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09A -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09A
KR20230001809A KR1020210084808A KR20210084808A KR20230001809A KR 20230001809 A KR20230001809 A KR 20230001809A KR 1020210084808 A KR1020210084808 A KR 1020210084808A KR 20210084808 A KR20210084808 A KR 20210084808A KR 20230001809 A KR20230001809 A KR 2023000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ter
weight
gum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혜림
홍인석
주영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09A/ko
Publication of KR2023000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검; 다가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클레이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및 안정화제로서 수용성 검을 포함하여 양쪽성 게면활성제를 포함했을 때 점도가 하향되고 씻김성이 잘 되지 않는 사용성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상기 수용성 검과 광물성 파우더가 수상에 분산되면서 체인 모양을 형성하고 그 안에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고온에서 정전기적 반발력을 향상 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점경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씻김성과 보습능을 상향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Mask 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lay packs with amphoteric surfactant applied}
본 발명은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되어 클렌징이 용이한 워시오프 클레이 마스크 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시오프 타입에 클레이를 포함하되, 클렌징 효과가 있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접목하여 물세안을 한 뒤에 별도의 클렌징이 필요없어 미용단계를 줄이고 점도 저하를 방지하여 사용감 및 보습력을 개선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토너, 로션,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과 함께 스페셜 케어 목적으로 시트 마스크와 워시오프 마스크와 같은 팩 제품군을 사용한다. 팩의 기능으로는 제형마다 차이가 있지만 피부의 노폐물의 물리적 제거, 피부 혈행 개선, 보습 등의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를 말하는 것으로 '감싼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용법에 따라 단시간 도포 후 씻어내는 워시오프 타입, 다음날 아침 씻어내는 수면팩 타입, 단시간 도포 후 형성된 막을 제거하는 필오프 타입이 있다. 워시오프 타입 중 클레이가 함유된 제품은 피부 표면에 있는 노폐물을 클레이가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피부 케어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코로나 19 등 피부 트러블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제품군이다. 다만, 제형적인 안정도의 문제와 다량의 클레이 사용으로 사용후 건조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머드를 포함하는 클레이의 사용감, 발림성을 구현하는 원료는 주로 카올린, 벤토나이트 계열의 광물성 파우더로 물보다 비중이 높아 가라앉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클레이 특성상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 부착력이 높아 세안이 어려운 단점과 사용 후 건조하다는 단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 성분을 적용했으나 경우에 따라 점도 저하로 인한 안정도 확보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3484호 한국공개특허 제10-165030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7083호
본 발명은 광물성 파우더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이 용이한 워시오프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검; 다가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인,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1.0 내지 40중량%, 상기 수용성 검은 0.1 내지 1.0 중량, 상기 다가 알코올은 1 내지 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저하 방지 및 세정력 향상, 보습력 향상은 수용성 검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카올린,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쿼터늄 및 미리스타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 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구아 검, 캐럽콩 검, 만난 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데하이드로잔탄검 및 하이드록시프로필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보습제, 금속 이온 봉쇄제, 수상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및 수용성 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혼합물에 광물성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고 가온 용융하는 단계(S2); 및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에 60 내지 85℃에서 용해한 세테아릴 알코올,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파우더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이 용이한 워시오프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 저하 방지, 씻김성 개선제로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과도한 부착 현상으로 인한 씻김의 어려움과 제조시 경도저하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피부 노폐물 흡착 및 제거로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도와 보습력이 증대되는 사용감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보습력을 확인한 그래프 이미지이다.
사용자들의 클레이 팩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씻김성의 문제와 제형에 적용에 따른 구현 문제, 보습력 구현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자들은 안정적이면서도 우수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클레이 팩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세정 성분을 도입하여 팩 사용 후 워시오프력 상승과 보습력이 증대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클레이 성분은 세안 후 물기가 없는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노폐물과 모공 내 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세정 시 잘 닦여 나가지 않거나 잔여감으로 인해 클렌징 제품으로 다시 세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 불현함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보습 성분과 함께 세정 성분으로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과 미리스타민옥사이드를 본 발명에 제시한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점도 상승과 우수한 보습력을 가진 클레이 팩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검; 다가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1.0 내지 40중량%, 상기 수용성 검은 0.1 내지 1.0 중량, 상기 다가 알코올은 1 내지 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저하 방지 및 세정력 향상, 보습력 향상은 수용성 검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검과 광물성 파우더인 카올린 또는 벤토나이트가 1종 이상이 수상에 분산되면서, 수용성 검이 체인 구조를 형성하고, 광물성 파우더 내의 미네랄 성분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으로 점도를 형성 하여, 조성물 내에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뒤, 세안할 때 적용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씻김성을 상승시켜 보다 쉽게 세안이 가능할수록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이자 안정화제로, 수용성 검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 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구아 검, 캐럽콩 검, 만난 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데하이드로잔탄검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잔탄 검을 사용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검을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 파우더가 가라앉음으로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검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검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안정화 효과가 미비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이 강해져 광물성 파우더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광물성 파우더로 카올린,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일라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물성 파우더는 수분산 되어 점증제와 계면활성제 또는 염 성분과 상호작용으로 점증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1.0 중량% 내지 4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내지 10.0 중량%, 3.0 중량% 내지 10.0 중량%, 3.0 중량% 내지 20.0 중량%, 3.0 중량% 내지 30.0 중량%, 3.0 중량% 내지 40.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광물성 파우더를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피지 흡착능 등의 효과가 미비하고 40.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분산성이 나빠지고 안정도 확보가 어려워 진다.
상기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라이콜, 또는 부틸렌 글라이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보습력이 부족하고 경도 형성이 용이하지 않아 경도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감 및 정제수 함량이 줄어들어 제형 분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베타인계열, 구체적으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쿼터늄 또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 설테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수중에서 작용기 부분이 이온성이 아닌 것을 말한다. 작용기 부분이 글리세릴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경도 생성 및 세정 능이 미비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이 우려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0.3 내지 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공정은 60-85℃로 가온된 수상부에 광물성 파우더가 고온에서 분산된 다음에 투입하는 공정이 바람직하다. 수상부에 투입 후 광물성 파우더를 포함하면 광물성 파우더와 수용성 검류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경도 형성에 영향을 주어 오히려 안정도가 나빠진다. 45도 이하의 첨가물 부에 투입하게 되면 온도에 의한 경도 상승을 기대할 수 없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경도 상승 부분보다 낮은 경도를 얻게 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에는 세틸알코올과 같은 고상의 알코올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에스터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 PCA,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레시틴, 스쿠알렌,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2 헥산디올 또는 디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 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제형 면에서는 저온 안정도를 확보해주거나 파우더의 분산을 용이하게 해주고 사용시 또는 사용 후 보습력을 도와주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중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3.0 보다 미만일 경우에는 파우더 분산, 제형 안정도의 문제점이 있고, 20.0 보다 초과할 경우에는 물량이 부족해져서 파우더 분산이 용이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 이온 봉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또는 소듐파이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킬레이트제로 제형 내의 미량의 중금속을 포획하여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시켜 주거나, 미생물의 세포벽을 뚫어 방부제의 침투가 용이하게끔 만들어주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중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0.01 보다 미만일 경우에는 금속이온봉쇄제의 기능을 기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0.05 보다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천연유래추출물, 방부제로 사용되는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클레이 팩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워시오프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도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및 수용성 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혼합물에 광물성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고 가온 용융하는 단계(S2); 및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에 60 내지 85℃에서 용해한 세테아릴 알코올,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과 S2 단계에서 정제수 및 수용성 검은 상온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3 단계 전 6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고급 알코올,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 에스터 오일을 포함한 유상부는 투입 전 60 내지 85℃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3 단계에서는 S2 단계의 혼합물에 60 내지 85℃의 온도에서 유상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온도에서 혼합 및 첨가를 수행할 경우, 혼합물이 잘 분산되고 점도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이후 제형 형성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에 저급 알콜, 중화제, 실리콘 오일 또는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을 추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에서 혼합은 5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혼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실온에서 호모 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A상(수상부)을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 후 B상(파우더부)을 실온에서 투입 후 3500 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혼합된 B상을 60 내지 85℃로 가온한 뒤 같은 온도로 가온 용융된 C상(유상부)을 넣어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45℃로 냉각한 다음 D상(첨가부)을 넣은 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 실시예
(중량%)
A 정제수 To 100
소듐파이테이트 0.02
잔탄검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
B 벤토나이트 5.0
C 세테아릴알코올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0.5
미리스타민옥사이드 0.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
D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첨가물 적량
제조 결과, 크림 상의 클레이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최적 공정 확인을 위하여 표 1의 조성물을 바탕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으로 표 1과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분원료(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파이테이트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잔탄검 0.5 0.5 0.5 0.5 0.5 0.5 0.5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5.0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 - - - 0.5 - - -
미리스타민옥사이드 - - - - 0.5 - - -
벤토나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카올린 - 10.0 - - - - - 35.0
세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0.5 0.1 - - 0.5 - - -
미리스타민옥사이드 0.5 0.1 - - 0.5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 0.5 - - - 3.0 3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 - - - - 0.5 - -
미리스타민옥사이드 - - - - - 0.5 - -
제조 결과는 아래 실험 예 2 및 표 3에 자세히 기재하였다.
실험예 2. 제형 물성 확인
씻김성과 보습력이 우수한 클레이 팩 화장료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온 보관한 샘플을 제조 다음날 측정 가능한 기기에 맞게 점도 측정기(Brookfield LVT, Brookfield RVT), 경도 측정기(Sun Rheometer CR-3000EX-L, No.25, 15pi, T.Speed 2cm/min, S.ADJ.25mm)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점도 (단위, cps) 56,088
(Brookfield LVT, 4번 측정 봉, 6 rpm)
249,600
(Brookfield LVT, 4번 측정 봉, 1 rpm)
355,300 (Brookfield RVT, TE번 측정봉, 1 rpm) 9,898
(Brookfield LVT, 4번 측정 봉, 6 rpm)
7,498
(Brookfield LVT, 4번 측정 봉, 6 rpm)
31,493(Brookfield LVT, 4번 측정 봉, 6 rpm) 57,500
(Brookfield RVT, TF번 측정봉, 12 rpm)
24,610
(Brookfield RVT, TE번 측정봉, 12 rpm)
측정불가
경도 - - - - - - - 75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적 높은 점도를 얻을 수 있었고 크림상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6은 점액상 내지 로션상을 나타내었다. 이 때, 실시예 1는 광물성 파우더(벤토나이트)를 분산 후 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 것이고, 비교예 1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이며, 비교예 2는 수상부에 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 것이고, 비교예 3은 45℃ 이하일 때 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투입 온도와 순서에 따라 제형의 점도가 달라진다는 의미인데, 오히려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한 비교예 2는 추가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낮은 점도를 나타낸다. 즉, 수상에서 같이 혼합하면 잔탄검의 점도 형성에 악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제형의 외관이 충분히 만들어 진 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넣은 비교예 3을 보면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는 높지만 최적 공정으로 제조한 실시예 1보다 낮은 점도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고온(60 내지 85℃)에 투입하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진 상태에서 정전기적 반발력에 영향을 주어 점도 형성능이 더 상승됨을 알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실시예의 공정으로 벤토나이트와 잔탄검에 의한 점도 형성을 충분하게 한 후 고온 투입 교반한 다음 냉각하는 공정으로 진행해야 점도 저하를 방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 내지 5는 실시예 1 내지 2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고 계면활성제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으로 다량 설정하였다. 비록 실시예 1 보다 점도가 낮지만 로션상을 형성함으로써 제형이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본 업에서 요구하는 크림상과는 거리가 멀어 크림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 보완이 필요하다. 이 때, 불안정한 경우에는 제조 직후에 바로 분리가 되는 것으로, 제형 자체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 사용 직후 사용감 및 세안력 관능 평가
실시예의 씻김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클레이 마스크 1종을 선정하였다. 시중의 판매되고 있는 클레이 마스크의 전성분은 하기 표 4와 같으며, 벤토나이트, 카올린 등의 클레이 성분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 유상 성분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대조군으로 적합한 것으로 보여 선정하였다.
정제수, 칼라민, 카올린, 글리세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벤토나이트, 펜틸렌글라이콜, 사탕수수추출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몬모릴로나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이소파라핀, 카프릴리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라우레스-7,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옥탄디올, 잔탄검, 디소듐이디티에이, 향료
구체적으로, 20~35세의 전문패널 3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각 기준으로 아래 표에 따른 항목을 평가하였다. 표 5는 실시예 및 비교예, 대조군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피부 자극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24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 혹은 적합하다고 판정 : ◎
18-23명의 여성이 우수 혹은 적합하다고 판정 : ○
10-17명의 여성이 우수 혹은 적합하다고 판정 : △
10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 혹은 적합하다고 판정 : 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대조군
발림성
씻김용이성 X X X
세정력 X X X
세안 후 촉촉함 X X X X
피부 자극 여부 X X X X X X X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림성 부분은 대조군이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씻김성 및 세안 후 촉촉함은 실시예 1이 더 우수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표 6은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6, 대조군의 온도별 한달 안정도 평가 결과이다. 평가 방법은 육안 물성 변화(점도 및 경도 변화, 표면 변화, 색상 변화), 향취 변화 여부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대조군
냉장 1주
2주
4주
상온 1주
2주
4주
37°C 1주
2주
4주
45°C 1주
2주
4주 X X
○: 양호, △: 처음과 차이 있음, X: 성상 변화(분리, 현탁, 경도 변화, 사용감, 취 변화)
상기 표 5 내지 표 6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검을 적정량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사용감 평가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상온 및 고온(37, 45℃) 안정도에서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을 소량 포함한 비교예 4의 조성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을 과량 포함한 비교예 5의 조성물은 한달 고온에서 세정제 특이 취를 발생하였다. 이는 일정 함량 이상에서는 오히려 안정도를 저해하는 현상을 보여 상품성을 결여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4는 대부분의 성분은 유사하나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함량에 의해 피부 자극 부분이 만족스럽지 못했고, 비교예 5와 비교예 6에서는 비교예 5가 과도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적용으로 경도를 유지하기 위한 정전기적 반발력이 오히려 커져서 크림제형이 아닌 젤제형으로 구현되며 본 업계에서 요구하는 사용감 및 텍스쳐 구현을 위해 추가적인 처방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고, 피부 자극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성 비교를 위해 설정한 대조군과 비교예 1은 고온 안정도에서 수분이 표면에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품질이 좋지 못함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검이 모두 포함되면서 각각의 구성 비율이 적절하게 혼합될 경우, 경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광물성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중량%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수용성 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질 경우, 우수한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4. 화장료 조성물 사용 직후 보습력 평가
앞서 실시한 실험예 3의 세안 후 촉촉함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실시예의 보습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후 피부 보습력을 확인하는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방법으로 시험 전. 시험부위(하박 내측)를 비누로 세정한 후 항온 항습실(22±2℃, 40~60% RH)에 10분간 대기한 뒤 Epsilon으로 사용 전 보습력을 확인한다. 실시예와 대조군에 해당하는 제품을 피부에 골고루 8μl로 동일하게 도포한 후, 약 15분간 방치한 후 미온수로 세정한다. 10분간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한 뒤, 같은 기계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한 다음, 제품 사용 전/후의 피부 보습력을 분석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사용 후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조된 제품이 대조군보다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광물성 파우더; 양쪽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검; 다가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1.0 내지 40중량%, 상기 수용성 검은 0.1 내지 1.0 중량, 상기 다가 알코올은 1 내지 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카올린,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쿼터늄 및 미리스타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 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구아 검, 캐럽콩 검, 만난 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데하이드로잔탄검 및 하이드록시프로필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보습제, 금속 이온 봉쇄제, 수상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7. 정제수 및 수용성 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혼합물에 광물성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고 가온 용융하는 단계(S2); 및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에 60 내지 85℃에서 용해한 세테아릴 알코올,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물성 파우더는 1.0 내지 40중량%, 상기 수용성 검은 0.1 내지 1.0 중량, 상기 다가 알코올은 1 내지 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84808A 2021-06-29 2021-06-29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30001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08A KR20230001809A (ko) 2021-06-29 2021-06-29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08A KR20230001809A (ko) 2021-06-29 2021-06-29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09A true KR20230001809A (ko) 2023-01-05

Family

ID=8492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08A KR20230001809A (ko) 2021-06-29 2021-06-29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0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304B1 (ko) 2015-07-28 2016-08-25 주식회사 제닉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70033484A (ko) 2015-09-16 2017-03-27 주식회사 제닉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80127083A (ko)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레이 및 포스페이트염을 포함하는 워시오프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304B1 (ko) 2015-07-28 2016-08-25 주식회사 제닉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70033484A (ko) 2015-09-16 2017-03-27 주식회사 제닉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80127083A (ko)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레이 및 포스페이트염을 포함하는 워시오프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523B2 (en) Emollient skin conditioning cream and method
EP2308457B1 (en) Cleansing cosmetic preparation
JP2013014540A (ja) 保湿化粧料
JP5773783B2 (ja) 保湿化粧料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373177B2 (ja) 再分散型粉末分散化粧料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JP2012167035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KR102532929B1 (ko)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JP2002020267A (ja) 弱酸性皮膚洗浄料
KR20230001809A (ko)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3629339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JP2001072573A (ja) 洗顔用の化粧料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708B1 (ko) 발포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H0892032A (ja) 皮膚洗浄料
JP3527334B2 (ja) 化粧水
JPH10167948A (ja) 化粧料
JP2000191499A (ja) 保湿用皮膚化粧料
KR20140103576A (ko) 펄 생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31580A (ja) 身体用洗浄剤組成物及び洗顔剤
JPS59117598A (ja) クリ−ム状洗浄料
JP4630724B2 (ja) ゲル状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