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704U -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704U
KR20230001704U KR2020220000456U KR20220000456U KR20230001704U KR 20230001704 U KR20230001704 U KR 20230001704U KR 2020220000456 U KR2020220000456 U KR 2020220000456U KR 20220000456 U KR20220000456 U KR 20220000456U KR 20230001704 U KR20230001704 U KR 202300017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mobile phone
coupling
holder
movement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호
권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후모바일
권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후모바일, 권혁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후모바일
Priority to KR2020220000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704U/ko
Publication of KR20230001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0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4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interlocking keys of circular, square, rectangular or like shape
    • F16B5/004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interlocking keys of circular, square, rectangular or like shape hinge-like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 본체; 및 상기 충전기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고리형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 본체는 후면 하부에서 상기 고리형 거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HOLDER FOR BATTERY CHARGER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휴대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여러 가지 개인 휴대전화들이 출현하고 있고, 이러한 휴대전화는 과거 단순한 음성 통신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게 되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비롯하여 동영상 매체를 시청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이른바 스마트폰으로 불리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발전과 더불어 무선 네트워크망이 확장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주변기기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는데 특히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고, 이러한 스마트폰 충전기는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각종 장소에서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책상 위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무선충전 거치대 또는 차량의 무선충전 거치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충전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경사진 상태로만 충전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거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시킬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충전 거치대에 휴대폰을 충전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고 휴대폰 화면을 조작하거나 통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1530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고, 휴대폰을 충전 중에도 휴대폰을 들고 화면 조작이나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 본체; 및 상기 충전기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고리형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 본체는 후면 하부에서 상기 고리형 거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공간부가 제공된 결합블록; 상기 결합 공간부 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의 제1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의 제1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1 힌지핀; 및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의 제2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의 제2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2 힌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와 상기 고리형 거치부는 상기 제1 힌지핀 및 상기 제2 힌지핀의 회전 시,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휴대폰을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어 휴대폰의 거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2. 사용자가 자유롭게 손가락을 끼워 넣어 휴대폰을 잡은 상태에서 휴대폰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3.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리형 거치부가 수용됨에 따라 충전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4. 고리형 지지부 및 결합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조비용과 절감하면서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리형 거치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에 탄성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거치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핀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매개로 고리형 거치부가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리형 거치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에 탄성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거치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핀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매개로 고리형 거치부가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100)는 휴대폰(M)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 본체(110); 상기 충전기 본체(110)를 거치할 수 있는 고리형 거치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 본체(110)는 후면 하부에서 상기 고리형 거치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13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공간부(131a)가 제공된 결합블록(131); 상기 결합 공간부(131a) 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132);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120)의 제1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131a)의 제1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32)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1 힌지핀(135); 및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120)의 제2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131a)의 제2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32)의 타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2 힌지핀(136);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 본체와 고리형 거치부(120)는 상기 제1 힌지핀(135) 및 상기 제2 힌지핀(136)의 회전 시, 상기 탄성부재(132)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100)는 충전기 본체(110) 및 고리형 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기 본체(110)는 후면 하부에서 고리형 거치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기 본체(110)는 휴대폰(M)을 무선 충전 및 거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기 본체(110)에는 자석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휴대폰(M)을 충전기 본체(110)의 전면에 거치시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기 본체(1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충전기 본체(110)는 휴대폰(M)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충전기 본체(110)는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에 제공된 고리형 거치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손가락 걸이공(120a)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어 휴대폰(M)을 잡은 상태에서 무선 충전 중에도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고리형 거치부(120)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11)에 고리형 거치부(120)가 수용되면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100)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수용홈(111)에 고리형 거치부(12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충전기 본체(110)를 눕힌 상태로 휴대폰(M)을 거치시켜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거치부(120)는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충전기 본체(110)를 거치시킬 수 있다.
고리형 거치부(120)는 사용자가 고리형 거치부(120)를 동작시킬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고, 동작시키지 않을 때에는 고리형 거치부(120)와 결합부(130)의 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가 형성하는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고리형 거치부(12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 걸이공(120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가락 걸이공(120a)에 손가락을 넣어 휴대폰(M)을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폰(M)의 화면을 보고나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형 거치부(120)는 제1 거치바(121), 제2 거치바(122), 및 제3 거치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바(121)는 후술하는 제1 힌지핀(135)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121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거치바(122)는 제2 힌지핀(136)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홀(122a)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거치바(123)는 일측이 제1 거치바(1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거치바(12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M)을 가로 방향으로 충전기 본체(110)에 거치시켜 충전할 경우에는 제1 거치바(121), 제2 거치바(122), 및 제3 거치바(123)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충전기 본체(110)를 거치하며, 휴대폰(M)을 세로 방향으로 충전기 본체(110)에 거치시켜 충전할 경우에는 제1 거치바(121) 및 제2 거치바(122)가 지면에서 띄어진 상태에서 제3 거치바(123)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충전기 본체(110)를 거치하게 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30)는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 하부에서 고리형 거치부(12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0)는 결합블록(131), 탄성부재(132),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블록(131)은 충전기 본체(110)의 후면 하부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공간부(131a)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131a) 상에는 탄성부재(132)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공간부(131a)는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 공간부(131a)의 폭(W)이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공간부(131a)에 탄성부재(132)의 일측이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끼워지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합 공간부(131a) 상에서 탄성부재(13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공간부(131a) 상에는 탄성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이동 제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제한부재는 탄성부재(132)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 이동 제한부재(133) 및 제1 이동 제한부재(133)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어 탄성부재(132)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 이동 제한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 공간부(131a) 상에 탄성부재(132)의 일측이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과, 제1 이동 제한부재(133) 및 제2 이동 제한부재(134)에 의해 탄성부재(132)는 결합 공간부(131a)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중심부분에는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가 통과되는 제1 통과홀(133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이동 제한부재(133a)의 일측에는 제1 힌지핀(135)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135a)가 통과되는 제1 걸림돌기 통과홀(133b)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제한부재(134)의 중심부분에는 제2 힌지핀(136)의 일측단부가 통과되는 제2 통과홀(134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통과홀(134a)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2 힌지핀(136)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136a)가 통과되는 제2 걸림돌기 통과홀(134b)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은 탄성부재(132)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의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조절될 수 있다.
제1 힌지핀(135)은 일측이 제1 거치바(121)에 형성된 제1 결합홀(121a)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결합 공간부(131a)의 제1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탄성부재(132)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핀(135)은 고리형 거치부(120)의 회전 시, 제1 거치바(1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 힌지핀(136)은 일측이 제2 거치바(122)에 형성된 제2 결합홀(122a)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결합 공간부(131a)의 제2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탄성부재(132)의 타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힌지핀(136)은 고리형 거치부(120)의 회전 시, 제2 거치바(1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는 제1 거치바(121) 및 제2 거치바(122)에 각각 결합된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이 제1 거치바(121) 및 제2 거치바(122)의 회전 시, 탄성부재(132)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의 상대적인 회전각도는 0도에서 180도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제1 힌지핀(135)에는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돌기(135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돌기(135a)는 제1 통과홀(133a)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 통과홀(133b)을 통과하여 제1 힌지핀(135)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측면에 걸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핀(136)에는 제2 힌지핀(136)의 일측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돌기(136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돌기(136a)는 제2 통과홀(134a)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 통과홀(134b)을 통과하여 제2 힌지핀(136)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2 이동 제한부재(134)의 측면에 걸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공간부(131a) 상에서 제1 걸림돌기(135a)와 제2 걸림돌기(136a)는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돌기(135a)와 제2 걸림돌기(136a)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측면과 제2 이동제한부재의 측면에 걸려 있다면,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의 회전에 의한 제1 걸림돌기(135a) 및 제2 걸림돌기(136a)의 회전 시, 제1 걸림돌기(135a)는 제1 걸림돌기 통과홀(133b)을 통해 이탈되고, 제2 걸림돌기(136a)는 제2 걸림돌기 통과홀(134b)을 통해 이탈되어 각각의 힌지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걸림돌기(135a)와 제2 걸림돌기(136a)의 위치가 상반되는 위치에 있으면, 양자간 중에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돌기 통과홀을 통해 이탈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걸림돌기가 이동 제한부재의 측면에 걸려 있기 때문에 힌지핀의 역할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을 결합부(13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를 결합 공간부(131a)의 제1 측면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공간부(131a)의 제1 측면으로 삽입된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는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 통과홀(133a)을 통과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제1 걸림돌기(135a)를 제1 통과홀(133a)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 통과홀(133b)을 통과되도록 하여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가 탄성부재(132)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부재(132)의 일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핀(13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걸림돌기(135a)가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측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걸림돌기(135a)는 제1 이동 제한부재(133)의 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제1 힌지핀(135)의 일측단부가 탄성부재(132)의 일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힌지핀(136)의 결합과정은 제1 힌지핀(135)의 결합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제1 힌지핀(135)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135a)와 제2 힌지핀(136)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136a)가 서로 상반된 위치가 되도록 결합하면 된다.
따라서,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는 제1 거치바(121) 및 제2 거치바(122)에 각각 결합된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의 회전 시, 탄성부재(132)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는 결합부(130)의 제1 힌지핀(135) 및 제2 힌지핀(136)을 매개로 하여 충전기 본체(110)가 수평 상태에서 직각 상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경사를 가지고 거치될 수 있도록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M)을 가로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거치시킬 경우에는 충전기 본체(110)가 고리형 거치부(120)에 대해 직각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충전기 본체(110)와 고리형 거치부(120)의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휴대폰(M)을 거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는 휴대폰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휴대폰을 다양한 각도를 가지고 지지할 수 있어 휴대폰의 거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손가락을 끼워 넣어 휴대폰을 잡은 상태에서 휴대폰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리형 거치부가 수용됨에 따라 충전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리형 지지부 및 결합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조비용과 절감하면서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110: 충전기 본체
111: 수용홈 120: 고리형 거치부
120a: 손가락 걸이공 121: 제1 거치바
121a: 제1 결합홀 122: 제2 거치바
122a: 제2 결합홀 123: 제3 거치바
130: 결합부 131: 결합블록
131a: 결합 공간부 132: 탄성부재
133: 제1 이동 제한부재 133a: 제1 통과홀
133b: 제1 걸림돌기 통과홀 134: 제2 이동 제한부재
134a: 제2 통과홀 134b: 제2 걸림돌기 통과홀
135: 제1 힌지핀 135a: 제1 걸림돌기
136: 제2 힌지핀 136a: 제2 걸림돌기

Claims (8)

  1.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 본체; 및
    상기 충전기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고리형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 본체는 후면 하부에서 상기 고리형 거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 공간부가 제공된 결합블록;
    상기 결합 공간부 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의 제1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의 제1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1 힌지핀; 및
    일측은 상기 고리형 거치부의 제2 측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 공간부의 제2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면과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제2 힌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와 상기 고리형 거치부는 상기 제1 힌지핀 및 상기 제2 힌지핀의 회전 시,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거치부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이 마련된 제1 거치바;
    상기 제2 힌지핀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이 마련된 제2 거치바; 및
    일측은 상기 제1 거치바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거치바와 연결되는 제3 거치바;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결합 공간부 상에 제공되는 제1 이동 제한부제 및 상기 제1 이동 제한부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제2 이동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이동 제한부재와 상기 제2 이동 제한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한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일측단부가 통과되는 제1 통과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이동 제한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일측단부가 통과되는 제2 통과홀이 마련된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핀에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일측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과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힌지핀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제한부재의 측면에 걸리도록 제공된 제1 걸림돌기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핀에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일측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통과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힌지핀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이동 제한부재의 측면에 걸리도록 제공된 제2 걸림돌기가 추가로 마련된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간부 상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간부는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고리형 거치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KR2020220000456U 2022-02-17 2022-02-17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KR202300017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56U KR20230001704U (ko) 2022-02-17 2022-02-17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56U KR20230001704U (ko) 2022-02-17 2022-02-17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04U true KR20230001704U (ko) 2023-08-24

Family

ID=877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56U KR20230001704U (ko) 2022-02-17 2022-02-17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70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30B1 (ko) 2014-04-04 2015-12-14 (주)삼아테크노솔루션 다용도 충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30B1 (ko) 2014-04-04 2015-12-14 (주)삼아테크노솔루션 다용도 충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4374B (zh) 具有方便视听的滑动支架的移动终端及其滑动支架
CN100527758C (zh) 用于移动终端的摆转铰链装置
KR100617737B1 (ko)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3312846A (zh) 用于便携式电话的通用扩展坞
US20230124744A1 (en) Wearable Device Assembly
KR20240017858A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100800767B1 (ko)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KR20230001704U (ko) 휴대폰 충전기 거치대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20180093500A (ko) 기능성 휴대폰케이스
CN203206299U (zh) 电话机
KR10052652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이 제공된 휴대용 통신 장치
CN102237500A (zh) 盖体卡锁结构
KR100560921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4145182B2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CN218958629U (zh) 三合一无线充
CN209949168U (zh) 一种具有无线蓝牙耳机的手机
CN215981793U (zh) 支架
KR10049895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금속성 커버 로킹 장치
CN214216584U (zh) 无线充电器收纳盒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10213252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20180041849A (ko) 블루투스 이어폰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KR102291149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