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04A -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04A
KR20230001804A KR1020210084797A KR20210084797A KR20230001804A KR 20230001804 A KR20230001804 A KR 20230001804A KR 1020210084797 A KR1020210084797 A KR 1020210084797A KR 20210084797 A KR20210084797 A KR 20210084797A KR 20230001804 A KR20230001804 A KR 2023000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detector
gamma
detection module
dual
typ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895B1 (ko
Inventor
문주현
김재욱
김영서
이건주
이홍연
정소윤
주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8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03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01T1/026Semiconductor dose-rat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4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emiconductor detectors
    • G01T1/243Modular detectors, e.g. arrays formed from self contained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3/00Measuring neutron radiation
    • G01T3/08Measuring neutron radiation with semiconductor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을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하여, 다양한 유형의 방사선이 혼재되어 존재하는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각각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이나 저장조 내 거동 감시 또는 원자로 사고 시, 원자력 시설 내 지점별 방사선 누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A movable radiation detector having dual type detection modules}
본 발명은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을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하여, 다양한 유형의 방사선이 혼재되어 존재하는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각각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이나 저장조 내 거동 감시 또는 원자로 사고 시, 원자력 시설 내 지점별 방사선 누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에서 연소되어 인출된 사용후핵연료에는, 핵연료 물질의 핵분열 반응에 의해 생성된 핵분열 생성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핵분열 생성물은 감마선, 중성자 등의 방사선을 다량으로 방출하여 인체와 주변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후핵연료는 별도의 처분이 이루어질 때까지 결함없이 건전성을 유지하며, 방사성 물질을 가두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등을 구비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저장, 보관하고 있는데, 이때, 사용후핵연료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과 중성자에 의한 방사선량은, 원자로의 정상가동 여부나 사용후핵연료의 결함 여부 또는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물리적 변수로 활용되므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에 의한 방사선량을 정확히 구별하여 측정하는 것은 원자로 운용에 있어서 대단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에 결함이 발생하거나, 또는 원자로 운전 중의 노심 손상 등의 사고 발생 시, 방사성 물질의 유출로 인해 원자력 시설 내 작업 공간 중에 혼합 방사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 종사자의 효과적인 피폭 관리를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 시설 내의 각각의 작업 공간에서의 감마선과 중성자에 의한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종래의 방사선 검출 장치는 주로 감마선 또는 중성자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감마선과 중성자가 혼재된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과 중성자에 의한 방사선량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개별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기를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808577호에서는 각각의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성자 검출기, 감마선 검출기 및 엑스선 검출기를 통합하여 구성된 검출기 시스템을 통해 중성자, 감마선 및 엑스선을 동시에 측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수의 검출기를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방사선 검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됨에 따라 검출 시스템이 대형화되어, 이동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 및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50284호에서와 같이,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를 통해 감마선과 중성자를 동시에 측정하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단순히 감마선과 중성자를 구별하여 측정하고 있을 뿐, 혼합 방사선장에 존재하는 열중성자와 속중성자를 실시간으로 구별하여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그에 따라 정확한 중성자속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08577호(등록일 : 2017. 12. 07) "중성자, 감마선, 엑스선 방사선 측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0284호(등록일 : 2017. 06. 15) "CZT 검출기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연소도 검증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을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하여, 다양한 유형의 방사선이 혼재되어 존재하는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각각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이나 저장조 내 거동 감시 또는 원자로 사고 시, 원자력 시설 내 지점별 방사선 누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있어서,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 상기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산출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을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하여,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각각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이나 저장조 내 거동 감시 또는 원자로 사고 시, 원자력 시설 내 지점별 방사선 누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이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간단한 장치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원자력발전소 시설 내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거나 휴대하여 방사선 누출 상황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구성하는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구성하는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100);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200); 제 1 감지모듈(100) 및 제 2 감지모듈(200)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300); 상기 제 1 감지모듈(100) 및 제 2 감지모듈(200)을 통해 검출된 방사선 측정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400); 및 상기 제 1 감지모듈(100), 제 2 감지모듈(200), 메모리(300) 및 디스플레이(400)와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 1 감지모듈(100)과 제 2 감지 모듈(200)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제 1 감지모듈(100)과 제 2 감지모듈(200)에는 감마선을 검출하기 위한 반도체 센서(110, 220)가 각각 구비되어, 혼합 방사선장에 혼재되어 존재하는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구별하여 측정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감지모듈(100)과 제 2 감지모듈(200)을 통해 측정되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500)에 전송되는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0)는 수신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를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데이터를 제 1 감지모듈(100)과 제 2 감지모듈(200)로부터 전송받은 감마 스펙트럼 정보와 함께 메모리(30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500)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는, 검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추가로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감지모듈(100) 및 제 2 감지모듈(200)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구성하는 제 1 감지모듈(100)은,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반도체 센서(110), 상기 제 1 반도체 센서(11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120) 및 상기 제 1 증폭기(120)를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다중채널분석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을 측정하기 위한 반도체 센서로, 감마선 검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선량 측정범위와 우수한 에너지 분해능을 보여주는 CdZnTe 화합물 반도체 센서(이하 'CZT 반도체 센서'라고 한다.)를 적용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감마선 검출에 사용되는 CZT 반도체 센서는, 증폭기 및 다중채널분석기와 연결되어 각 에너지 범위에 따른 채널별 계수값으로 이루어진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CZT 반도체 센서에 입사되는 감마선의 센서 신호에 따른 감마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감마방출핵종의 판별을 위한 에너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감마방출핵종은 핵종 당 고유한 에너지 분포를 가지는 감마선을 방출하므로, CZT 반도체 센서를 통해 혼합 방사선장에 혼재되어 있는 감마선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생성된 센서 신호는 제 1 증폭기(120) 및 제 1 다중채널분석기(130)를 거쳐, 마이크로 컨트롤러(500)로 전달되며,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러(500)에서는 감마 스펙트럼상에 나타나는 해당 에너지 범위의 채널별 계수값을 기반으로 감마방출핵종의 농도, 감마선량률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CZT 반도체 센서를 구성하는 Cd-113은 열중성자 흡수 단면적이 큰 물질로, 혼합 방사선장에 혼재되어 있는 열중성자가 CZT 반도체 센서에 입사되면, Cd-113과 열중성자 간의 (n, γ)반응에 의해 558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CZT 반도체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감마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558keV의 에너지 피크(peak)로부터 열중성자 계수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감지모듈(100)을 구성하는 제 1 반도체 센서(110)에서는, 감마선이 입사됨에 따라 센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제 1 반도체 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센서 신호는, 제 1 증폭기(120)를 통해 증폭된다.
이후, 제 1 다중채널분석기(130)에서 제 1 증폭기(120)를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측정된 에너지 범위별로 구분하여, 각 에너지 범위에 따른 채널별 계수값으로 이루어진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500)로 전달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500)에서는 전달된 채널별 계수값으로부터 감마선을 방출하는 감마방출핵종의 농도, 감마선량률을 산출하게 되며, 이때, 감마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558keV에서의 채널별 계수값을 기반으로 열중성자 계수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를 구성하는 제 2 감지모듈(200)은,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반도체 센서(220), 상기 제 2 반도체 센서(22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230) 및 상기 제 2 증폭기(230)를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다중채널분석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술한 제 2 반도체 센서(220)는, 입사되는 속중성자를 열중성자로 감속시키기 위한 중성자 감속재(210)로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반도체 센서(22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중성자 감속재(210)는, 제 2 반도체 센서(220)에 입사되는 속중성자를 열중성자로 감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2 반도체 센서(220)에 입사되는 중성자들 중 상대적으로 저에너지의 열중성자는 중성자 감속재(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모두 잃거나 또는 흡수되어 소멸하고, 상대적으로 고에너지의 속중성자는 중성자 감속재(210)를 통과하면서 열중성자로 감속되게 된다.
이때, 중성자 감속재(210)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가지며, 가공성이 좋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수소가 다량 함유된 수소화합물 등과 같이 중성자 감속 능력이 우수한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혼합 방사선장에 존재하는 속중성자는 제 2 반도체 센서(220)에 입사되는 과정에서 중성자 감속재(210)를 거쳐 열중성자화되어 제 2 반도체 센서(220)에 입사하게 되고, 앞서의 제 1 반도체 센서(110)의 경우에서와 같이, 중성자 감속재(210)를 통해 열중성자화된 속중성자와 제 2 반도체 센서(220)를 구성하는 Cd-113 간의 (n, γ)반응에 의해 558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2 감지모듈(200)에서는, 제 2 반도체 센서(220)를 통해 측정되는 감마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558keV의 에너지 피크로부터 속중성자 계수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이 제 2 반도체 센서(220)를 통해 측정된 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스펙트럼를 생성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 1 감지모듈(10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100)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200)이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간단한 장치 구조로 구성되어, 제 1 감지모듈(100) 및 제 2 감지모듈(200)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기반으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는,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과,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을 하나의 방사선 검출기에 일체로 구비하여, 다양한 유형의 방사선이 혼재되어 존재하는 혼합 방사선장에서 감마선, 열중성자 및 속중성자를 각각 구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연소도 측정이나 저장조 내 거동 감시 또는 원자로 사고 시, 원자력 시설 내 지점별 방사선 누출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제 1 감지모듈 110 : 제 1 반도체 센서
120 : 제 1 증폭기 130 : 제 1 다중채널분석기
200 : 제 2 감지모듈 210 : 중성자 감속재
220 : 제 2 반도체 센서 230 : 제 2 증폭기
240 : 제 2 다중채널분석기 300 : 메모리
400 : 디스플레이 500 : 마이크로 컨트롤러

Claims (10)

  1.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 있어서,
    감마선 및 열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1 감지모듈;
    감마선 및 속중성자를 검출하는 제 2 감지모듈;
    상기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감지모듈 및 제 2 감지모듈을 통해 측정된 감마 스펙트럼 정보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산출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가 저장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산출된 열중성자 계수값, 속중성자 계수값, 감마선량률 및 감마방출핵종 농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모듈은,
    입사되는 감마선을 검출하는 제 1 반도체 센서;
    상기 제 1 반도체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및
    상기 제 1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센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에너지 범위에 따른 채널별 계수값으로 이루어지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다중채널분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모듈은,
    입사되는 감마선을 검출하는 제 2 반도체 센서;
    상기 제 2 반도체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및
    상기 제 2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센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에너지 범위에 따른 채널별 계수값으로 이루어지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다중채널분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 반도체 센서는,
    중성자 감속재로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 센서는,
    CdZnTe 화합물 반도체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도체 센서는,
    CdZnTe 화합물 반도체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다중채널분석기에서 생성되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에서 확인되는 558keV의 에너지 피크로부터 열중성자 계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다중채널분석기에서 생성되는 감마 스펙트럼 정보에서 확인되는 558keV의 에너지 피크로부터 속중성자 계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 감속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에는,
    검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KR1020210084797A 2021-06-29 2021-06-29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KR10256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97A KR102564895B1 (ko) 2021-06-29 2021-06-29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97A KR102564895B1 (ko) 2021-06-29 2021-06-29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04A true KR20230001804A (ko) 2023-01-05
KR102564895B1 KR102564895B1 (ko) 2023-08-11

Family

ID=8492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97A KR102564895B1 (ko) 2021-06-29 2021-06-29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0015A (zh) * 2023-11-23 2023-12-22 中国科学技术大学 环境中子伽马辐射监测系统和环境中子伽马辐射监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524A (ja) * 2004-03-12 2005-09-22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中性子測定システム
KR20090059350A (ko) * 2007-12-06 2009-06-11 한국원자력연구원 다수개의 방사선 센서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선량계
JP2015510589A (ja) * 2012-02-04 2015-04-09 ラピスカン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ンマ線‐中性子複合検出システム
US9360567B2 (en) * 2011-03-25 2016-06-07 Nanoptics, Incorporated Scintillating organic materials and methods for detecting neutron and gamma radiation
KR101750284B1 (ko) 2016-08-30 2017-06-22 유저스(주) Czt 검출기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연소도 검증 시스템
KR101808577B1 (ko) 2017-05-18 2017-12-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성자, 감마선, 엑스선 방사선 측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524A (ja) * 2004-03-12 2005-09-22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中性子測定システム
KR20090059350A (ko) * 2007-12-06 2009-06-11 한국원자력연구원 다수개의 방사선 센서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선량계
US9360567B2 (en) * 2011-03-25 2016-06-07 Nanoptics, Incorporated Scintillating organic materials and methods for detecting neutron and gamma radiation
JP2015510589A (ja) * 2012-02-04 2015-04-09 ラピスカン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ンマ線‐中性子複合検出システム
KR101750284B1 (ko) 2016-08-30 2017-06-22 유저스(주) Czt 검출기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연소도 검증 시스템
KR101808577B1 (ko) 2017-05-18 2017-12-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성자, 감마선, 엑스선 방사선 측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0015A (zh) * 2023-11-23 2023-12-22 中国科学技术大学 环境中子伽马辐射监测系统和环境中子伽马辐射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895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6645B2 (en) Radiation-monitoring diagnostic hodoscope system for nuclear-power reactors
US117421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nd-off monitoring of nuclear reactors using neutron detection
Ruddy et al. Nuclear reactor power monitoring using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radiation detectors
JP2008139094A (ja) 放射能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2564895B1 (ko) 듀얼 타입 감지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방사선 검출기
KR20220019771A (ko) Candu-스타일 핵 반응로들에서 클래딩 천공들을 갖는 연료 다발들의 노심내 포지션을 검출 및 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50284B1 (ko) Czt 검출기를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연소도 검증 시스템
JP4601838B2 (ja) 燃焼度評価方法および装置
JP2000221293A (ja) 原子炉燃料の燃焼度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H04269697A (ja) 原子炉用燃料棒の非破壊検査装置
Sandri et al. Ionizing radiation monitoring requirements at the Divertor Tokamak Test facility
JP5951538B2 (ja) 核燃料燃焼度評価装置、その評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EP38489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 time precision measurement of the thermal power of a fission nuclear reactor
JP2735937B2 (ja) 臨界事故監視用中性子検出装置
JP4380994B2 (ja) 中性子測定システム及び炉外検出器システム
Tattam et al. Radiometric non-destructive assay.
Qin et al. Design of an on-line detection system for fuel rod failure in a pressurized water reactor
Xia et al. Reactor Nuclear Measurements and Radiation Monitoring
KR101466247B1 (ko) 파이로 출력 물질 u/tru 잉곳에 대한 플루토늄 계량 시스템 및 그 계량 방법
JP3830644B2 (ja) 燃料集合体の検認方法とその検認装置
Walton Nondestructive Assay
Strindehag Self-powered neutron and gamma detectors for in-core measurements
Thomas et al. SISTec: Mathematical Calibration of Large Clearance Monitors-18265
KR20220100394A (ko) 감마선을 이용한 휴대용 공기 중 삼중수소 감시기의 교정 인자 산출 방법
RU231606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мох-топливных стерж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