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383U -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 Google Patents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383U
KR20230002383U KR2020230001075U KR20230001075U KR20230002383U KR 20230002383 U KR20230002383 U KR 20230002383U KR 2020230001075 U KR2020230001075 U KR 2020230001075U KR 20230001075 U KR20230001075 U KR 20230001075U KR 20230002383 U KR20230002383 U KR 20230002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ow
cargo
wheelchair
express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202023000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383U/ko
Publication of KR20230002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38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는 출입문 하부와 차체 외부 바닥을 경사로로 이어주는 휠체어슬로프(001); 차실의 최전방부에서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의 좌석부까지의 저상 바닥(003); 저상 바닥 이후부터 차체 최후방부까지의 고상 바닥(006);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의 접이식 의자(004)와 휠체어 고정 장치(005); 고상 바닥 아래의 화물실(007); 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일체화된 차체에서 저상과 고상 승객실, 화물실을 모두 제공하여 휠체어 이용자가 빠르고 안전하게 스스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으면서, 승객과 화물이 완전 분리되어 승하차 편의와 주행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Express bus with low-floor body structure and separated cargo space from passenger space}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석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추면서도 초저상 차체 구조 부분을 갖추어 승객의 탑승과 화물 적재 모두 용이하게 한 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저상버스(Low-floor bus)는 고상 버스에 비해 바닥 높이를 크게 낮춰 출입문에 계단이 없도록 한 차량으로써, 노인ㆍ어린이ㆍ장애인ㆍ임산부 등 교통약자 뿐 아니라 일반 승객들의 승하차가 편리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내버스 차량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는 저상버스 모델 중에서는 시외ㆍ고속버스의 운행 형태를 실질적으로 만족시키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층 버스가 좌석형으로 생산되고는 있으나, 전고와 무게중심이 높아 일부 지형이나 터미널에 적합하지 않거나 고속 운행이 까다로우며 화물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맞물려 시외ㆍ고속버스에는 투입한 사례가 없으며, 수도권에서 인접 도시를 잇는 좌석형 시내버스로만 이용되고 있다.
실제로 이층 버스의 경우 전고와 무게중심이 높아 고속 운행이 까다로워 대부분 최고제한속도를 90km/h 이하로 설정하는데, 이는 국내 고속도로에서 버스의 최고제한속도인 100~110km/h보다 10% 이상 낮은 수치로써 필연적으로 운행 시간의 증가를 불러오므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시외-고속버스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차체 형태이다. 또한 공기저항력은 전면부의 면적에 비례하므로 이층 버스에 매우 불리하다.
더불어 단순 출퇴근이 아닌 출장/여행/귀향/귀성 등 장거리 이동 승객을 태우는 시외 고속버스 승객 특성상 화물을 소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행가방(속칭 캐리어)과 같은 부피가 큰 화물이 승객석에 같이 들어가면 혼잡과 불편을 야기하므로 별도의 화물칸을 마련하는 것이 운행 특성상 바람직한 반면 현재의 저상버스는 화물칸을 갖추고 있지 않아 운송사업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따라 노선에 마땅한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못해 휠체어 이용자가 시외ㆍ고속버스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추락의 위험을 안고 리프트를 통해 탑승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차체에서 저상부 승차 공간과 고상부 승차 공간, 하부 화물함 공간을 각각 나누어 기존 고속버스 형태와 달리 실내에 휠체어 이용자가 스스로도 무리없이 승차할 수 있으며, 기존 시내형 저상버스와 달리 화물을 승객석과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반복적으로 펼치고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출입문 하단부에서 차체 외부 바닥까지를 경사로로 이어주는 휠체어슬로프(001); 상면지상고를 340mm 이하로 하며 계단 없이 이어지는 형태로써 차실의 최전방부에서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 좌석부까지 펼쳐진 저상 바닥(003);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 좌석으로 설치되는 접이식 의자(004)와 휠체어 고정 장치(005); 저상 바닥(003) 뒤부터 차체 최후방부까지의 상면지상고 750mm 이상의 고상 바닥(006); 고상 바닥 아래에 설치되는 화물실(00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체화된 1개 차체에서 저상 승객실과 고상 승객실, 화물실을 모두 제공하기 때문에 저상 승객실을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기존 리프트 방식 대비 빠르고 안전하게 스스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으면서, 고상 승객실을 통해 많은 좌석에 승객을 태울 수 있고, 화물실을 별도로 마련함에 따라 승객과 화물이 완전히 분리되어 승하차의 편의나 주행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물실의 공간을 통해 압축천연가스 통(CNG TANK), 이차전지, 수소연료전지 등 다양한 연료장치를 설치해 친환경 차량으로 개조가 용이하고, 후륜에 충분한 높이를 확보하여 대용량 에어 서스펜션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승차감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버스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부품의 면을 반투명하게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버스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부품의 면을 투명하게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버스의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버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전방부 출입문 하단에는, 반복적으로 펼치고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설계되어 출입문과 연결된 차실 내부 바닥에서 차체 외부 바닥까지를 경사로로 이어주는 휠체어슬로프(0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실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면지상고를 340mm 이하로 하며 계단 없이 이어지도록 설계된 저상 바닥(003)이 차실의 최전방부에서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의 좌석부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 좌석부에는 접이식 의자(004)가, 그 의자의 좌판 아래 차실 바닥에는 휠체어 고정 장치(005)가 설치되어 있다.
저상 바닥(003)이후부터 차체 최후방부까지의 차실 내부는 상면지상고 750mm 이상의 고상 바닥(006)으로 구성되며, 고상 바닥(006) 아래에는 화물실(007)이 설치된다.
001 : 휠체어슬로프
002 : 앞바퀴 휠하우스
003 : 저상 바닥
004 : 접이식 의자
005 : 휠체어 고정 장치
006 : 고상 바닥
007 : 화물실

Claims (1)

  1. 차체의 전방부 출입문 하단에, 반복적으로 펼치고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설계되어 출입문과 연결된 차실 내부 바닥에서 차체 외부 바닥까지를 경사로로 이어주는 휠체어슬로프(001);
    차실의 최전방부에서부터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의 좌석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상면지상고를 340mm 이하로 하며 계단 없이 이어지도록 설계된 저상 바닥(003);
    상기 저상 바닥 부분에서 앞바퀴 휠하우스(002) 뒤 첫 번째 열 좌석으로 설치되는 접이식 의자(004);
    상기 의자의 좌판 아래 차실 바닥에 설치된 휠체어 고정 장치(005);
    상기 저상 바닥(003) 이후부터 차체 최후방부까지의 차실 내부 상면지상고 750mm 이상의 고상 바닥(006);
    상기 고상 바닥(006) 아래에 설치된 화물실(00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KR2020230001075U 2023-05-28 2023-05-28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KR202300023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075U KR20230002383U (ko) 2023-05-28 2023-05-28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075U KR20230002383U (ko) 2023-05-28 2023-05-28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383U true KR20230002383U (ko) 2023-12-15

Family

ID=8912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075U KR20230002383U (ko) 2023-05-28 2023-05-28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38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455A (en) Double deck bus
JP6074030B2 (ja) 連結式電気バス用電池モジュール配置構造
CN201587461U (zh) 半挂双层客车
KR20230002383U (ko) 승객실과 분리된 화물 공간을 갖춘 초저상 차체구조의 고속버스
JP2008149823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7153216A (ja) 車両のシート配設構造
CN202827940U (zh) 一种多功能可折叠双座三轮电动车
CZ294435B6 (cs) Uzavřený železniční vůz pro společnou přepravu cestujících a osobních automobilů a/nebo přepravních modulů
CN108622121B (zh) 用于单轨车厢前端的座椅装置
JPH0558204A (ja) 自動車の座席の配設構造
JP2008120342A (ja) 車両の車体構造
CN102963451A (zh) 一人一座多上客/下客通道的公共交通客运车辆
JP4873241B2 (ja) 車両の車体構造
RU2043207C1 (ru) Кузов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213442781U (zh) 一种含横置卧铺仓的车辆骨架及客车
KR101595776B1 (ko) 이층 고속열차
JP2001199330A (ja) 鉄道車両
RU231963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12473656U (zh) 一种新型布局的汽车智能座舱
CN205524532U (zh) 一种层半客车的下层空间结构
RU2810827C1 (ru) Междугородный туристический экскурсионный автобус
CN116654113A (zh) 一种客车
WO1997023378A1 (es) Vehiculo suspendido de piso bajo destinado al transporte colectivo urbano
CN2146409Y (zh) 复式车辆车厢
JP2008143201A (ja) 車両の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