000)의 하면 중 일부는 침대모드에서, 지지체(200)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의 하면은 의자모드에서, 지지체(200)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가이드부(1000)는 침대(1)가 침대모드 및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지지체(200)의 전단부에 구비된 롤러(9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의 후단부는 후측 상방으로 기울어져 제2 플랫폼(500)에 연결되는 경사부(10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1010)는 침대(1)가 침대모드에서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롤러(900)에 접촉되면서 이동가이드부(1000)를 후측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000)가 경사부에 의해 후측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2 플랫폼(500)도 후측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010)는 침대(1)가 의자모드에서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롤러(900)에 접촉되면서 이동가이드부(1000)를 전방측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000)가 경사부(101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2 플랫폼(500)도 전방측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침대모드에서의 이동가이드부(1000)와 지면 간의 거리는 의자모드에서의 이동가이드부(1000)와 지면 간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에는 별도의 바퀴(10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가이드부(1000)의 바퀴(1020)는 의자모드에서 지지체(2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의 바퀴(1020)는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지지체(200)의 상면에서 회전되어 이동가이드부(10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이동체(300)가 지지체(2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로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침대(1)의 이동체(300)를 이동시켜 침대(1)를 쉽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0)의 후단이 벽에 접촉되어 있더라도,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이동체(300)는 지지체(200)의 전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침대(1)는 벽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기구(700)에 의해 침대(1)가 침대모드 또는 의자모드로 빠르게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에 의해 의자모드에서 제2 플랫폼(500)과 지면과의 거리는 침대모드에서 제2 플랫폼(500)과 지면과의 거리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침대(1)가 의자모드 또는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제2 플랫폼(500)과 안마모듈(10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720)는 제1 플랫폼(400)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720)에 의해 침대(1)는 의자모드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이동체(300)를 지지체(20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침대(1)는 침대모드로 천천히 전환될 수 있으므로, 이동체(300)가 지지체(200)로부터 빠르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침대모드로 전환되는 침대(1)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이동가이드부(1000)가 지지체(200)에 배치되고, 롤러(900)가 이동체(300)에 배치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이동가이드부(1000)는 지지체(200)의 측면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는 의자모드에서 이동체(300)에 구비된 롤러(9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가이드부(1000)에 의해 롤러(900)는 의자모드에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1000)의 전단부에는 후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10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는 침대(1)가 침대모드에서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롤러(900)에 접촉되며, 이동체(300)를 후방측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체(300)가 경사부에 의해 후측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2 플랫폼(500)도 후측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침대(1)가 의자모드에서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롤러(900)에 접촉되면서 이동체(300)를 전방측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체(300)가 경사부에 의해 전방측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2 플랫폼(500)도 전방측 하방으로 이동되고 롤러(900)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침대(1)는 암레스트(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레스트(1100)는 지지체(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의자모드에서 사용자의 팔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1100)와 지지체(200) 사이에는 이동체(300)의 롤러(900)에 접촉되는 이동가이드부(10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1)는 롤러(900)가 이동체(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어 침대(1)가 침대모드 또는 의자모드로 전화할 경우, 이동체(3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침대(1)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경우, 롤러(900)가 이동가이드부(1000)에 접촉되어 이동체(30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제2 플랫폼(500)과 안마모듈(100)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침대 100: 안마모듈
200: 지지체 300: 이동체
400: 제1 플랫폼 410: 제1 신체접촉면
420: 제1 신체비접촉면 500: 제2 플랫폼
510: 제2 신체접촉면 520: 제2 신체비접촉면
600: 제3 플랫폼 610: 제3 신체접촉면
620: 제3 신체비접촉면 700: 모드전환기구
710: 액추에이터 720: 탄성부재
800: 승하강기 900: 롤러
1000: 이동가이드부 1010: 경사부
1020: 바퀴 1100: 암레스트

Claims (10)

  1. 의자모드 및 침대모드를 갖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제1 플랫폼;
    상기 이동체에 지지되는 제2 플랫폼; 및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침대는, 상기 제1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고, 제2 플랫폼과 제3 플랫폼이 서로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의자모드 및 상기 침대모드로 선택적으로 변화되며,
    상기 침대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 상기 제3 플랫폼 및 상기 제2 플랫폼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이 상기 지지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은 서로에 대하여 접혀서 서로 대향하되 상기 제2 플랫폼과는 평각보다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침대모드에서의 지면과의 거리보다 더 큰 지면과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모드와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전환될 때,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의자모드에서 상기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모드 및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드전환기구를 더 포함하는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침대가 의자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침대가 침대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플랫폼과 상기 제3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침대모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제1 플랫폼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모드전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플랫폼이 상기 침대모드로부터 상기 의자모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랫폼에 상기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제1 플랫폼의 회전 중심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상기 제3 플랫폼과 연결되는 지점의 사이에 배치되는,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상기 제2 플랫폼 및 상기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상기 제2 플랫폼 및 상기 지지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의자모드와 상기 침대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변화될 때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침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배치되는 안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마모듈은 상기 의자모드일 때보다 상기 침대모드일 때 더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모드에서 상기 안마모듈을 승강시키고 상기 침대모드에서 상기 안마모듈을 하강시키는 안마모듈 승하강기를 더 포함하는,
    침대.
KR1020210085648A 2021-06-30 2021-06-30 침대 KR2023000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48A KR20230003959A (ko) 2021-06-30 2021-06-30 침대
CN202221663316.5U CN219249668U (zh) 2021-06-30 2022-06-2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48A KR20230003959A (ko) 2021-06-30 2021-06-30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59A true KR20230003959A (ko) 2023-01-06

Family

ID=8492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48A KR20230003959A (ko) 2021-06-30 2021-06-30 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3959A (ko)
CN (1) CN219249668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707A (ko) 2009-12-04 2011-06-10 한국과학기술원 치료용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
KR20110064652A (ko) 2009-12-08 2011-06-15 제태영 분수용 안전노즐
KR102199227B1 (ko) 2020-04-28 2021-01-07 조한표 접이식 보호자 침대 겸용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707A (ko) 2009-12-04 2011-06-10 한국과학기술원 치료용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
KR20110064652A (ko) 2009-12-08 2011-06-15 제태영 분수용 안전노즐
KR102199227B1 (ko) 2020-04-28 2021-01-07 조한표 접이식 보호자 침대 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249668U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9183A (ko) 벽 근접 가구 부재 리클라이닝 기구
US10986924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KR20190000364U (ko) 조절 가능한 머리부 받침판을 구비한 전동침대
JP3654666B2 (ja) 鉄道車両用回転式腰掛け
KR102053779B1 (ko) 차량용 메뉴얼 레그레스트
JP201223587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14161399A (ja) 椅子
KR20230003959A (ko) 침대
JP4719055B2 (ja) マッサージ機
WO2019159811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220010394A (ko) 리클라이닝 의자
JP2018134183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217337953U (zh) 一种坐躺可变沙发
JP2019141571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10220701A (ja) マッサージ機
KR100471041B1 (ko) 차량용 전동식 풋 레스트
KR20220163199A (ko) 침대
KR101558413B1 (ko) 의자의 틸팅장치
JP3072908B2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KR20220064633A (ko) 안마기
JP2006043338A (ja) マッサージ機
JP2008173332A (ja) 座席構造
JP2009219702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4090281B2 (ja) 脚マッサージ装置
JP3380162B2 (ja) 腰掛用足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