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736A -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736A
KR20230002736A KR1020227039803A KR20227039803A KR20230002736A KR 20230002736 A KR20230002736 A KR 20230002736A KR 1020227039803 A KR1020227039803 A KR 1020227039803A KR 20227039803 A KR20227039803 A KR 20227039803A KR 20230002736 A KR20230002736 A KR 2023000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ssembly
orientation
flow meter
val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브라운슈봐이그
쿠르트 봘레르스토르페르
쿠르트 ?U레르스토르페르
주오 왕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산화 아베코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산화 아베코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1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01F15/185Connecting means, e.g. bypass cond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련 밸브 어셈블리(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결정하는 유량계(100)를 제공하며, 당해 유량계(100)는, 하우징(102); 상기 하우징(102)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장치(106); 및 상기 하우징(102)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서로 관련되는 역방향 연결 부분(28)과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유량계(100)를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하는 연결 부분(1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10)를 더 제공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10)는 역방향 연결 부분(28)을 구비하고,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유량계(100)의 서로 관련된 연결 부분(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 중 임의의 하나의 배향으로 상기 유량계(100)를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구 밸브(V)는 유량계(100)와 밸브 어셈블리(10)를 포함하며, 그 중 유량계(100)는 제1 배향 또는 제2 배향 중 어느 하나의 배향으로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가전제품의 개량된 입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당해 입구 밸브는 밸브 어셈블리와 유량계를 포함하며, 당해 유량계는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당해 밸브 어셈블리에 부착될 수 있다.
물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은 일반적으로 입구 밸브를 포함하며, 당해 입구 밸브는 외부 수원(예를 들어 수도꼭지)으로부터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조정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분야에서 알려진 입구 밸브는 일반적으로 입구 파이프, 출구 파이프, 제어형 밸브 및 입구 밸브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결정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의 설계에는 도전성이 있는 다양한 기술적 요구가 존재한다. 특히, 가전제품 내부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의 크기가 한정되었다는 점이 일반적인 제한 사항이다. 작동 시, 가전제품, 특히 세탁기는 눈에 띄게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는 각 부품의 조립에 대해 추가적인 요구를 제기한다. 또한, 가전제품의 부품은 반드시 잠재적으로 대량의 물이 포함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독일 실용신안 DE 20 201 8 100 215 U1에 전자밸브 장치 형태의 입구 밸브가 개시되었으며, 당해 전자밸브 장치는 중공의 밸브몸체를 포함하고, 당해 중공의 밸브몸체는 유체(특히는 물)가 유동하는 입구와 두 개의 출구를 구비한다. 밸브몸체는 입구와 두 개의 출구 사이에 챔버가 한정되며 당해 챔버에는 밸브시트가 설치된다. 밸브몸체는 밸브시트에 설치되어 입구와 출구 사이의 연통을 제어한다. 밸브몸체의 입구 영역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전체 유동 파이프라인이 제공되며, 유동 파이프라인은 터빈 유량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전자밸브 장치는 제어회로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한다. 수용 공간은 유동 파이프라인의 영역에 위치하고, 그 내부는 기판 시트를 형성한다. 기판 시트는 유동 파이프라인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어회로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어회로기판 자체에는 터빈 유량계가 제공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밸브몸체와 수용 공간은 성형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기판 시트를 한정하는 둘레벽의 일부와 유동 파이프라인의 벽에 의해 이중 벽이 형성된다. 당해 둘레벽 부분의 일부는 공기 통로를 통해 유동 파이프라인의 벽과 분리된다.
본 분야에서 알려진 입구 밸브, 예를 들어 DE20 201 8 100 215 U1의 전자밸브 장치는 상술한 기술적 요구를 감안하면 일반적으로 만족스럽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개량된 입구 밸브가 필요하다. 또한, 여전히 가전제품 생산의 경제성을 개선하는 입구 밸브가 필요하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서로 관련된 밸브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결정하는 유량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수요를 해결한다. 상기 유량계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된 센서 장치; 및 하우징에 설치된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부분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서로 관련된 역방향 연결 부분과 접합됨으로써, 유량계를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향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9에서 한정한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수요를 해결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몸체; 적어도 하나의 밸브; 유속 지시기; 및 역방향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유체 경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 지시기는 상기 유체 경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양은 서로 관련된 유량계의 센서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제1 측면에 따른 상기 유량계의 서로 관련된 연결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유량계를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향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용의 입구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수요를 해결한다. 상기 입구 밸브는 청구항 14에서 한정되고, 제2 측면에 따른 상기 밸브 어셈블리와 제1 측면에 따른 상기 유량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수요를 해결한다. 상기 가전제품은 청구항 15에서 한정되고, 제2 측면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배향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유량계를 밸브 어셈블리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측면에 따른 상기 유량계를, 선택 가능한 배향 중 적합한 하나의 배향으로 제2 측면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가전제품(예를 들어, 세탁기)의 공간적 구속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른 유량계, 제2 측면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 및 제3 측면에 따른 입구 밸브를 다양한 유형의 세탁기에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변경을 할 필요가 없다(만약 있다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은 제1 배향 및 제2 배향을 포함하는 하나의 배향 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량계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듯이, 제1 측면에 따른 유량계, 제2 측면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 제3 측면에 따른 입구 밸브 및 제4 측면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 유량계를 선택적으로 2개보다 많은 배향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3개 배향, 적어도 4개 배향, 적어도 5개 배향 또는 적어도 6개 배향 또는 더 많은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부착하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서로 관련된 역방향 연결 부분과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배향 선택은 가역적이며, 다시 말해 상기 유량계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되고, 다른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다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패킷부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센서를 수분과/또는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리하게 보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은 배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유량계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부착될 때 상기 배합 표면이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접촉 표면과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배합 표면과 상기 접촉 표면 사이의 접합은 다양한 부하 조건에서 기설정 거리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장치의 센서는 상기 하우징 중 상기 배합 표면 아래에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다수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합 표면은 당해 배향 군에서 선택한 배향으로 상기 다수의 접촉 표면에서 선택한 하나의 접촉 표면과 접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단일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합 표면은 당해 배향 군 중의 각 배향으로 상기 단일 접촉 표면과 접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유량계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 부분이 상기 배합 표면을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 중의 상응하는 하나의 접촉 표면에 바이어싱되어 기대도록 구성된다. 바이어싱되는 것은 상기 배합 표면이 외부 부하(예를 들어, 진동 가속도)로 인해 상기 접촉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유속 측정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기설정 거리를 유지하는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배합 표면과 상기 접촉 표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은 수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분은, 상기 유량계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될 경우,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역방향 연결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 부분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 밸브의 전체 사이즈를 유리하게 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연결 부분은 다수의 연결 소자를 포함하며, 그 중 각 연결 소자는 역방향 연결 부분의 다수의 역방향 연결 소자 중의 상응하는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연결 소자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 연결 소자는 하나의 배향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향에 따라 역방향 연결 소자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분은 적어도 제1 연결 소자 및 제2 연결 소자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제1 연결 소자와 제2 연결 소자 각각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의 적어도 제1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제2 역방향 연결 소자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소자와 접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유량계를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 소자는, 상기 제1 배향으로 상기 제1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고, 상기 제2 배향으로 상기 제2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한/또는 별도로, 상기 제2 연결 소자는, 상기 제1 배향으로 상기 제2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고, 상기 제2 배향으로 상기 제1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은 제1 아웃리거와 제2 아웃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웃리거와 상기 제2 아웃리거는 그 사이에 상기 수용 부분을 한정하도록 이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다수의 역방향 연결 소자를 포함하며, 그 중 각각의 역방향 연결 소자는 상기 연결 부분의 다수 연결 소자 중의 상응하는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역방향 연결 소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소자 각각과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역방향 연결 소자는 하나의 배향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향에 따라 상기 연결 소자에서 선택한 하나의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분은 적어도 제1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제2 역방향 연결 소자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제1 역방향 연결 소자와 제2 역방향 연결 소자 각각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의 적어도 제1 연결 소자와 제2 연결 소자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소자와 접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량계를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역방향 연결 소자는, 상기 제1 배향으로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접합되고, 상기 제2 배향으로 상기 제2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한/또는 별도로, 상기 제2 역방향 연결 소자는, 상기 제1 배향으로 상기 제2 연결 소자와 접합되고, 상기 제2 배향으로 상기 제1 연결 소자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제1 아암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분은 제2 아암 부위에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상기 밸브몸체에서 상기 유체 경로를 포위하는 벽부의 고리형 외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형 외표면은 상기 유체 경로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축선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역방향 연결 소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벽부의 상기 고리형 외표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방향 연결 소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상기 고리형 외표면을 에워싸며 이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역방향 연결 소자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60°를 역방향 연결 소자의 전체 수로 나눈 값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이 2개의 역방향 연결 소자를 포함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역방향 연결 소자는 고리형 외표면을 에워싸며 180° 간격으로 이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과/또는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상기 유량계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검출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출 위치는 상기 센서가 상기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위치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과/또는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상기 유량계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유속 지시기로부터 기설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 거리는 당해 배향 군에 포함된 각 배향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써, 당해 배향 군에 포함된 각각의 배향에서 유속을 신뢰성있게 검출하는 전제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과/또는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분은 성형 단계에서 상기 하우징과 함께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장치에 성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패킷부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센서 장치에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는 유량계의 생산을 크게 단순화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상기 밸브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은 성형 단계에서 상기 밸브몸체와 함께 성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유속 지시기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유체 경로의 일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펠러는 그 회전 평면이 상기 유체 경로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축선에 수직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유체 경로 중의 유체가 유동함으로써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 속도는 상기 유체 경로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축선은 유동 축선과 일치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검출 가능한 양은 자기장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기장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상기 유량 지시기의 적어도 하나의 자성 부분으로부터 제공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 부분은 페라이트 및 희토류 금속(예를 들어, 네오디뮴)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희토류 금속(예를 들어, 네오디뮴)은 그 자성으로 인해 바람직할 수 있다. 페라이트는 그 가격으로 인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기설정 거리는 상기 자성 부분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 거리는 상기 자성 부분에 포함된 재료에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 거리는 페라이트를 포함한 자성 부분에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기설정 거리는 희토류 금속(예를 들어, 네오디뮴)을 포함한 자성 부분에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 거리는 페라이트를 포함한 자성 부분에 적합한 기설정 거리와 희토류 금속(예를 들어, 네오디뮴)을 포함한 자성 부분에 적합한 기설정 거리의 평균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희토류 금속 자성체(예를 들어, 네오디뮴 자성체) 및 페라이트 자성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계 또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임펠러는 자성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자성 부분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축선과 일정한 거리를 가진다. 이로써,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할 경우, 상기 자성 부분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 경로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유속 지시기는 다수의 자성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자성 부분은 상기 유체 경로에 의해 한정된 상기 유동 축선을 에워싼 원에 극성이 교대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자성 부분은 상기 임펠러에 배치되고, 극성이 교대되도록 회전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얼라이먼트된다. 다시 말해, 서로 인접한 자성 부분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방향이 정해지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자극을 가진다. 서로 교대되는 극성은 검출 가능한 극성 변화를, 유속의 또 다른 지시자로서 및/또는 검출되는 자기장의 일치성 검사를 수행하는 조치로서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유량계의 센서 장치의 센서는 홀 센서이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유량계가 상기 유체 경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유체 경로 중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검출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유속 지시기가 제공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본 분야에 알려지고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센서와 지시기의 조합을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전 용량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검출 가능한 양은 자기장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배향 군에 포함된 각 배향은 공동 평면에 위치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동 평면은 상기 유체 경로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축선에 수직되도록 배치된다. 추가적 또는 부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동 평면은 상기 유량 지시기의 임펠러의 회전 평면에 대응한다. 추가적 또는 부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출 위치는 상기 공동 평면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기설정 거리는 상기 공동 평면 상의 거리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배향 군에 포함된 배향은 상기 유체 경로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축선과 동심인 원 상에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향 군에 포함된 배향은 상기 유동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상기 유량계의 장축(예를 들어, 유량계의 대칭 축선)의 배향에 의해 한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축선에 수직되는 평면에는 배향이 설정된 원이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배향 군에 포함된 배향은 상기 유동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 벡터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향은 상기 원의 원주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배향(즉, 원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배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60°를 배향 군에 포함된 배향의 수로 나눈 값과 같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서로 인접한 배향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80°, 120°, 90°, 72°, 60° 또는 45°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배향 군에 포함된 각 배향은 상기 유체 경로에 의해 형성된 유동 축선으로부터 연장된 반경 방향과 일치하다.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유체의 유속을 결정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적용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측면의 일부 실시예에서, 유량계는 액체의 유속을 결정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액체는 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체는 물을 제외한 물질이며 예를 들어 기름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측면은 기체의 유체 유속을 결정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예를 들어 하나, 2개, 3개 또는 4개의 입구 도관)과 2개보다 많은 다수의 출구 도관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출구 도관, 4개 이상의 출구 도관 또는 5개 이상의 출구 도관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별도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예를 들어 하나, 2개, 3개 또는 4개의 출구 도관)과 하나보다 많은 다수의 입구 도관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출구 도관, 3개 이상의 출구 도관 또는 4개 이상의 출구 도관을 구비한다.
이하, 아래에서 나열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그밖의 다른 장점과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구 밸브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입구 밸브의 평면도이며, 그 중 유량계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입구 밸브의 평면도이며, 그 중 유량계는 제1 배향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입구 밸브의 밸브 어셈블리의 유속 지시기에 대한 도 1 또는 도 4의 유량계의 센서 장치의 위치를 그린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입구 밸브의 정면도이며, 그 중 유량계와 밸브 어셈블리의 일부가 제거되었다.
도 7은 입구 밸브의 도 2에 나타낸 점선으로 지시한 평면에서의 입구 밸브의 횡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점선으로 지시한 평면에서의 입구 밸브 실시예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입구 밸브(V)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그려졌으며, 입구 밸브(V)는 밸브 어셈블리(10) 및 밸브 어셈블리(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량계(1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군의 서로 다른 배향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유량계(100)를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배향(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음) 및 제2 배향(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음)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하나의 배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V)는 가전제품에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V)는 세탁기에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V)는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사용될 경우, 입구 밸브(V)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세제 저장 장치로부터 세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입구 밸브(V)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세제 용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세제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세제 용기로부터 실시 부위로 물에 의해 흐른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어셈블리(10)는 입구 파이프(16), 제1 출구 파이프(18) 및 제2 출구 파이프(20)를 형성하는 밸브몸체(12)를 포함한다. 입구 파이프(16)는 예를 들어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라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입 흐름(IF)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제공되며, 입구 파이프(16)를 통해 밸브 어셈블리(10)로 유입된다. 제1 출구 파이프(18)와 제2 출구 파이프(20)는 세탁기의 내부 배수라인(water distribution line)(미도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 출구 파이프(18)는 제1 내부 배수라인을 통해 제1 세제 저장 장치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출구 도관은 제2 내부 배수라인을 통해 제2 세제 저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검정색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 경로(14)는 밸브몸체(12)에 형성된다. 유동 경로(14)는 입구 파이프(16)로부터 제1 출구 파이프(18) 및 제2 출구 파이프(20)로 연장되어, 입구 파이프(16)로부터 유입된 유입 흐름(IF)이 밸브 어셈블리(10)를 관통하여 제1 유출 흐름(OF1)으로서 제1 출구 파이프(18)를 거쳐 떠나도록 하고, 제2 유출 흐름(OF2)으로서 제2 출구 파이프(20)를 거쳐 떠나도록 한다. 접합부(15) 위치에서, 유동 경로(14)는 제1 출구 파이프(18)로 통하는 제1 분기(14a)와 제2 출구 파이프(20)로 통하는 제2 분기(14b)로 분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구 파이프(16), 제1 출구 파이프(18) 및 제2 출구 파이프(20) 각각은 밸브몸체(12)의 상응하는 원기둥형 돌기(17, 19, 21)로 형성된다. 입구 파이프(16)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17)는 외부 급수라인의 상응하는 나사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나사산 외표면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1 출구 파이프(18)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19)와 제2 출구 파이프(20)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21) 각각은 나사산 외표면을 구비하며, 당해 나사산 외표면은 상응하는 내부 배수라인의 상응하는 나사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본 분야에서 알려진 예를 들어 억지 끼워맞춤 커넥터 또는 압력 끼워맞춤 커넥터와 같은 그밖의 다른 임의의 유동 베어링 커넥터를 사용하여 나사산 연결을 대체할 수 있다.
유출 흐름(1)과 유출 흐름(2)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 어셈블리(10)는 제1 밸브(미도시)와 제2 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밸브시트(38)는 밸브몸체(12)에 형성되고 제1 밸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밸브시트(38)는 접합부(15)의 하류에 위치 고정되고, 유동 경로(14)의 제1 분기(14a)의 상방에 위치 고정된다. 제1 밸브시트(38)는, 제1 밸브의 제어 소자가 제1 분기(14a)로 연장되어 제1 분기(14a)의 사용 가능한 유동 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밸브시트(39)는 접합부(15)의 하류에 위치 고정되고, 유동 경로(14)의 제2 분기(14b)의 상방에 위치 고정된다. 제2 밸브시트(39)는, 제2 밸브의 제어 소자가 제2 분기(14b)로 연장되어 제2 분기(14b)의 사용 가능한 유동 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분기(14a)와 제2 분기(14b)의 사용 가능한 유동 횡단면을 제어함으로써, 밸브 어셈블리(10)는 유입 흐름(IF)의 유속에 따라 제1 유출 흐름(OF1)의 유속과 제2 유출 흐름(OF2)의 유속을 제어한다. 제1 밸브와 제2 밸브는 세탁기의 전자 제어 유닛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유동 횡단면을 상응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분야에서 알려진, 전자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유동 경로의 사용 가능한 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밸브 유형이든 모두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밸브와 제2 밸브는 전기 기계로 작동하는 밸브이며, 특히는 전자기 밸브이다. 도 1 내지 도 8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탁기는 제1 세제 저장 장치에 존재하는 세제의 양과/또는 유형에 따라 제1 유출 흐름(OF1)의 유속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세탁기는 제2 세제 저장 장치에 존재하는 세제의 양과/또는 유형에 따라 제2 유출 흐름(OF2)의 유속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탁기는 제1 유출 흐름(OF1)과 제2 유출 흐름(OF2)을 동시에 공급하여 제3 세제 저장 장치를 물로 씻도록 구성된다.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의 수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밸브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을 구비하면 일반적으로 충분하며, 필요에 따라 입구 도관과 출구 도관의 특정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아래 부분에서 더 상세히 해석하듯이, 밸브 어셈블리(10)는 역방향 연결 부분(28)을 더 포함하며, 당해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유량계(100)의 연결 부분(104)에 접합되어, 제1 배향과 제2 배향 중 어느 하나의 배향으로 유량계(100)를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어셈블리(10)는, 유체 경로(14)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속 지시기(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은 유량계(100)의 센서(108)로 검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계(100)는 밸브 어셈블리(10)와 분리되고 밸브 어셈블리(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체로서 구성된다. 유량계(100)는, 입구 파이프(16) 위치의 유입 유동 흐름(IF)의 유체 유속을 결정함으로써, 세탁기의 전자 제어 유닛으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밸브 어셈블리(10)의 제1 밸브와 제2 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량계(100)는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하우징(102)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106)를 수용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해석하듯이, 유량계(100)는 연결 부분(104)을 포함하며, 당해 연결 부분(104)은 제1 배향과 제2 배향 중 어느 하나의 배향으로 유량계(100)를 밸브 어셈블리(10)에 선택적으로 또한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8의 횡단면도에 센서 장치(106)가 개시되며, 도 4에서 센서 장치(106)는 하우징(102)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 장치(106)는 회로기판(130)을 더 포함하며, 회로기판(130)은 센서(108)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기회로(131)를 탑재한다. 회로기판(130)은 접촉부(136)가 형성된 회로기판(130)의 일부에 설치된 다수의 접촉 단자(128)를 더 포함한다. 센서(108)와 전기회로(131)는 전기회로부(135)가 형성된 회로기판(130)의 일부에 설치되고, 그 중 센서(108)는 전기회로부(135)의 단부 위치에 위치하고, 당해 단부 위치는, 전기회로부(135) 중의 접촉부(136)와 인접하는 단부와 마주한다. 하우징(102)은 부분적으로 회로기판(130)을 덮는 패킷부(132)(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를 포함하며, 전기회로(131)와 센서(108)는 패킷부(132) 내에 위치하고, 접촉 단자(128)는 패킷부(132)의 외부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접촉부(136)는 패킷부(132) 외부에 위치하는 접촉판(130)의 일부에 대응된다. 아래 부분에서 설명하듯이, 패킷부(132)는 회로기판(130)의 주위에 방수 장벽을 형성한다. 하우징(102)은 그 외면에 있는 평면 배합 표면(112)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센서(108)는 하우징(102) 내의 배합 표면(112) 아래에 위치 고정된다.
접촉 단자(128)는 세탁기의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미도시)의 상응하는 대응 접촉 단자를 통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유량계(100)는 데이터 링크를 포함하며, 당해 데이터 링크는 센서(108)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세탁기의 제어 유닛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유량계(100)의 하우징(102)은 소켓(134)을 형성하는 연결부(110)를 포함하며, 접촉 단자(128)는 소켓(134)에 위치 고정된다. 소켓(134)은 데이터 케이블의 대응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유량계(100)는 대안적인 데이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링크는 무선 연결로 제공됨으로써, 연결부(110), 소켓(134) 및 접촉 단자(128)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무선 데이터 링크는 전원선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과 조합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접촉 단자(128) 위치에서 유량계(100)로 전기를 공급한다.
도 5에서, 유량계(100)의 센서 장치(106)는 하우징(102)으로부터 제거되어 노출됨으로써 관찰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 장치(106)는 회로기판(130)과 지지 구조체(138)를 포함한다. 회로기판(130)은 지지 구조체(138)의 메인 부분의 상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접촉판(130)의 상부면(그 위에 전기회로(131), 센서(108) 및 접촉 단자(128)가 배치된다)이 덮이지 않도록 한다. 지지 구조체(138)의 메인 부분은 전기회로 부분(138a) 및 단자 부분(138b)을 포함하며, 회로기판(130)의 전기회로부(135)는 전기회로 부분(138a)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30)의 접촉부(136)는 단자 부분(138b)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구조체(138)의 모양은 실질적으로 대칭되며, 이의 상응하는 대칭 축은 전기회로 부분(138a)으로부터 단자 부분(138b)으로 연장된다. 제1 아웃리거(142)와 제2 아웃리거(144)는 지지 구조체(138)의 메인 부분의 서로 마주하는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아웃리거(142) 및 제2 아웃리거(144) 각각은 베이스 부분(142a, 144a) 및 연장 부분(142b, 144b)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분(142a, 144a)은 지지 구조체(138)의 대칭 축선과 각도를 이루고, 연장 부분(142b, 144b)은 실질적으로 지지 구조체(138)의 대칭 축선과 평행한다. 베이스 부분(142a, 142b)은 전기회로 부분(138a)과 단자 부분(138b) 사이의 경계 영역 위치에서 상응하는 아웃리거(142, 144)를 지지 구조체(138)의 메인 부분에 연결한다. 다음, 베이스 부분(142a, 144a)은 메인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단자 부분(138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 부분(142b, 144b)은 단자 부분(138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베이스 부분(142a, 144a)의 상응하는 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연장된다. 연장 부분(142b, 144b)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다. 지지 구조체(138)는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즉, 지지 구조체(138)는 그 폭과 길이에 비해 그 두께가 실질적으로 더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138)의 상부면은 평탄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138)의 상부면은 구조화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켓(134)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138)의 상부면의 일부는 상부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유량계(100)의 제조는 다단계 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성형 공정은 유량계(100)의 생산을 절감하는 잠재력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성형 단계에서 지지 구조체(138)를 성형한다. 회로기판(130)은 제1 성형 단계 이후의 개별 단계에서 지지 구조체(138)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체(138)는 회로기판(130)에 성형됨으로써, 개별적인 부착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2 성형 단계에서 하우징(102)이 센서 장치(106)에 성형된다. 하우징(102)의 패킷부(132)는 접촉부(136)를 제외한 회로기판(130)의 나머지 노출 부분을 덮는 성형 재료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회로기판(130)의 나머지 노출 부분은 회로기판(130)의 상부면이며, 이 상부면은 도 5에서의 관찰자 위치를 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킷부(132)를 형성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전기회로(131)를 밀봉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8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성형 단계에서 연결 부분(104)이 하우징(102)과 일체로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형성하면, 하우징(102)과 연결 부분(104)은 전체형 유량계 케이스(140)를 형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과 연결 부분(104)은 각각 형성되고, 이후의 단계에서 연결되어 유량계(100)를 형성한다.
상술한 다단계 성형 공정에서 형성할 경우, 하우징(102), 연결 부분(104) 및 지지 구조체(138) 각각은 성형 재료를 포함하며, 성형 재료는 열 가소성, 열 경화성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02), 연결 부분(104) 및 지지 구조체(138)는 동일한 성형 재료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 연결 부분(104) 및 지지 구조체(138)는 서로 다른 성형 재료로 형성된다.
도 4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나타냈듯이, 연결 부분(104)은 하우징(10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아웃리거(120)와 제2 아웃리거(122)를 포함한다. 제1 아웃리거(120)와 제2 아웃리거(122) 각각은 상응하는 베이스 부분(120a, 122a)과 상응하는 연장 부분(120b, 122b)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120a)은 제1 아웃리거(120)를 하우징(102)의 연결부(110)에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분(122a)은 제2 아웃리거(122)를 하우징(102)의 연결부(110)에 연결시킨다. 베이스 부분(120a, 122a) 각각은 연결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하우징(102)의 서로 마주하는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연장 부분(120b, 122b)은 이들 각각의 베이스 부분(120a, 122a)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연결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부착 구조체(104)의 아웃리거(120, 122)는 지지 구조체(138)의 아웃리거(142, 144)의 모양과 유사하다. 상술한 2단계 성형 공정에서 형성할 경우, 아웃리거(120, 122)는 아웃리거(142, 144)를 포위하는 성형 재료로 형성된다. 제1 아웃리거(120)와 제2 아웃리거(122)를 분리하는 공간은 밸브 어셈블리(10)의 역방향 연결 부분(28)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부분(124)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구조체(104)의 연장 부분(120b, 122b)은 지지 구조체(138)의 연장 부분(142b, 144b)에 비해 길며, 다시 말해 이들은 하우징(10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된다. 수용 부분(124)은 연장 부분(120b, 122b)의 부가적인 길이에 의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한다. 유량계(100)가 밸브 어셈블리(10)의 역방향 연결 부분(28)에 부착될 경우, 역방향 연결 부분(28)을 형성하는 밸브 어셈블리(10)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수용 부분(124)에 오목하게 들어감으로써, 입구 밸브(V)의 전체 사이즈를 줄인다.
도 7은 도 2에서 점선 7-7로 지시된 평면에서 절취한 입구 밸브(V)의 도면이다. 도 8에서, 입구 밸브(V)의 구간은 도 7에서 지시된 점선 8-8을 따라 절단된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분(104)은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소자(114)는 제1 아웃리거(1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02)으로부터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소자(116)는 제2 아웃리거(1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02)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 각각은 연결 소자(114, 116)를 하우징(102)에 연결시키는 상응하는 연결 부분(114a, 116a)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114a, 116a)은 하우징(102)과 상응하는 아웃리거(120, 122) 사이의 공간을 충진하는 성형 재료로 형성되며, 당해 공간은 하우징(102)과 멀어지도록 연장된 상응하는 베이스 부분(120a, 122a)에 의해 발생한다. 연결 소자(114, 116) 각각은 상응하는 유지 부분(114b, 116b)을 더 포함한다. 그려진 실시예에서, 각 유지 부분(114b, 116b)은 한 쌍의 평행하는 삽입 핀(150a, 150b, 154a, 154b)으로 갈라진다. 각 삽입 핀(150a, 150b, 154a, 154b)은 상응하는 잠금 러그(152a, 152b, 156a, 156b)에서 마감된다. 잠금 러그(152a, 152b, 156a, 156b)는 실질적으로 화살표 모양이며, 끝단 부분은 유지 부분(114b, 116b)의 폭 증가 부분을 한정한다.
도 7 및 도 8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나타낸 밸브 어셈블리(10)의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밸브몸체(12)의 벽부(36) 위치에 설치되고, 당해 벽부(36)는 입구 파이프(16)의 하류와 접합부(15)의 상류의 구간에서 유체 경로(14)(도 8에서의 점선)를 포위한다. 벽부(36)는 고리형 외표면(37)을 포함하며, 상류 벽 세그먼트(50)와 하류 벽 세그먼트(52)는 고리형 외표면(37)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상류 벽 세그먼트(50)와 하류 벽 세그먼트(52) 사이에 한정된다. 제1 지지대(54)와 제2 지지대(56)는 외표면(37)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지지대(54)와 제2 지지대(56)는 역방향 연결 부분(28)의 역방향 연결 소자를 형성하고, 유체 경로(14)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즉, 도 7의 평면에서) 서로 180°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7의 점선 8-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도면은 제1 지지대(54)를 절단하고 제1 지지대(54)와 제2 지지대(56) 각각이 어떻게 상류 벽 세그먼트(50)와 하류 벽 세그먼트(52)에 연결되는지를 가시화한다. 지지대(54, 56) 각각은 구멍(58)을 포함하며, 구멍(58)은 지지대(54, 56)의 상응하는 위치에서 고리형 외표면(37)과 대체로 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대(54, 56)를 관통하는 상응한 개구로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응하는 노치(59, 60)는 제1 지지대(54)에 밀접하게 인접한 상류 벽 세그먼트(50)와 하류 벽 세그먼트(52)에 형성된다. 대응하는 노치(미도시)는 제2 지지대(56)에 밀접하게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노치(59, 60)는 선택적이고, 유량계(100)가 밸브 어셈블리(1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벽부(36)는 밸브몸체(12)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접촉 표면(30)을 더 포함한다. 접촉 표면(30)은 유체 경로(14)에 평행하고, 지지대(54, 56)를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의 축선에 의해 한정되는 방향에 수직되도록 연장된다.
유량계(100)를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하기 위해, 유량계(100)는 수용 부분(124)이 역방향 연결 부분(28)을 향하여 방향이 정해지도록 위치 고정된다. 연결 부분(104)은 상류 벽(50)과 하류 벽(52) 사이에 위치 고정된다. 제1 연결 소자(114)는 제1 지지대(54)의 구멍(58)에 맞추고, 제2 연결 소자(116)는 제2 지지대(56)의 구멍에 맞춘다. 다음, 유량계(100)를 전진시켜,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를 동시에 제1 지지대(54)와 제2 지지대(56)의 상응하는 구멍에 비틀어 넣는다. 삽입 핀(150a, 150b, 154a, 154b)은 일반적으로 역방향 연결 부분(26)의 고리형 외표면(37)의 윤곽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수용 부분(124)이 역방향 연결 부분(28)으로 전진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8과 그려진 제1 연결 소자(114)와 지지대(54) 사이의 연결을 참고하여, 연결 소자(114, 116)와 지지대(54, 56) 사이의 연결을 해석한다. 반드시 이해해야 할 바로는, 제2 연결 소자(116)와 지지대(56) 사이의 연결은 상응하게 이루어진다. 구멍(58)은 서로 마주하는 잠금 러그(152a, 152b)에 의해 한정된 유지 부분(116b)의 폭보다 좁은 개구를 제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러그(152a, 152b)는 상응하는 삽입 핀(150a, 150b)에만 연결되며, 또한 상응하는 틈새(151a)를 통해 연장 부분(122b)과 분리된다. 따라서, 유지 부분(116b) 의 잠금 러그(150, 150b)는 서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러그(152a, 152b) 각각은 대체로 화살표 모양을 이룬다. 제1 핀(114)을 지지대(54)의 구멍(58)에 비틀어 넣기 위해, 화살표 모양의 잠금 러그(152a, 152b)의 모따기 선단(153a, 153b)은 잠금 러그(152a, 152b)의 선단이 구멍(58)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잠금 러그(152a, 152b)를 서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잠금 러그(152a, 152b)는 선단 부분이 구멍(58)을 관통하기만 하면 변형되지 않은 구조로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화살표 모양의 잠금 러그(152a, 152b)는 상응하는 노치(59, 60)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치(59, 60)는 선택적이고, 유량계(100)와 밸브 어셈블리(10)가 의도치 않게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155a, 155b)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대(54)와 접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 소자(114)가 구멍(58)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단(155a, 155b)은 일정한 각도로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해 모따기는 지지대(54)로부터 도구없이 연결 소자(114)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며, 밸브 어셈블리(10)로부터 도구없이 유량계(100)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후단(155a, 155b)과 지지대(54)는 접합되므로, 입구 밸브(V)가 강한 진동을 받더라도, 유량계(100)는 밸브 어셈블리(10)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위험을 잠재적으로 낮출 수 있다.
고리형 외표면(37)에서의 지지대(54, 56)의 대칭적인 배치로 인해, 연결 소자(114, 116)를 지지대(54, 56)의 임의의 한 측으로부터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량계(100)는 제1 및 제2 배향 중의 임의의 한 배향으로 밸브 어셈블리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배향은 도 1, 도 3 및 도 6에 그려졌고, 제2 배향은 도 2, 도 5, 도 7 및 도 8에 그려졌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유량계(100)의 배향은 유체 경로(14)의 유동 축선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의 유량계(100)의 대칭 축선의 배향에 의해 한정되며, 유체 경로(14)는 동축으로 연장되어 벽부(36)를 관통하고 벽부(36)에 의해 포위된다. 당해 평면은 임펠러(40)의 회전 평면과 중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6와 도 2, 도 5, 도 7 및 도 8의 비교로부터 제1 및 제2 배향이 당해 평면 내에서 서로 180°로 이격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V)는 유량계(100)로 하여금 2개 이상의 배향으로 밸브 어셈블리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어셈블리(10)는 고리형 외표면(37)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이격된 2쌍의 지지대, 즉 4개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런한 실시예에서, 유량계(100)는 쌍을 이룬 지지대 중의 임의의 한 쌍에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량계(100)는 선택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배향 중의 어느 하나의 배향으로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될 수 있다. 고리형 외표면(37)을 에워싸고 이격된 지지대의 수량과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한 배향의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유량계(100)를 부착할 때 서로 다른 배향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도록 된 구성의 잠재적인 장점은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자명한 것이다. 유량계(100)를 적합한 배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특히는 연결부(110)의 배향을 선택함으로써, 입구 밸브(V)는 다양한 세탁기의 포장 제한에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밸브(V)는 특정 유형의 세탁기에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미세한 수정(만약 있다면)만으로 서로 다른 유형과 시리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 도 6, 도 7을 다시 살펴보면, 밸브 어셈블리(10)는 유량 지시기(22)를 포함하고, 유량 지시기(22)는 유체 경로(14)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유속 지시기(22)는, 유동 경로(14)에 놓이고 유체의 유동 방향에 수직되는 임펠러(40)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24)와 제2 자성체(26)는 임펠러(40)의 마주하는 날개에 배치된다. 연결 부분(104)이 역방향 연결 부분(26)에 부착되므로, 유량계(100)는, 센서(108)가 임펠러(40)의 회전 평면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자성체(24, 26)의 회전 평면에 위치하도록 위치 고정된다. 그려진 실시예에서 센서(108)는 홀 센서이고, 센서(108)의 아래에서 통과하는 자성체(24, 26)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임펠러(4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전기회로(131)와/또는 세탁기의 제어 유닛이 유체 경로(14) 중의 유체의 유속을 결정하도록 허용한다. 다시 말해, 그려진 실시예에서 검출 가능한 양은 자기장이다.
신뢰성있게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해, 홀 센서는 자기장 소스(즉, 임펠러(40)의 자성체(24, 26))에 대해 특정 거리 위치에 놓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배합 표면(112)은 접촉 표면(30)과 접촉한다(25). 하우징(102)의 배합 표면(112) 위치의 벽 두께와 구간(36)의 접촉 표면(30) 위치의 벽 두께에 의해, 센서(108)와 임펠러(40)는 기설정 거리로 이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104)은 배합 표면(112)이 바이어싱되어 접촉 표면(30)에 기대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소자(114, 116)의 사이즈는, 유량계(100)가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된 경우, 잠금 러그(152a, 152b, 154a, 154b)를 통해 인장력을 인가하여 배합 표면(112)을 접촉 표면(30)에 가압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장력은 연결 소자(114, 116)가 탄성적으로 인장된 결과이다. 따라서, 설사 진동 부하가 증가된 경우라고 해도 배합 표면(112)과 접촉 표면(30)이 분리되는 위험을 낮추어, 센서(108)로부터 임펠러(40) 및 자성체(24, 26)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유속 측정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증가된 확률로 기설정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사용된 자성체의 유형에 따라 기설정 거리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설정 거리는 페라이트 자성체에 이용되도록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설정 거리는 예를 들어 네오디뮴 자성체와 같은 희토류 금속 자성체에 이용되도록 설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설정 거리는 페라이트 자성체의 기설정 거리와 희토류 금속 자성체(예를 들어, 네오디뮴 자성체)의 기설정 거리의 평균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희토류 금속 자성체(예를 들어, 네오디뮴 자성체)와 페라이트 자성체는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유량계(100) 또는 밸브 어셈블리(10)의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속 지시기(22)는 하나, 3개, 4개, 5개, 6개 또는 더 많은 수의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 수량의 증가는 유속을 측정하는 시간 분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펠러(40)의 자성체는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다. 즉, 상응하는 자성체의 제1 극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방향이 정해지고, 상응하는 자성체의 제2 극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향이 정해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펠러(40)의 자성체는 임펠러(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극성이 교대되도록 설치되며, 예를 들어 도 5와 같다. 제1 자성체(24)는 남극(S)으로 하여금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향이 정해지고, 북극(N)으로 하여금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방향이 정해지록 배치되며, 제2 자성체(26)는 북극(N)으로 하여금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향이 정해지고, 남극(S)으로 하여금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방향이 정해지록 배치된다. 교류 극성은 특히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후속에서 자성체가 센서(108) 아래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자성체의 극성 변화가 유속 측정의 민감도와/또는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펠러(40)의 자성체는 임펠러(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그 중 각각의 자성체는 동일한 배향을 가지며, 다시 말해 자성체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자극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얼라이먼트된다.
10 밸브 어셈블리
12 밸브몸체
14 유체 경로
14a 유동 경로(14)의 제1 분기
14b 유동 경로(14)의 제2 분기
15 접합부
16 입구 파이프
17 입구 파이프(16)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
18 제1 출구 파이프
19 제1 출구 파이프(18)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
20 제2 출구 파이프
21 제2 출구 파이프(20)를 형성하는 원기둥형 돌기
22 유량 지시기
24 제1 자성체
26 제2 자성체
28 역방향 연결 부분
30 접촉 표면
36 벽부
37 벽부(36)의 고리형 외표면
38 제1 밸브시트
39 제2 밸브시트
40 임펠러
50 상류 벽 세그먼트
52 하류 벽 세그먼트
54 제1 지지대
56 제2 지지대
58 지지대(56)의 구멍
59, 60 노치
100 유량계
102 하우징
104 연결 부분
106 센서 장치
108 센서
110 연결부
112 배합 표면
114 연결 부분(104)의 제1 연결 소자
114a 연결 소자(114)의 연결 부분
114b 연결 소자(114)의 유지 부분
116 연결 부분(104)의 제2 연결 소자
116a 연결 소자(116)의 연결 부분
116b 연결 소자(116)의 유지 부분
120 연결 부분(104)의 제1 아웃리거
120a 아웃리거(120)의 베이스 부분
120b 아웃리거(120)의 연장 부분
122 연결 부분(104)의 제2 아웃리거
122a 아웃리거(122)의 베이스 부분
122b 아웃리거(122)의 연장 부분
124 수용 부분
128 접촉 단자
130 회로기판
131 전기회로
132 패킷부
134 소켓
135 회로기판(130)의 전기회로부
136 회로기판(130)의 접촉부
138 지지 구조체
138a 지지 구조체(138)의 전기회로 부분
138b 지지 구조체(138)의 단자 부분
140 유량계의 케이스
142 지지 구조체(138)의 제1 아웃리거
142a 아웃리거(142)의 베이스 부분
142b 아웃리거(142)의 연장 부분
144 지지 구조체(138)의 제2 아웃리거
144a 아웃리거(144)의 베이스 부분
144b 아웃리거(144)의 연장 부분
150a 유지 부분(114b)의 제1 삽입 핀
150b 유지 부분(114b)의 제2 삽입 핀
151a 삽입 핀(150a,150b) 사이의 틈새
152a 삽입 핀(150a)의 잠금 러그
152b 삽입 핀(150b)의 잠금 러그
153a 잠금 러그(152a)의 모따기 선단
153b 잠금 러그(152b)의 모따기 선단
154a 유지 부분(116b)의 제1 삽입 핀
154b 유지 부분(116b)의 제2 삽입 핀
155a 잠금 러그(152a)의 후단
155b 잠금 러그(152b)의 후단
156a 삽입 핀(154a)의 잠금 러그
156b 삽입 핀(154b)의 잠금 러그
IF 유입 흐름
N 각 자성체(24, 26)의 북극
OF1 제1 유출 흐름
OF2 제2 유출 흐름
S 각 자성체(24, 26)의 남극
V 흡기 밸브

Claims (15)

  1. 서로 관련된 밸브 어셈블리(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결정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와는 독립적이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개체인 유량계(100)에 있어서,
    하우징(102);
    상기 하우징(102)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유속 지시기(22)가 제공하는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유체 경로(14)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유속을 나타내는 센서 장치(106); 및
    상기 하우징(102)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서로 관련된 역방향 연결 부분(28)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량계(100)를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대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시키며, 상기 배향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것인 연결 부분(104);
    을 포함하는 유량계(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104)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상기 서로 관련된 역방향 연결 부분(28)과 제거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유량계(100).
  3.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상기 하우징(102)의 패킷부(132)에 배치되는, 유량계(100).
  4.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2)은 배합 표면(112)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104)은, 상기 유량계(100)가 적어도 상기 제1 배향과 상기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연결될 경우 상기 배합 표면(112)이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상응하는 접촉 표면(30)과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유량계(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104)은, 상기 유량계(100)가 적어도 상기 제1 배향과 상기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 부분(104)이 상기 배합 표면(112)을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상응하는 접촉 표면(30)에 바이어싱시켜 기대게 하도록 구성되는, 유량계(100).
  6.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104)은 적어도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상기 제1 연결 소자(114)와 상기 제2 연결 소자(116) 각각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의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28)의 적어도 제1 역방향 연결 소자(32)와 제2 역방향 연결 소자(34)로부터 선택 가능한 역방향 연결 소자에 접합되어 상기 유량계(100)를 상기 배향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유량계(100).
  7.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104)과/또는 상기 센서 장치(106)는 상기 하우징(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유량계(100).
  8.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상기 양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서 회전하는 유속 지시기(22)의 자성 부분(24, 26)이 제공하는 자기장이며, 상기 자기장은 상기 센서 장치(106)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량계(100)가 상기 배향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10)로부터 기설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08)는 페라이트를 포함한 자성 부분(24, 26)이 제공하는 자기장 및 네오디뮴과 같은 희토류 금속을 포함한 자성 부분(24, 26)이 제공하는 자기장을 검출하기에 적합한 것인, 유량계(100).
  9. 밸브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16),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18, 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1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18, 20)를 연결하는 유체 경로(14)를 포함하는 밸브몸체(12);
    상기 유체 경로(14)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상기 유체 경로(14)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유속을 지시하는 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양은 서로 관련된 유량계(100)의 센서(108)로 검출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유량계(100)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와는 독립적이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개체인, 유량 지시기(22); 및
    상기 유량계(100)의 서로 관련된 연결 부분(104)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량계(100)를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대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연결하며, 상기 배향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는 것인, 역방향 연결 부분(28);
    을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상기 유량계(100)의 상기 서로 관련된 연결 부분(104)과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밸브 어셈블리(1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상기 밸브몸체(12)의 상기 유체 경로(14)를 포위하는 벽부(36)의 고리형 외표면(37)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1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연결 부분(28)은 적어도 제1 역방향 연결 소자(32)와 제2 역방향 연결 소자(34)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제1 역방향 연결 소자(32)와 상기 제2 역방향 연결 소자(34) 각각은, 상기 유량계(100)의 상기 연결 부분(104)의 적어도 제1 연결 소자(114)와 제2 연결 소자(116)로부터 선택 가능한 연결 소자에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량계(100)를 상기 배향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고정하는, 밸브 어셈블리(10).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 또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량계(100)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배향과 상기 제2 배향의 군 중의 각 배향은 상기 유체 경로(14)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축선에 수직되는 공동 평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향과 상기 제2 배향은 상기 공동 평면에서 180° 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입구 밸브(V)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V)는 제9항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와 제1항에 따른 유량계(1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100)는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입구 밸브(V).
  15.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에 있어서,
    제9항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10)를 포함하며,
    제1항에 따른 유량계(100)가 적어도 제1 배향과 제2 배향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배향으로 상기 밸브 어셈블리(1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가전제품.

KR1020227039803A 2020-06-12 2021-06-10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KR20230002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9774.3A EP3922960A1 (en) 2020-06-12 2020-06-12 Inlet valve for household appliances with variable attachment of a flowmeter
EP20179774.3 2020-06-12
PCT/CN2021/099431 WO2021249491A1 (en) 2020-06-12 2021-06-10 Inlet valve for household appliances with variable attachment of a flow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736A true KR20230002736A (ko) 2023-01-05

Family

ID=7109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03A KR20230002736A (ko) 2020-06-12 2021-06-10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13274B2 (ko)
EP (1) EP3922960A1 (ko)
KR (1) KR20230002736A (ko)
CN (1) CN114981623A (ko)
WO (1) WO20212494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6573A (en) * 1995-11-20 1999-11-16 Water Sav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building structures
US20070289647A1 (en) 2006-06-20 2007-12-20 Elbi International S.P.A. Mixer valve unit for liquids with associated flow rate meter, particularly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ITMI20070129U1 (it) 2007-04-11 2008-10-12 Gicar S R L Contatore volumetrico a bassa pressione di tipo perfezionato
ITTO20080177A1 (it) * 2008-03-07 2009-09-08 Eltek Spa Dispositivo di trattamento di un flusso di liquido per apparati ed impianti alimentati con tale liquido, particolarmente apparati o impianti di riscaldamento o di condizionamento ambientale ed apparati elettrodomestici
CN201548280U (zh) 2009-10-16 2010-08-11 邹茂才 燃气表用字轮式计数器安装支架
EP2327922A1 (en) * 2009-11-27 2011-06-01 Blueco S.r.l. Measurement Unit, particularly for hydraulic ducts
IL232537B (en) * 2014-05-11 2019-06-30 Wint Wi Ltd flow control system
ITUB20154584A1 (it) * 2015-10-12 2017-04-12 Elbi Int Spa Gruppo valvolare con dispositivo di misurazione associato.
CN206095340U (zh) 2016-01-19 2017-04-12 浙江万胜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水表的回转式安装结构
IT201700004872U1 (it) 2017-01-18 2018-07-18 Elbi Int Spa Dispositivo elettrovalvolare.
CN206974602U (zh) 2017-06-26 2018-02-06 深圳市万方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水压水流检测装置
IT201700112704A1 (it) * 2017-10-06 2019-04-06 Eltek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idraulico per apparecchi o sistemi domestici a conduzione di liquido
US11761184B2 (en) * 2017-11-21 2023-09-19 Delta Faucet Company Faucet including a wireless control module
EP3718457B1 (en) * 2019-03-26 2022-06-22 Robertshaw Italy S.r.L. Device to feed a fluid to a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1623A (zh) 2022-08-30
US12013274B2 (en) 2024-06-18
EP3922960A1 (en) 2021-12-15
WO2021249491A1 (en) 2021-12-16
US20220003587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0999B2 (en) Rotary position sensor
JP6247428B2 (ja) 取り換え可能なライナー/電極モジュールを有する磁気流量計流管アセンブリ
EP3362721B1 (en) Valve assembly with associated measurement device
US6397686B1 (en) Hall-effect sensor placed in flowmeter to measure fuel flow rate
EP2823261B1 (en) Sensor unit and bear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 sensor unit
CN105841604B (zh) 探测轴的旋转的位置
US20110314931A1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CN102337880B (zh) 流体流传感器
CN102401628B (zh) 旋转角度检测单元
KR101560265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전자식 수도미터
US11493372B2 (en) Electromagnetic measuring device for detection or control device for liquid conducting appliances
KR20230002736A (ko) 유량계, 밸브 어셈블리 및 유량계의 가변 부속품을 구비한 가전제품의 입구 밸브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US6404180B1 (en) Technique for sensing current in a conductor with reduced susceptibility to electrical noise on the conductor
JPH0670574B2 (ja) 流量計
CN212007357U (zh) 一种流量计
CN105987728B (zh) 电磁流量计
JP2010197200A (ja) インペラ装置および回転式インペラの製造方法
KR100569815B1 (ko) 터빈유량계
US20230040987A1 (en) Current sensor
KR101607809B1 (ko) 전자식 유량 미터
US10732016B1 (en) Water meter transmitter housing
KR100882492B1 (ko) 스피드센서
SE515719C2 (sv) Anordning för positionsbestämning av inre del i en ventil
JP2010197288A (ja) 回転角度検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