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258A -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258A
KR20230003258A KR1020227042617A KR20227042617A KR20230003258A KR 20230003258 A KR20230003258 A KR 20230003258A KR 1020227042617 A KR1020227042617 A KR 1020227042617A KR 20227042617 A KR20227042617 A KR 20227042617A KR 20230003258 A KR20230003258 A KR 2023000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upling
plug connector
sections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 홀펠드
Original Assignee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00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1)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플러그 어셈블리(1)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 3), 밀봉 요소(4) 및 잠금 요소(5)가 제공된다. 제1 위치에서 잠금 요소(5)는,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베그(19)가 제1 종출(8)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24)에 이격된 제1 위치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커플링 슬롯(9, 10) 내에 배치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3)가 제1 플러그 커넥터(2) 내로 삽입되면, 먼저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이 삽입편(13)에 대해 지지되고, 그런 다음 제2 레그 섹션(21-1, 21-2)이 확장 섹션(14)에 대해 지지되며, 이 과정에서, 베이스 레그(19)는 종축(8, 12)으로부터 더 먼 제2 반경방향 거리(25)만큼 이격된 제2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연결 파이프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플러그 어셈블리 및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8 046 143 A1은 연결편과 그 연결편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 및 연결편과 커플링 사이에 배열된 밀봉 장치를 갖는, 유체 라인 장치에 대한 유체 전달 연결을 위한 일반적인 신속-커플러 장치를 설명한다. 스프링 장치가 커플링과 해제 가능하게 견고하게 맞물림 상태에 있다. 스트랩 모양의 스프링 장치는 커플링의 축 방향으로 스트랩 링을 고정한다. 스프링 장치의 레그는 접선 방향으로 암 수용 공간을 통해 연장된다. 커플링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편은 커플링의 암 수용 공간으로 밀어 넣어지고, 스프링 장치의 레그와 견고한 맞물림 상태가 된다. 이것의 단점은 연결편이 커플링 안으로 밀어져 들어갈 때, 스프링 장치의 레그를 확장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큰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EP 2 602 531 A1은 잠금 부재, 이에 장착된 연결 장치 및 이러한 연결 장치의 잠금 방법을 설명한다. 잠금 부재는 유체 전달을 위한 잠글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 장치는 플랜지가 있는 수 튜브형 슬리브와 커플링 링으로 둘러싸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 튜브형 슬리브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는 그립 헤드에 의해 그들 사이에 연결된 두 개의 탄성 잠금 날개를 가지고 있다. 잠금 날개는 양쪽에 형성된 슬롯에 접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추가 잠금 슬리브는 수형 슬리브가 암 슬리브에 완전히 삽입된 후 수 관형 슬리브와 잠금 위치를 형성하는 두 개의 잠금 날개에서 서로 정반대로 배열된다. 수형 슬리브를 밀어 넣으면, 두 개의 잠금 날개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형 슬리브의 끝 부분으로 안내된다. 완전히 밀어 넣은 후, 잠금 날개는 플랜지 뒤에 있는 잠금 슬리브와 맞물려서 잠금 위치를 형성한다.
WO 2018/069384 A1은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제1 개구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유체 덕트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잠금 장치는 잠금 하우징을 구비하고, 잠금 요소가 제1 개구의 영역에 제공된다. 잠금 하우징은 제1 개구를 동심원으로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원통형 연결편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갭이 커넥터 하우징과 잠금 하우징 사이에 형서외도록, 원주 방향으로 유체 덕트와 관련하여 커넥터 하우징을 둘러싸고 있다. 잠금 요소는 링 갭 내로 탄성적으로 탄력 있는 방식으로 유지 섹션과 함께 돌출하며, 잠금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과 분리된 구성요소이다. 잠금 요소는 적어도 원주 방향의 일부 섹션에서 잠금 하우징을 둘러싸고, 반경방향 외부에서 환형 갭 내로 유지 섹션과 함께 돌출하는 스트랩이다. 스트랩은 스트랩이 단단히 고정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 내에 있다. 여기에서도 스트랩의 유지 섹션은 삽입하고 체결될 때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EP 3 244 113 A1은 또한 퀵 커플링 시스템의 연결편용 잠금 스트랩을 설명한다. 연결편은 원주 방향으로 제1 수용 슬롯을 갖는 제1 수용 슬롯 그룹 및 제2 수용 슬롯을 갖는 제2 수용 슬롯 그룹을 갖는다. 잠금 스트랩은 궁극적으로 연결편의 제1 수용 슬롯 그룹의 제1 수용 슬롯들 내에 체결되도록 제공된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돌출부 그룹을 구비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의 제1 스트랩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편의 제2 수용 슬롯 그룹의 제2 수용 슬롯들 내에 체결되도록 제공된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돌출부 그룹을 구비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의 제2 스트랩 섹션을 포함한다. 만곡된 스프링 부분은 제1 스트랩 섹션과 제2 스트랩 섹션을 연결하여 공통 부재를 형성할 수 있고, 만곡된 스프링 부분은 제1 및 제2 돌출부 그룹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스트랩 섹션은 각각 별도의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잠금 스트랩 또는 각각의 스트랩 섹션의 돌출부의 제1 및 제2 그룹은 연결편의 내부에 상대 연결편을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래칭 요소를 형성한다. 결합 과정에서 잠금 스트랩의 개별 돌출부 그룹도 삽입되는 중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상대 연결편을 연결편 내로 삽입하여 잠금 스트랩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할 때, 만곡된 스프링 섹션이 구부러지고, 벌어진다.
EP 2 372 209 A2는 자동차용 배기 가스 파이프 및 자동차의 배기 가스 유닛을 설명한다. 배기 가스 파이프의 제1 단부 섹션과 제2 단부 섹션은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1 단부 섹션은 제2 단부 섹션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다. 삽입부는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런-업 특과 래칭 측이 있는 래칭 돌출부를 구비하고, 래칭 수단은 체결된 위치에서 래칭 측과 인접한다. 래칭 수단은 수용부의 슬롯에서 안내되는 스프링 클립으로 설계되며, 스프링 클립은 U자형이고, 스프링 클립의 레그들 각각은 내부 반경이 삽입부의 외부 반경에 해당하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섹션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래칭 돌출부 상에 레그에 대한 비교적 큰 접촉 표면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도 스프링 클램프의 U자형 레그는 삽입되고 서로 결합될 때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두 레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웹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요소와의 간단하고 커플링 조업 및 맞물림을 수행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어셈블리를 커플링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에 따른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된다.
적시된 방법은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법에는 다음 단계들이 수행된다.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종축이 있는 암형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고, 제1 커플링 슬롯과 제2 커플링 슬롯이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 내에서 서로 정반대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 제공 단계,
-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는 관형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는,
        - 중공-실린더형 삽입편,
        - 이웃하며,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및
        - 커플링 그루브를 구비하는 이웃하는 커플링 섹션으로,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가 제2 종축을 획정하는, 커플링 섹션을 구비하는,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 제공 단계,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를 제공하여 배치하는 단계,
- 잠금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잠금 요소는 스트랩-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과 해제 가능하게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요소는,
        - 제1 레그,
        - 제2 레그 및
        - 상기 2개의 레그들을 서로 연결하는 베이스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들 각각은
        - 제1 레그 섹션,
        - 제2 레그 섹션 및
        - 각 경우에서 제1 레그 섹션과 제2 레그 섹션을 서로 연결하는 레그 연결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그 섹션은 각 경우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 베이스 레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2개의 제2 레그 섹션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은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잠금 요소 제공 단계,
- 잠금 요소를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의 2개의 커플링 슬롯들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이 과정에서 제1 종축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에 이격된 제1 위치로 2개의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를 배치하는 단계,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의 종축을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 정렬되게 배향시키는 단계,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고, 차례로 제2 플러그 커넥터를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암형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하는 단계,
(a) 중공-원통형 삽입편을 삽입하여, 2개의 레그 연결 섹션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원통형 삽입편과 바로 인접하거나 또는 제1 접촉 섹션에 대해 중공-원통형 삽입편 위에 안착하는, 삽입편 삽입 단계,
(b) 축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하여,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추가로 접촉 섹션들과 인접하는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상에서 지지되고, 이 과정에서,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는 종축에서 제1 반경방향 거리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거리의 제2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단계,
(c) 축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하여,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커플링되는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는 제1 커플링 슬롯 및 커플링 그루브 내에서 제1 레그의 제1 레그 섹션과 맞물리고, 제2 레그는 제2 커플링 슬롯(10) 및 커플링 그루브 내에서 제2 레그 섹션과 맞물리는,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단계.
여기에서 선택된 방법 단계에서, 제1 및 제2 레그 섹션들 사이에 위치한 레그 연결 섹션을 제공하고,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으로부터 베이스 레그에서 더 멀리 배치되어 있는 제2 레그 섹션 까지 지지점 및/또는 지지 섹션 또는 접촉 섹션을 변경함으로써, 레그들의 자유 굽힘 길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가해져야 하는 삽입력(축방향 힘)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잠금 요소의 레그를 따라 접점 또는 접촉 섹션을 이동하고, 연결 또는 삽입 공정 동안 베이스 레그와 종축 사이의 횡방향 및/또는 반경 거리의 관련 증가에 의해, 레그들을 서로로부터 확장하는 데에 필요한 확장력이 감소하므로, 가해져야 하는 삽입력(축방향 힘)도 감소한다. 이는 잠금 요소의 각 레그 상의 두 개의 레버 또는 레버 암의 확장으로 인한 것이다.
또한, 커플링 위치에 도달할 때,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가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가 종축 방향으로 다시 더 가깝게 이동되고, 그 결과 레그들의 굽힘 길이가 감소될 수 있고 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절차는 제2 플러그 커넥터를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암형 수용 공간 내로 축 방향 삽입하는 공정 단계 (a) 중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반경 방향으로 중공 원통형 삽입편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축 방향 조정 이동 중에, 삽입편 상에서 2개의 레그 연결 섹션들이 명확하게 접촉하고 지지될 수 있다. 잠금 요소와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 사이의 접촉 섹션의 변위는,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확장 섹션에 도달할 때만 시작될 수 있다.
단계 (b)가 시작된 후,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방법의 변형이 유리하다. 따라서 접점 또는 접점 섹션이 명확하게 결정되고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마찰력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절차는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공정 단계 (b) 중에, 베이스 레그의 중앙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1 반경방향 거리 값으로부터 시작해서 제2 반경방향 거리 값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 굽힘 길이를 일정하게 확장할 수 있다. 두 레그들이 서로 더 확장될수록, 자유 굽힘 길이가 커지고 삽입력이 작은 한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들이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의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의 길이 대부분이 커플링 그루브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잠금 요소의 레그의 잠금 위치에서 더 나은 고정 및 더 강한 견고한 맞물림이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절차는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 특히 잠금 요소의 중앙 섹션이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지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에서 잠금 요소의 보다 명확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종축으로부터 베이스 레그의 제2 반경방향 거리의 값은, 2개의 레그들이 확장 섹션을 빠져나간 후에 그리고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커플링 그루브내에 삽입되기 전에, 최대값에 이르는 방법의 변형이 유리하다. 따라서 두 레그의 반경방향 확장에서, 각 레그의 자유 굽힘 길이의 최대 확장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아래에 명시된 특징에 따른 플러그 어셈블리에 의해 이와 독립적으로 달성된다.
플러그 어셈블리는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구현되며, 플러그 어셈블리는,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종축이 있는 암형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커플링 슬롯과 제2 커플링 슬롯이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 내에서 서로 정반대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
-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는 관형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는,
        - 중공-실린더형 삽입,
        - 이웃하며,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및
        - 커플링 그루브를 구비하는 이웃하는 커플링 섹션으로,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가 제2 종축을 획정하는, 커플링 섹션을 구비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은 축 방향으로 해제 가능한 커플링 위치에 놓일 수 있고,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
- 잠금 요소로, 상기 잠금 요소는 스트랩-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과 해제 가능하게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요소는,
        - 제1 레그,
        - 제2 레그 및
        - 상기 2개의 레그들을 서로 연결하는 베이스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들 각각은
        - 제1 레그 섹션,
        - 제2 레그 섹션 및
        - 각 경우에서 제1 레그 섹션과 제2 레그 섹션을 서로 연결하는 레그 연결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그 섹션은 각 경우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 베이스 레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2개의 제2 레그 섹션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은 베이스 레그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의 제1 레그는 제1 커플링 슬롯 및 커플링 그루브 내에 맞물리고, 제2 레그는 제2 커플링 슬롯 및 커플링 그루브 내에 맞물리고,
-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는, 특히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종축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에 이격된 제1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플러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 제2 플러그 커넥터를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암형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하는 초기에, 각 경우에서, 2개의 레그 연결 섹션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원통형 삽입편과 바로 인접하거나 또는 제1 접촉 섹션에 대해 중공-원통형 삽입편 위에 안착하고,
- 축 방향으로 더 삽입하는 중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상에서 추가로 접촉 섹션들에 대해 지지 안착되고,
- 적어도 제2 레그 섹션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상에서 안착하는 위치에서,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는 종축에서 제1 반경방향 거리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거리의 제2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되는 이점은, 제1 및 제2 레그 섹션 사이에 위치된 레그 연결 섹션의 제공 및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으로부터 베이스 레그에서 더 멀리 배치된 제2 레그 섹션까지 지지점 및/또는 지지 섹션 또는 접촉 섹션의 변경으로, 레그들의 자유 굽힘 길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가해져야 하는 삽입력(축방향 힘)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잠금 요소의 레그를 따라 접점 또는 접촉 섹션을 이동하고, 연결 또는 삽입 공정 동안 베이스 레그와 종축 사이의 횡방향 또는 반경 거리의 관련 증가에 의해 레그들을 서로로부터 확장시키는 데에 필요한 확장력이 감소하므로 가해져야 하는 삽입력(축방향 힘)도 감소된다. 이는 잠금 요소의 각 레그에 있는 두 개의 레버 또는 레버 암의 확장으로 인한 것이다.
또한, 잠금 요소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레그는 다시 제1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는 종축 방향으로 다시 더 가깝게 이동되고, 그 결과 레그의 굽힘 길이가 감소될 수 있고 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제2 플러그 커넥터를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암형 수용 공간 내로 축 방향 삽입하는 초기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반경 방향으로 중공 원통형 삽입편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축 방향 조정 이동 중에 삽입편 상에서 두 레그 연결 섹션이 명확하게 접촉하고 지지될 수 있다. 잠금 요소와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 사이의 접촉 섹션의 변위는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확장 섹션에 도달할 때만 시작될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형태는 2개의 제2 레그 섹션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 상에서 지지될 때,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 섹션 또는 접촉점이 명확하게 결정되고 획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마찰력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플러그 커넥터들이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의 2개의 레그 연결 섹션의 길이 대부분이 커플링 그루브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잠금 요소의 레그들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더 나은 고정 및 더 높은 견고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잠금 요소의 베이스 레그 특히 그 중앙 섹션이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지지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 상의 잠금 요소의 보다 명확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베이스 레그의 제2 반경방향 거리의 값은, 2개의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커플링 그루브 내에 삽입되기 전에 최대값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두 레그의 최대 반경방향 확장에서, 각 레그의 자유 굽힘 길이의 최대 확장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서 시작하는 베이스 레그는 2개의 레그들 방향으로 지붕-형상으로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기하학적 구조에 더 잘 맞춰질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2개의 제1 레그 섹션은, 이들이 잠금 요소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베이스 레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의 위치를 더 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축 방향 슬라이드-인 또는 삽입 이동 중에 잠금 요소의 충분히 우수한 횡방향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가능하고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베이스 레그, 제1 레그 섹션 각각, 레그 연결 섹션 각각, 제2 레그 섹션 각각이 공통 평면에서 연장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링 슬롯 및 커플링 그루브의 좁은 설계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적어도 커플링 슬롯에서 잠금 요소의 양호한 안내가 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는 베이스 레그로부터 멀어지는 제2 레그 섹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지지 레그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레그 각각은 공통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된 종방향 배향을 구비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레그의 2개의 단부가 상대 변위하는 동안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표면 상에서 더 잘 안내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2개의 지지 레그 각각은 베이스 레그의 제1 위치와 베이스 레그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에 대해 지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접촉면의 정렬과 실시형태에 따라, 잠금 요소는 베이스 레그의 제2 위치에서 제1의 더 가까운 위치로 강제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각각은 상당히 단순화되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과 잠금 요소가 서로 개별 컴포넌트로 분리되어 있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도식적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잠금 요소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삽입 과정의 초기에 도 1 및 2에 따른 플러그 어셈블리를 관통하는 단면도로,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보았을 때,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편 상에 레그 연결 섹션들이 막 인접하는 구조 또는 접하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보았을 때, 제2 레그 섹션들이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연장하는 확장 섹션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플러그 어셈블리의 추가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커플링 그루브의 잠금 위치에 잠금 요소가 있는 플러그 어셈블리의 추가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 또는 외측 표면 상의 레그의 단부 부분의 지지부의 상세를 축방향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부재 명칭이 제공되며, 여기서 전체 설명에 포함된 기재사항은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부재 명칭의 동일한 부분으로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설명에서 선택된 상부, 하부, 측면과 같은 위치와 관련된 사양은 직접 설명되고 도시된 도면을 가리키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위치 사양은 새로운 위치로 유사하게 적용된다.
"특히"라는 용어는 객체 또는 방법 단계의 가능한 더 구체적인 형태 또는 더 상세한 사양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이해되지만, 반드시 동일한 또는 필수적인 실행의 필수의 선호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낼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 "구비하는", "가지는", "갖는", "함유하는"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 내지 도 6은 플러그 어셈블리(1)를 형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및 부품을 도시하고 설명하며, 플러그 어셈블리(1)는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설계된다. 개별 컴포넌트 및 부품과, 이들 상호 결합 방법이 설명된다.
플러그 어셈블리(1)는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3), 밀봉 요소(4) 및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5)를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커넥터(2, 3)의 양쪽에 있는 연결 라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플러그 커넥터(2)는 제1 종축(8)을 갖는 암형 수용 공간(7)을 정의하는 관형의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를 갖는다. 공지된 방식으로, 제1 커플링 슬롯(9) 및 제2 커플링 슬롯(10)은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에서 서로 정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2개의 커플링 슬롯(9, 10)은 안내 구조로 잠금 요소(5)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현되거나 그러한 역할을 한다.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또한 관형이고 제2 종축(12)을 획정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를 갖는다.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는 중공 원통형 삽입편(13), 인접한 절두원추형 및/또는 원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및 인접한 커플링 섹션(15)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삽입 방향에 대해 보았을 때 서로 뒤에 배열된다. 커플링 섹션(15)은 대부분 중공 원통형으로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그루브(16)를 갖는다. 커플링 섹션(15)의 배치 및 형태에 따라, 커플링 그루브(16)는 원주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커플링 슬롯(9, 10)과 유사하게 서로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하나의 커플링 그루브(16)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커플링 그루브는 도면부호 16-1로 호칭되고, 제2 커플링 그루브는 도면부호 16-2로 호칭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그루브(16)는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조립된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와 해제 가능한 견고한 체결상태(positive engagement)로 되거나 그러한 위치에 있도록 공지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작용하는 제1 및 제2 잠금 요소와 함께 추가적인 회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면, 커플링 그루브(16)는 차단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삽입편(13)은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수용된 밀봉 요소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밀봉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잠금 요소(5)는 대부분이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특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변형되지 않은 원형 와이어로부터 제작된다. 잠금 요소(5)의 기본 형상은 스트랩-형상으로 선택되며, 잠금 요소(5)는 제1 레그(17), 제2 레그(18) 및 두 개의 레그(17, 18)를 서로 연결하는 베이스 레그(19)를 갖는다. 중앙 평면(M)과 관련하여, 잠금 요소(5)는 거울 대칭으로 설계되며, 담금 요소(5)가 제1 플러그 커넥터(2) 상에서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중앙 평면(M)은 제1 종축(8)을 따라 연장하게 배치된다. 2개의 레그들(17, 18)은 중앙 평면(M)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 또는 중앙 평면(M)에서 시작하여, 베이스 레그(19)는 2개의 레그(17, 18) 방향으로 지붕 모양으로 각이진 길이 방향 코스를 가질 수 있다.
각 레그(17, 18)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고 있으며, 이것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중앙 평면(M)의 양쪽에 사용되지만 "-1" 또는 "-2"가 추가된 이유이다. 따라서, 레그(17, 18) 각각은 제1 레그 섹션(20-1, 20-2), 제2 레그 섹션(21-1, 21-2) 및 각 경우에서 각 레그 섹션들(20-1, 20-2)과 레그 섹션들(21-1, 21-2)을 연결하는 레그 연결 섹션(20-1, 21-1 및 20-1)을 포함한다.
제1 레그 섹션(20-1, 20-2)은 각 경우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거나 베이스 레그(19) 상에서 인접하도록 베이스 레그 상의 단부들 위에 배치된다. 잠금 요소(5)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주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거나 특정 범위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은 베이스 레그(19)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하도록 정렬된다.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중앙 평면(M)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제1 레그 섹션(20-1, 20-2)보다 서로 더 멀리 배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레그 섹션(20-1, 20-2)은 또한 잠금 요소(5)의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베이스 레그(19), 각각의 제1 레그 섹션(20-1, 20-2), 각각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및 또한 각각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공통 평면(E)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의 위에 잠금 요소(5)의 컴포넌트로 별개의 지지 레그(23-1, 23-2)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레그(23-1, 23-2)는 베이스 레그(19)로부터 멀어지는 제2 레그 섹션(21-1, 21-2)의 단부에 각각 배열되고, 지지 레그(23-1, 23-2) 각각은 공통 평면(E)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된 길이 방향을 갖는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통 평면(E)은 종축(8, 12)에 대해 법선 평면을 형성하고, 중앙 평면(M)은 종축(8, 12)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배열되어 평면(E)에 대한 법선 평면을 형성한다.
지지 레그(23-1, 23-2)는 베이스 레그(19)의 제1 위치와 베이스 레그(19)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관형으로 형성된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와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작용하거나 설계될 수 있다. 두 위치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가 커플링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요소(5)는 제1 커플링 슬롯(9) 및 커플링 그루브(16)에서 제1 레그(17)가 맞물린다. 그러나 동시에, 제2 레그(18)도 또한 제2 커플링 슬롯(10) 및 커플링 그루브(16)에 결합된다.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가 삽입되어 서로 접합하기 전에, 잠금 요소(5)의 두 레그들(17, 18)이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에 각각 제공된 커플링 슬롯(9, 10) 내로 삽입되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도 1 및 도 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종축(8)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24)에 있는 제1 위치에서 2개의 레그(17, 18) 사이의 중간에 배열된다. 잠금 요소(5)가 제1 플러그 커넥터(2) 상에서 커플링 슬롯(9, 10)과 예비-장착되어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제2 레그 섹션(21-1, 21-2) 및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적어도 일부 섹션은 2개의 커플링 슬롯(9, 10)에서 시작하여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를 함께 커플링 위치로 가져오기 위해,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의 2개의 종축(8, 12)은 서로 정렬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야 한다. 그 다음,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2, 3)는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에 점진적으로 삽입된다. 점진적 삽입(step by step insertion)은 아래에 설명된 단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계 (a)에서, 중공-원통형 삽입편(13)이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삽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일부 섹션이 중공-원통형 삽입편(13)에 대해 안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참조. 제1 플러그 커넥터(2) 상에서 잠금 요소(5)의 현재 구조에 따라, 제1 단계 (a)에서,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각각이 중공-원통형 삽입편(13)의 바로 근방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와 접촉하지는 않을 수 있다. 접촉 지점 및/또는 제1 접촉 섹션이 양 측면에서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이 2개의 커플링 슬롯(9, 10)에서 시작하여 암형 수용 공간(7)으로 돌출하기 때문이다.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은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보다 베이스 레그(19)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추가 후속 단계 (b)에서 삽입 공정이 축 방향으로 계속된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각각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의 원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위에 지지된다(도 4 참조). 접촉 지점 및/또는 제2 또는 추가 접촉 섹션은 여기에서도 양 측면에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원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상에서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이 이렇게 지지ㄷ됨으로 인해,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은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레그 섹션(21-1, 21-2)을 향한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지지 효과와 확장 섹션(14) 상의 인접 지지부가 국부적으로 변함으로 인해,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종축(8, 12)으로부터 제2 반경방향 거리(25) 이격된 제2 위치에서 2개의 레그(17, 18) 사이의 중심에 배치된다. 제2 반경방향 거리(25)는 제1 반경방향 거리(24)보다 큰 값을 갖는다. 위에서 설명된 제1 반경방향 거리(24)는 베이스 레그(19)에 대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잠금 요소(5)의 횡방향 조정은, 축방향 슬라이드-인 및/또는 삽입 이동 및 두 레그(17, 18)의 다른 섹션과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확장 섹션(1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별도로 잠금 요소(5)를 수동 조정할 필요가 없다. 제2 레그 섹션(21-1, 21-2)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레그 연결 섹션(22-1, 22-2)과 연계된 축 방향으로의 삽입 이동 및 접촉 지점 또는 접촉 섹션의 변위로 인해, 축방향 힘의 어느 정도는 축 방향 힘을 가로지르게 정렬된 조정력으로 편향된다. 이 조정력은 가로지르는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잠금 요소(5)의 상대 변위를 야기한다.
따라서 종축(8, 12)으로부터 베이스 레그(19)가 더 멀어지게 된다. 횡방향으로 전체 잠금 요소(5)를 들어 올리거나 상승시키면,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 상의 지지점 또는 지지 섹션 및/또는 접촉 섹션으로부터 두 레그들(17, 18) 각각의 레버 또는 레버 암의 연장(extension)은 베이스 레스(19) 상으로 각 레그들(17, 18)의 전이 영역을 향하게 된다. 레그 연결 섹션(22-1, 22-2) 상에서 각 제1 접촉 섹션을 제2 레그 섹션(21-1, 21-2) 상에서 제2 또는 추가의 접촉 섹션을 향해 베이스 레그의 단부들로부터 및/또는 전이 섹션을 향해 더 이격되게 변위시킴으로써, 두 레버들 또는 레버 암들이 길어져서 필요한 삽입력(축 방향 힘)이 감소된다.
축 방향으로 삽입 공정의 후속하는 추가 단계 (c)에서,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는 의도된 상호 커플링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요소(5)는 이들의 두 레그들(17, 18)가 양 측면에서 확장되어 커플링 그루브(16)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 도달하면, 제1 레그(17)의 제2 레그 섹션(21-1)이 제1 커플링 슬롯(9)과 커플링 그루브(16) 모두에서 맞물린다(도 5 참조). 이는 제2 레그(18)에도 적용된다. 제2 레그 섹션(21-2)은 제2 커플링 슬롯(10)과 커플링 그루브(16) 모두와 맞물린다. 이렇게 하면 삽입 및 커플링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2개의 레그(17, 18)의 이전에 확장된 위치는 커플링 그루브(16) 내로 스냅함으로써 다시 반대로 된다. 종축(8, 12)을 향하는 방향으로 2개의 레그(17, 18)의 특정 잔류 프리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잠금 요소(5)와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삽입된 제2 플러그 커넥터(3) 사이의 잠금 위치에 도달하면, 두 개의 커넥터들(2, 3)도 커플링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베이스 레그(19)가 제2 위치보다 종축(8, 12)에 더 가깝게 배열되는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이전에 설명된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으로의 제2 플러그 커넥터(3)의 축방향 삽입 공정에 대한 단계 (a)에서,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각각 반경 방향으로 중공 원통형 삽입편(13)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b)가 시작된 후, 두 개의 레그 연결 섹션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는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지지 지점 또는 지지 섹션이 제2 레그 섹션(21-1, 21-2)을 향해 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축 방향 삽입 공정의 단계 (b) 동안, 베이스 레그(19) 중심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1 반경방향 거리(24)의 값에서 시작하여 제2 반경방향 거리(25)의 제2 값을 향해 꾸준히 증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플러그 커넥터(3)가 제1 플러그 커넥터(2) 내로 더 삽입될수록, 2개의 레그(17, 18), 특히 이들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연장하는 확장 섹션(14)의 접촉 표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2개의 레그(17, 18)의 확장으로 의해, 베이스 레그(19)는 종축(8, 12)으로부터 더 멀어진다.
2개의 플러그 커넥터(2, 3)가 커플링 위치에 있고, 2개의 레그(17, 18)가 있는 잠금 요소(5)도 커플링 그루브(16)와 잠금 맞물리면, 잠금 요소(5)의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각각도 그들 길이의 대부분에서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 특히 그 중앙 섹션이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에 지지 안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2개의 레그(17, 18), 특히 이들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이 확장 섹션(14)을 지나 커플링 그루브(16)에 맞물리거나 스냅되기 전에 후속 커플링 섹션(15)에 위치하는 경우, 종축(8, 12)으로부터 베이그 레그(19)의 제2 반경방향 거리(25) 값은 최대값 또는 최대값이다.
이미 위에서 설명하고 도 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축(8, 1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지지 레그(23)는 항상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와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레그(19)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서로를 향해 경사진 안내면(26)을 정렬함으로써, 베이스 레그(19)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더 가까운 제1 위치로의 잠금 요소(5)의 복귀 이동이 용이해지거나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정지 요소(27)가 제공되면, 종축(8, 12)에 더 가까운 베이스 레그(19)의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잠금 요소(5)의 상대적인 조정 이동 및 이에 따른 조정 경로가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그 레그(19)를 구비하는 잠금 요소(5)의 제1 위치는 지지 레그(23-1) 및/또는 지지 레그(23-2)에 대해 로마 숫자 "I"로 표시되고 제2 위치에 대해서는 로마 숫자 "II"로 표시된다.
2개의 레그(17, 18)의 일부 섹션이 커플링 그루브(16)와의 잠금 맞물림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 요소(5)는 베이스 레그(19)로 종축(8, 12)으로 수동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 이동에 의해 지지 레그(23-1, 23-2)가 유지 리세스(28)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레그(17, 18)는 제2 플러그 커넥터(3)가 2개의 레그(17, 18)와 충돌하지 않고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당겨질 수 있는 정도로 이격되고 확장된다.
마지막으로, 개별 방법 단계와 시간 순서가 반드시 나열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다른 시간 순서도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가능한 실시형태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실시형태의 변형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교시에 기인하는 변형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 및 도면은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도시되고 설명된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부터의 개별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은 독립적인 본 발명의 솔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독립적인 발명 솔루션의 기초가 되는 대상은 설명에서 수집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값의 범위에 관한 모든 표시는 이들이 또한 무작위 및 그로부터의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1 내지 10의 표시는 하한 1과 상항 10에 기초하는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즉 1 내지 10의 표시는 하한이 1 이상이고 상한이 10 이하인 모든 부분 범위 예컨대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을 모두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형식의 문제로, 구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추어 묘사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확대 및/또는 크기가 축소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 플러그 어셈블리(plug assembly)
2 제1 플러그 커넥터(first plug connector)
3 제2 플러그 커넥터(second plug connector)
4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5 잠금 요소(locking element)
6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first plug connector body)
7 수용 공간(receiving space)
8 제1 종축(first longitudinal axis)
9 제1 커플링 슬롯(first coupling slot)
10 제2 커플링 슬롯(second coupling slot)
11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second plug connector body)
12 제2 종축(second longitudinal axis)
13 삽입편(insertion piece)
14 확장 섹션(widening section)
15 커플링 섹션(coupling section)
16 커플링 그루브(coupling groove)
17 제1 레그(first leg)
18 제2 레그(second leg)
19 베이스 레그(base leg)
20 제1 레그 섹션(first leg section)
21 제2 레그 섹션(second leg section)
22 레그 연결 섹션(leg connecting section)
23 지지 레그(support leg)
24 제1 반경방향 거리(first radial distance)
25 제2 반경방향 거리(second radial distance)
26 안내면(guiding surface)
27 정지 요소(stop element)
28 유지 리세스(retaining recess)
(E) 평면(plane)
(M) 중앙 평면(central plane)

Claims (20)

  1.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러그 어셈블리(1)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커플링하는 방법으로, 다음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는 제1 종축(8)이 있는 암형 수용 공간(7)을 획정하는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를 포함하고, 제1 커플링 슬롯(9)과 제2 커플링 슬롯(10)이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 내에서 서로 정반대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 제공 단계,
    -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3)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관형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는,
            - 중공-실린더형 삽입편(13),
            - 이웃하며,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및
            - 커플링 그루브(16)를 구비하는 이웃하는 커플링 섹션(15)으로,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가 제2 종축(12)을 획정하는, 커플링 섹션(15)을 구비하는,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3) 제공 단계,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4)를 제공하여 배치하는 단계,
    - 잠금 요소(5)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잠금 요소(5)는 스트랩-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2)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과 해제 가능하게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요소(5)는,
            - 제1 레그(17),
            - 제2 레그(18) 및
            - 상기 2개의 레그들(17, 18)을 서로 연결하는 베이스 레그(19)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들(17, 18) 각각은
            - 제1 레그 섹션(20-1, 20-2),
            - 제2 레그 섹션(21-1, 21-2) 및
            - 각 경우에서 제1 레그 섹션(20-1, 20-2)과 제2 레그 섹션(21-1, 21-2)을 서로 연결하는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그 섹션(20-1, 20-2)은 각 경우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 베이스 레그(19)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은 베이스 레그(19)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잠금 요소(5) 제공 단계,
    - 잠금 요소(5)를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의 2개의 커플링 슬롯들(9, 10)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이 과정에서 제1 종축(8)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24)에 이격된 제1 위치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를 배치하는 단계,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의 종축(8, 12)을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 정렬되게 배향시키는 단계,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고, 차례로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삽입하는 단계,
    (a) 중공-원통형 삽입편(13)을 삽입하여,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원통형 삽입편(13)과 바로 인접하거나 또는 제1 접촉 섹션에 대해 중공-원통형 삽입편(13) 위에 안착하는, 삽입편(13) 삽입 단계,
    (b) 축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하여,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추가로 접촉 섹션들과 인접하는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상에서 지지되고, 이 과정에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종축(8, 12)에서 제1 반경방향 거리(24)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거리(25)의 제2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단계,
    (c) 축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하여,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 3)가 서로 커플링되는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는 제1 커플링 슬롯(9) 및 커플링 그루브(16) 내에서 제1 레그(17)의 제1 레그 섹션(21-1)과 맞물리고, 제2 레그(18)는 제2 커플링 슬롯(10) 및 커플링 그루브(16) 내에서 제2 레그 섹션(21-2)과 맞물리는,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위치에 도달할 때,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가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축 방향 삽입하는 공정 단계 (a) 중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반경 방향으로 중공 원통형 삽입편(13)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가 시작된 후,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공정 단계 (b) 중에, 베이스 레그(19)의 중앙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1 반경방향 거리(24) 값으로부터 시작해서 제2 반경방향 거리(25) 값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의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길이 대부분이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 특히 잠금 요소(5)의 중앙 섹션이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해 지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축(8, 12)으로부터 베이스 레그(19)의 제2 반경방향 거리(25)의 값은, 2개의 레그들(17, 18)이 확장 섹션(14)을 빠져나간 후에 그리고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삽입되기 전에, 최대값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커플링 방법.
  9. 액체 및/또는 기체 매체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어셈블리(1)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는,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2)는 제1 종축(8)이 있는 암형 수용 공간(7)을 획정하는 관형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커플링 슬롯(9)과 제2 커플링 슬롯(10)이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 내에서 서로 정반대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러그 커넥터(2),
    - 제2 수형 플러그 커넥터(3)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3)는 관형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는,
            - 중공-실린더형 삽입편(13),
            - 이웃하며,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및
            - 커플링 그루브(16)를 구비하는 이웃하는 커플링 섹션(15)으로, 제2 플러그 커넥터 바디(11)가 제2 종축(12)을 획정하는, 커플링 섹션(15)을 구비하는, 제2 플러그 커넥터(3),
    -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은 축 방향으로 해제 가능한 커플링 위치에 놓일 수 있고,
    - 제1 암형 플러그 커넥터(2)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4),
    - 잠금 요소(5)로, 상기 잠금 요소(5)는 스트랩-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2)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2, 3)과 해제 가능하게 견고하게 맞물리며, 상기 잠금 요소(5)는,
            - 제1 레그(17),
            - 제2 레그(18) 및
            - 상기 2개의 레그들(17, 18)을 서로 연결하는 베이스 레그(19)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들(17, 18) 각각은
            - 제1 레그 섹션(20-1, 20-2),
            - 제2 레그 섹션(21-1, 21-2) 및
            - 각 경우에서 제1 레그 섹션(20-1, 20-2)과 제2 레그 섹션(21-1, 21-2)을 서로 연결하는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레그 섹션(20-1, 20-2)은 각 경우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 베이스 레그(19)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은 베이스 레그(19)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하도록 정렬되어 있는, 잠금 요소(5)를 포함하고,
    - 제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 3)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의 제1 레그(17)는 제1 커플링 슬롯(9) 및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맞물리고, 제2 레그(18)는 제2 커플링 슬롯(10) 및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맞물리고,
    -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특히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종축(8, 12)으로부터 제1 반경방향 거리(24)에 이격된 제1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플러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삽입하는 초기에, 각 경우에서,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원통형 삽입편(13)과 바로 인접하거나 또는 제1 접촉 섹션에 대해 중공-원통형 삽입편(13) 위에 안착하고,
    - 축 방향으로 더 삽입하는 중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상에서 추가로 접촉 섹션들에 대해 지지 안착되고,
    - 적어도 제2 레그 섹션(21-1, 21-2)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상에서 안착하는 위치에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19)는 종축(8, 12)에서 제1 반경방향 거리(24)보다 더 큰 제2 반경방향 거리(25)의 제2 위치에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5)가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레그(19)는 다시 제1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제2 플러그 커넥터(3)를 제1 플러그 커넥터(2)의 암형 수용 공간(7) 내로 축 방향 삽입하는 초기에,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반경 방향으로 중공 원통형 삽입편(13)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 상에서 지지될 때,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이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확장 섹션(14)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들(2, 3)이 커플링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요소(5)의 2개의 레그 연결 섹션(22-1, 22-2)의 길이 대부분이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배치되거나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5)의 베이스 레그(9) 특히 그 중앙 섹션이 적어도 커플링 위치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해 지지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레그(19)의 제2 반경방향 거리(25)의 값은, 2개의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커플링 그루브(16) 내에 삽입되기 전에 최대값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레그들(17, 18) 사이의 중앙에서 시작하는 베이스 레그(19)는 2개의 레그들(17, 18) 방향으로 지붕-형상으로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레그 섹션(20-1, 20-2)은, 이들이 잠금 요소(5)가 변형되지 않은 초기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레그(19), 제1 레그 섹션(20-1, 20-2) 각각, 레그 연결 섹션(22-1, 22-2) 각각,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이 공통 평면(E)에서 연장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베이스 레그(19)로부터 멀어지는 제2 레그 섹션(21-1, 21-2)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지지 레그(23-1, 23-2)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레그(23-1, 23-2) 각각은 공통 평면(E)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된 종방향 배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 레그(23-1, 23-2) 각각은 베이스 레그(19)의 제1 위치와 베이스 레그(19)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플러그 커넥터 바디(6)에 대해 지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셈블리.
KR1020227042617A 2020-06-25 2021-06-24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KR20230003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538/2020A AT523394B1 (de) 2020-06-25 2020-06-25 Kopplungsverfahren von Steckverbindern zu einer Steckerbaugruppe und Steckerbaugruppe
ATA50538/2020 2020-06-25
PCT/AT2021/060222 WO2021258123A1 (de) 2020-06-25 2021-06-24 Kopplungsverfahren von steckverbindern zu einer steckerbaugruppe und steckerbaugrup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258A true KR20230003258A (ko) 2023-01-05

Family

ID=7685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617A KR20230003258A (ko) 2020-06-25 2021-06-24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32723A1 (ko)
EP (1) EP4172529B1 (ko)
KR (1) KR20230003258A (ko)
CN (1) CN115803553A (ko)
AT (1) AT523394B1 (ko)
WO (1) WO2021258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9988A1 (de) * 2021-11-17 2023-05-17 Veritas Ag Verbindung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98823A (fr) * 1964-03-31 1965-05-14 Ct De Rech S De Pont A Mousson Accouplement perfectionné pour tuyaux de canalisation et ses éléments constitutifs
JP4529658B2 (ja) *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529133B2 (ja) * 2005-03-25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08046143A1 (de) * 2008-09-05 2010-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nellkupplungsanordnung
DE102010013412B4 (de) * 2010-03-30 2014-05-22 Norma Germany Gmbh Abgaslei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Abgasanlage
FR2983556B1 (fr) * 2011-12-06 2013-12-13 Hutchinson Organe de verrouillage d'u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ransfert de fluide, ce dispositif et son procede de verrouillage.
DE102016108831A1 (de) * 2016-05-12 2017-11-16 Veritas Ag Verriegelungsbügel für einen Stutzen eines Schnellkupplungssystems
DE102016119659A1 (de) * 2016-10-14 2018-04-19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und Verbinder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23394B1 (de) 2021-08-15
CN115803553A (zh) 2023-03-14
AT523394A4 (de) 2021-08-15
WO2021258123A1 (de) 2021-12-30
JP2023532051A (ja) 2023-07-26
US20230332723A1 (en) 2023-10-19
EP4172529A1 (de) 2023-05-03
EP4172529B1 (de)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KR920000662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US5240289A (en) Plug-type connection for a tubular body
KR101462680B1 (ko) 급속 커넥터 커플링
US6722703B2 (en) Quick connector with function of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CN108139006B (zh) 用于介质管路的具有插入状态指示的插拔连接器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RU2211940C2 (ru) Быстро монт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возврат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к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е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413121C2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контроля
JP2616743B2 (ja) 2つの流体管を連結するための押し込みはめ連結器
CN101046268B (zh) 快速连接器
CN110220056B (zh)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KR20170059405A (ko) 자동 연결을 사용한 안전한 튜브 커플링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KR890014943A (ko) 관 연결장치
KR102189767B1 (ko) 유체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
JP2013534993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RU2487287C2 (ru) Штеке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30003258A (ko) 플러그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는 방법, 및 플러그 어셈블리
JP343637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EP4008946B1 (en) A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EP4137732A1 (en)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CN115280057A (zh) 具有预装配保险装置的插接连接器
JP3842547B2 (ja) 高圧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7490096B2 (ja) プラグアセンブリを形成するための複数のプラグコネクタの連結方法、及びプラグアセンブ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