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018A -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018A
KR20230003018A KR1020227041110A KR20227041110A KR20230003018A KR 20230003018 A KR20230003018 A KR 20230003018A KR 1020227041110 A KR1020227041110 A KR 1020227041110A KR 20227041110 A KR20227041110 A KR 20227041110A KR 20230003018 A KR20230003018 A KR 2023000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cus
spectacle lens
area
dsa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화 치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되고,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된, 안경 렌즈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본 발명은,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근시 등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는 안경 렌즈로서, 렌즈 상 복수의 처방 굴절력보다 플러스의 굴절력을 가지는 섬 모양 영역이 형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하, 이 섬 모양 영역을 디포커스 영역이라고 부른다. 이 구성의 안경 렌즈에 의하면,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속이, 원칙적으로는 착용자의 망막 상에 초점을 맺지만, 디포커스 영역의 부분을 통과한 광속은 망막 상보다도 바로 앞의 위치에서 초점을 맺도록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근시의 진행이 억제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광축 방향에서 시인해야 할 물체가 존재하는 전방 방향의 것을 바로 앞측이라고 칭하고, 바로 앞측의 역방향으로서, 광축 방향에서 후방 즉 안경 렌즈로부터 안구를 향하는 안쪽 방향의 것을 안(奧)측이라고 칭한다.
미국 출원 공개 제2017/0131567호
본 발명자는, 이하의 신규의 관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지견했다.
도 1은, 망막 상 1mm2 당의 간체(桿體)·추체(錐體)의 세포 수를 종축으로하고, 시야각(단위: 도)을 횡축으로 했을 때의 그래프이다.
망막 상에는 광 센서에 상당하는 세포가 분포하고 있다. 광 센서에 상당하는 세포는, 망막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망막에서의 중심와(窩) 부분에는 추체 세포가 분포하고, 중심와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주연(周緣) 부분에는 간체 세포가 분포하고 있다.
중심와 부분에 주로 분포하는 추체는, 작은 사이즈의 광반(光斑)에 대해서 민감하다. 주연 부분에 주로 분포하는 간체는, 큰 사이즈의 광반에 대해서 민감하다. 즉, 추체와 간체의 분포의 차이에 의해, 망막에서의 중심와 부분과 주연 부분에서는, 광반의 변화에 대한 감도가 다르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망막 상의 세포의 분포를 활용한 근시 진행 억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를 통하여 물체를 볼 때, 안경 렌즈의 중앙부를 통과한 광이 망막의 중심와 부분에 도달함과 아울러, 안경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한 광이 망막의 주연 부분에 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망막에서의 중심와 부분에는 추체 세포가 분포하고, 망막의 중심와 부분으로부터 멀어진 주연 부분에는 간체 세포가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망막의 중심와 부분에 도달하는 광은, 주로, 안경 렌즈의 중앙부를 통과한 광이며, 망막의 주연 부분에 도달하는 광은, 주로, 안경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한 광이다.
즉, 안경 렌즈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 세포가 광을 받는 것을 상정하고,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광반이 생기는 구성을 채용함과 아울러, 안경 렌즈의 주변부에 마련되는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 세포가 광을 받는 것을 상정하고, 비교적 큰 사이즈의 광반이 생기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생각된 것이 이하의 각 태양이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은,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收束)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되고,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된,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은, 제1의 태양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은, 제1 또는 제2의 태양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5.0~50.0분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태양은, 제1~제3의 태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디포커스 파워가 동일한 한편,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영역이 커지게 되는,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5의 태양은, 제1~제3의 태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크기가 동일한 한편,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파워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6의 태양은, 제1~제5의 태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축 회전 대칭 형상이며,
축 회전 대칭 형상의 디포커스 영역에서, 중심 개소로부터 주변 개소를 향하여 굴절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태양은, 제1~제6의 태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8의 태양은, 제1~제7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태양으로서,
안경 렌즈는 근시 진행 억제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9의 태양은,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영역이 커지게 되는, 안경 렌즈이다.
바람직하게는,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디포커스 파워가 동일하다.
상기의 태양에 대하여 조합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이하와 같다.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平面視)에서의 배치의 일례로서는, 각 볼록부 영역의 중심이 정삼각형의 정점이 되도록 각각 독립하여 이산 배치(허니컴 구조의 정점에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배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디포커스 영역의 DSA를 증가시킬 때, 디포커스 영역 소재 위치의 안경 렌즈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변수로 한 함수로서 DSA를 결정하면 된다. 이 함수는 연속 단조 증가의 함수, 스텝 함수와 같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함수, 또는 양자의 조합이 고려된다. DSA의 증가량에는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5.0~50.0분의 범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8.0~30.0의 범위이다.
구역의 수 및 형상에는 한정은 없지만, 후반의 실시예의 항목으로 드는 바와 같이 디포커스 영역을 마련하는 구역의 수는 2~4가 바람직하고, 구역의 형상은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타원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서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점차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부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감소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 경우, 각 구역 내에서의 DSA의 평균값이,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 커지게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5.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3.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2.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장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본 단락에 기재된 범위 내이다.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10.0~5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2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2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장 주변 근처(즉 디포커스 영역 중 가장 안경 렌즈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본 단락에 기재된 범위 내이다.
디포커스 영역 중 최대의 DSA의 값과 최소의 DSA의 값과의 차이가 4.0~10.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9.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DSA의 차이가 너무 큰 것에 기인하는 위화감을 저감 할 수 있다.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평균 DSA는 10.0~14.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3.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된 각 구역 1~3이 동심으로 형성되는 경우,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된 구역 중 안경 렌즈의 중앙(예: 심취(芯取)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구역 1로서 중앙으로부터 4.50~9.75 mm의 환(環) 모양의 구역 1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5.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3.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2.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안경 렌즈의 중앙을 포함하는 구역 1의 내측에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디포커스 영역의 DSA 또는 그 평균값은, 구역 1에서의 DSA 또는 그 평균값보다도 낮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역 1에 인접하는 환 모양의 구역 2로서 중앙으로부터 9.75~13.00mm의 구역 2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2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8.0~3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2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2에 인접하는 환 모양의 구역 3으로서 중앙으로부터 13.00~16.25mm의 구역 3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3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9.0~3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2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19.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2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으로부터 구역 1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을 뺀 값, 즉 구역 1로부터 구역 2로의 증가량은, 2.5~5.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5~5.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3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으로부터 구역 2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을 뺀 값, 즉 구역 2로부터 구역 3으로의 증가량은, 2.5~5.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5.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각 구역 내의 디포커스 영역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한편, 본 발명은 이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4.50~9.75 mm의 환 모양의 구역 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구역끼리의 경계가, 중앙으로부터 13.00~16.25mm의 범위 내에 존재해도 상관 없고, 구역끼리의 경계는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그 경우에도, 각 구역에서, DSA의 평균값이 상기 각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디포커스 파워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인 한편,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디포커스 영역(지름)을 크게 해도 된다. 지름의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안경 렌즈 상의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의 최소값은 0.5~1.0mm의 범위 내, 최대값은 0.8~1.3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0.3~0.6 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크기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인 한편,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디포커스 파워를 크게 해도 된다. 디포커스 파워의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안경 렌즈 상의 디포커스 영역이 초래하는 디포커스 파워의 최소값은 1.5~4.5D[단위: 디옵터]의 범위 내, 최대값은 3.0~10.0D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1.0~5.0D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단락의 기재에 한정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상기 변동폭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은 「동일하다」 또는 「일정」이라고 칭한다. 변동폭을 정(正)의 값으로 하는 경우, 변동폭은 100×(최대값-최소값)/최대값이어도 된다.
축 회전 대칭 형상을 가지는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파워 플롯(종축: DSA[분], 횡축: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mm])은, 실시예 3, 4와 같이 연속이어도 되고, 실시예 5와 같이 불연속이어도 된다. 또한, 단면 곡선이 연속인 경우, 실시예 3과 같이 단면 파워 플롯이 하나의 수식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되고, 실시예 4와 같이 복수의 수식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망막 상의 세포의 분포를 활용한 근시 진행 억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망막 상 1mm2 당의 간체·추체의 세포 수를 종축으로 하고, 시야각(단위: 도)을 횡축으로 했을 때의 그래프이다.
도 2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를 통하여 물체를 볼 때, 안경 렌즈의 중앙부를 통과한 광이 망막의 중심와 부분에 도달함과 아울러, 안경 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한 광이 망막의 주연 부분에 도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처방 굴절력의 안경 렌즈와 안구를 합해서 하나의 광학계라고 생각했을 경우에 있어서, 무한 원방(遠方) 물체로부터의 입사 광속이, 안경 렌즈의 하나의 디포커스 영역을 통과하여 망막 상(上)에 입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정삼각형의 정점이 되도록 각각 독립하여 이산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안경 렌즈 상 디포커스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5의 안경 렌즈 상 디포커스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의 (a)은, 실시예 3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7의 (b)는, 실시예 3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8의 (a)은, 실시예 3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8의 (b)는, 실시예 3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4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9의 (b)는, 실시예 4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0의 (a)은, 실시예 4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0의 (b)는, 실시예 4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1은, 실시예 5의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의 (a)는, 실시예 5의 링(1)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2의 (b)는, 실시예 5의 링(1)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3의 (a)은, 실시예 5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3의 (b)는, 실시예 5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4의 (a)는, 실시예 5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도 14의 (b)는, 실시예 5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도면에 기초하는 설명은 예시로서, 본 발명은 예시된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가 없는 내용은,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가 없는 내용(특히 제조 방법에 관한 내용)은 WO2020/004551호 공보의 기재에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특허 문헌 1의 기재 내용과 해당 공보의 기재 내용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는 해당 공보의 기재를 우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드는 안경 렌즈는, 물체측의 면과 안구측의 면을 가진다. 「물체측의 면」이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 착용되었을 때에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며, 「안구측의 면」이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 착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이 관계는, 안경 렌즈의 기초가 되는 렌즈 기재에서도 적용된다. 즉, 렌즈 기재도 물체측의 면과 안구측의 면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는 소정의 값 이상 또는 소정의 값 이하를 가리킨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이하와 같다.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이 설정되고,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이 설정된, 안경 렌즈.」
베이스 영역이란, 착용자의 처방 굴절력을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의 부분이며, 특허 문헌 1의 제1 굴절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디포커스 영역이란, 그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영역에 의한 집광 위치에는 집광시키지 않는 영역이다. 디포커스 영역이란, 특허 문헌 1의 미소 볼록부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안경 렌즈와 마찬가지로, 근시 진행 억제 렌즈이다. 특허 문헌 1의 미소 볼록부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면 및 안구측의 면 중 적어도 어느 것에 형성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면에만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마련했을 경우를 주로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의 디포커스 영역은, 디포커스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진다. 「발산광」이란, 발산 광속(발산 파면을 가지는 광속인 것)이다. 발산 광속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의 지견>에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광반의 시야 상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은, 디포커스 영역을 투과하는 광이 망막에 생성하는 광반의 크기를 시야각[단위: 분]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후, 생략하여 DSA라고 칭한다. DSA는 광속의 확산각이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DSA가 큰 경우, 광반이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가 설정된다.
특허 문헌 1의 도 10의 기재와 같이, 안경 렌즈의 중앙부에 디포커스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디포커스 영역에서,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가 설정된다.
그 한편, 특허 문헌 1의 도 1의 기재와 같이, 안경 렌즈의 중앙부에 디포커스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안경 렌즈의 주변부로서 비교적 중앙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디포커스 영역에서,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가 설정된다.
「안경 렌즈의 중앙부」란, 안경 렌즈의 기하 중심, 광학 중심 또는 심취 중심 및 그 근방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심취 중심 및 그 근방의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의 어느 경우도 포함할 수 있도록,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이라고 하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것과 함께,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가 설정된다.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란, 상기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의 배치보다도 외주측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은,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보다도 크다. 즉,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는,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보다도 작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광반의 크기에는 한정은 없고, DSA의 값에도 한정은 없다. DSA의 값의 적합예는 후술한다.
「주로 추체용」이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와 부분에는 추체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간체도 존재하는 것을 고려한 표현이다. 「주로 간체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고려한 후에서의 표현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망막 상의 세포의 분포를 활용한 근시 진행 억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는, 망막의 추체 세포와 간체 세포를 충분히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안구 성장을 억제하고, 근시 진행을 늦추게 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적합예 및 변형예>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의 안경 렌즈의 적합예 및 변형예에 대해서, 이하에 서술한다. 특히, DSA에 대하여 상술한다. DSA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의 지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의 지견)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제2 굴절 영역인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통과한 광속이 망막의 바로 앞에 집광하는 것에 의해 근시 진행을 억제한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이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발휘할 때의 메커니즘에 관하여, 본 발명자는 재차 검토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집광」이란, 반드시 거의 무수차의 광이 일점에 모이는 협의의 집광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절 렌즈의 플레어 광의 밀도가 높은 위치 등의 광의의 집광도 포함한다.
근시 진행 억제 효과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시 진행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아동기의 근시 진행의 메커니즘으로서, 상(像)의 위치(핀트가 맞는 위치)가 망막의 바로 앞에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망막의 안에 있는지에 의해서 안구의 성장이 억제되는지, 그렇지 않으면 촉진되는지를 결정한다고 한다. 상이 항상 망막의 안에 있는 경우, 안구의 성장이 촉진되고, 망막에 상을 비치도록 한다. 상이 항상 바로 앞에 있는 경우, 안구의 성장이 억제되고 망막에 비치도록 한다. 상이 항상 망막의 안에 있는 상태는, 아동이 근방시(近方視)의 시간이 길고, 조절이 불충분(조절 러그 발생)이 원인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눈에 들어오는 일부의 광을 망막의 바로 앞에 집광시켜, 안구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광을 감지하는 구조로서는 상기 망막 상(上)의 추체 및 간체 등이 알려져 있지만, 보는 대상물의 상(像)이 망막의 안에 존재하는지 바로 앞에 존재하는지를 직접 검지하는 구조는 눈에는 없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구조로 상(像)의 위치를 검지하는 어떠한 구조가 인간에게 존재할 것이다.
그 구조의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조절 미동(微動)에 의한 망막 상(上)에 비치는 광반의 변화를 검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명세서의 「광반」이란, 물체점의 광이 안경 렌즈의 일부와 안구 광학계를 통하여 망막에 생긴 광의 분포로, 핀트가 맞고 있는 경우는 일점에 상당하는 분포가 되고, 핀트가 맞지 않는 경우(디포커스의 경우)는 크기를 갖는 광의 분포가 된다.
예를 들면, 해당 상(像)이 망막의 안에 존재하는 경우, 물체로부터의 광속이 망막에서 수속 광속으로서 입사하고 있다. 안구 내의 수정체의 조절력을 느슨해지면(모양체가 느슨해져 수정체가 얇아지면) 상(像)이 더 안으로 이동하고, 망막 상(上)에서의 광반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조절이 강해지면(모양체가 긴장하여 수정체가 두꺼워지면) 망막 상(上)에서의 광반이 작게 된다. 조절 미동에 의한 광반의 크기의 변화가 시신경이나 그 후의 피질에 의한 정보 처리에 의해 검지되고, 안구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가 나오고, 근시가 진행되는 구조가 있다고 고려된다.
망막 상(上)의 상(像)의 변화를 검지하는 구조의 또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광반의 광량 밀도의 검지를 들 수 있다.
조사하는 광량이 일정한 경우, 광반의 면적이 작을수록, 광량 밀도가 크다. 안구 내의 수정체의 조절력이 느슨해지면 상(像)이 더욱 안으로 이동하고, 망막의 광반의 광량 밀도가 낮게 된다. 반대로 조절이 강해지면 망막의 광반의 광량 밀도가 높게 된다. 조절 미동에 의한 광반 광량 밀도의 변화가 시신경이나 그 후의 피질에 의한 정보 처리에 의해 검지되고, 안구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가 나오고, 근시가 진행되는 구조가 있다고 고려된다.
어느 구조로 하여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메커니즘으로서는, 안구 조절 미동에 의한 물체점의 망막 상(上)의 광반의 크기의 변화(또는 광량 밀도 변화)의 지각(知覺)을 이용하여 근시 진행을 억제하고 있다. 즉, 소정의 안구 조절량 당 광반의 크기의 변화량 또는 광량 밀도 변화량이 클수록,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높다고 생각된다(관점 1).
상기 조절 미동으로 예시한 것과 같이, 해당 상(像)이 망막의 안에 존재하는 경우, 물체로부터의 광속이 망막에서 수속 광속으로서 입사하고 있다. 수속 광속이 형성하는 광의 파면을 수속 파면이라고 한다. 즉, 상기 조절 러그설에 의하면, 망막에 입사하는 파면이 수속 파면일 때에 근시가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반대로 발산 파면이 망막에 입사하는 상황을 만들면, 근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관점 2). 실제로 특허 문헌 1에서는, 안경 렌즈에 제2 굴절 영역을 마련하고, 제1 굴절 영역을 통과하는 광속이 수속하는 초점과는 별개로, 제2 굴절 영역을 통과하는 광속을 망막의 바로 앞에서 수속시키고 있다. 제2 굴절 영역을 통과하는 광속이 망막의 바로 앞에서 수속한다는 것은, 망막에 대하여는 발산 파면이 입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관점 1 및 관점 2에 기초하면, 망막에 발산 광속을 입사시키면서, 소정의 안구 조절량 당의 광반의 크기(또는 광량 밀도)의 변화를 크게 하기 위해, 해당 발산 광속의 발산도를 크게 하는 것이, 근시 진행 억제 효과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해당 발산 광속의 발산도를 크게 하는 것을, 광반을 크게 하는 것과 관련짓고 있다.
(광반의 크기와 디포커스 영역의 구성과의 관계)
이하, 디포커스 영역의 구성에 의해, 어떻게 광반의 크기가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처방 굴절력의 안경 렌즈와 안구를 합해서 하나의 광학계라고 생각했을 경우에 있어서, 무한 원방 물체로부터의 입사 광속이, 안경 렌즈의 하나의 디포커스 영역을 통과하여 망막 상(上)에 입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한 원방 물체로부터의 입사 광속에서 베이스 영역을 통과하는 광속은, 망막 상(上)의 위치 A에 집광한다. 해당 입사 광속에서 디포커스 영역을 통과하는 광속은, 망막 상(上)의 위치 A에 발산광으로서 입사하여, 망막 상(上)에서 광반을 형성한다. 디포커스 영역의 높이 h0에서 입사한 광선의 망막 상(上)의 점의 높이 h1은,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δ는 렌즈 전체가 높이 h0에서의 프리즘 편각으로, 디포커스 영역에 의한 프리즘 편각 δdef와 안광학계(처방 굴절력의 안경 렌즈와 안구의 광학계 전체)에 의한 δeye의 합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포커스 영역이 볼록 모양 영역인 경우를 예시한다. 각 볼록 모양 영역은 렌즈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소옥(小玉) 렌즈라고도 한다.
feye는 안광학계의 초점 거리이고, Deye는 안광학계의 굴절력이다. 즉, 디포커스 영역에 입사한 광은, 망막 상(上)에 원형의 광반을 형성하고, 그 반경 RPSF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δmax는 소옥 렌즈의 최대 프리즘 편각이고, 통상은 소옥 렌즈의 가장자리부의 프리즘 편각이다.
Deye에 대하여 조절의 분의 굴절력 A를 더하면, 망막 상(上) 광반의 반경 RPSF(A)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3
또한, 망막 상(上) 광반의 반경의 A에 대한 도함수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4
이와 같이, 광반의 크기가 조절에 의해서 감소하는 구배는, 소옥 렌즈의 최대 프리즘 편각 δmax에 비례한다.
소옥 렌즈가 구면 형상이라고 가정하고, 초점 거리에 비하여 충분히 소옥의 높이가 작은 경우, 하기의 식이 성립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Rdef는 소옥 렌즈의 반경, Ddef는 소옥 렌즈의 굴절력이다. 「소옥 렌즈의 반경」은, 소옥 렌즈가 존재하는 부분의 렌즈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반경이다. 설명의 편의상, 소옥 렌즈의 반경은, 평면시(平面視)에서의 반경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굴절력」은, 굴절력이 최소가 되는 방향 a의 굴절력과, 굴절력이 최대가 되는 방향 b(방향 a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굴절력과의 평균값인 평균 굴절력을 가리킨다. 중앙부의 굴절력이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같이 디포커스 영역이 소옥 모양의 세그먼트인 경우, 평면시의 중심에서의 정점 굴절력을 가리킨다.
「디포커스 파워」는,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 및/또는 소재가 초래하는 굴절력으로서, 각 디포커스 영역에 대응하는 초점 위치 X에서의 디포커스값의 평균과, 각 디포커스 영역 이외의 부분을 통과한 광선이 수속하는 위치로서 복수의 초점 위치 X보다도 안측에 있는 초점 위치 Y에서의 포커스값과의 차이를 가리킨다. 다른 말로 하면, 「디포커스 파워」란, 디포커스 영역의 소정 개소(중심 개소, 주변 개소, 또는 하나의 디포커스 영역 전체)의 최소 굴절력과 최대 굴절력의 평균값으로부터 베이스 영역의 굴절력을 뺀 차분이다.
소옥 렌즈가 구면 형상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수학식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시 진행 억제 효과는 소옥의 디포커스 파워 만이 아니라 크기도 중요한 팩터가 된다. 소옥 렌즈가 비구면 형상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수학식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프리즘 편각 δmax가 중요한 팩터가 된다.
실제로, 인간이 느끼는 것은, 최대 프리즘 편각 δmax에 대응하는 시각 범위의 블러(blur)(이른바 광반)이다. 통상, 이 블러의 직경은 2δmax로 나타내어진다. 그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DSA는 최대 프리즘 편각 δmax의 2배의 값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를 들면, 반경이 0.5 mm, 디포커스 파워가 3.5D의 소옥 렌즈가 디포커스 영역인 경우, DSA는 이하의 값이 된다.
DSA=2δmax=2×3.5×0.5/1000(radian)≒12분
본 명세서에서의 「프리즘 편각」은, 광선이 렌즈에 입사하는 방향과 출사하는 방향의 각도를 가리킨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에는 프리즘이 없고, 출사 광선은 베이스 렌즈의 출사 광선과 동일하고, 망막 중심에 도달한다. 그 한편, 디포커스 영역의 주변부는 프리즘이 있고, 광선이 망막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 도달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디포커스 영역의 최대 프리즘 편각에 의해, 망막 상(上) 광반의 크기가 결정된다. 최대 프리즘 편각은, 통상, 디포커스 영역의 가장자리부의 프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즉,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디포커스 영역의 가장자리부의 프리즘 편각에 의해 결정된다. 디포커스 영역이 축 회전 대칭의 표면의 돌기인 경우, 프리즘 편각은 돌기 형상의 단면 곡선의 구배에 비례한다. 이 경우, 돌기 형상의 단면 곡선의 연부의 구배를 설계함으로써, 디포커스 영역의 DSA를 조정할 수 있다.
(디포커스 영역의 DSA에 관한 적합예)
본 발명의 적합예에서는,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예: 소옥 렌즈)의 DSA가,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예: 소옥 렌즈)의 DSA보다도 크다. 이 구성은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DSA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서술한 「주로 추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 「주로 간체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DSA」를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서술한 표현 대신에 상기 바람직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을 표현해도 된다.
덧붙여서, DSA가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할 때, 이후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DSA를 증가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안경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동심 형상으로 구역을 나누고, 각 구역 사이에서는 다른 DSA의 디포커스 영역을 형성하는 한편, 각 구역 내에서는 DSA를 동일하게 해도 된다. 그렇지 않고, 연속적으로 DSA를 증가시켜도 된다. 어느 경우도,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DSA를 증가시킨다」라고 하는 표현에 포함된다.
구역의 수 및 형상에는 한정은 없지만, 후반의 실시예의 항목으로 드는 바와 같이 디포커스 영역을 마련하는 구역의 수는 2~4가 바람직하고, 구역의 형상은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타원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점점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부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감소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 경우, 각 구역 내에서의 DSA의 평균값이,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 커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5.0분부터 50.0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분부터 30.0분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변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서, 디포커스 영역의 DSA를 증가시킬 때, 디포커스 영역 소재 위치의 안경 렌즈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변수로 한 함수로서 DSA를 결정하면 된다. 이 함수는 연속 단조 증가의 함수, 스텝 함수와 같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함수, 또는 양자의 조합이 고려된다.
안경 렌즈의 중앙부에 디포커스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중앙부의 베이스 영역에 가장 근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5.0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5.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3.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2.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장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본 단락에 기재된 범위 내이다.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10.0~5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2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2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장 주변 근처(즉 디포커스 영역 중 가장 안경 렌즈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DSA가 본 단락에 기재된 범위 내이다.
디포커스 영역 중 최대의 DSA의 값과 최소의 DSA의 값과의 차이가 4.0~10.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9.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DSA의 차이가 너무 큰 것에 기인하는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평균 DSA는 10.0~14.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3.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의 예의(銳意) 연구에 의해, DSA가 12.0분일 때의 광반이라면, 안경 렌즈의 시야에 대한 영향을 저감하면서, 근시 억제에 유효하다고 하는 지견이 얻어지고 있다. 본 단락의 범위는, 이 지견을 기초로 규정하고 있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의 항목에서 나타내는 구역 나눔을 참조하여 DSA를 규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5를 참조하여, 이하의 규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된 각 구역 1~3이 동심으로 형성되는 경우,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된 구역 중 안경 렌즈의 중앙(예: 심취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구역 1로서 중앙으로부터 4.50~9.75mm의 환 모양의 구역 1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5.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3.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2.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안경 렌즈의 중앙을 포함하는 구역 1의 내측에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디포커스 영역의 DSA 또는 그 평균값은, 구역 1에서의 DSA 또는 그 평균값보다도 낮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역 1에 인접하는 환 모양의 구역 2로서 중앙으로부터 9.75~13.00mm의 구역 2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2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8.0~3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2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1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2에 인접하는 환 모양의 구역 3으로서 중앙으로부터 13.00~16.25mm의 구역 3에서는, DSA 또는 해당 구역 3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DSA의 평균값은, 9.0~30.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25.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19.0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2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으로부터 구역 1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을 뺀 값, 즉 구역 1으로부터 구역 2로의 증가량은, 2.5~5.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5.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역 3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으로부터 구역 2의 DSA의 값(또는 그 평균값)을 뺀 값, 즉 구역 2로부터 구역 3으로의 증가량은, 2.5~5.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5.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각 구역 내의 디포커스 영역은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 한편, 본 발명은 이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4.50~9.75mm의 환 모양의 구역 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구역끼리의 경계가, 중앙으로부터 13.00~16.25mm의 범위 내에 존재해도 상관 없고, 구역끼리의 경계는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그 경우에도, 각 구역에서, DSA의 평균값이 상기 각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이 초래하는 디포커스 파워 및 디포커스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적합예)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 상(上)에서의,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디포커스 파워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이다. 그 한편,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디포커스 영역(지름)을 크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안경 렌즈 상(上)의 위치로서 안경 렌즈의 주변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디포커스 영역이면 일수록 디포커스 영역(지름)을 크게 하는 적합예는, 본 발명을 구성에 의해 표현한 일 태양이다. 지름의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안경 렌즈 상(上)의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의 최소값은 0.5~1.0mm의 범위 내, 최대값은 0.8~1.3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0.3~0.6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 상(上)에서의,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크기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인 한편,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디포커스 파워를 크게 해도 된다. 디포커스 파워의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안경 렌즈 상(上)의 디포커스 영역이 초래하는 디포커스 파워의 최소값은 1.5~4.5D[단위: 디옵터]의 범위 내, 최대값은 3.0~10.0D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1.0~5.0D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설명하는 실시예 3~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어느 것이 축 회전 대칭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 중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것은 구면 형상으로 하고, 주변 근처에 배치된 것은 축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하는 것이, 안경 렌즈의 가공하기 쉬움을 감안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때, 축 회전 대칭 형상인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 주변 개소를 향하여 굴절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란, 평면시에서의 중심(重心)이 되는 개소이며, 디포커스 영역이 소옥 렌즈인 경우는 정점이 되는 개소이다.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의 변동폭이 ±10% 내(바람직하게는 ±5%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단락의 기재에 한정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상기 변동폭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은 「동일하다」또는 「일정」이라고 칭한다. 변동폭을 정(正)의 값으로 하는 경우, 변동폭은 100×(최대값-최소값)/최대값이어도 된다.
축 회전 대칭 형상을 가지는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파워 플롯(종축: DSA[분], 횡축: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mm])은, 실시예 3, 4와 같이 연속이라도 되고, 실시예 5와 같이 불연속이어도 된다. 또한, 단면 곡선이 연속인 경우, 실시예 3과 같이 단면 파워 플롯이 하나의 수식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되고, 실시예 4와 같이 복수의 수식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이후, 축 회전 대칭 형상을 회전 대칭 비구면(非球面)이라고도 한다.
<안경 렌즈의 일 구체예>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의 배치의 태양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디포커스 영역의 외부로부터의 시인성, 디포커스 영역에 의한 디자인성 부여, 디포커스 영역에 의한 굴절력 조정 등의 관점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중앙부의 주위에 원주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대략 원형 모양의 디포커스 영역이 섬 모양으로(즉, 서로 인접하지 않고 이간한 상태로) 배치되어도 된다.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의 일례로서는, 각 볼록부 영역의 중심이 정삼각형의 정점이 되도록 각각 독립하여 이산 배치(허니컴 구조의 정점에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배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도 4는,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정삼각형의 정점이 되도록 각각 독립하여 이산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단, 본 발명의 일 태양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디포커스 영역이 서로 인접하지 않고 이간한 상태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접촉하여도 상관 없고, 줄줄이 엮은 것과 같이 비독립에서의 배치를 채용하여도 된다.
각각의 디포커스 영역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은, 0.6~2.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의 돌출 높이(돌출량)는, 0.1~10μm 정도, 바람직하게는 0.4~2.0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8.0~20.0분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기재는, 예를 들면, 티오 우레탄, 알릴, 아크릴, 에피티오 등의 열강화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원하는 굴절도가 얻어지는 다른 수지 재료를 선택하여도 된다. 또한, 수지 재료가 아니고, 무기 글래스제의 렌즈 기재로서도 된다.
하드 코트 막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드 코트 막은, 하드 코트 액에 렌즈 기재를 침지시키는 방법이나, 스핀 코트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 코트 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반사 방지막은, 예를 들면, ZrO2, MgF2, Al2O3 등의 반사 방지제를 진공 증착에 의해 성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를 투과한 상(像)의 시인성 향상이 도모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렌즈 기재의 물체측의 면에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면을 하드 코트 막 및 반사 방지막에 의해서 피복하면, 렌즈 기재에서의 디포커스 영역을 따라, 하드 코트 막 및 반사 방지막에 의해서도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된다.
안경 렌즈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렌즈 기재를, 주형 중합 등의 공지의 성형법에 의해 성형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오목부가 구비된 성형면을 갖는 성형 형(型)을 이용하여 주형 중합에 의한 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디포커스 영역을 가지는 렌즈 기재가 얻어진다.
그리고, 렌즈 기재를 얻으면, 다음으로, 그 렌즈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트 막을 성막한다. 하드 코트 막은, 하드 코트 액에 렌즈 기재를 침지시키는 방법이나, 스핀 코트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트 막을 성막하면, 다시, 그 하드 코트 막의 표면에, 반사 방지막을 성막한다. 하드 코트 막은, 반사 방지제를 진공 증착에 의해 성막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의 제조 방법에 의해, 물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물체측의 면에 가지는 안경 렌즈가 얻어진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서 형성되는 피막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0.1~100μm(바람직하게는 0.5~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μm)의 범위로 해도 된다. 다만, 피막의 막 두께는, 피막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예시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막 위에는, 한층 이상의 피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피막의 일례로서는, 반사 방지막,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등의 각종 피막을 들 수 있다. 이들 피막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는,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에서는,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을 구면으로 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디포커스 영역의 파워는 일정(변동폭 0%)으로 하고,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의 지름을 증가시켰다.
실시예 2에서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의 지름은 일정(변동폭 0%)으로 하고, 디포커스 영역의 파워를 증가시켰다.
실시예 3, 4에서는,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구역 1 내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을 구면으로 하고,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구역 2, 3 내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을 회전 대칭 비구면으로 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의 지름도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파워도 일정(변동폭 0%)으로 하면서, 구역 2, 3의 각각에서, 회전 대칭 비구면 형상의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파워 플롯은 하나의 식으로 규정하였다.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과는 달리, 구역 2, 3의 각각에서, 회전 대칭 비구면 형상의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파워 플롯은 두개의 식으로 규정하였다. 단, 단면 파워 플롯은 연속으로 하였다.
실시예 5에서는,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을 회전 대칭 비구면으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5에서는, 구역 1~3의 각각에서, 회전 대칭 비구면 형상의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파워 플롯은 두개의 식으로 규정하였다. 그 때, 실시예 4와는 달리, 단면 파워 플롯은 불연속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이하의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또한,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만으로 이루어지고, 렌즈 기재에 대한 다른 물질에 의한 적층은 행하고 있지 않다. 처방 굴절력으로서 S(구면 굴절력)는 0.00D로 하고, C(난시 굴절력)는 0.00D로 하였다.
·렌즈 기재의 평면시에서의 직경: 100mm
·렌즈 기재의 종류: PC(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렌즈 기재의 굴절률: 1.589
·디포커스 영역의 형성면:물체측의 면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형상: 정원(正円)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정삼각형의 정점이 되도록 각각 독립하여 이산 배치(허니컴 구조의 정점에 각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이 배치)
·동공 지름 내의 볼록 모양 영역의 수: 7개
상기의 내용은, 각 실시예에 공통의 내용이므로, 이후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하였다.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 구면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 3.50D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등: 이하와 같다.
안경 렌즈의 중앙(심취 중심)으로부터 반경 4.00mm의 범위 내: 디포커스 영역 없음.
구역 1(링(1)): 중심으로부터 반경 4.00~9.75mm의 범위. 링(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은 0.88mm,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은 1.20mm, DSA는 10.59분이다.
구역 2(링(2)): 중심으로부터 반경 9.75~15.40mm의 범위. 링(2)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은 1.10mm,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은 1.50mm, DSA는 13.24분이다.
구역 3(링(3)): 중심으로부터 반경 15.40~19.25mm의 범위. 링(3)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은 1.32mm,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은 1.80mm, DSA는 15.88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안경 렌즈 상(上) 디포커스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하였다.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 구면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 1.1mm
·디포커스 영역의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 1.5mm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등: 이하와 같다.
안경 렌즈의 중앙(심취 중심)으로부터 반경 4.5mm의 범위 내: 디포커스 영역 없음.
구역 1(링(1)): 중심으로부터 반경 4.50~9.75mm의 범위. 링(1)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은 2.50, DSA는 9.45분이다.
구역 2(링(2)): 중심으로부터 반경 9.75~13.00mm의 범위. 링(2)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은 3.50, DSA는 13.24분이다.
구역 3(링(3)): 중심으로부터 반경 15.40~19.25mm의 범위. 링(3) 내의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은 4.50, DSA는 17.02분이다.
도 6은, 실시예 2~5의 안경 렌즈 상(上) 디포커스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하였다.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 1.1mm
·디포커스 영역의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 1.5mm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등: 이하와 같다.
안경 렌즈의 중앙(심취 중심)으로부터 반경 4.5mm의 범위 내: 디포커스 영역 없음.
구역 1(링(1)): 중심으로부터 반경 4.50~9.7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은 2.50D, DSA는 9.45분이다.
구역 2(링(2)): 중심으로부터 반경 9.75~13.00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50D, DSA는 13.24분이다.
구역 3(링(3)): 중심으로부터 반경 15.40~19.2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50D, DSA는 17.02분이다.
도 7의 (a)은, 실시예 3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6
도 7의 (b)는, 실시예 3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7
도 8의 (a)은, 실시예 3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8
도 8의 (b)는, 실시예 3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하였다.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 1.1mm
·디포커스 영역의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 1.5mm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등: 이하와 같다. 본 단락에 기재된 내용은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안경 렌즈의 중앙(심취 중심)에서 반경 4.5mm의 범위 내: 디포커스 영역 없음.
구역 1(링(1)): 중심으로부터 반경 4.50~9.7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굴절력은 2.50D, DSA는 9.45분이다.
구역 2(링(2)): 중심으로부터 반경 9.75~13.00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50D, DSA는 13.24분이다.
구역 3(링(3)): 중심으로부터 반경 15.40~19.2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50D, DSA는 17.02분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4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0
도 9의 (b)는, 실시예 4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1
도 10의 (a)은, 실시예 4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2
도 10의 (b)는, 실시예 4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하였다.
·디포커스 영역의 직경: 1.1mm
·디포커스 영역의 디포커스 영역끼리의 간격: 1.5mm
·디포커스 영역의 평면시에서의 배치 등: 이하와 같다.
안경 렌즈의 중앙(심취 중심)으로부터 반경 4.5 mm의 범위 내: 디포커스 영역 없음.
구역 1(링(1)): 중심으로부터 반경 4.50~9.7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50D, DSA는 9.45분이다.
구역 2(링(2)): 중심으로부터 반경 9.75~13.00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00D, DSA는 13.24분이다.
구역 3(링(3)): 중심으로부터 반경 15.40~19.25mm의 범위. 디포커스 영역의 형상은 회전 대칭 비구면이다.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2.00D, DSA는 17.02분이다.
또한, 링(1~3) 내에서의 단면 파워 플롯의 구배가 불연속인 점이 적어도 1점 있다.
도 11은, 실시예 5의 디포커스 영역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의 (a)는, 실시예 5의 링(1)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4
도 12의 (b)는, 실시예 5의 링(1)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5
도 13의 (a)은, 실시예 5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6
도 13의 (b)는, 실시예 5의 링(2)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7
도 14의 (a)는, 실시예 5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프리즘 편각 δ[분]을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프리즘 편각과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8
도 14의 (b)는, 실시예 5의 링(3)의 디포커스 영역의 중심 개소로부터의 반경 위치 r[mm]을 X축, 단면 파워 P[D]를 Y축으로 했을 때의 플롯이다. 단면 파워와 반경 위치의 관계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9

Claims (9)

  1.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收束)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앙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추체(錐體)용 크기의 광반(光斑)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되고, 안경 렌즈의 주변 근처에 배치된 디포커스 영역에서는 주로 간체(桿體)용 크기의 광반을 초래하는 광속의 확산각(Defocus Spot Angle: DSA)이 설정된, 안경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증가하는, 안경 렌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디포커스 영역의 DSA는 5.0~50.0분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안경 렌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디포커스 파워가 동일한 한편,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영역이 커지게 되는, 안경 렌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포커스 영역은, 안경 렌즈 상에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크기가 동일한 한편, 안경 렌즈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파워가 커지게 되는, 안경 렌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축 회전 대칭 형상이며,
    축 회전 대칭 형상의 디포커스 영역에서, 중심 개소로부터 주변 개소를 향하여 굴절력이 증가하는, 안경 렌즈.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디포커스 영역의 80% 이상의 수의 디포커스 영역에서의 중심 개소의 굴절력은 동일한, 안경 렌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는 근시 진행 억제 렌즈인, 안경 렌즈.
  9. 물체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안구측의 면으로부터 출사시켜, 눈을 거쳐서 망막 상에 수속시키는 베이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과 접하는 디포커스 영역으로서, 디포커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광속이 발산광으로서 망막에 입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디포커스 영역을 구비하고,
    안경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디포커스 영역이 커지게 되는, 안경 렌즈.
KR1020227041110A 2020-05-14 2021-02-25 안경 렌즈 KR20230003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5298 2020-05-14
JP2020085298 2020-05-14
PCT/JP2021/006984 WO2021229889A1 (ja) 2020-05-14 2021-02-25 眼鏡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018A true KR20230003018A (ko) 2023-01-05

Family

ID=7852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110A KR20230003018A (ko) 2020-05-14 2021-02-25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29018A1 (ko)
EP (1) EP4152081A4 (ko)
JP (1) JPWO2021229889A1 (ko)
KR (1) KR20230003018A (ko)
CN (1) CN115485610A (ko)
TW (1) TW202142927A (ko)
WO (1) WO2021229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3809B (zh) * 2021-12-02 2022-11-11 上允生技股份有限公司 近視控制隱形眼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567A (ko) 2015-03-27 2017-11-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살아있는 세포의 통합된 대사 베이스라인 및 포텐셜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050B2 (en) 2015-11-06 2019-04-23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EP3532891A4 (en) * 2016-10-25 2020-04-29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DEVICES, SYSTEMS AND / OR METHODS FOR CONTROLLING SHORT-VISION
EP3816714A4 (en) 2018-06-29 2022-03-30 Hoya Lens Thailand Ltd. L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567A (ko) 2015-03-27 2017-11-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살아있는 세포의 통합된 대사 베이스라인 및 포텐셜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9018A1 (en) 2023-07-20
EP4152081A1 (en) 2023-03-22
WO2021229889A1 (ja) 2021-11-18
TW202142927A (zh) 2021-11-16
EP4152081A4 (en) 2024-06-05
CN115485610A (zh) 2022-12-16
JPWO2021229889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434562U (zh) 眼镜片及光学眼镜
CN116745688A (zh) 眼镜镜片设计、制造眼镜镜片的方法和提供用于至少延缓近视进展的眼镜镜片的方法
KR20230003018A (ko) 안경 렌즈
AU2020304216B2 (en) Ophthalmological lens
JP7358619B2 (ja) 眼鏡レンズ
JP7488328B2 (ja) 眼鏡レンズ
JP2021157126A (ja) 眼鏡レンズ
CN111830731B (zh) 预防及减缓近视眼发展的眼镜片
EP4270099A1 (en) Spectacle lens
KR20190032344A (ko) 눈용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86873A1 (ja) 眼鏡レンズ
WO2022190610A1 (ja) 眼鏡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KR102557131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렌즈 설계 방법
JP7177959B1 (ja) 眼鏡レンズ
EP4283382A1 (en) Stiles-crawford-effect based mechanism and spectacle lens for retinal-region weighted prevention of myopia progression
KR100504388B1 (ko) 비축 비구면 다초점 광학 렌즈
WO2023042572A1 (ja) 眼鏡レン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