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36A - 전기차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36A
KR20230001636A KR1020210084388A KR20210084388A KR20230001636A KR 20230001636 A KR20230001636 A KR 20230001636A KR 1020210084388 A KR1020210084388 A KR 1020210084388A KR 20210084388 A KR20210084388 A KR 20210084388A KR 20230001636 A KR20230001636 A KR 2023000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gun
electric vehicle
vehicle
cabl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139B1 (ko
Inventor
이봉택
박정민
김철기
이승준
김호현
이상훈
나상주
장기호
Original Assignee
(주) 애플망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애플망고 filed Critical (주) 애플망고
Priority to KR102021008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건과, 상기 충전건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과,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을 감고 풀어 상기 충전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와, 상기 충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건에 전기를 공급하고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충전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충전시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과 상기 충전기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건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시스템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류센터를 이용하는 물류 배송차량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상에 고정된 형태의 전기차 충전기는 물류센터와 같이 복수개의 배송 차량에 대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고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의 길이는 제한이 있어, 복수개의 차량을 충전하는 것이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 몸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충전 개시 및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기 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로 접근해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가 충전건이 상부에서 하강하는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충전건의 이동과 충전을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충전건 하강시 차량 또는 사용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충전건을 차량에서 제거한 후에는 설정된 시간 이후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며은 일측면으로서, 사용 등록된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충전기를 제어 할 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차량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건과, 상기 충전건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과,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을 감고 풀어 상기 충전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와, 상기 충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건에 전기를 공급하고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충전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충전시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과 상기 충전기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건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건이 충전소 천장에서 하강하여 전기차에 충전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차량을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건의 이동 및 충전을 무선 단말기를 통해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게 충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록된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충전할 수 있어 타 무선 단말기에 의한 충전건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건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완료 후 충전 건이 차량으로부터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건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건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차량에 접속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건(114)과, 상기 충전건(114)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113)과,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113)을 감고 풀어 상기 충전건(11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과, 상기 충전건(114)에 전기를 공급하고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충전부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충전시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의 구동과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17) 및 상기 제어부(117)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기(1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상기 충전부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가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부는 차량에 전기를 충전 공급하는 구성으로 차량으로 직접 직류 전력(DC)를 공급하는 급속 충전기(111), 교류 전력(AC)을 차량에 공급하고 차량에서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는 완속 충전기(111)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기(111)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며, 충전소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충전기(111)를 내려 차량에 충전기(111)를 삽입하도록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충전소 상부 구조물(S)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구조물은 충전소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는 상기 충전건(114)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충전기(111)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113)을 감고 풀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충전 케이블(113)을 감는 경우 충전 케이블(113)의 단부에 구비되는 충전건(114)이 상부로 이동하고, 충전 케이블(113)을 푸는 경우 상기 충전건(114)이 반대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소의 천정과 같은 차량의 상부에 위치에 충전기(111)와 충전 케이블(113)을 감는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를 구비하여, 충전건(114)이 충전소의 상부에서 내려와 지상의 차량에 연결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상부에 충전기(111)가 설치된 곳으로 인접하게 복수개의 차량을 주차시키고 충전 케이블(113)을 감고 풀어 충전건(114)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주차된 차량까지 충전건(114)을 이동시켜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113)의 길이, 충전건(114)의 길이에 따른 무게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되어, 복수개의 차량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17)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118)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충전시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의 구동과 상기 충전기(111)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118)는 특정 무선 단말기(118)만 상기 제어부(117)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미리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등록은 상기 제어부(117)에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충전기(111)에 연결된 서버에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기(111)와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가 무선 단말기(118)는 사용자 등록하지 않은 무선 단말기(118)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118)는 스마트폰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모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상기 충전건(114)이 상하로 이동시 근거리에 사용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7)는 상기 감지센서(115)에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의 구동을 비상 정지시키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건(114)에는 수동으로 충전건(114)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비상 스위치(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싱에 의한 제어부(117)는 상기 충전기(111)에서 전기를 차량에 충전시 충전 차량으로부터 충전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무선 단말기(118)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충전기(111)의 디스플레이를 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무선 단말기는(118)는 제어부(117)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충전기(111)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는 충전건(114)을 차량에서 제거한 후에 충전건(114)를 설정된 시간 이후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11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 충전기
112: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
113: 충전 케이블
114: 충전건
115: 감지센서
116: 비상 스위치
117: 제어부
118: 무선 단말기

Claims (6)

  1. 차량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건;
    상기 충전건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을 감고 풀어 상기 충전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
    상기 충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건에 전기를 공급하고 충전소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충전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충전시 차량의 충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과 상기 충전기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건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건이 상하로 이동시 근거리에 사용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을 비상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 등록된 무선 단말기의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충전기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전송받아 차량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건은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비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충전건을 차량에서 제거한 후에 충전건를 설정된 시간 이후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충전 케이블을 감는 구동을 하도록 상기 충전 케이블 릴 전동박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시스템.
KR1020210084388A 2021-06-29 2021-06-29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54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388A KR102547139B1 (ko) 2021-06-29 2021-06-29 전기차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388A KR102547139B1 (ko) 2021-06-29 2021-06-29 전기차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36A true KR20230001636A (ko) 2023-01-05
KR102547139B1 KR102547139B1 (ko) 2023-07-19

Family

ID=8492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388A KR102547139B1 (ko) 2021-06-29 2021-06-29 전기차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1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782A (ja) * 2014-06-27 2017-11-24 イージーチャージ・ミ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EASYCHARGE.me GmbH 天井設置型充電ステーション及び電気自動車充電用駐車場構造
KR20170133634A (ko) * 2016-05-26 2017-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9333A (ko) * 2019-02-14 2020-08-24 에스지이엔지 주식회사 천정형 전기차량 충전장치
KR20210059094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782A (ja) * 2014-06-27 2017-11-24 イージーチャージ・ミ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EASYCHARGE.me GmbH 天井設置型充電ステーション及び電気自動車充電用駐車場構造
KR20170133634A (ko) * 2016-05-26 2017-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9333A (ko) * 2019-02-14 2020-08-24 에스지이엔지 주식회사 천정형 전기차량 충전장치
KR20210059094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139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591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20180065844A (ko) 다세대 주택 전기 자동차 자동 충전 제어 시스템
CN110053499B (zh) 无线充电设备、系统和方法
CN108382242B (zh) 电动汽车无线快速充电方法
JP2013234534A (ja) 機械式立体駐車場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3109158B1 (en) Rotorcraft winch with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rotorcraft winch
KR20200080878A (ko) 주차타워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CN105691227A (zh) 一种电动汽车新型无线充电装置
CN104709106A (zh) 电动车自动充电执行机构
JP2012050288A (ja) 車両用給電装置
CN110027417A (zh) 无线充电装置、系统及无线充电控制方法
CN105000435B (zh) 电力设备自动收放线系统
KR102547139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JP2014020106A (ja) 機械式駐車場
JP2021016243A (ja) 充放電システム
KR102582030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N210011608U (zh) 无线充电装置及系统
CN110962640A (zh) 电动车的充电系统
KR20190123361A (ko) 자율주행 차량용 지능형 자율 충전 시스템
CN105958660A (zh) 自动移动路障系统及其操作平台
KR20210114822A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팬터그래프 자동 충전시스템
CN205753664U (zh) 自动移动路障系统
KR20190030584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229941B1 (ko) 전기자동차의 무인충전 전원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183862A (zh) 一种吊式智能电动车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