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036U - 믹서기용 용기 - Google Patents

믹서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036U
KR20230001036U KR2020210003458U KR20210003458U KR20230001036U KR 20230001036 U KR20230001036 U KR 20230001036U KR 2020210003458 U KR2020210003458 U KR 2020210003458U KR 20210003458 U KR20210003458 U KR 20210003458U KR 20230001036 U KR20230001036 U KR 20230001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angle
container
blender
upward inclination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956Y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2020210003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5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측벽과 바닥벽에 의하여 제1 공간을 정의하는 용기부; 및 제1 공간에 설치되며, 바닥벽으로부터 측벽까지 경사지며 형성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믹서기용 용기에 있어서, 교반부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경사각;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경사각; 및 상향경사각과 하향경사각이 마주하는 교점부를 포함하되, 교반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믹서기용 용기{Container for Blender}
본 고안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믹서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고안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믹서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용기 내에 식재료를 넣고 용기 내에 칼날을 회전시켜 분쇄하여 조리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이때, 용기 내의 리브를 형성하여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적용되었으나, 분쇄시 난류가 발생하여 용기 내 측벽에 재료가 달라붙거나 식재료의 하부는 분쇄가 되고 상부는 분쇄가 되지 않아 사용자가 누름봉으로 외력을 가해 재료의 상부까지 분쇄를 유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재료 분쇄시에 수직방향으로 상승 유동하는 현상에 의하여 식재료가 뚜껑과 부딪힘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식재료가 뚜껑의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는 용기 내의 식재료의 난류형성을 억제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식재료가 수직방향으로 상승유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식재료가 뚜껑과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식재료가 수직방향으로 상승유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일부 식재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측벽과 바닥벽에 의하여 제1 공간을 정의하는 용기부; 및 제1 공간에 설치되며, 바닥벽으로부터 측벽까지 경사지며 형성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믹서기용 용기에 있어서, 교반부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경사각;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경사각; 및 상향경사각과 하향경사각이 마주하는 교점부를 포함하되, 교반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 내의 식재료의 난류형성을 억제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식재료가 수직방향으로 상승유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식재료가 뚜껑과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식재료가 수직방향으로 상승유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일부 식재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 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측벽과 바닥벽에 의하여 제1 공간을 정의하는 용기부; 및 제1 공간에 설치되며, 바닥벽으로부터 측벽까지 경사지며 형성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믹서기용 용기에 있어서, 교반부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경사각;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경사각; 및 상향경사각과 하향경사각이 마주하는 교점부를 포함하되, 교반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를 제공한다.
이 때, 교점부는, 용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향경사각의 길이는 하향경사각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상향경사각은 하향경사각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이 때, 교점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향경사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향경사각은 상향경사각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이 때, 교점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향경사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용기부는 바닥벽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너는, 어느 상항경사각과 다른 상향경사각이 마주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코너의 최상단 높이와 상향경사각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바닥벽 및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리브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100)는 용기부(1), 교반부(2), 칼날조립체(3), 뚜껑(4) 및 리브(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용기부(1)는 측벽(11), 바닥벽(12) 및 코너(1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교반부(2)는 상향경사각(21), 하향경사각(22) 및 교점부(2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용기부(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제1 공간을 정의한다. 제1 공간은 바닥벽(12)과 측벽(11)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형성된다. 또한, 용기부(1)의 내부에 형성된 바닥벽(12)의 중심축(A)에는 칼날조립체(3)가 설치된다.
또한, 용기부(1)의 내부를 형성하는 측벽(11)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뚜껑(4)은 측벽(1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공간에는 용기부(1)의 내부에서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분쇄시키는 교반부(2)가 설치된다. 교반부(2)는 식재료의 분쇄효율을 높이고, 식재료의 상승유동을 억제시킨다.
또한, 교반부(2)는 바닥벽(12)으로부터 측벽(11)까지 소정의 경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교반부(2)는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교반부(2)의 가장자리는 수직상승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경사각(21)과 수직하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향경사각(22)을 포함한다.
상향경사각(21)의 최상단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11)사이 공간인 코너(13)에 형성된다. 즉, 코너(13)는 서로 인접하는 측벽(11)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점을 지칭하고, 상향경사각(21)은 바닥벽(12)으로부터 코너(13)로 이어지는 경사각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향경사각(21)의 최상단은 코너(13)에 형성된다.
결국, 상향경사각의 최상단이 코너(13)에 형성되면, 코너(13)의 최상단 높이와 상향경사각(21)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교점부(23)는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이 만나는 지점을 지칭한다. 즉, 교점부(23)는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이 접촉하여 형성된다. 즉, 교점부(23)는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각이 상향경사각(21)에서 하향경사각(22)으로 변화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교점부(23)는 용기부(1)의 중심축(A)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다. 만약,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라면, 교점부(23)는 중심축(A)에 위치하겠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100)는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의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교점부(23)는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교점부(23)가 용기부(1)의 중심축(A)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면,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은 중심축(A)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교점부(23)가 중심축(A)으로부터 하향경사각(22)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면, 상향경사각(21)은 하향경사각(2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즉, 교점부(23)가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례하여 상향경사각(21)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교점부(23)가 중심축(A)으로부터 하향경사각(22)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내므로, 상향경사각(21)의 길이가 하향경사각(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반면, 교점부(23)가 중심축(A)으로부터 상향경사각(21)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면, 하향경사각(22)은 상향경사각(21)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즉, 교점부(23)가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례하여 하향경사각(22)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향경사각(21)의 최상단이 형성되는 코너(13)를 코너(13)의 일측이라 지칭하고, 하향경사각(22)의 최상단이 형성되는 코너(13)를 코너(13)의 타측이라 지칭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100)에서 상향경사각(21)은 코너(13)의 일측으로부터 중심축(A)을 지나 교점부(23)까지 연장되고, 하향경사각(22)은 교점부(23)부터 코너(13)의 타측까지 연장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벽(12)의 모서리, 즉, 코너(13)에서는 동일한 경사각끼리 마주한다. 예를 들어, 4 개의 코너(13) 중 일측 코너(13)에서는 어느 상향경사각(21)과 다른 상향경사각(21)이 마주할 것이며, 반면, 일측 코너(13)와 인접한 타측 코너(13)에서는 어느 하향경사각(22)과 다른 하향경사각(22)이 마주하게 된다.
반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향경사각(21)은 코너(13)의 일측으로부터 중심축(A)을 지나기 전에 형성된 교점부(23)까지 연장되고, 하향경사각(22)은 교점부(23)부터 중심축(A)을 지나 코너(13)의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향경사각(21)이 하향경사각(2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향경사각(21)이 하향경사각(22)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설명하였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향경사각(22)이 상향경사각(21)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100)에서 교반부(2)의 형상은 불균형하게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경사각(21)이 교점부(23)로부터 일측 코너(13)까지 연장되므로 교반부(2)는 중심축(A)을 기준으로 불균형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향경사각(21)과 하향경사각(22)이 접하는 교점부(23)가 중심축(A)에 형성되면, 교반부(2)의 형상이 중심축(A)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교점부(23)가 중심축(A)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면 교반부(2)의 형상은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하향경사각(22)이 상향경사각(21)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교반부(2)의 형상은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칼날이 회전할 때 제1 공간에 투입된 재료는 교점부(23)를 거쳐 불규칙한 유동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재료가 칼날 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믹서기의 분쇄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교반부(2)는 재료가 상방유동하려는 움직임을 억제시킴으로써, 뚜껑(4)과 재료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재료가 뚜껑(4)에 부딪히는 현상이 감소하게되고, 이에 믹서기의 소음이 감소함과 동시에 재료가 뚜껑(4)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교점부(23)를 중심축(A)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를 구현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용기(100)는 제1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벽(12) 및 측벽(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벽(12) 및 측벽(11)은 재료가 분쇄될 때 용기부(1)의 내부를 불균형하게 형성하기 위해 리브(5)가 형성되는 부분과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심축(A)을 기준으로 임의의 선에 대칭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브(5)와 마주보는 바닥벽(12) 및 측벽(11)에는 리브(5)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기부(1) 내 분쇄시에 재료는 리브(5)를 통과하는 유동운동과 리브(5)가 형성되지 않는 면에 유동운동이 혼합되어 재료가 불균형으로 유동되므로 재료가 벽면에 부딪혀 상승유동하려는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칼날조립체(3) 방향으로 유동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용기부 2: 교반부
3: 칼날조립체 4: 뚜껑
5: 리브 11: 측벽
12: 바닥벽 13: 코너
21: 상향경사각 22: 하향경사각
23: 교점부

Claims (11)

  1. 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의하여 제1 공간을 정의하는 용기부; 및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측벽까지 경사지며 형성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믹서기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경사각;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경사각; 및 상기 상향경사각과 상기 하향경사각이 마주하는 교점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부는 상기 용기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점부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사각의 길이는 상기 하향경사각의 길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사각은 상기 하향경사각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점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향경사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경사각은 상기 상향경사각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교점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향경사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바닥벽과 상기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는, 어느 상항경사각과 다른 상향경사각이 마주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의 최상단 높이와 상기 상향경사각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 및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용기.


KR2020210003458U 2021-11-15 2021-11-15 믹서기용 용기 KR200496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58U KR200496956Y1 (ko) 2021-11-15 2021-11-15 믹서기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58U KR200496956Y1 (ko) 2021-11-15 2021-11-15 믹서기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36U true KR20230001036U (ko) 2023-05-23
KR200496956Y1 KR200496956Y1 (ko) 2023-06-20

Family

ID=8654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458U KR200496956Y1 (ko) 2021-11-15 2021-11-15 믹서기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5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6768A1 (en) * 2005-02-04 2006-08-10 Williams Brian P Blender Jar
KR20160003755A (ko) * 2014-02-25 2016-01-11 웬 칭 리 컵체
JP2021101641A (ja) * 2019-12-25 2021-07-15 大正電機販売株式会社 攪拌装置および攪拌用の回転羽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6768A1 (en) * 2005-02-04 2006-08-10 Williams Brian P Blender Jar
KR20160003755A (ko) * 2014-02-25 2016-01-11 웬 칭 리 컵체
JP2021101641A (ja) * 2019-12-25 2021-07-15 大正電機販売株式会社 攪拌装置および攪拌用の回転羽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56Y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665C1 (ru) Емкость блендера
KR101179201B1 (ko) 교반기
US20110110185A1 (en) Container for a blender
US9420915B2 (en) Blending jar with ridges
US20150272395A1 (en) Blender blade assembly and blender
RU2699272C1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0496956Y1 (ko) 믹서기용 용기
US4893760A (en) Mixing arm for a domestic food processor
CN204091795U (zh) 一种搅拌杯
KR20110112346A (ko) 난류 감소용 혼합기 뚜껑 및 작동 방법
TWI727700B (zh) 攪拌葉片組裝體及攪拌槽
CN107485311B (zh) 具有桨式叶片的混合装置
AU2015375422A1 (en) Free floating mixing blade
JP6869414B1 (ja) 攪拌装置
KR102105774B1 (ko) 분쇄 또는 혼합용 회전칼 및 그 조립체
EP2545832A1 (en) Blender
KR100679280B1 (ko) 교반장치
KR101630191B1 (ko)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KR102006913B1 (ko)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KR20100007247U (ko) 대용량 식품 가공기
KR101615104B1 (ko) 세골재용 원통형 교반기
US9724655B2 (en) Container for stirrer
JPH0513338Y2 (ko)
JPS6114343Y2 (ko)
JP3903775B2 (ja) 竪型撹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