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09A -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09A
KR20230002109A KR1020220079837A KR20220079837A KR20230002109A KR 20230002109 A KR20230002109 A KR 20230002109A KR 1020220079837 A KR1020220079837 A KR 1020220079837A KR 20220079837 A KR20220079837 A KR 20220079837A KR 20230002109 A KR20230002109 A KR 2023000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escent cells
aging
disorders
composition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국
장형주
Original Assignee
(주)라이프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프신약 filed Critical (주)라이프신약
Publication of KR2023000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09A/ko
Priority to KR102023011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elenium or nitrogen and tellurium, with or without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ring hetero atoms
    • C07D29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elenium or nitrogen and tellurium, with or without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93/12Selenazoles; Hydrogenated selen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elenium, tellurium, or hal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D4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elenium, tellurium, or hal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2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elenium, tellurium, or hal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노화세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노화세포로부터 야기되는 각종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노화세포로부터 야기되는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와 관련해서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동물용 제품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MOVING SENESCENT CELLS COMPRISING SELENIUM-CONTAINING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aging)는 인간이 태어나서 일정 기간 성장한 후, 나이가 들면서 점차 신체적 및 인지적으로 쇠퇴하여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의미한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고령(old age) 자체에 대한 질병코드(MG2A)를 부여하면서 노화를 치료 또는 지연하기 위한 여러 연구개발 및 임상 시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텔로미어의 감소, 활성 산소의 증가 등의 내부 요인에 의해 인체에서 노화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여러'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aging-associated diseases & disabilities/disorders)'가 발생한다. 항암제 등 독성 물질의 투여, 비만 및 당뇨 등 대사의 교란, 조직 상처 및 이식 등을 포함한 여러 스트레스 요인은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발생을 가속화시킨다.
이러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노화세포(senescent cells)'인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요인에 의해 인체에 노화세포가 축적되고, 축적된 노화세포가 분비하는 인자는 노화촉진(senescence-promoting) 인자와 더불어 염증(senescence-associated inflammation) 및 섬유화증(senescence-associated fibrosis) 등 노화와 관련된 병적인(senescence-associated pathogenic) 인자 등을 다수 포함하는데, 이러한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 ;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의 역할은 (i) 주위의 정상세포를 노화세포로 변화시켜 노화세포를 점차 확산시켜서, (ii) 이에 따라 전체 장기와 조직에서 구조적 및 기능적인 변이를 진행시키고, (iii) 노화에 따른 만성적인 염증(immuno-aging) 및 섬유화증(fibro-aging) 등의 여러 병적인 기저 이상 증상(underlying pathological phenotypes)을 야기시켜서, (iv) 이에 따라 결국에는 전신에 걸쳐서 여러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노화세포는 체내의 면역세포에 의해 제거되지만, 나이가 들면서 면역세포들도 함께 노화되기 때문에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결국 노화세포가 인체에 축적하게 된다. 이러한 세포의 노화 현상은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에서 발생하는데, 면역세포 등 일반적인 체세포(somatic cells)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stem cells) 그리고 암 등의 여러 질병세포에서도 관찰된다. 줄기세포에서 노화가 진행되면 장기와 조직이 재생 및 유지되지 못하고, 질병세포에서 노화가 진행되면 질병은 더욱 악화된다.
이에, 최근 암세포를 제거해서 암을 치료하듯이, 노화세포를 제거해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Robbins PD et al., Annuual Review of Pharmacological Toxicology 61, 779-803, 2021). 이러한 혁신적인 안티에이징 치료제로서 ABT263/737 등이 최근 보고된 바 있지만, 독성 등 많은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존재한다.
한편, 셀레늄은 체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필수적인 무기질 원소이며 항산화 작용을 하는 단백질의 구성 성분이다. 이러한 자연적인 천연 요소인 셀레늄을 포함해서 합성된 화합물이,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생존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셀레늄 본연의 작용과는 별개로, 노화세포를 제거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은 알려진 바가 없다.
Robbins PD et al., Annuual Review of Pharmacological Toxicology 61, 779-803, 2021.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노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셀레늄 화합물이 다양한 종류의 노화세포를 높은 효율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노화된 세포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에 의해 인위적으로 유도된 다양한 노화세포의 생존률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이러한 노화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다양한 노화관련 병적인 인자들의 발현 및 분비를 근원적으로 차단 및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노화세포와 관련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와 관련해서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동물용 제품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셀레늄 화합물을 이용한 노화세포 제거 작용을 나타낸다.
도 2는 자연적으로 노화를 유도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지방 조직의 염색 사진이다.
도 3은 독소루비신(DOX) 처리에 의해 노화를 유도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지방 조직의 염색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6 알킬"은 1 내지 6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6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할로알킬은 동종의 할로겐이 2개 이상 치환되거나 2종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콕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앞에 정의한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화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기의 알킬 부분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O-CH3 또는 -OMe), 에톡시(-OCH2CH3 또는 -OEt), t-부톡시(-O-C(CH3)3 또는 -O-tBu)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2-6 알케닐"은 2 내지 6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2-6 알케닐은 에테닐, n-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n-부테닐, 이소부테닐, 옥테닐, 데세닐(decenyl), 테트라데세닐, 헥사데세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용어 "알키닐"은 하나 이상의 삼중결합을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2-6 알키닐"은 2 내지 6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에티닐, n-프로피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릴"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의 6개의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기는 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아릴기는 페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피리디닐, 피롤릴,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퓨리닐, 퓨라닐, 티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카바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다질, 피리미딜, 피라질(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중에 탄소원자만을 포함하는 포화 모노사이클 또는 폴리-사이클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9개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고리형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은, 모노사이클로서는 3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바이사이클 사이클로알킬로서는 7 내지 9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해 고리가 방향성(aromatic)을 갖지 않는 범위에서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헤테로원자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제티딘일, 아지리딘일, 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호모피페라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테트라히드로퓨란일, 테트라히드로티오퓨란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피란일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테로원자"는 탄소(C) 이외의 원자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셀레늄(Se), 질소(N), 산소(O) 또는 황(S) 원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R은 단일결합,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고; A는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룹이거나, 페닐, 아민 또는 아마이드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2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콕시, 카복시, 아민, 또는 니트로이다.
상기 아민 및 아마이드는 각각 C1-10알킬, C2-10알케닐, C2-10알키닐, 3-10원의 사이클로알킬, C6-10아릴, 3-10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5-10원의 헤테로아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그룹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R은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고;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콕시, 카복시, 아민, 또는 니트로이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여기서 R은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여기서 n은 1 내지 8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 내지 13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화학식 8]
Figure pat00008
[화학식 9]
Figure pat00009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화학식 13]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에타셀렌(etha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12로 칭한다.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프로필셀렌(propyl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이다.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부타셀렌(buta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14로 칭한다.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부타티오바이셀렌(butathiobi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15로 칭한다.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부타셀레노바이셀렌(butaselenobi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16으로 칭한다.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헥사셀렌(hexaselen)으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17로 칭한다.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엡셀렌(ebselen), PZ51, DR3305, SPI-1005로 불리는 셀레늄 화합물의 일종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LX-128로 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상기 노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또는 항암제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및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노화세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또는 항암제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및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노화세포는 체세포, 줄기세포 및 질병으로 비정상적으로 변한 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노화세포는 간, 신장, 비장, 뇌, 폐, 근육, 피부, 지방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장기 조직의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질병은 염증, 섬유화증 및 암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노화세포는 하기의 여러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i) 세포의 분열 및 성장이 거의 영구적으로 정지되어 있다. (ii) 노화되지 않은 정상세포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세포 등의 크기가 증가되어 있다. 특히, 리소좀의 내용물이 증가되어 있고, 비정상적인 미토콘드리아가 증가되어 있다. (iii) Lamin B1 등 핵의 구조 단백질 및 HMGB1 등 크로마틴의 결합 단백질이 감소되어 있다. (iv) 노화에 따른 β-갈락토시데이즈(SA-β-gal)를 발현한다. (v) 노화에 따른 단백질 및 지질 등의 퇴행성 이상복합체로서 리포푸신(Lipofuscin)을 생성한다. (vi) p16 및 p21 등 CDK(cyclin-dependent kinase) 억제 인자를 활성화 및 많이 발현한다. (vii) 지속적인 스트레스 반응으로서 DDR(DNA damage response)에 따른 p53 등의 신호 전달 체계가 활성화되어 있고, 이에 따라 관련 타깃 유전자들의 발현이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화세포가 공히 나타내는 특징으로서 세포의 분열 및 성장 멈춤과 더불어 노화관련 표지인자(senescence-associated marker)는 SA-β-gal, 리포푸신, p16, p21, p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https://doi.org/10.1016/j.tcb.2018.02.001 참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각각 인위적으로 노화 유도된 세포 및 연속적인 계대 배양에 의해 자연적으로 노화된 세포에 처리할 경우,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각각 자연적으로 노화된 마우스 또는 항암제, 섬유화증 유도 약물 및 비만 등의 스트레스로 인해 인위적으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 또는 종양에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처리할 경우, 각종 장기 조직에서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노화관련 표지인자, 노화촉진 인자, 또는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의 발현 및 분비의 억제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인자들은 노화세포에서 발현 및 분비되므로, 노화세포가 제거됨에 따라서 근원적으로 인자들의 발현 및 분비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노화관련 표지인자는 p16, p21, SA-β-gal, 리포푸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https://doi.org/10.1016/j.tcb.2018.02.001)들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자일 수 있다.
상기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는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등 다양한 노화관련 병적인 인자 등을 포함하며, IL1α, IL1β, IL6, IL10, MCP1, PAI1 VCAM1, MMP1, MMP2, MMP3, MMP12, MMP13, TGFβ, ACTA2, COL1A1, COL1A2, FN1, CXCL1, CXCL10 등을 비롯해서 GM-CSF, GROα, GROβ, GROγ, IGFBP7, IL7, IL8, MIP1α, ENA78, GCP2, GITR, HGF, ICAM1, IGFBP2, IGFBP4, IGFBP5, IGFBP6, IL13, MCP4, MIF, MIP3α, MMP14, NAP2, PIGF, RANTES, sgp130, TIMP2, TRAILR3, Acrp30, Axl, bFGF, BLC, BTC, CTACK, EGFR, Fas, FGF7, GCSF, GDNF, HCC4, I309, IFNγ, IGFBP1, IGFBP3, IL11, IL15, IL2Rα, IL6R, ITAC, Leptin, LIF, MSPα, PAI2, PDGF-BB, SCF, SDF1, sTNF-RI, sTNF-RII, TIMP-1, tPA, uPA, uPAR, VEGF, MCP3, IGF1, TGFβ3, MIP1, IL4, FGF7, PDGF-BB, IL16, BMP4, MDC, MCP4, IL10, TIMP1, ICAM1, Axl, CNTF, INFγ, EGF, BMP6 등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인자를 비롯해서 암 등 다양한 병적인 인자(http://www.saspatlas.com 참조)들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노화세포로부터의 여러 노화관련 병적인 인자(SASP)의 발현 및 분비를 미연에 제거해서 다양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회복 탄력성(resilience) 및 저항성을 유지하게 하고, 여러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 및 후유증 및 그로 인한 질환 및 장애를 억제,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노화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화세포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는 노화세포와 관련된, 증식 질환 및 장애, 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환 및 장애, 신경 질환 및 장애, 대사 질환 및 장애, 심혈관 질환 및 장애, 폐 질환 및 장애, 신장 질환 및 장애, 간 질환 및 장애, 안구 질환 및 장애, 피부 질환 및 장애, 줄기세포 또는 장기 조직의 재생유지 관련 질환 및 장애, 외래이식 관련 질환 및 장애, 섬유화증 질환 및 장애, 경화증 질환 및 장애, β-갈락토시데이즈 관련 질환 및 장애, 기타 노인성 질환 및 장애, 스트레스에 의한 부작용 및 후유증 및 이로 인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가 노화세포와 관련된, 염증, 섬유화증, 경화증, 암, 항암제 또는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 노쇠, 근감소증, 지방위축증, 간 및 신장 손상 또는 피부 노화 및 이와 관련된 질환 및 장애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노화세포와 관련된, 항암제 또는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이 피로 및 쇠약, 체중 감소, 불안과 우울증 및 무기력증 또는 지방간 등일 수 있다.
상기 염증은 노화세포에 의해 야기되는 노화염증(inflamm-aging, immuno-senescence, senescence-associated inflammation)이고 이로 인해 노인층에서 관찰되는 지속적으로 점진적인 만성 및 퇴행성 염증 또는 바이러스 등의 감염 등으로 인해 노인층에서 관찰되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동반하는 과다증폭성 염증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화증 및 경화증은 간, 폐 또는 신장 관련 질환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선노화 항암 치료법(prosenescence anti-cancer therapy)을 통해 노화된 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억제 및 치료되는 것이고 암, 초기암, 암의 예방, 재발, 전이, 저항성, 악성화 또는 후유증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노화 및 이와 관련된 질환 및 장애는 주름, 탄력저하, 탈모, 모피악화, 기미, 잡티, 모반, 반점, 반색, 색소침착, 사마귀, 두드러기, 모공악화 또는 상처치유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쇠와 관련해서, 노쇠는 예컨대, 최근 R54 코드가 부여된 구체적인 질병으로서, 노화에 따라 인지 및 기억 장애를 동반하거나 또는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노년피로, 쇠약, 무력증, 비활동성, 근력약화, 보행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공지된 증상 지표(https://en.wikipedia.org/wiki/Frailty_syndrome)에 의해서 노쇠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에 의해 억제,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보인다고 공지된 다양한 질환 및 장애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암(cancer), 초기암(pre-cancerous/pre-malignant condition), 암예방, 암재발(relapse), 암전이(metastasis), 암저항성(resistance), 암악성화, 각종 증식이상질병 등의 증식 질환 및 장애; 관절염(arthrit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퇴행성관절연골(degenerative articular cartilage), 염증성장질병(inflammatory bowel disease),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점막염(mucositis), 구강점막염(oral mucositis), 만성췌장염(chronic pancreatitis), 건병증(tendinopathy), 건증(tendinosis), 건염(tendonitis, tendinitis), 노화염증(inflamm-aging), 과다증폭성염증(amplified hyperinflammation),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합병증(COVID19 infection/complication) 등의 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환 및 장애; 기억감퇴, (경도)인지장애(cognitive decline dysfunction), 퇴행성뇌질병, 치매(dementia),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스병(parkinson's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원발측삭경화증, 운동신경질병장애, 진행성핵상(성)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진행성구마비, 가성구마비, 진행성근육위축증, 하위운동신경증, 척수성위축증,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만성통증(chronic pain), 폴리오후증후군, 강직성하반신마비, 불안(anxiety), 우울증(depression), 신경정신병적장애(neuropsychiatric dysfunction),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수면장애 등의 신경 질환 및 장애; 비만(obesity), 당뇨(diabetes), 당뇨성궤양(diabetic ulcer), 당뇨성심근병증(diabetic cardiomyopathy), 골다공증(osteoporosis), 장내마이크로바이옴장애(intestinal bowel disease, intestinal bowel microbiome disorder), 지방이영양증, 각종 대사증후군 등의 대사 질환 및 장애;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심부전증(heart failure), 울혈성심부전증(congestive heart failure),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심근증(cardiomyopathy), 심근비대증(cardiomyocyte hypertrophy), 심장기능장애(cardiac dysfunction), 심장저항성감소(loss of cardiac stress tolerance), 심장부하저항, 심방세동이상, 협심증, 관상동맥류(coronary artery aneurysm), 대동맥류(aortic aneurysm), 부정맥, 경동맥협착증(carotid artery stenosis), 경막동정맥루(AV fistulae), 관상동맥질병, 말초혈관질병, 신장혈관협착증(renal artery stenosis), 죽상경화증, 신생내막증식증(neointimal hyperplasia), 고혈압(hypertension), 혈관기능장애(age-related vascular dysfunction), 혈관석회화(vascular hyporeactivity/calcification), 혈액응고장애, 뇌동맥류(brain aneurysm), 뇌졸증(stroke), 혈전증(thrombosis), 심내막염,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승모판탈출증 등의 심혈관 질환 및 장애; 만성폐쇄성폐질병(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염증, 폐부전증, 폐기능저하, 폐기종(emphysema),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과산소성폐손상(hyperoxic lung injury), 기관지폐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천식(asthma), 바이러스성폐렴(viral pneumonia) 등의 폐 질환 및 장애; 신장병증(nephropathy), 면역글로블린A신병증(immunoglobulin A nephropathy), 신장부전증(renal failure/dysfunction), 사구체경화증(glomerulosclerosis), 만성신장질병(chronic kidney disease), 당뇨성(만성)신장질병(diabetic chronic kidney disease), 신장결석(kidney stone disease) 등의 신장 질환 및 장애; 간병증(cirrhosis), 지방간(fatty liver), 간염,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비알콜성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비알콜성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간장병(hepatopathy), 간경변증, 원발경화성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원발성담즙성경변증(primary biliary cirrhosis),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등의 간 질환 및 장애; 백내장(cataract), 녹내장(glaucoma),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황반부종, 망막퇴행성질병(retinal degenerative disease), 당뇨성망막질병(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황반부종(diabetic macular edema), 노안, 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 시력손실(age-related vision loss), 충혈(hyperemia) 등의 안구 질환 및 장애; 피부노화(skin aging), 주름(wrinkle), 탄력저하, 표피위축(epidermal atrophy), 탈모(hair loss, allopecia), 모피악화, 기미(melasma), 잡티, 모반(skin naevi), 반점(liver spot), 반색, 색소침착(pigmentation), 사마귀, 두드러기, 모공악화, 상처치유저하, 건선(psoriasis), 포진, 소양증, 감각장애, 습진, 발진, 피부염, 호산구피부병, 면역수포성피부병, 포창, 천포창, 유천포창, 낭창(lupus), 수포, 켈로이드, 피부섬유조직구증식, 아토피성피부염, 피부림프종, 피부루푸스,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홍색피부증, 편평태선, 태선모양피부병, 반응성호중구피부병, 딸기코, 백반증, 보통비늘증, 잇몸노화(senescence in gingival tissues), 피부근염, 광선각화증, 광감각 및 광노화 관련 질병 등의 피부 질환 및 장애; 줄기세포/골수/장기/조직의 재생유지 질환 및 장애, 골수저형성증, 골수증, 염증 등 면역조절 질환 및 장애, 근감소증(sarcopenia) 등 각종 장기/조직의 파손 및 기능저하 등의 재생유지 관련 질환 및 장애; 이식편대숙주질병(graft-versus-host reaction or disease), 각막동종이식편거부(corneal allograft rejection) 등 줄기세포/골수/장기/조직/세포의 이식(transplantation) 질환 및 장애, 이식거부반응 등 외래물질/소재의 이식 질환 및 장애, 염증 등 면역조절 질환 및 장애, 각종 장기/조직의 파손 및 기능저하 등의 외래이식 관련 질환 및 장애; 특발성폐섬유화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낭포성섬유화증(cystic fibrosis), 폐섬유화증(pulmonary fibrosis), 신장섬유화증(renal fibrosis), 신장세뇨관섬유화증(tubulointerstitial fibrosis), 간섬유화증(liver fibrosis), 심장섬유화증(cardiac fibrosis), 췌장섬유화증(pancreatic fibrosis), 자궁섬유화증(uterine fibrosis), 구강점막하섬유증, 근섬유화증(muscle fibrosis), 신경교섬유화증, 복막후섬유화증, 골수섬유화증, 종격동섬유화증, 켈로이드, 진행성골화섬유형성이상(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등의 섬유화증 질환 및 장애; 피부경화증,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등의 경화증 질환 및 장애; 조로증(progerias), 위드만-라우텐스트라우취증후군, 워너증후군(werner syndrome), 허친슨-길포드조로증증후군(hutchinson-gilford progeria syndrome), 로트문드-톰슨증후군, 코케인증후군, 다운증후군(down-syndrome), 각화부전증, 선천성근무력증, 재생불량성빈혈, 관절연골변성 등의 β-갈락토시데이즈 관련 질환 및 장애; 건강수명단축(reduced lifespan/healthspan), 노쇠(frailty), 노화염증(inflamm-aging), 근감소증(sarcopenia), 근위축증(muscular dystrophy), 근섬유화증(muscle fibrosis), 골다공증(osteoporosis), 근육피로장애, 운동실조(ataxia), 골관계장애, 만성염증, 상처치유장애(delayed wound healing), 골절치유장애(delayed fracture healing), 지방이상증(lipodystrophy), 지방위축증(adipose atrophy), 추간판변성증(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추간판탈출증, 척추후만증(kyphosis), 진행성골화섬유형성이상(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폐경(menopause), 수전증(tremor),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배뇨장애, 비장비대증, 전립선비대증(prostatic hypertrophy), 난청/청력상실(hearing loss), 후각/미각기능장애(olfactory dysfunction),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등의 기타 노인성 질환 및 장애; 방사선/화학/표적/면역요법 등 항암제, 독성 및 부작용이 강한 약물/물질, 비만/당뇨 등 생리적인 교란, 고지방/고당분/고염분 등 식이섭식, 출혈성쇼크, 심근색, 저산소증, 영양결핍, 전쟁, 사고, 흡연, 바이러스/박테리아 등의 감염, 외래이식, 염증, 조직상처, 고열증 등 다양한 급성 및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독성 등을 비롯한 부작용 및 후유증 그리고 이로 인한 질환 및 장애로서, 피로, 쇠약(fatigue), 권태감, 체중감소(weight loss), 신체활동저하, 불안(anxiety), 우울증(depression), 무기력증, 운동실조(ataxia), 악액질(cachexia), 만성염증, 점막염(mucositis),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방사선궤양(radiation ulcers), 골수기능장애, 심장장애(heart functional disorder), 면역장애(immune disorder), 호르몬체계장애, 간/신장합병증(hepato/nephrocomplication), 스트레스신경장애, 간/신장/심장/위장/난소/혈관계/피부독성, 방사선궤양(radiation ulcers), 구역질, 구토, 설사,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 실신, 빈혈, 탈모(hair loss, allopecia), 통증, 체액저류, 발진, 피부염,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거식증, 두드러기, 지방이영양증, 지방위축증(adipose atrophy), 공황장애, 심장근육병증, 울혈성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폐경(menopause), 골다공증(osteoporosis), 불임(infertility), 자간전증(preeclampsia), 임신중독증, 인지장애(cognitive decline dysfunction), 암재발(cancer relapse), 암전이(metastasis), 시력/청력손실(hearing loss), 폐용량감소 등 노화에 따른 상기 각종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간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하며, 모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임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 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산으로는 무기 산 또는 유기 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무기 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일 수 있고, 유기 산은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석신산, 락트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등)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칼륨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미용해된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및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미네랄 오일, 식염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배지, 나노캡슐, 나노스피어, 나노겔, 하이드로겔, 메조포러스실리카, 리포좀, 엑소좀, 사이클로덱스트린, 마이셀러스(micelles, PLA/PLGA/PCL/PEG/SOL(Soluplus) 등) 등을 포함한 합성 제조된 입자(particle, crystal 등) 및 폴리머체(polymeric complex, capsule, matrix, colloid, amphiphilic graft polymer 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면, pH 조절제, 등장액화제, 보존제, 기타 부형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경고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침제, 정제, 주사제, 캅셀제 및 환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국소 또는 경피 투여용 제형인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젤, 분말, 용액, 스프레이, 흡입제 또는 패치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필요에 따라서 방부제, 완충제등과 무균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젤 제형은 추가적으로 부형제인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토라가칸토,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등과 규산, 활석, 산화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억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를 예방 또는 차단하거나,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prevent, inhibit or delay)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증상이 개선, 호전 및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alleviate, reverse or trea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여기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으로서,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유효한 양"은 생체 외(in vitro) 또는 생체 내(in vivo) 어떤 쪽이든 노화관련 질환에서 노화세포의 활성을 억제 또는 줄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하여 이러한 경로에 적당한 약학 조성물의 형태, 그리고 의도된 치료를 위하여 효과적인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체외에서 노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체외에서 노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피부 재생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자연적으로 노화된 세포에 처리할 경우, 피부 노화를 야기하는 인자(SASP)의 발현 및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자연적으로 노화된 마우스에 처리할 경우, 피부 노화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화세포는 여러 인자(SASP)을 분비해서 노화세포를 점차 확산 및 축적시켜서 피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노화 증상(피부노화, 주름, 탄력저하, 탈모, 모피악화, 기미, 잡티, 모반, 반점, 반색, 색소침착, 사마귀, 두더러기, 모공악화, 상처치유저하, 건선, 포진, 소양증, 감각장애, 면역저하, 습진, 발진, 피부염, 호산구피부병, 면역수포성피부병, 포창, 천포창, 유천포창, 낭창, 수포, 섬유화증, 켈로이드, 피부섬유조직구증식, 아토피성피부염, 피부림프종, 피부루푸스, 광감각 및 광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 각종 피부병 등)을 유발한다. 이에, 노화세포를 제거하면 피부 노화를 억제, 개선 및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노화, 주름, 탄력저하, 탈모, 모피악화, 기미, 잡티, 모반, 반점, 반색, 색소침착, 사마귀, 두드러기, 모공악화 또는 상처치유저하 등을 억제, 개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을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제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성분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연고제, 액제, 크림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등과 같은 피부 외용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도포량 및 하루 사용 횟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피부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각종 식품류, 음료류,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으며, 건강 기능 개선 및 증진을 위해 기타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및 제품화를 위한 첨가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음료에 포함되는 액체 성분으로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으면 제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동물용 의약품, 동물용 피부 외용제 또는 동물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 개선용 동물용 제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용 제품 조성물은 동물용 의약품, 동물용 피부 외용제 또는 동물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동물용 의약품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경구적으로 수용가능한 복용 형태인 캡슐제, 정제, 산제, 액제, 시럽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분, 락토스, 말토스, 자당, 과당, 덱스트로스, 말토덱스트린, 설탕, 구연산, 사과산, 기타 음료용 향료 등의 감미료, 만니톨, 솔비톨, 자일리톨 등의 당알콜,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이크로결정 셀룰로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피부 외용제는 연고제, 액제, 크림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등과 같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동물용 피부 외용제는 제형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물용 피부 외용제의 도포량 및 하루 사용 횟수는, 개체의 연령, 성별, 용도, 피부 및 모질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건강기능식품은 동물 사료 첨가제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첨가제는 사료 검정 기준에 따라 허용되는 첨가제들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고, 개체의 건강 상태에 따라 급여량, 급여횟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은 의약품, 화장품(예를 들어 피부 재생용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동물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노화된 인간세포에서 노화세포 제거
실시예 1-1. 세포의 노화 유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부 및 외부 요인에 의해 인체에 축적되는 노화세포가 분비하는 병적인 인자(SASP)들로 인해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가 발생된다. 이 과정에서 근원적인 역할을 하는 노화세포를 셀레늄 화합물이 제거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노화세포를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로 염색하였다. 이와 같은 셀레늄 화합물의 작용을 도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포피세포(foreskin, 입수처-충남의대)를 지정된 배지(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구입처-ATCC; 10% FBS, 구입처-GenDEPOT; 100 U/ml Penicillin & Streptomycin, 구입처-Invitrogen)에서 배양한 다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녹인 독소루비신(doxorubicin, DOX)을 250 n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7일 동안 추가 배양하여, 노화를 유도하였다. 노화를 유도하지 않은 대조군(-)은 DMSO만을 처리하였다. 노화된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독소루비신 및 대조군을 처리한 세포를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을 키트(구입처-Cell Signaling Technology)를 사용해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을 통해 SA-β-gal이 염색된 노화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SA-β-gal
(%)
- 9.0 (±5.0)
DOX 90.0 (±7.0)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독소루비신(DOX)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더 이상 세포 성장을 하지 않았다. 이로부터, 노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LX-112의 노화된 세포 제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독소루비신 및 대조군을 처리하고 배양한 세포에 LX-112(구입처-BOC)를 0 μM, 1.1 μM, 3.3 μM, 10 μ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3일 후에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구입처-Promega)를 이용해서 세포 생존률 및 성장률을 측정하여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3의 N0는 LX-112 처리 전 세포수를 100%로 산정한 것이다.
LX 0 μM 1.1 μM 3.3 μM 10 μM
Survival (%) 100.2 (±4.0) 67.2 (±7.0) 27.0 (±4.0) 1.0 (±4.0)
LX N0 0 μM 1.1 μM 3.3 μM 10 μM
Growth (%) 100.0 (±11.0) 253.0 (±4.0) 201.0 (±8.0) 161 (±7.0) 123.3 (±8.0)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소루비신을 처리해서 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 LX-112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생존률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을 처리해서 노화가 유도되지 않은 세포에서 LX-112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률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고, 정상적으로 세포가 성장하였다. 이와 같은 체세포뿐만 아니라, LX-112에 의한 노화세포의 사멸은 줄기세포(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구입처-ATCC)에서도 10 μM의 농도에서 50% 정도로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노화된 인간 암세포 및 종양에서 LX-112의 노화세포 제거
실시예 2-1. 암세포의 노화 유도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골육종(osteosarcoma) 암세포주인 SAOS-2(구입처-ATCC)를 지정된 배지(DMEM, 구입처- GenDEPOT; 10% FBS, 구입처- GenDEPOT; 100 U/ml Penicillin & Streptomycin, 구입처-Invitrogen)에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화를 유도한 다음, 세포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 4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SA-β-gal
(%)
- 5.0 (±6.0)
DOX 66.0 (±5.0)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독소루비신(DOX)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더 이상 세포 성장을 하지 않았다. 이로부터, 노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LX-112의 노화된 암세포 제거
골육종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 치료의 표준은 반복적인 화학 요법의 시행이다. 이에,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SAOS-2에 노화를 유도한 다음, (i) 독소루비신을 다시 처리하거나(DOX→DOX) (ii) LX-112(5 μM) 조성물을 처리하였다(DOX→LX-112). 그 후, 3일(3d) 및 7일(7d) 이후에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구입처-Promega)를 이용해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여 표 5 및 표 6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 DOX→DOX
3d 7d
Survival (%) 100.0 (±6.0) 72.0 (±7.0) 55.0 (±5.0)
- DOX→LX
3d 7d
Survival (%) 100 (±3.0) 35.0 (±4.0) 14.0 (±5.0)
그 결과,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내 항암 유전자인 Rb 및 p53이 결손된 SAOS-2에 독소루비신을 반복 처리한 경우(DOX→DOX)보다 독소루비신과 LX-112를 병용 및 순차 처리한 경우(DOX→LX-112)가 더욱 효과적으로 암세포의 생존률을 감소시켰다. 이로부터, 화학 요법으로 항암제를 반복 처리하는 경우보다 노화를 유도하는 항암제 및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인 LX-112를 병용 및 순차 처리하는 경우에서 보다 효과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마우스에서 LX-112의 노화된 종양 억제
7주령의 수컷 BALB/c 누드 마우스(구입처-KRIBB 실험동물자원센터)를 1주일 동안 실험 환경에 적응시킨 후, 마우스를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한 인간 골육종암세포주인 SAOS-2 (106개 세포)를 PBS(구입처- Welgene)에 섞은 다음, 2%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 구입처-Sigma)을 이용하여 마취된 마우스의 피하에 투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50 mm2 정도 되었을 때, 독소루비신을 10 mg/kg의 농도로 증류수와 PBS(pH 7.2)의 1:1 용액에 섞어서 복강으로 투여하여 종양의 노화를 유도하였다. 10일 후에 100 mg/kg 농도로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은 LX-112를 21일 동안 매일 경구로 투여한 다음,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독소루비신을 섞은 용액을 반복해서 투여한 다음,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표 7에 이를 비교해서 결과를 나타내었다.
Tumor Diameter (mm) DOX→DOX 15.4 (±1.2)
DOX→LX 6.2 (±4.8)
그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에서 노화를 유도한 종양에 LX-112를 처리(DOX→LX)한 경우가 독소루비신을 반복해서 처리(DOX→DOX)한 경우에 비해서 종양의 크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 및 감소시켰다. 이로부터, 마우스에서 화학 요법으로 항암제를 반복 처리하는 경우보다 형성된 종양에 노화를 유도하고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인 LX-112를 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노화된 인간세포에서 LX-112의 노화세포 제거
실시예 3-1. 세포의 자연적 노화 유도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포피세포를 지정된 배지(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구입처-ATCC; 10% FBS, 구입처-GenDEPOT; 100 U/ml Penicillin & Streptomycin, 구입처-Invitrogen)에서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을 때까지 계대 배양(REP; replicative senescence)하여 자연적인 노화를 유도하였다. 대조군(-)으로 자연적 노화 유도 이전의 포피세포를 사용하였다. 이후,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 8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SA-β-gal
(%)
- 7.2 (±2.0)
REP 93.8 (±5.0)
그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을 때까지 계대 배양(REP)한 세포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노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LX-112의 노화된 세포 제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간유래 포피세포의 자연적 노화를 유도한 다음, LX-112를 0 μM, 1.1 μM, 3.3 μM,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3일 후에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구입처-Promega)를 이용해서 세포 생존률은 표 9에, 노화가 유도되지 않은 세포에 대한 세포 성장률을 측정해 표 10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10에서 N0는 LX-112 처리 전 세포수를 100%로 산정한 것이다.
LX 0 μM 1.1 μM 3.3 μM 10 μM
Survival (%) 100.5 (±4.0) 59.0 (±6.0) 29.0 (±5.0) 1.0 (±9.0)
LX N0 0 μM 1.1 μM 3.3 μM 10 μM
Growth (%) 100.0
(±6.0)
262.0
(±13.0)
206.0
(±15.0)
151.0
(±12.0)
122.7
(±16.0)
그 결과, 표 9 및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 LX-112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생존률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노화가 유도되지 않은 세포에서는 LX-112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률에 변화가 없었고, 정상적으로 세포가 성장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노화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LX-112의 노화세포에서 발현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의 양 감소
실시예 3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간 포피세포의 자연적 노화를 유도하고 3 μM의 농도로 LX-112를 처리한 다음, qRT-PCR(quantitative real-time PCR)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mRNA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노화 유도 이전의 포피세포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를 수거해서 TRIzol Reagent(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처리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전체 RNA 농도는 Nanodrop(구입처-Micro Digital)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SuperScript IV VILO Master Mix with ezDNase Enzyme(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추출된 전체 RNA에서 지노믹(genomic) DNA를 제거하고 cDNA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GAPDH를 표준화 잣대로 사용해서 p16 및 p21 등에 관한 qRT-PCR을 SFCgreen I qPCR Master Mix(구입처-SFC Probe)를 사용해서 수행하였고, CFX Connect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구입처-Bio Rad)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표 11은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12는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12는 노화가 유도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을 각각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바이오닉스를 통해 합성하였고, 서열은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mRNA (Fold) p16 p21
- 1.0 (±0.1) 1.0 (±0.3)
REP 5.0 (±0.5) 4.0 (±0.2)
mRNA (%) p16 p21
- 100.0 (±4.0) 100.0 (±6.0)
LX 43.0 (±4.0) 39.0 (±7.0)
Gene Primer 1 서열번호 Primer 2 서열번호
GAPDH GGAAGGGCTCATGACCACAG 1 ACAGTCTTCTGGGTGGCAGTG 2
p16 TGAGCTTTGGTTCTGCCATT 3 AGCTGTCGACTTCATGACAAG 4
p21 GAGACTAAGGCAGAAGATGTAGAG 5 GCAGACCAGCATGACAGAT 6
그 결과,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에서 노화가 유도되면 p16 및 p21의 mRNA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포피세포에 LX-112를 처리하면 p16 및 p21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세포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LX-112의 노화세포에서 발현 및 분비되는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들의 양 감소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간 포피세포의 자연적 노화를 유도하고 3 μM의 농도로 LX-112를 처리한 다음, 수득한 배양액을 이용해서 면역 검정법(ProcartaPlex Immunoassay, 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IL1α, IL1β, IL6, IL10, MCP1, PAI1 VCAM1, MMP1, MMP2, MMP3, MMP12, TGFβ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표 14는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REP)에, 표 15는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각각의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15는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을 각각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과 비교하였다.
Protein (Fold) IL1α IL1β IL6 IL10 MCP1 PAI1
- 1.0
(±0.3)
1.0
(±0.2)
1.0
(±0.1)
1.0
(±0.1)
1.0
(±0.2)
1.0
(±0.1)
REP 14.0
(±6.0)
11.0
(±3.0)
64.0
(±6.0)
16.0
(±4.0)
25.0
(±5.0)
69.0
(±9.0)
Protein (Fold) VCAM1 MMP1 MMP2 MMP3 MMP12 TGFβ
- 1.0
(±0.2)
1.0
(±0.1)
1.0
(±0.1)
1.0
(±0.2)
1.0
(±0.2)
1.0
(±0.1)
REP 32.0
(±4.0)
3.6
(±1.0)
18.0
(±8.0)
48.2
(±8.0)
13.0
(±4.0)
151.0
(±9.0)
Protein (%) IL1α IL1β IL6 IL10 MCP1 PAI1
- 100.0
(±4.0)
100.0
(±3.0)
100.0
(±6.0)
100.0
(±4.0)
100.0
(±3.0)
100.0
(±7.0)
LX 57.0
(±5.0)
46.0
(±6.0)
41.0
(±4.0)
57.0
(±7.0)
38.0
(±8.0)
41.0
(±4.0)
Protein (%) VCAM1 MMP1 MMP2 MMP3 MMP12 TGFβ
- 100.0
(±5.0)
100.0
(±2.0)
100.0
(±8.0)
100.0
(±4.0)
100.0
(±3.0)
100.0
(±4.0)
LX 45.0
(±5.0)
43.0
(±3.0)
39.0
(±9.0)
38.0
(±8.0)
41.0
(±6.0)
49.0
(±9.0)
그 결과,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에서 노화가 유도되면 IL1α, IL1β, IL6, IL10, MCP1, PAI1 VCAM1, MMP1, MMP2, MMP3, MMP12, TGFβ의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포피세포에 LX-112를 처리하면 각각의 인자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세포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다양한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에 의한 섬유화증 유도 및 마우스에서 LX-112의 섬유화증 억제
실시예 6-1. 노화세포에서 발현 및 분비되는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에 의한 정상세포의 섬유화증 유도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연적인 노화가 유도된 인간 포피세포의 배양액(REP)을 수득하여, 노화가 유도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포피세포에 1일 동안 처리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qRT-PCR로 노화관련 섬유화증 인자인 ACTA2, COL1A1, COL1A2, FN1 및 SDF1의 mRNA 양을 측정하여 표 16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노화세포의 배양액을 처리하지 않은 포피세포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바이오닉스를 통해 합성하였고, 서열은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mRNA (Fold) ACTA2 COL1A1 COL1A2 FN1 SDF1
- 1.0 (±0.3) 1.0 (±0.2) 1.0 (±0.1) 1.0 (±0.2) 1.0 (±0.2)
REP 3.3 (±0.5) 4.5 (±0.6) 3.9 (±1.0) 4.1 (±0.4) 0.2 (±0.4)
Gene Primer 1 서열번호 Primer 2 서열번호
ACTA2 GTGAAGAAGAGGACAGCACTG 7 CCCATTCCCACCATCACC 8
COL1A1 AAGGGACACAGAGGTTTCAGTGG 9 CAGCACCAGTAGCACCATCATTTC 10
COL1A2 CTTGCAGTAACCTTATGCCTAGCA 11 CCCATCTAACCTCTCTACCCAGTCT 12
FN1 TGTCAGTCAAAGCAAGCCCG 13 TTAGGACGCTCATAAGTGTCACCC 14
SDF1 TGCCAGAGCCAACGTCAAG 39 CAGCCGGGCTACAATCTGAA 40
그 결과,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에 의해 조절되는 인자에는 섬유화증 및 색소침착의 조절 인자인 ACTA2, COL1A1, COL1A2, FN1 및 SDF1 등이 포함되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노화에 의해 섬유화증을 유도하는 인자들의 양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화에 의해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SDF1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2. 마우스에서 LX-112의 섬유화증 억제
8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구입처-KRIBB 실험동물자원센터)를 1주일 동안 실험 환경에 적응시킨 후, 마우스를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복막의 섬유화증을 유도하기 위해서 0.1%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lorhexidine gluconate, CHG, 구입처-Sigma)를 15% 에탄올 인산완충용액에 녹여서 10 ml/kg 농도로 2일 간격으로 20일 동안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9일째부터 LX-112는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어서 매일 70 mg/kg 농도로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로 용액만을 투여하였다. 20일째,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에 고정시켜 제작한 복막 조직의 파라핀(paraffin) 절편을 H/E(Hematoxylin/Eosin) 및 트리크롬(trichrome)으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복막 중피세포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표 18은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G)에 의해 복막 섬유화증이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복막 중피세포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Submesothelial Thickness
(μm)
- - 10.0 (±1.1)
CHG - 69.1 (±6.4)
LX 43.1 (±10.4)
그 결과, 표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에 의해 복막의 두께가 증가하였고, LX-112는 증가된 두께를 억제 및 감소시켰다. 이로부터, LX-112가 섬유화증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치료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자연적으로 유도된 노화 마우스에서 LX-112의 노화세포 제거 및 관련 노화 억제 활성
실시예 7-1. 자연적으로 유도된 노화 마우스 모델의 확립
22개월령의 암컷 C57BL6J 마우스(구입처-KRIBB 실험동물자원센터)를 1주일 동안 실험 환경에 적응시킨 후, 노화 마우스를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8주령의 마우스를 노화되지 않은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LX-112는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어서 21일 동안 매일 70 mg/kg 농도로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로 용액만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종료 후, 하기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7-2. LX-112의 노화관련 표지인자(p16)의 양 감소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장기 조직에서 RNA를 추출하여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RNA 추출 과정에서 RNA의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하여 채취한 각 부위의 조직은 즉시 30 mg 내지 50 mg 크기로 절단하여 RNA 안정화 용액(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에 넣고 1일 동안 조직에 흡수시킨 후, 사용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채취한 조직은 조직 균질용 비드(bead)가 포함된 튜브(구입처-엠피바이오)에 용해액과 함께 넣고, 조직 균질(homogenization) 장비(구입처-엠피바이오)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조직으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였으며, 추출 방법은 간, 신장, 폐, 뇌 등을 포함하는 연조직(soft tissue)는 RNA 추출 키트(PureLink RNA Mini Kit, 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였고, 근육, 피부, 지방 등을 포함하는 경조직(hard tissue)는 TRIzol Reagent(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였다. 추출된 전체 RNA 농도는 Nanodrop(구입처-Micro Digital) 또는 SpectraMax iD3 Multi-Mode Microplate Reader(구입처-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추출된 전체 RNA는 cDNA 합성 키트(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지노믹(genomic) DNA를 제거하고 cDNA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β-actin을 표준화 기준으로 하여 각 유전자 별로 qRT-PCR을 Taqman Fast Abvanced Master Mix(구입처-Applied Biosystems), SFCgreen I qPCR Master Mix (구입처-SFC Probe) 또는 AmfiSure qGreen qPCR Master Mix(구입처-GenDEPOT)를 사용해서 수행하였고, CFX Connect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구입처-Bio Rad)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표 19는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Young) 및 이후(Old)에, 표 20은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20은 노화가 유도된 후의 p16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p16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바이오닉스를 통해 합성하였고, 단, p16 및 IL6는 TaqMan 프라이머(구입처-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하기 표 21에 나타내었다.
p16 mRNA
(Fold)
Liver Kidney Lung Brain eWAT Muscle Skin
Young 1.0
(±0.7)
1.0
(±0.6)
1.0
(±0.1)
1.0
(±0.3)
1.0
(±0.4)
1.0
(±0.5)
1.0
(±0.0)
Old 53.9
(±10.8)
18.6
(±2.4)
3.3
(±1.0)
9.0
(±3.2)
3.5
(±1.1)
11.0
(±9.8)
7.3
(±2.5)
p16 mRNA
(%)
Liver Kidney Lung Brain eWAT Muscle Skin
- 100.0
(±4.8)
100.0
(±3.8)
100.0
(±5.7)
100.0
(±3.8)
100.0
(±9.7)
100.0
(±8.4)
100.0
(±1.5)
LX 62.0
(±3.5)
52.0
(±7.9)
69.0
(±1.0)
89.0
(±5.0)
79.0
(±2.0)
76.0
(±3.1)
74.0
(±6.7)
Gene Primer 1 서열번호 Primer 2 서열번호
β-actin CATCCGTAAAGACCTCTATGCCAAC 15 ATGGAGCCACCGATCCACA 16
p21 GCAGATCCACAGCGATATCCA 17 AACAGGTCGGACATCACCAG 18
IL1α TCCATAACCCATGATCTGGAA 19 TTGGTTGAGGGAATCATTCAT 20
IL1β GTATGGGCTGGACTGTTTC 21 GCTGTCTGCTCATTCACG 22
CXCL1 ACCGAAGTCATAGCCACACTC 23 CTCCGTTACTTGGGGACACC 24
CXCL10 GCTGCCGTCATTTTCTGC 25 TCTCACTGGCCCGTCATC 26
MMP3 GTTGGAGAACATGGAGACTTTGT 27 CAAGTTCATGAGCAGCAACCA 28
MMP12 TGCACTCTGCTGAAAGGAGTCT 29 GTCATTGGAATTCTGTCCTTTCCA 30
MMP13 AAGGGGATAACAGCCACTACAA 31 ACCAACATAAAAATTAAGCCAAATG 32
MCP1 GCATCTGCCCTAAGGTCTTCA 33 GTGGAAAAGGTAGTGGATGCATT 34
COL1A1 CAGTCGATTCACCTACAGCAC 35 TGGAGGGAGTTTACACG 36
Agtr1a AAGGGCCATTTTGCTTTTCT 37 AACTCACAGCAACCCTCCAA 38
그 결과,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신장(kidney), 폐(lung), 뇌(brain), 부고환지방(eWAT), 근육(muscle), 피부(skin)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의 mRNA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표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3. LX-112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양 감소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장기 조직에서 조직 절편을 제작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을 염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로부터 수집된 각 부위의 조직에서 지방을 제거하고 4% 포르말린(formalin)에서 24시간 이상 상온 고정하였다. 냉동 보존을 위해 30% 수크로즈(sucrose)에서 8시간 이상 두었다가 동결 절편화를 위해 동결보호제 OCT 배지에서 급속 냉동하였다. 급속 냉동한 조직을 조직병리서비스 전문업체인 히스토아에 의뢰하여 동결 절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조직 동결 절편은 8 μm 두께로 자른 다음, 슬라이드 커버에 절편화시킨 뒤, 30분 동안 상온 건조시키고 이후 -80℃에서 사용 전까지 보관하였다.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을 염색한 다음, 광학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후,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염색된 부위의 면적를 계산하고,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표준화시켜 정량화하였다. 표 22는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Young) 및 이후(Old)에, 표 23은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의 염색 면적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지방 조직의 염색 사진 결과이다.
SA-β-gal (Fold) Liver Kidney Lung Skin eWAT
Young 1.0 (±0.5) 1.0 (±0.6) 1.0 (±0.2) 1.0 (±0.3) 1.0 (±1.0)
Old 4.5 (±0.2) 3.0 (±0.4) 1.1 (±0.5) 2.8 (±0.3) 45.9 (±9.3)
SA-β-gal
(%)
Liver Kidney Lung Skin eWAT
- 100.0 (±9.0) 100.0 (±8.0) 100.0 (±6.0) 100.0 (±9.0) 100.0 (±7.0)
LX 58.0 (±7.0) 55.0 (±17.0) 67.0 (±6.0) 68.0 (±9.0) 38.0 (±7.0)
그 결과, 표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신장(kidney), 폐(lung), 피부(skin), 부고환지방(eWAT)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SA-β-gal의 염색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23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SA-β-gal의 염색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4. LX-112의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리포푸신)의 양 감소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실시예 7-3과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muscle) 조직에서 조직 절편을 제작하고, 노화에 따라 세포의 라이소좀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 등의 퇴행성 이상복합체로서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의 양을 수단블랙비(Sudan Black B, 구입처-Sigma)을 사용해서 염색해서 촬영한 후, 이미지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염색된 부위의 면적를 계산하고,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표준화시켜 정량화하였다. 표 24는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25는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을 나타낸 결과이다.
Muscle
Lipofuscin
(Fold)
Young 1.0 (±0.2)
Old 1.5 (±0.4)
Muscle
Lipofuscin
(%)
- 100.0 (±8.0)
LX 71.0 (±6.0)
그 결과, 표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노화되면 근육(muscle) 조직에서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조직에서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근육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5. LX-112의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IL6)의 양 감소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은 사용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MCP1의 양을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Kit, 구입처-R&D Syste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6은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27은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MCP1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Fold IL6 MCP1
Young 1.0 (±0.3) 1.0 (±0.2)
Old 4.2 (±0.3) 2.8 (±1.1)
% IL6 MCP1
- 100.0 (±29.0) 100.0 (±27.1)
LX 63.0 (±12.8) 58.0 (±9.8)
그 결과, 표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노화되면 혈청에서 IL6 및 MCP1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혈청에서 IL6 및 MCP1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혈청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MCP1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6. LX-112의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들의 양 감소
실시예 7-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MMP3, IL1β, MMP12, IL6, MMP13에 대한 qRT-PCR을 수행 및 분석하였다. 표 28은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29는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MMP3, IL1β, MMP12, IL6, MMP13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29는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mRNA (Fold) Liver Kidney Lung Muscle Skin
MMP3 IL1β MMP12 IL6 MMP3 MMP12 MMP13
Young 1.0
(±0.2)
1.0
(±0.4)
1.0
(±0.5)
1.0
(±0.1)
1.0
(±0.3)
1.0
(±0.4)
1.0
(±0.1)
Old 2.2
(±0.2)
2.0
(±0.2)
3.6
(±1.9)
2.9
(±1.3)
1.5
(±0.2)
10.0
(±6.3)
1.3
(±0.6)
mRNA
(%)
Liver Kidney Lung Muscle Skin
MMP3 IL1β MMP12 IL6 MMP3 MMP12 MMP13
- 100.0
(±5.1)
100.0
(±9.9)
100.0
(±15.0)
100.0
(±12.0)
100.0
(±38.0)
100.0
(±8.4)
100.0
(±49.0)
LX 75.0
(±13.0)
67.0
(±3.9)
81.0
(±13.0)
65.0
(±21.0)
92.0
(±6.0)
78.0
(±14.0)
95.0
(±2.0)
그 결과, 표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신장(kidney), 폐(lung), 근육(muscle), 피부(skin)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MMP3, IL1β, MMP12, IL6, MMP13 등의 mRNA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각각의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MMP3, IL1β, MMP12, IL6, MMP13 등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7. LX-112의 노화에 따른 노쇠(활동성, 지구력, 근력 및 악력, 근감소증, 지방위축증 등) 개선
마우스에서 노화에 따른 노쇠를 분석하기 위하여 활동성 평가(open field test), 지구력 평가(wire hanging test), 근력 및 악력 평가(grip strength test)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활동성 평가(open field test)에서는, 마우스를 흰색의 네모난 상자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인 궤적을 측정하였다. 중앙에 머문 시간을 움직인 전체 거리를 기준으로 표준화시켜 정량화하였다. 지구력 평가(wire hanging test)에서는, 마우스가 와이어(wire)에 매달려서 버티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근력 및 악력 평가(grip strength test)에서는, 마우스의 꼬리를 잡고 악력 측정기(구입-정도비앤피)를 앞발로 잡게 만든 뒤, 놓칠 때까지 살짝 잡아 당겨 놓치기 직전 측정기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표 30은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31은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쇠의 판단 기준인 활동성 평가, 지구력 평가, 근력 및 악력 평가를 각각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표 31은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평가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평가의 양과 비교하였다.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Wire Hanging Test
Time (Sec)
Grip Sterenght Test
Strength (N)
Young 13.1 (±3.93) 64.0 (±10.0) 1.0 (±0.05)
Old 5.2 (±1.51) 45.0 (±7.0) 0.8 (±0.12)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Wire Hanging Test
Time (Sec)
Grip Sterenght Test
Strength (N)
Muscle Mass (g)
- 100.0 (±18.0) 100.0 (±15.0) 100.0 (±14.0) 0.5 (±0.0)
LX 121.0 (±9.0) 119.0 (±10.0) 132.0 (±11.0) 0.7 (±0.1)
그 결과, 표 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됨에 따라 마우스의 활동성, 지구력, 근력 및 악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표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활동성, 지구력, 근력 및 악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근육 조직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표 19 및 20) 및 SA-β-gal(표 22 및 23),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표 24 및 25),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표 26, 27 및 29) 등도 LX-112의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노쇠를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개선 효과와 일치하는 사실로서, 표 31 결과로부터, LX-112가 노화된 마우스의 대퇴부 사두근(quadriceps)의 근육 조직 및 전반적인 지방 조직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8. LX-112의 노화에 따른 신장 손상 개선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에서 신장 손상 표지인자인 요소(urea)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양을 키트(구입처-BioAssay Systems 및 Sigma)를 사용하여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신장 손상 표지인자인 Agtr1a mRNA의 양을 실시예 7-2에 기재된 대로 qRT-PCR로 측정하였다. 표 32는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신장 손상 표지인자인 요소, 크레아티닌, Agtr1a mRNA을 각각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과 비교하였다.
Urea (%) Creatinine (%) Agtr1a mRNA (%)
- 100.0 (±4.0) 100.0 (±11.0) 100.0 (±9.0)
LX 69.0 (±6.0) 87.0 (±7.8) 64.0 (±7.0)
그 결과, 표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요소, 크레아티닌, Agtr1a mRNA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신장 손상 및 기능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9. LX-112의 노화에 따른 피부 노화 개선
피부 조직의 동결 절편을 H/E(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진피(dermis)의 두께를 관찰하였다. 또한, 콜라겐(COL1A1)의 mRNA 양을 실시예 7-2에 기재된 대로 qRT-PCR로 측정하였다. 표 33에 자연적으로 노화를 유도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 및 처리한 조건에서 피부(dermal)의 두께와 콜라겐(COL1A1) mRNA 양에 따른 피부 노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었다.
Dermal Thickness (μm) Collagen mRNA (Fold)
- 221.0 (±22.1) 1.0 (±0.2)
LX 265.0 (±17.2) 2.3 (±0.4)
그 결과, 표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피부의 두께와 콜라겐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피부 조직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표 19 및 20) 및 SA-β-gal(표 22 및 23),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이며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MMP12, MMP13(표 29) 등도 LX-112의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피부 노화를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노화 마우스에서 LX-112의 노화세포 제거 및 관련 노화 억제 활성
실시예 8-1.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노화 마우스 모델의 확립
8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구입처-KRIBB 실험동물자원센터)를 1주일 동안 실험 환경에 적응시킨 후,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을 10 mg/kg 농도로 복강으로 투여하고 10일 이상 노화를 유도시킨 마우스를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LX-112는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어서 21일 동안 매일 70 mg/kg 농도로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로 용액만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종료 후, 하기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8-2. LX-112의 노화관련 표지인자(p16)의 양 감소
실시예 7-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장기 조직에서 RNA 추출하여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 및 분석하였다. 표 34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35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35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Liver Kidney eWAT
p16 mRNA
(Fold)
- 1.0 (±0.3) 1.0 (±0.3) 1.0 (±0.3)
DOX 2.6 (±0.8) 1.3 (±0.3) 3.2 (±1.2)
p21 mRNA
(Fold)
- 1.0 (±0.6) 1.0 (±0.4) 1.0 (±.0.2)
DOX 3.8 (±2.3) 2.6 (±2.1) 3.9 (±3.0)
Liver Kidney eWAT
p16 mRNA
(%)
- 100.0 (±24.0) 100.0 (±9.89) 100.0 (±9.8)
LX 70.0 (±8.3) 75.0 (±14.81) 72.0 (±18.75)
p21 mRNA
(%)
- 100.0 (±18.58) 100.0 (±25.8) 100.0 (±18.51)
LX 78 (±11.5) 83.8 (±9.5) 68.4 (±15.1)
그 결과, 표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신장(kidney), 부고환지방(eWAT)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 및 p21의 mRNA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 및 p21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에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8-3. LX-112의 노화관련 표지인자(SA-β-gal)의 양 감소
실시예 7-3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장기 조직에서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을 염색하였다. 표 36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37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의 염색 면적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지방 조직의 염색 사진 결과이다.
SA-β-gal (Fold) Liver Kidney Lung eWAT
- 1.0 (±0.6) 1.0 (±0.9) 1.0 (±0.2) 1.0 (±0.1)
DOX 3.7 (±0.9) 4.1 (±1.5) 1.3 (±0.4) 4.2 (±0.9)
SA-β-gal (%) Liver Kidney Lung eWAT
- 100.0 (±7.2) 100.0 (±10.2) 100.0 (±6.2) 100.0 (±8.4)
LX 67.4 (±9.9) 69.2 (±10.2) 64.2 (±9.2) 51.4 (±13.4)
그 결과, 표 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신장(kidney), 폐(lung), 부고환지방(eWAT)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SA-β-gal의 염색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37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SA-β-gal의 염색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SA-β-gal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4. LX-112의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리포푸신)의 양 감소
실시예 7-4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근육(muscle) 조직에서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을 염색하였다. 표 38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39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을 나타낸 결과이다.
Muscle
Lipofuscin
(Fold)
- 1.0 (±0.2)
DOX 2.2 (±0.5)
Muscle
Lipofuscin
(%)
- 100.0 (±19.3)
LX 77.1 (±8.0)
그 결과, 표 3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근육(muscle) 조직에서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3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근육 조직에서 리포푸신의 염색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근육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5. LX-112의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IL6)의 양 감소
실시예 7-5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의 양을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Kit, 구입처-R&D Systems)으로 측정하였다. 표 40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41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IL6
(Fold)
- 1.0 (±1.1)
DOX 11.7 (±0.5)
IL6
(%)
- 100.0 (±38.4)
LX 69.8 (±12.2)
그 결과, 표 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혈청에서 IL6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4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혈청에서 IL6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혈청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6. LX-112의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들의 양 감소
실시예 7-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IL6, CXCL1, CXCL10, IL1β 등에 대한 qRT-PCR을 수행 및 분석하였다. 표 42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43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IL6, CXCL1, CXCL10, IL1β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43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mRNA (Fold) IL6 CXCL1 CXCL10 IL1β
Liver - 1.0 (±0.5) 1.0 (±0.6) 1.0 (±0.3) 1.0 (±0.5)
DOX 1.8 (±0.3) 3.0 (±0.9) 2.6 (±0.9) 1.6 (±0.3)
eWAT - 1.0 (±0.5) 1.0 (±0.2) 1.0 (±0.4) 1.0 (±0.5)
DOX 3.2 (±3.3) 1.3 (±0.4) 3.0 (±1.2) 1.6 (±2.2)
mRNA (%) IL6 CXCL1 CXCL10 IL1β
Liver - 100.0 (±35.4) 100.0 (±38.5) 100.0 (±13.6) 100.0 (±28.4)
LX 42.0 (±23.5) 68.0 (±21.1) 84.0 (±11.5) 42.0 (±35.2)
eWAT - 100.0 (±38.4) 100.0 (±8.5) 100.0 (±38.7) 100.0 (±78.7)
LX 48.6 (±12.5) 94.8 (±1.2) 74.0 (±11.0) 38.0 (±37.0)
그 결과, 표 4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및 부고환지방(eWAT) 등의 장기 조직에서 IL6, CXCL1, CXCL10, IL1β의 mRNA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4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각각의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IL6, CXCL1, CXCL10, IL1β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7. LX-112의 항암제에 따른 피로 및 쇠약, 체중 감소 개선
실시예 7-7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에서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피로 및 쇠약을 분석하기 위하여 활동성 평가(open field test), 지구력 평가(wire hanging test), 근력 및 악력 평가(grip strength test)를 수행하였다. 표 44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45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쇠의 판단 기준인 활동성 평가, 지구력 평가, 근력 및 악력 평가를 각각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표 46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한 조건에서 체중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5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평가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평가의 양과 비교하였다.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Wire Hanging Test
Time (Sec)
Grip Sterenght Test
Strength (N)
- 11.9 (±4.2) 69.0 (±7.0) 1.3 (±0.1)
DOX 4.9 (±2.2) 32.0 (±11.0) 0.7 (±0.1)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Wire Hanging Test
Time (Sec)
Grip Sterenght Test
Strength (N)
- 100.0 (±22.0) 100.0 (±25.0) 100.0 (±29.0)
LX 129.0 (±15.0) 127.0 (±15.0) 122.0 (±18.0)
Mean Body Weight (g) - DOX DOX+LX
26.5 (±5.7) 21.3 (±2.6) 22.8 (±3.1)
그 결과, 표 44 내지 4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활동성, 지구력, 근력 및 악력이 증가하였고, 체중 감소가 개선되었다. 또한, 근육 조직에서 노화관련 퇴행성 표지인자인 리포푸신(표 38 및 39) 등도 LX-112의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마우스의 피로 및 쇠약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개선 효과와 일치하는 사실로서, 표 46 결과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된 마우스의 체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8. LX-112의 항암제에 따른 간 손상 개선
실시예 7-5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에서 간 손상시 혈액으로 유리되어 나오는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transaminase)의 양을 키트(구입처-Sigm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설명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으로 측정하였다. 표 47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48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간 손상 표지인자인 AST 및 ALT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48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과 비교하였다.
Fold AST ALT
- 1.0 (±0.1) 1.0 (±0.1)
DOX 1.3 (±0.0) 1.4 (±0.5)
% AST ALT
- 100.0 (±14.4) 100.0 (±9.2)
LX 78.0 (±17.3) 72.2 (±14.1)
그 결과, 표 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혈청에서 AST 및 ALT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4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혈청에서 AST 및 ALT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간 손상 및 기능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9. LX-112의 항암제에 따른 신장 손상 개선
실시예 7-8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에서 신장 손상 표지인자인 요소(urea)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양을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으로 측정하였다. 표 49는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신장 손상 표지인자인 요소, 크레아티닌, Agtr1a mRNA을 각각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각각의 인자의 양과 비교하였다.
% Urea Creatinine Agtr1a mRNA
- 100.0 (±0.2) 100.0 (±5.0) 100.0 (±6.0)
LX 91.2 (±1.2) 89.0 (±4.0) 75.0 (±9.0)
그 결과, 표 4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요소, 크레아티닌, Agtr1a mRNA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항암제의 처리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신장 손상 및 기능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비만에 의해 유도된 노화 마우스에서 LX-112의 노화세포 제거 및 관련 노화 억제 활성
실시예 9-1. 비만에 의해 유도된 노화 마우스 모델의 확립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15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구입처-잭슨연구소)를 1주일 동안 실험 환경에 적응시킨 후, 마우스를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LX-112는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어서 21일 동안 매일 70 mg/kg 농도로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로 용액만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종료 후, 하기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표 50은 고지방식이(DIO)으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비만을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체중, 각각의 지방 조직인 부고환지방(eWAT), 서혜부지방(iWAT), 피하지방(asWAT), 장간막지방(mWAT), 견갑골 사이 갈색지방(iBAT)의 무게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Body Weight (g) eWAT (mg) iWAT (mg) asWAT (mg) mWAT (mg) iBAT (mg)
- 20.7
(±0.1)
169.1
(±70.1)
188.4
(±2.1)
205.6
(±88.4)
96.6
(±19.1)
100.5
(±35.9)
DIO 41.5
(±3.8)
2437.4
(±161.4)
1471.9
(±162.8)
1269.6
(±24.7)
1018.3
(±481.5)
344.7
(±140.7)
그 결과, 표 5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과 함께 각종 부위의 지방 조직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비만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2. LX-112의 노화관련 표지인자(p16)의 양 감소
실시예 7-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각 부위의 장기 조직에서 RNA 추출하여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qRT-PCR(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수행 및 분석하였다. 표 51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52는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52는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p16 및 p21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Fold Liver Muscle Lung Skin eWAT iWAT asWAT iBAT
p16
mRNA
- 1.0
(±0.1)
1.0
(±0.6)
1.0
(±0.3)
1.0
(±0.3)
1.0
(±0.4)
1.0
(±0.0)
1.0
(±0.2)
1.0
(±1.0)
DIO 1.2
(±0.5)
2.2
(±0.2)
1.1
(±0.2)
1.3
(±0.5)
3.3
(±2.2)
1.2
(±0.1)
1.2
(±0.2)
2.1
(±1.0)
p21 mRNA - 1.0
(±0.7)
1.0
(±0.1)
1.0
(±0.2)
1.0
(±0.1)
1.0
(±0.4)
1.0
(±0.5)
1.0
(±0.8)
1.0
(±0.1)
DIO 20.4
(±1.9)
1.2
(±0.1)
1.1
(±0.2)
1.2
(±0.0)
1.7
(±0.3)
2.9
(±0.2)
1.2
(±0.3)
1.4
(±1.1)
% Liver Muscle Lung Skin eWAT iWAT asWAT iBAT
p16
mRNA
- 100.0
(±3.4)
100.0
(±4.7)
100.0
(±5.5)
100.0
(±1.6)
100
(±3.0)
100.0
(±3.4)
100.0
(±1.5)
100.0
(±1.3)
LX 71.3
(±4.5)
77.8
(±7.9)
81.0
(±3.0)
79.1
(±3.0)
61.2
(±4.3)
79.1
(±7.0)
84.1
(±3.3)
89.2
(±2.6)
p21 mRNA - 100.0
(±7.9)
100.0
(±9.4)
100.0
(±9.6)
100.0
(±9.4)
100.0
(±8.2)
100.0
(±4.5)
100.0
(±6.2)
100.0
(±4.3)
LX 62.9
(±9.7)
73.2
(±7.2)
79.3
(±8.4)
78.1
(±9.2)
67.2
(±6.8)
71.2
(±3.3)
82.1
(±7.7)
70.0
(±6.1)
그 결과, 표 5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근육(muscle), 폐(lung), 피부(skin), 부고환지방(eWAT), 서혜부지방(iWAT), 피하지방(asWAT), 견갑골 사이 갈색지방(iBAT) 등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 및 p21의 mRNA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5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각종 장기 조직에서 p16 및 p21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비만에 따른 노화에 의해서 마우스에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각종 장기 조직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p21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3. LX-112의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IL6)의 양 감소
실시예 7-5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청(serum)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액티빈A(activin A)의 양을 효소결합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Kit, 구입처-R&D Systems)으로 측정하였다. 표 53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54는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액티빈A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Fold IL6 Activin A
- 1.0 (±0.6) 1.0 (±0.5)
DIO 2.0 (±0.5) 2.9 (±1.2)
% IL6 Activin A
- 100.0 (±9.2) 100.0 (±13.2)
LX 51.8 (±14.2) 64.5 (±12.3)
그 결과, 표 5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혈청에서 IL6 및 액티빈A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5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혈청에서 IL6 및 액티빈A의 양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비만에 따른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혈청에서 증가하는 노화관련 염증 분비인자(SASP)인 IL6 및 액티빈A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4. LX-112의 비만에 따른 불안과 우울증 및 무기력증 개선
비만에 의한 불안 및 우울증은 증가된 체중과는 인과 관계가 없고, 노화세포의 축적이 원인임이 규명되었다. 이에, 실시예 7-7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에서 비만에 의해서 발생하는 불안 및 우울증으로 인한 무기력증을 분석하기 위하여 활동성 평가(open field test)를 수행하였다. 표 55는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56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불안 및 우울증으로 인한 무기력증의 판단 기준인 활동성 평가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표 56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활동성 평가의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활동성 평가의 양과 비교하였다.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 7.3 (±0.4)
DIO 2.8 (±0.0)
Open Field Test Time in Center (%) - 100.0 (±21.0)
LX 137.0 (±15.0)
그 결과, 표 5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서 활동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표 5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활동성이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비만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비만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우스의 불안과 우울증 및 무기력증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5. LX-112의 비만에 따른 지방간 개선
실시예 7-4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간(liver) 조직에서 절편을 제작하여 지방 축적을 오일레드오(Oil Red O)로 염색하였다. 표 57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기 이전 및 이후에, 표 58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를 유도하고 LX-112를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지방간의 판단 기준인 오일레드오의 염색 면적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58은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후의 오일레드오의 염색 면적을 100%로 산정해서, LX-112를 처리한 후의 오일레드오의 염색 면적과 비교하였다.
Oil Red O
(Fold)
- 5.8 (±1.4)
DIO 47.7 (±4.2)
Oil Red O
(%)
- 100.0 (±11.3)
LX 74.0 (±7.3)
그 결과, 표 5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오일레드오의 염색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 5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만에 의해서 노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LX-112를 처리하면 오일레드오의 염색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LX-112가 비만에 의해서 마우스의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축적된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노화세포 제거 및 관련 노화 억제 활성을 가지는 LX-112의 변이체 셀레늄 화합물 확보
실시예 10-1. LX-114, LX-115, LX-116, LX-117, LX-128의 노화세포 제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독소루비신 및 대조군을 처리하고 배양한 세포에 LX-114(구입처-REONSIMI), LX-115(구입처-REONSIMI), LX-116(구입처-REONSIMI), LX-117(구입처-REONSIMI), LX-128(구입처-Abcam) 등 각각의 조성물을 0 μM, 1.1 μM, 3.3 μM,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구입처 Promega)를 이용해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표 59 및 표 60은 인간유래 포피세포에 독소루비신(DOX) 또는 대조군을 처리한 다음, LX-114, LX-115, LX-116, LX-117, LX-128 등 각각의 조성물을 처리한 후의 세포 생존률 및 성장률을 나타낸 결과이다.
Survival (%) 0 μM 1.1 μM 3.3 μM 10 μM
LX-114 100.8 (±5.1) 69.1 (±2.3) 27.4 (±5.1) 6.2 (±3.4)
LX-115 100.1 (±8.1) 68.9 (±3.9) 24.2 (±6.7) 3.1 (±4.9)
LX-116 100.2 (±6.9) 51.5 (±6.7) 21.9 (±5.9) 3.1 (±7.8)
LX-117 100.4 (±8.3) 59.4 (±2.1) 25.6 (±6.6) 3.9 (±2.9)
LX-128 100.0 (±3.0) 96.0 (±5.4) 89.0 (±4.2) 58.0 (±6.1)
Growth (%) N0 0 μM 1.1 μM 3.3 μM 10 μM
LX-114 100.3
(±3.9)
260.4
(±14.4)
204.7
(±9.3)
163.7
(±14.2)
121.7
(±21.1)
LX-115 100.7
(±1.9)
249.7
(±11.1)
195.3
(±7.1)
174.5
(±16.9)
116.0
(±19.4)
LX-116 100.6
(±4.1)
261.9
(±19.3)
199.1
(±9.3)
163.2
(±19.4)
126.9
(±17.8)
LX-117 100.2
(±5.8)
257.7
(±14.9)
197.1
(±8.4)
165.4
(±21.0)
126.8
(±15.8)
LX-128 100.0
(±24)
301.0
(±8.9)
298.4
(±11.2)
290.6
(±20.1)
259.4
(±11.7)
그 결과, 표 5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소루비신을 처리해서 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 셀레늄을 포함하는 LX-114, LX-115, LX-116, LX-117, LX-128 등의 조성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생존률이 감소하였다. 또한, 표 6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을 처리해서 노화가 유도되지 않은 세포에서 모든 조성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률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고, 정상적으로 세포가 성장하고 있었다. 이로부터, 셀레늄을 포함하는 LX-112 변이체 조성물이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이와 더불어, 노화세포에서 활성산소종(ROS)의 발생을 분석하였다. LX-112, LX-114, LX-115, LX-116, LX-117 등 각각의 조성물을 30 μM 농도로 처리하고 배양한 세포에 DCFDA/H2DCFDA(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구입처-Abcam)를 20 μM로 처리하고 37℃에서 45분간 반응시켰다. 형광 염색된 세포는 플레이트 판독기(SpectraMax ID3, Ex/Em=485 nm/535 nm, 구입처-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조성물(LX-112, LX-114, LX-115, LX-116, LX-117)이 노화세포의 사멸 유도시 화합물을 처리하기 전과 비교해서 활성산소종이 1.8~2.1배 정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셀레늄을 포함하는 LX-112 변이체 조성물이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킴으로써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노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2. LX-114, LX-115, LX-116, LX-117의 노화관련 표지인자(p16) 및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의 양 감소
실시예 7-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노화된 마우스에 LX-114, LX-115, LX-116, LX-117을 0.5% CMC-Na 용액(구입처-Sigma)에 섞어서 21일 동안 매일 70 mg/kg 농도로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로 용액만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종료 후, 하기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7-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간(liver) 조직에서 RNA 추출하여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 및 분석하였다. 표 61은 자연적인 노화를 유도하고 LX-114, LX-115, LX-116, LX-117을 처리하지 않은 및 처리한 조건에서,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MMP3의 mRNA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표 61은 자연적인 노화가 유도된 후의 p16 및 MMP3의 mRNA 양을 100%로 산정해서, LX-114, LX-115, LX-116, LX-117을 처리한 후의 p16 및 MMP3의 mRNA 양과 비교하였다.
LX-114 LX-115 LX-116 LX-117
p16 mRNA (%) 76.9 (±3.6) 75.2 (±5.5) 63.0 (±7.0) 71.3 (±4.0)
MMP3 mRNA (%) 84.3 (±6.9) 81.2 (±6.3) 71.3 (±6.7) 69.3 (±7.2)
그 결과, 실시예 7-2 및 표 19 또는 실시예 7-6 및 표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연적인 노화에 의해서 마우스가 노화되면 간(liver) 조직에서 p16 및 MMP3의 mRNA 양이 증가되었으나, 이에 LX-114, LX-115, LX-116, LX-117을 처리하면 p16 및 MMP3의 mRNA 양이 감소하였다(표 61). 이로부터, LX-114, LX-115, LX-116, LX-117이 자연적인 노화에 의해서 마우스에 증가하는 노화세포를 제거함으로써, 노화관련 표지인자인 p16 및 노화관련 염증 및 섬유화증 분비인자(SASP)인 MMP3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Lifeceutix Co., Ltd. <120> COMPOSITION FOR REMOVING SENESCENT CELLS COMPRISING SELENIUM-CONTAINING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130> FPD/202205-0022 <150> KR 10-2021-0085169 <151> 2021-06-29 <160> 4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GAPDH <400> 1 ggaagggctc atgaccacag 20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GAPDH <400> 2 acagtcttct gggtggcagt g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p16 <400> 3 tgagctttgg ttctgccatt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p16 <400> 4 agctgtcgac ttcatgacaa g 21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p21 <400> 5 gagactaagg cagaagatgt agag 24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p21 <400> 6 gcagaccagc atgacagat 19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ACTA2 <400> 7 gtgaagaaga ggacagcact g 21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ACTA2 <400> 8 cccattccca ccatcacc 18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COL1A1 <400> 9 aagggacaca gaggtttcag tgg 23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COL1A1 <400> 10 cagcaccagt agcaccatca tttc 24 <210> 1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COL1A2 <400> 11 cttgcagtaa ccttatgcct agca 24 <210> 1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COL1A2 <400> 12 cccatctaac ctctctaccc agtct 25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FN1 <400> 13 tgtcagtcaa agcaagcccg 20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FN1 <400> 14 ttaggacgct cataagtgtc accc 24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beta-actin <400> 15 catccgtaaa gacctctatg ccaac 25 <210> 1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beta-actin <400> 16 atggagccac cgatccaca 19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p21 <400> 17 gcagatccac agcgatatcc a 21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p21 <400> 18 aacaggtcgg acatcaccag 20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IL1-alpha <400> 19 tccataaccc atgatctgga a 21 <210> 2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IL1-alpha <400> 20 ttggttgagg gaatcattca t 21 <210> 2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IL1-beta <400> 21 gtatgggctg gactgtttc 19 <210> 2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IL1-beta <400> 22 gctgtctgct cattcacg 18 <210> 2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CXCL1 <400> 23 accgaagtca tagccacact c 21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CXCL1 <400> 24 ctccgttact tggggacacc 20 <210> 2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CXCL10 <400> 25 gctgccgtca ttttctgc 18 <210> 2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CXCL10 <400> 26 tctcactggc ccgtcatc 18 <210> 2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MMP3 <400> 27 gttggagaac atggagactt tgt 23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MMP3 <400> 28 caagttcatg agcagcaacc a 21 <210> 2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MMP12 <400> 29 tgcactctgc tgaaaggagt ct 22 <210> 3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MMP12 <400> 30 gtcattggaa ttctgtcctt tcca 24 <210> 3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MMP13 <400> 31 aaggggataa cagccactac aa 22 <210> 3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MMP13 <400> 32 accaacataa aaattaagcc aaatg 25 <210> 3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MCP1 <400> 33 gcatctgccc taaggtcttc a 21 <210> 3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MCP1 <400> 34 gtggaaaagg tagtggatgc att 23 <210> 3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COL1A1 <400> 35 cagtcgattc acctacagca c 21 <210> 3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COL1A1 <400> 36 tggagggagt ttacacg 17 <210> 3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Agtr1a <400> 37 aagggccatt ttgcttttct 20 <210> 3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Agtr1a <400> 38 aactcacagc aaccctccaa 20 <210> 3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1_SDF1 <400> 39 tgccagagcc aacgtcaag 19 <210> 4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eunce for primer 2_SDF1 <400> 40 cagccgggct acaatctgaa 20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셀레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여기서
    R은 단일결합,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고;
    A는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그룹이거나, 페닐, 아민 또는 아마이드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15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콕시, 카복시, 아민, 또는 니트로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6

    여기서
    R은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고;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콕시, 카복시, 아민, 또는 니트로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17

    여기서
    R은 -(CH2)n- 또는 -(CH2)p-X-(CH2)q-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at00018

    [화학식 6]
    Figure pat00019

    여기서
    n은 1 내지 8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S-, -Se- 또는 페닐렌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 내지 13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7]
    Figure pat00020

    [화학식 8]
    Figure pat00021

    [화학식 9]
    Figure pat00022

    [화학식 10]
    Figure pat00023

    [화학식 11]
    Figure pat00024

    [화학식 12]
    Figure pat00025

    [화학식 13]
    Figure pat00026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또는 항암제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및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관련된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가 체세포, 줄기세포 및 질병으로 비정상적으로 변한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염증, 섬유화증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가 간, 신장, 비장, 뇌, 폐, 근육, 피부 또는 지방으로부터 유래하는 장기 조직의 세포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이 노화관련 분비인자(SASP)의 발현 및 분비의 억제에 사용되는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이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의 억제 및 치료에 사용되는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가 노화세포와 관련된, 증식 질환 및 장애, 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환 및 장애, 신경 질환 및 장애, 대사 질환 및 장애, 심혈관 질환 및 장애, 폐 질환 및 장애, 신장 질환 및 장애, 간 질환 및 장애, 안구 질환 및 장애, 피부 질환 및 장애, 줄기세포 또는 장기 조직의 재생유지 관련 질환 및 장애, 외래이식 관련 질환 및 장애, 섬유화증 질환 및 장애, 경화증 질환 및 장애, β-갈락토시데이즈 관련 질환 및 장애, 기타 노인성 질환 및 장애, 스트레스에 의한 부작용 및 후유증 및 이로 인한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및 장애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관련 질환 및 장애가 노화세포와 관련된, 염증, 섬유화증, 경화증, 암, 항암제 또는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 노쇠, 근감소증, 지방위축증, 간 및 신장 손상 또는 피부 노화 및 이와 관련된 질환 및 장애인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와 관련된, 항암제 또는 비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이 피로 및 쇠약, 체중 감소, 불안과 우울증 및 무기력증, 또는 지방간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이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동물용 제품에 사용되는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이 체외에서 노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KR1020220079837A 2021-06-29 2022-06-29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KR20230002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401A KR102599625B1 (ko) 2021-06-29 2023-09-06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69 2021-06-29
KR20210085169 2021-06-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401A Division KR102599625B1 (ko) 2021-06-29 2023-09-06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09A true KR20230002109A (ko) 2023-01-05

Family

ID=849260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837A KR20230002109A (ko) 2021-06-29 2022-06-29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KR1020230118401A KR102599625B1 (ko) 2021-06-29 2023-09-06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 제거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401A KR102599625B1 (ko) 2021-06-29 2023-09-06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02109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51C (zh) * 2001-06-08 2004-09-15 北京大学药学院 具有抗炎和抗肿瘤作用r-双或糖苯丙异硒唑取代化合物
CN100497324C (zh) * 2004-05-27 2009-06-10 武汉科艾硒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具有抗纤维化及抑制明胶酶活性的化合物及其应用
US20190307726A1 (en) * 2015-11-25 2019-10-10 Molecular Defenses Corporatio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bbins PD et al., Annuual Review of Pharmacological Toxicology 61, 779-803, 20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810A (ko) 2023-09-14
KR102599625B1 (ko)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10151A (ja) エクソソーム及びその多様な用途
JP6117915B2 (ja) ミゾコウジュの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stat3媒介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JP6640916B2 (ja) 抗炎症、骨形成及び発毛促進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KR101370670B1 (ko) 플라본 화합물의 15-하이드록시프로스타글란딘 탈수소효소 활성의 억제 효능 및 그의 용도
JP7042260B2 (ja) 皮膚炎症または老化を改善する新規のオートファジー作用活性化誘導化合物
JP2024040280A (ja) クローナル幹細胞を含むアトピー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WO2016046456A1 (fr) Utilisation dermocosmetique ou pharmaceutique d&#39;une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inhibiteur de certaines chimiokines
JP2015502381A (ja) [1,2,4]トリアゾロピリジンおよび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KR102599625B1 (ko) 셀레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 제거용 조성물
JP2012533537A (ja) コルホルシンダロパートを含む骨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927209B1 (ko) 멜라토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알러지 질환 또는 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282B1 (ko) 사이토칼라신 d 또는 sag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 물질 스크리닝 방법
JPWO2004024185A1 (ja) 医薬または化粧料
JP6184414B2 (ja) シリンガレシノールを含む血管老化抑制用組成物
KR101725461B1 (ko) 디오스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2014015429A (ja) サテライト細胞分化促進剤
CN113214097B (zh) 治疗阿尔茨海默病的化合物
JP6577581B2 (ja) Abh抗原の発現を調節する物質を含む組成物
KR20230068277A (ko) 노화세포 제거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10131942A (ko)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2014015428A (ja) サテライト細胞分化促進剤
JP6529791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KR102561856B1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3984A (ko) 노화세포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30278A (ko) 디아세틸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