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20A -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20A
KR20230001920A KR1020210085035A KR20210085035A KR20230001920A KR 20230001920 A KR20230001920 A KR 20230001920A KR 1020210085035 A KR1020210085035 A KR 1020210085035A KR 20210085035 A KR20210085035 A KR 20210085035A KR 20230001920 A KR20230001920 A KR 2023000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belt
roller
inle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이호영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08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20A/ko
Priority to PCT/US2022/014665 priority patent/WO2023277961A1/en
Publication of KR2023000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지지하는 중간 전사 롤러,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갭 링, 및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갭 링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intermediate transfer belt assembly with foreign substance container}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로 전사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칼라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복수의 감광체에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화상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감광체는 중간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와 대향된다. 중간 전사 벨트는 복수의 지지 롤러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토너 화상들은 복수의 감광체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를 거쳐서 인쇄 매체로 전사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 또는 중간 전사 롤러가 오염될 수 있다.
도 1은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V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2-X2'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용 부재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과정에서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가 중간 전사 벨트 및/또는 중간 전사 롤러를 오염시킬 수 있다. 현상기는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를 갖는다. 유효 화상 영역 외측의 양단부 영역의 씰링을 완벽하게 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주로 유효 화상 영역 외측의 양단부에서 토너의 누출이 발생될 수 있다. 누출된 토너는 현상기와 대향된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를 향하여 낙하되어 중간 전사 벨트 및/또는 중간 전사 롤러를 오염시킬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및/또는 중간 전사 롤러의 오염은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계를 왜곡시켜 감광체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예의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는, 유효 화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되어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한다. 중간 전사 롤러는 중간 전사 벨트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를 지지한다.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에는 갭 링이 마련된다. 수용 부재는 입구를 구비하며 갭 링의 하부에 위치된다. 현상기로부터 낙하되는 토너 등의 이물질은 입구를 통하여 수용 부재에 수용된다. 토너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고 수용 부재에 수용되므로, 토너 등의 이물질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 및/또는 중간 전사 롤러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V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일 예는, 중간 전사 벨트(60),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를 지지하는 중간 전사 롤러(61),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갭 링(65), 입구(601)를 구비하며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수용 공간(602)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일 예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덮으며 갭 링(65)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701)가 마련된 씰링 커버(700),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6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용 부재(600)의 입구(601)는 씰링 커버(700)의 개구부(701)와 정렬될 수 있다. 수용 부재(600)는 프레임(69)과 함께 이물질의 수용 공간(602)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순환 주행되는 무한 벨트 형태이며, 전사 영역(60-1)과 그 반대쪽인 비전사 영역(60-2)을 구비한다. 전사 영역(60-1)은 후술하는 감광체와 대향되어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받는 영역이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W1)은 유효 화상 영역의 폭(EA)보다 크다. 유효 화상 영역은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영역, 즉 후술하는 감광체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영역이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한 쌍의 지지 롤러(62)(63)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예를 들어, 지지 롤러(62)는 구동 롤러일 수 있으며, 지지 롤러(63)는 종동 롤러일 수 있다. 텐션 롤러(64)는 지지 롤러(63) 부근에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에 텐션을 가한다. 텐션 롤러(64)에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가해진다. 한 쌍의 지지 롤러(62)(63)와 텐션 롤러(64)의 폭(W2)은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W1)보다 크다. 한 쌍의 지지 롤러(62)(63)와 텐션 롤러(64)는 프레임(69)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69)은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프레임(69a)(69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예를 들어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가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60)를 지지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지지 롤러(62)(63) 사이에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의 전사 영역(60-1)과 대향되게 위치된다. 중간 전사 롤러(61)는 회전축(61-4)과 롤러부(61-3)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부(61-3)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전사 영역(61-1)을 지지한다.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의 길이(L1)는 유효 화상 영역의 폭(EA)보다 크다.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의 길이(L1)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프레임(69)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는 각각 부쉬(61-1a)(61-1b)를 개재하여 한 쌍의 프레임(69a)(69b)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부쉬(61-1a)(61-1b)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회전축(61-4)에 삽입되며, 한 쌍의 프레임(69a)(69b)에 지지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전사 영역(60-1)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쉬(61-1a)(61-1b)는 프레임(69a)(69b)에 피벗 또는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으며, 스프링(61-2a)(61-2b)은 중간 전사 롤러(61)가 중간 전사 벨트(60)을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도록 부쉬(61-1a)(61-1b)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갭 링(65)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갭 링(65)은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롤러(61)의 회전축(61-4)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갭 링(65)은 원반형일 수 있다. 갭 링(65)의 외주부는 원형일 수 있다. 갭 링(65)은 후술하는 감광체와 중간 전사 롤러(61)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갭 링(65)의 외주부는 감광체에 접촉될 수 있다. 갭 링(65)은 유효 화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다.
수용 부재(600)는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되어 수용 공간(602)을 형성한다. 수용 부재(600)는 프레임(69)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일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수용 부재(600)가 각각 한 쌍의 프레임(69a)(69b)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 부재(600)는 입구(601)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수용 부재(600)는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입구(601)를 구비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수용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2개씩의 중간 전사 롤러(61)에 대응되는 2개의 수용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입구(601)는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된다. 갭 링(65)은 입구(601)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입구(601)는 유효 화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다. 입구(601)는 수용 공간(602)과 연통된다. 입구(601)를 통하여 토너 등의 이물질이 수용 공간(602)으로 들어갈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일 실시예는 씰링 커버(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씰링 커버(700)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씰링 커버(700)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덮도록 한 쌍의 프레임(69a, 69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씰링 커버(700)에는 갭 링(65)을 노출시키는 개구부(701)가 마련된다. 4개의 개구부(701)가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의 갭 링(65)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갭 링(65)는 개구부(701)를 통하여 노출되어 후술하는 감광체에 접촉될 수 있다. 수용 부재(600)의 4개의 입구(601) 각각은 씰링 커버(700)의 4개의 개구부(701)의 하부에 위치되며, 씰링 커버(700)의 4개의 개구부(701)와 정렬된다. 씰링 커버(700)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씰링 커버(70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60-3)를 덮을 수 있다. 씰링 커버(700)의 내측 가장자리(702)는 유효 화상 영역의 폭(EA)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 프레임(69a, 69b)에 결합된 한 쌍의 씰링 커버(700)의 내측 가장자리(702) 사이의 간격은 유효 화상 영역의 폭(EA)보다 크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과정에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은 감광체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60)로 전사된다. 현상기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토너층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는 현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현상 개구부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 롤러의 노출된 외주부는 감광체와 대향되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 롤러로부터 감광체 상의 정전 잠상으로 공급된다. 현상 롤러와 현상 개구부 사이의 틈새는 도시되지 않은 씰링 구조에 의하여 씰링된다. 그런데,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현상 개구부의 양단부 사이의 씰링이 완벽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통하여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유효 화상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다.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는 주로 갭 링(65) 부근으로 낙하된다.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회전축(61-4)에 묻을 수 있다. 중간 전사 롤러(61)가 회전됨에 토너가 비산되어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 및 중간 전사 벨트(60)를 오염시킬 수 있다. 중간 전사 롤러(61)에는 감광체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0)로 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체와 중간 전사 롤러(61) 사이에 중간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 및 중간 전사 벨트(60)가 오염되면,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 및 중간 전사 벨트(60)의 전기 저항이 변하고, 이에 의하여 중간 전사 전계가 왜곡될 수 있다. 그러면, 감광체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 및 중간 전사 벨트(60)가 오염으로 인한 중간 전사 전계의 왜곡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심해질 수 있다.
본 예의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에는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600)가 마련된다. 수용 부재(600)의 입구(601)는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된다. 현상기로부터 낙하되는 토너가 입구(601)를 통과하여 수용 부재(600) 내부의 수용 공간(602)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된 토너의 비산으로 인한 중간 전사 롤러(61) 및 중간 전사 벨트(60)의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전사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예의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에 따르면,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덮는 씰링 커버(700)가 마련된다. 씰링 커버(70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의 가장자리(60-3)를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씰링 커버(70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 내부,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으로의 토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가 수용 부재(600)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 부재(600)의 입구(601)의 크기는 씰링 커버(700)의 개구부(70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X1-X1'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2-X2'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BD)을 기준으로 하여, 입구(601)의 폭(603)은 개구부(701)의 폭(703)보다 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전사 롤러(61)의 길이 방향(RD), 즉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입구(601)의 폭(604)은 개구부(701)의 폭(704)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부재(600)는 씰링 커버(700)의 개구부(701)와 대향되는 상부벽(610)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601)는 상부벽(6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구(601)는 상부벽(610)으로부터 상방으로, 개구부(701)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벽(6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입구(601)의 폭(603)(604)은 입구(601)의 개구부(701)와 가까운 단부의 폭을 의미한다.
입구(601)는 개구부(701)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벽(620)은 입구(601)의 단면적이 개구부(701)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도록 상부벽(61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구(601)의 개구부(701)에 가까운 단부의 단면적이 커서 개구부(701)를 통하여 낙하되는 토너 등의 이물질은 입구(601)를 통과하여 용이하게 수용 부재(600) 내부의 수용 공간(602)에 수용될 수 있다. 반면에, 입구(601)의 개구부(701)로부터 먼 단부, 다시 말하면 입구(601)의 상부벽(610)과 접하는 단부의 단면적이 작아서 수용 공간(602)에 수용된 토너 등의 이물질이 입구(60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분리한 경우,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가 세워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입구(601)의 상부벽(610)과 접하는 단부의 단면적이 작으므로 수용 부재(600)로부터 토너 등의 이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부재(600)는 프레임(69a)과 대향되는 측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프레임(69a)은 수용 부재(600)와 함께 수용 공간의 일측벽,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롤러(61)의 길이 방향(RD)의 일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용 부재(600)의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5는 수용 부재(600)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예의 수용 부재(600)는 일측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부는 수용 부재(600)가 프레임(69)에 결합되면 프레임(69)에 의하여 막힌다. 따라서, 수용 부재(600)와 프레임(69)이 함께 수용 공간(602)을 형성한다. 수용 부재(600)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구(60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부재(600)는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입구(601-1, 601-2, 601-3, 601-4)를 구비한다. 수용 공간(602)은 4개의 입구(601-1, 601-2, 601-3, 601-4)에 공통되게 대응되는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수용 공간(602)은 4개의 입구(601-1, 601-2, 601-3, 601-4) 각각에 대응되도록 4개로 구분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수용 공간(602)은 한 개의 입구(601-1), 두 개의 입구(601-2, 601-3), 및 한 개의 입구(601-4)에 각각 대응되는 3개(602-1, 602-2, 602-3)로 구분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 입구(601)와 수용 공간(602)을 구비하고,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수용 부재(600)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칼라 화상을 인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를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감광체)(21),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60),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 드럼(21)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감광 드럼(21)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갭 링(65), 및 상기 복수의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수용 공간(602)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는 복수의 현상기(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2)는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본체(1)에는 노광기(13), 전사기, 및 정착기(1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에는 화상이 형성될 인쇄 매체(P)를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인쇄 매체 이송유닛이 마련된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복수의 현상기(2)는 예를 들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4 개의 현상기(2)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현상기(2)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는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에 각각 수용되고,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4 개의 현상기(2)로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공급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 개의 현상기(2)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예의 현상기(2)는 일체형 현상기이다. 현상기(2C)(2M)(2Y)(2K)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를 통하여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현상기(2)는 감광유닛(2-1)과 현상유닛(2-2)을 구비할 수 있다.
감광유닛(2-1)은 감광드럼(21)을 포함한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유닛(2-1)은 대전롤러(23)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하, 클리닝 블레이드(25)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토너와 이물질을 폐토너라 한다. 폐토너는 폐토너 수용부(26)에 수용된다.
현상유닛(2-2)는 토너 수용부(29)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유닛(2-2)은 토너 수용부(29)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2)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롤러(2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한다. 현상롤러(22)에는 토너를 감광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N)을 형성하는 접촉 현상방식에 채용된다. 공급롤러(27)는 토너 수용부(29)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롤러(27)에는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현상유닛(2-2)은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서로 접촉된 현상닙(N)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규제부재(28)는 예를 들어,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현상 롤러(2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닥터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3)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사기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와, 전사롤러(6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각 현상기(2C)(2M)(2Y)(2K)의 감광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60)로 일시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지지 롤러(62)(63) 및 텐션 롤러(64)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2C)(2M)(2Y)(2K)의 감광드럼(21)과 대면되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61)가 배치된다. 갭 링(65)은 감광 드럼(21)에 접촉되어 감광드럼(21)과 중간 전사 롤러(6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4 개의 중간 전사 롤러(61)에는 감광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66)는 중간 전사 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전사롤러(66)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지지 롤러(63)와 대향된다. 탄성 부재(67)는 전사롤러(66)를 지지 롤러(63) 쪽으로 가압하여 전사닙을 형성시킨다. 전사롤러(66)에는 중간 전사 벨트(60)에 중간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대전롤러(23)를 이용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13)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4 개의 광빔을 현상기(2C)(2M)(2Y)(2K)의 감광드럼(2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2C)(2M)(2Y)(2K)의 현상롤러(22)는 대응되는 감광드럼(21)에 각각 C, M, Y, K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60)로 중첩 전사된다. 적재대(17)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한 장씩 인출되며, 피드롤러(18)에 의하여 전사롤러(66)와 중간 전사 벨트(60)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66)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 위에 중첩 전사된 토너화상들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 매체(P)가 정착기(15)를 통과하면, 토너화상들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현상기(2)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위에 위치된다. 현상 롤러(22)는 현상기 하우징(24)에 마련된 현상 개구부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 롤러(22)와 현상기 하우징(24) 사이의 틈새는 도시되지 않은 씰링 구조에 의하여 씰링되나, 현상 롤러(2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현상기 하우징(24) 사이의 씰링이 완벽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현상 롤러(2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통하여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현상기(2)가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의 위에 위치되므로, 현상기(2)로부터 누출된 토너는 중력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로 낙하된다.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는 주로 갭 링(65) 부근으로 낙하된다.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롤러부(61-3) 및 중간 전사 벨트(60)를 오염시켜 전사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되는 동안에 본체(1)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며, 현상기로부터 누출된 토너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 내부에서 비산되어 본체(1) 내부의 부품들을 오염시키거나 본체(1)에 마련된 에어 벤트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누출될 수도 있다.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를 수용하는 복수의 갭 링(65)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입구(601)를 구비하는 수용 부재(600)를 포함한다. 현상기(2)로부터 낙하되는 토너가 복수의 입구(601)를 통과하여 수용 부재(600) 내부의 수용 공간(602)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된 토너로 인한 중간 전사 롤러(61) 및 중간 전사 벨트(60)의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전사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산된 토너가 본체(1)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중간 전사 롤러(61)의 양단부를 덮는 씰링 커버(700)를 구비할 수 있다. 씰링 커버(70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 내부,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으로의 토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토너가 수용 부재(600)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 부재(600)의 입구(601)의 크기는 씰링 커버(700)의 개구부(70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601)는 개구부(701)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의 입구(601)는 개구부(701)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상부벽(61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벽(6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구(601)를 통하여 토너 등의 이물질은 용이하게 수용 부재(600) 내부의 수용 공간(602)에 수용될 수 있는 반면에, 수용 공간(602)에 수용된 토너 등의 이물질이 입구(60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로부터 분리한 경우,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6)가 세워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입구(601)의 상부벽(610)과 접하는 단부의 단면적이 작으므로 수용 부재(600)로부터 토너 등의 이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지지하는 중간 전사 롤러;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갭 링;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갭 링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를 덮으며, 상기 갭링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된 씰링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입구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구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큰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구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큰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인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커버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덮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8.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각각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갭 링;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를 덮으며, 상기 복수의 갭링이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마련된 씰링 커버;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복수의 개구부와 정렬되는 복수의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갭 링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이물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연장벽을 포함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커버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덮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12.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갭 링;
    상기 복수의 갭 링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양단부를 덮으며, 상기 복수의 갭링이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마련된 씰링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입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입구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개구부 각각보다 큰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연장벽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커버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를 덮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0085035A 2021-06-29 2021-06-29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KR20230001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35A KR20230001920A (ko) 2021-06-29 2021-06-29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PCT/US2022/014665 WO2023277961A1 (en) 2021-06-29 2022-02-01 Intermediate transfer belt assembly with foreign substanc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35A KR20230001920A (ko) 2021-06-29 2021-06-29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20A true KR20230001920A (ko) 2023-01-05

Family

ID=8469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035A KR20230001920A (ko) 2021-06-29 2021-06-29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1920A (ko)
WO (1) WO20232779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824A (en) * 1995-12-18 1998-03-24 Xerox Corporation Ink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nk jet printer
JP4053487B2 (ja) * 2003-09-30 2008-02-2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8065913B2 (en) * 2008-09-30 2011-11-29 Xerox Corporation Ink level sensor
EP2586334A1 (en) * 2011-10-31 2013-05-01 Elfa International AB Holding device
KR102079823B1 (ko) * 2017-01-19 2020-02-2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200112115A (ko) * 2019-03-21 2020-10-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구동 롤러와 백업 롤러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중간 전사 벨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961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5473227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2005232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85967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8078081B2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a belt cleaning unit
US11221569B2 (en)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sealing member
KR20050037727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KR20230001920A (ko)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JP710134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551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rame unit thereof including a particle management device
JP7116911B2 (ja) 押圧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37728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KR20230007169A (ko) 수용부로부터 이물질의 누출을 막는 셔터 구조를 갖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
JP4429715B2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
US10488785B2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US78764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0950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KR0126194Y1 (ko) 현상기의 토너 실링 장치
KR20190121746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806685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325604A (ja) シール構造
KR20070062715A (ko) 현상카트리지
JP201522792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113161A (ko) 화상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70035842A (ko) 화상형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