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63A -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 Google Patents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63A
KR20230001363A KR1020210084141A KR20210084141A KR20230001363A KR 20230001363 A KR20230001363 A KR 20230001363A KR 1020210084141 A KR1020210084141 A KR 1020210084141A KR 20210084141 A KR20210084141 A KR 20210084141A KR 20230001363 A KR20230001363 A KR 2023000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separation space
air bump
extens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환
이정수
김충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63A/ko
Publication of KR2023000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70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 F16C2226/74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with snap-fit, e.g. by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3Gas turbine engines
    • F16C2360/24Turbo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박판이며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제1범프가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냅링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이 유지되는 아우터 포일; 아우터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제2범프가 형성된 이너 포일; 및 이너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탑 포일;을 포함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AIR BUMP FOIL BEARING}
본 발명은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을 제조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에 관한 기술이다.
각종 터어보머신에 많이 사용되는 에어포일 베어링은,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샤프트와 베어링케이스와의 사이공간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샤프트가 베어링 케이스 내에서 공기의 힘으로 부양되도록 하는 기본 메카니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이 적용된 가스터빈엔진의 경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는 연료의 연소를 위해서 주로 사용되고 나머지 일부 압축공기가 에어포일 베어링으로 공급되어 압축기나 터어빈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에어포일 베어링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축을 지지하는데 적합하여, 50,000rpm 내지 150,000rpm 까지의 고속 터어보머신의 베어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볼베어링이나 유체필름베어링(fluid film bearing)을 대체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로 구성되서 서로 중첩되고 탑 포일의 내부로 회전축이 삽입된다.
이때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제조시 아우터 포일의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삽입하기 위해 지그 및 수작업을 통해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삽입시 공정의 속도가 저하되며, 제조 원가가 상향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5452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삽입되는 아우터 포일의 축방향 양단부에 스냅링을 결합하여 아우터 포일이 원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의 쉽게 아우터 포일의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박판이며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제1범프가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냅링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이 유지되는 아우터 포일; 아우터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제2범프가 형성된 이너 포일; 및 이너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탑 포일;을 포함한다.
아우터 포일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탑 포일을 내부를 통해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스냅링의 일부다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포일에는 외주면의 중간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스냅링에는 아우터 포일과 접합시 고정시키는 고정지그가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포일의 외주면에는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이격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우터 포일에는 제1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가 더 포함되고, 아우터 포일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제1연장부는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너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연장부가 포함되고,
제2연장부는 제1이격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연장부와 함께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이너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너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는 제2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탑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3연장부가 포함되며, 제3연장부는 제2이격공간 및 제1이격공간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함께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탑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탑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3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제3연장부는 제3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연장부는 내측면이 제1연장부의 내측면 및 제2연장부의 내측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박판을 원통 형태로 말아 축방향의 상단과 하단에 스냅림이 결합된 아우터 포일에 탑 포일 및 이너 포일을 말아서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우터 포일이 원통 형상으로 고정됨에 따라 탑 포일 및 이너 포일의 삽입 공정이 쉽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탑 포일, 이너 포일 및 아우터 포일이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아우터 포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탑 포일, 이너 포일 및 아우터 포일이 결합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제1연장부, 제2연장부 제3연장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탑 포일(300), 이너 포일(200) 및 아우터 포일(100)이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아우터 포일(10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탑 포일(300), 이너 포일(200) 및 아우터 포일(100)이 결합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회전축이 회전하는 모터 또는 회전장치의 회전축에 박판형태로 축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축이 회전 시 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끄럼 베어링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박판이며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제1범프가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냅링(110)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이 유지되는 아우터 포일(100); 아우터 포일(100)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제2범프가 형성된 이너 포일(200); 및 이너 포일(200)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탑 포일(300);을 포함한다.
아우터 포일(100)은 박판을 원통 형상으로 말은 상태에서 원통의 축방향 상단과 하단에 스냅링(110)을 각각 결합시켜 박판을 원통 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박판을 원통 형상으로 말기전 기설정된 간격으로 절곡시킨 복수 개를 절곡된 제1범프를 형성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스냅링(110)과 박판은 서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될 경우 접착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우터 포일(100)은 박판에 스냅링(110)을 결합시킴에 따라 외부의 지그에 의한 가압 없이도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너 포일(200) 또한 박판으로 제조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박판에는 제1범프에 대응되도록 제2범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포일(200)은 아우터 포일(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범프와 제2범프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우터 포일(100)과 이너 포일(200)을 통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탑 포일(300)은 박판을 원통형상으로 제조하여 이너 포일(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아우터 포일(100)과 이너 포일(200)에 형성된 범프는 형성되지 않고,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이너 포일(200)과 아우터 포일(100)이 범프가 회전축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탑 포일(300) 및 이너 포일(200)이 아우터 포일(100)의 내부로 원통 형상으로 말려져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우터 포일(100)이 원통 형상으로 고정됨에 따라 탑 포일(300) 및 이너 포일(200)의 삽입 공정이 쉽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우터 포일(100) 내부에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을 감싸는 하우징(400);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400)은 탑 포일(300)을 내부를 통해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은 서로 중첩되어 아우터 포일(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4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하우징(400)에는 탑 포일(300)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이 회전축을 감싼 채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400)에는 스냅링(110)의 일부다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부에는 아우터 포일(100)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냅링(110)이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냅링(110)은 하우징(40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이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우터 포일(100)에는 외주면의 중간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포일(100)의 중간 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관통된 슬릿(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120)을 통해 아우터 포일(100)의 상측과 하측이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슬릿(120)이 1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슬릿(120)은 복수 개로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슬릿(120)을 통해 회전축의 축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냅링(110)에는 아우터 포일(100)과 접합시 고정시키는 고정지그가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냅링(110)의 단부에는 아우터 포일(100)의 박판과 스냅링(110)을 결합시 스냅링(110)을 고정하거나, 또는 하우징(400)과 결합기 아우터 포일(100)을 가압하기 위한 고정지그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으로 형성된 삽입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냅링(110)을 고정함으로써 아우터 포일(100)의 제조시 쉽게 용접 또는 접합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400)에 결합시 편리하게 아우터 포일(100), 이너 포일(200) 및 탑 포일(300)을 삽입하여 하우징(400)과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우터 포일(100)의 외주면에는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이격공간(13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포일(100)의 외주면 중 서로 이격되어 박판의 단부가 각각 형성된 제1이격공간(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이격공간(130)을 통해 아우터 포일(100)은 축과 교차되는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의 제1연장부(140), 제2연장부(210) 제3연장부(31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아우터 포일(100)에는 제1이격공간(130)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40)가 더 포함되고, 제1연장부(140)는 하우징(4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100)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포일(100)에는 제1이격공간(130)이 형성된 아우터 포일(100)의 양측 단부 중 일측에서 절곡되어 아우터 포일(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연장부(140)는 하우징(40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우터 포일(100)이 회전축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너 포일(200)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연장부(210)가 포함되고, 제2연장부(210)는 제1이격공간(130)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연장부(140)와 함께 하우징(4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이너 포일(200)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너 포일(200)에는 아우터 포일(100)에 형성된 제1이격공간(130) 사이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연장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장부(210)는 제1이격공간(130)의 단부에서 아우터 포일(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40)와 함께 하우징(4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연장부(210)가 제1연장부(140)와 함께 하우징(400)에 고정됨에 따라 이너 포일(200)이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너 포일(200)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이격공간(220)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210)는 제2이격공간(220)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이격공간(220)은 이너 포일(200)의 외주면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제2이격공간(220)은 제1이격공간(13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210)는 제2이격공간(220)의 단부 중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연장부(210)는 제1연장부(14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너 포일(200)은 아우터 포일(100)의 내측에 삽입시 아우터 포일(100)의 내측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아우터 포일(100)과 함께 회전축의 회전시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탑 포일(300)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3연장부(310)가 포함되며, 제3연장부(310)는 제2이격공간(220) 및 제1이격공간(13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140) 및 제2연장부(210)와 함께 하우징(400)의 일측에 삽입되어 탑 포일(300)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탑 포일(300)에는 이너 포일(200)에 형성된 제2이격공간(220) 사이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3연장부(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연장부(310)는 제2이격공간(220)과 제2이격공간(220)을 통과하며 아우터 포일(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40) 이너 포일(200)에서 연장된 제2연장부(210)와 함께 하우징(4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연장부(310)가 제1연장부(140) 및 제2연장부(210)와 함께 하우징(400)에 고정됨에 따라 탑 포일(300)이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탑 포일(300)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3이격공간(320)이 형성되고, 제3연장부(310)는 제3이격공간(320)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탑 포일(300)의 외주면에는 탑 포일(300)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3이격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이격공간(320)을 통해 탑 포일(300)이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회전축 방향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연장부(310)는 내측면이 제1연장부(140)의 내측면 및 제2연장부(210)의 내측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연장부(310)는 제3이격공간(320)의 단부 중 일측에서 탑 포일(30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연장부(310)의 내측면 측이 제1연장부(140) 및 제2연장부(210)의 내측면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연장부(310)는 제1연장부(140)와 제2연장부(210)를 지지하여 아우터 포일(100) 및 이너 포일(200)이 회전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아우터 포일
110 : 스냅링
111 : 삽입부
120 : 슬릿
130 : 제1이격공간
140 : 제1연장부
200 : 이너 포일
210 : 제2연장부
220 : 제2이격공간
300 : 탑 포일
310 : 제3연장부
320 : 제3이격공간
400 : 하우징

Claims (12)

  1.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박판이며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제1범프가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냅링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이 유지되는 아우터 포일;
    아우터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제2범프가 형성된 이너 포일; 및
    이너 포일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탑 포일;을 포함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 포일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탑 포일을 내부를 통해 회전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스냅링의 일부다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고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 포일에는 외주면의 중간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냅링에는 아우터 포일과 접합시 고정시키는 고정지그가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 포일의 외주면에는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이격공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7. 청구항 6에 있어서,
    아우터 포일에는 제1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가 더 포함되고,
    아우터 포일 내부에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이 삽입된 상태로 아우터 포일, 이너 포일 및 탑 포일을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제1연장부는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아우터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이너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연장부가 포함되고,
    제2연장부는 제1이격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연장부와 함께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이너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너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제2연장부는 제2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탑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3연장부가 포함되며,
    제3연장부는 제2이격공간 및 제1이격공간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함께 하우징의 일측에 삽입되어 탑 포일의 원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탑 포일에는 외주면에서 원통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3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제3연장부는 제3이격공간이 형성된 단부 중 일측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3연장부는 내측면이 제1연장부의 내측면 및 제2연장부의 내측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KR1020210084141A 2021-06-28 2021-06-28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KR20230001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41A KR20230001363A (ko) 2021-06-28 2021-06-28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41A KR20230001363A (ko) 2021-06-28 2021-06-28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63A true KR20230001363A (ko) 2023-01-04

Family

ID=8492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41A KR20230001363A (ko) 2021-06-28 2021-06-28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524A (ko) 2004-11-16 2006-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에어포일 베어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524A (ko) 2004-11-16 2006-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에어포일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5098A1 (ja) ラジアルフォイル軸受
JP2002061645A (ja) 動圧型空気軸受
KR101564355B1 (ko) 래디얼 포일 베어링
KR101531926B1 (ko) 래디얼 호일 베어링
KR102456838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US20070210654A1 (en) Motor
US20040256810A1 (en) Shaft seal mechanism
JP6230171B2 (ja) ジャーナルガス軸受
JP2009041736A (ja) フォイル軸受装置
US11984788B2 (en) Electric motor
WO2019088156A1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KR20230001363A (ko) 에어 범프 포일 베어링
JP2010203504A (ja) スクイーズフィルムダンパ軸受
KR20070004570A (ko) 동압 베어링 장치
JPH10299681A (ja) 流体機械
JP2021027799A (ja) ロータおよ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4463595B2 (ja) 回転電機
GB2404425A (en) A sealing arrangement for sealing between a stator and a rotor.
JP5286934B2 (ja) フォイル軸受
JP2015197082A (ja) 動翼及び回転機械
JP2021085527A (ja) 円周シールアセンブリ
JP2000337103A (ja) インテグラルシュラウド静翼
JP2016080064A (ja) トラクション動力伝達装置
WO2019049353A1 (ja) ジャーナルガス軸受
KR102598984B1 (ko) 스러스트 에어 포일 베어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