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58A -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58A
KR20230000858A KR1020210083499A KR20210083499A KR20230000858A KR 20230000858 A KR20230000858 A KR 20230000858A KR 1020210083499 A KR1020210083499 A KR 1020210083499A KR 20210083499 A KR20210083499 A KR 20210083499A KR 20230000858 A KR20230000858 A KR 2023000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tel
face
camera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839B1 (ko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839B1/ko
Priority to JP2021124580A priority patent/JP7148183B1/ja
Publication of KR2023000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Abstract

본 발명은 객실 예약에 대응하여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호텔 이용 일정을 각 객실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호텔 객실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호텔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호텔 객실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호텔 객실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호텔 객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텔 이용 방식을 비대면(untact)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대면 방식 전환을 통해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면서 그 공간에 들어가려는 경우에는 출입문을 오픈하지 않으므로 객실 이용자의 위험 상황을 미리 막을 수 있는(anti-threat)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untact hotel service system by use of safety doors which integrating sensors and camera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호텔 객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객실 예약에 대응하여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호텔 이용 일정을 각 객실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호텔 객실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호텔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호텔 객실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호텔 객실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호텔 객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객실(예: 객실, 회의장)의 이용을 관리하기 위해 호텔 프론트데스크에 관리자(매니저)가 상주하였다. 관리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호텔 객실 예약을 관리하고, 그 정해진 시간에 이용자가 나타났을 때에 호텔 예약자가 맞는지 신분증을 확인한 후에 해당 객실에 대한 카드 키(card key)를 지급하는 등의 공간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호텔 이용 방식은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프론트데스크에 관리자가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혹시라도 자리를 비우는 동안에 이용자가 나타나게 되면 이용자가 부득이하게 일정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기에 서비스 만족도도 낮아진다. 또한, 관리자는 업무 특성상 체크인 및 체크아웃 과정에서 여러 호텔 이용자들과 접촉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파의 허브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01239호(2019.01.04)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및 호텔 객실 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91243호(2020.03.20)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호텔 객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 예약에 대응하여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과 호텔 이용 일정을 각 객실에 설치된 안전출입문에 저장해두었다가 호텔 객실에 입실 요청자가 나타나면 안전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로 얻은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통해 해당 일정의 호텔 예약자인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호텔 객실 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전환으로 인해 이용자 안전 관리에 공백이 나타나지 않도록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안전출입문에 장착하여 호텔 객실 내외의 여러 위험상황을 안전출입문 오픈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호텔 객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텔 객실 별로 설치되어 있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하는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호텔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고객 에이전트부(3000); 호텔 서비스를 위하여 호텔 이용자의 고객 에이전트부(3000)와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호텔 관리 서버(2000);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호텔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객 에이전트부(3000)는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호텔에 대한 이용 일정, 객실 종류, 비용 결제를 포함한 호텔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호텔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호텔 관리 서버(2000)는 고객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호텔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호텔 예약 처리를 수행하고, 호텔 예약 처리에 배정된 객실의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여 해당 안전출입문(1000)으로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호텔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객실의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해당 객실에 대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출입문 오픈 요청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 일정에 매칭된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를 대비함으로써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한 권한 확인을 수행하고,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센서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로 획득한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증거 데이터는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트라이얼 데이터는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로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고객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고객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안전출입문(1000)은,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객실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도어 하우징(1100); 도어 하우징(1100)에 실내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부재(1300);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확인 부재(1400);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부재(1500);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호텔 관리 서버(2000)로부터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내부 등록하는 출입 등록 부재(1600);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출입 등록 부재(1600)에 호텔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권한 확인 부재(1700);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도어 개폐 부재(1800);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1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안전출입문(1000)을 구성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부재(1300)는 제 1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고,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제 2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하우징(1100)에서 카메라 부재(1300)와는 비정렬된 위치에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감염 방지 부재(1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확인 부재(1400)는,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고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화재 방지 부재(1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침입 방지 부재(1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텔 이용 방식을 비대면(untact)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대면 방식 전환을 통해 이용자 편의, 관리비용, 바이러스 감염 관리의 측면에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실 요청자의 체온을 확인하고 안전한 경우에만 출입문을 오픈해주므로 안티바이러스(anti-virus)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면서 그 공간에 들어가려는 경우에는 출입문을 오픈하지 않으므로 객실 이용자의 위험 상황을 미리 막을 수 있는(anti-threat)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의 호텔 이용 과정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출입 등록 부재와 권한 확인 부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의 호텔 이용 과정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호텔 객실 별로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을 호텔 관리 서버(2000)와 연동하여 고객에게 비대면 호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고객의 스마트 단말(예: 스마트폰, 컴퓨터)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고객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되어 있고 안전출입문(1000)에는 복합 센서와 카메라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안전출입문(1000), 호텔 관리 서버(2000), 고객 에이전트부(3000)는 서로 원격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호텔 객실의 사용 관리에 협조 동작한다. 안전출입문(1000)은 내부에 소형 컴퓨터를 내장하고 자체적으로 안면인식 등에 의해 오픈 또는 락킹(locking)을 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안과 응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해당 객실의 관리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와 로그 백업을 위해 안전출입문(1000)의 컴퓨터 시스템은 호텔 관리 서버(2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는 일반적인 호텔 이용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S120)과 (S140)에서 호텔 관리자와 호텔 이용자 간에 대면 접촉이 일어나며, 호텔 관리자는 바이러스 전파의 허브가 될 위험이 있다. 반면, [도 2]의 (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텔 이용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호텔 예약 및 결제 후에 호텔 관리자와의 대면 체크인 없이 해당 객실을 이용하고 대면 체크아웃 없이 그 호텔을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 방지를 위한 비접촉 호텔이용 환경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 절차를 간소화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호텔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고객 에이전트부(3000)와, 호텔 서비스를 위하여 호텔 이용자의 고객 에이전트부(3000)와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호텔 관리 서버(2000)와,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호텔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객 에이전트부(3000)는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호텔에 대한 이용 일정, 객실 종류, 비용 결제를 포함한 호텔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고객 에이전트부(300)는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브라우저가 호텔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데에 활용하는 코드), 앱(app)의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 조작을 위한 메뉴 화면을 구현한다. 고객 에이전트부(300)는 호텔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proof data)를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증거 데이터의 바람직한 일 예는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이다.
호텔 관리 서버(2000)는 고객과 안전출입문(1000) 사이에서 호텔 이용을 매개하는 구성요소이다.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서버 장치,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호텔 관리 서버(2000)는 고객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호텔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호텔 예약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호텔 관리 서버(2000)는 고객이 지정한 이용 일정과 객실 종류에 대응하는 객실이 어디인지 확인하고, 그 객실(예: 서관 704호)을 해당 호텔 예약에 배정한다. 그리고, 배정된 객실(예: 서관 704호)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고(예: IP 주소), 해당 안전출입문(1000)으로 그 호텔 예약에 따른 이용 일정(예: 2021년 6월 4일 체크인, 2021년 6월 7일 체크아웃) 및 증거 데이터(예: 셀프카메라 사진)를 전송한다.
호텔 관리 서버(2000)는 호텔 예약 관리를 위하여 호텔 객실을 동과 층에 따라 구분 관리하고 이들 객실의 유형과 사용가능 여부를 관리하는 객실 데이터베이스(2100), 호텔 객실에 대한 예약 현황을 관리하는 예약 데이터베이스(2200), 객실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출입문(1000)의 식별정보(예: IP 주소)를 객실 별로 관리하는 출입문 데이터베이스(2300)를 구비한다.
한편, 호텔 관리 서버(2000)는 호텔 예약자가 제공한 증거 데이터가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고객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고객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사진을 부정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셀프카메라 사진이 촬영된 시간과 호텔 예약이 이루어진 시간과의 근접성 여부에 기초하여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 역시 다른 사람의 사진을 부정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객실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기구물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객실 실내와 실외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여러 센서장치와 카메라를 구비한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내부에 소형 컴퓨터를 내장하여 이들 센서장치와 카메라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안면인식이나 홍채인식, 지문인식, 사진매칭 등에 의해 오픈 또는 락킹을 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해당 객실에 대해 예약이 들어온 경우에는 그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예: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를 호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누군가 객실 입구에 도착하여 카드키를 접근시키는 등의 출입문 오픈 요청을 하면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trial data)를 획득한다. 이러한 트라이얼 데이터의 바람직한 일 예는 객실 입구에 서있는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이다.
안전출입문(1000)은 그 출입문 오픈 요청이 들어온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 일정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용 일정이 등록된 것이 없다면 출입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 오픈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반대로, 이용 일정이 등록된 것이 있다면, 그 시간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증거 데이터를 로딩하고, 그 트라이얼 데이터와 증거 데이터를 대비한다.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매칭되지 않으면 출입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 오픈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반대로,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매칭된다면(예: 동일 인물이라고 판단되면) 출입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한다. 이때, 출입 권한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안전 확인을 수행하지 않고, 출입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출입문(1000)은 센서와 카메라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 및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출입문(1000)에 의해 그 객실을 이용하려는 사람이 자신의 셀카 사진(셀프카메라 사진)를 제공하는 것으로 객실 예약(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와의 대면 체크인 과정 없이 안전출입문(1000)이 자체적으로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가 없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출입문(1000)은 위험 요인을 판단하기 위한 복합센서를 사용하고, 얼굴 인식과 고열 및 마스크를 파악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1000)은 도어 하우징(1100),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어 하우징(1100)은 호텔에서 특정 공간, 예컨대 객실, 피트니스 센터, 라커, 개별 업무공간, 회의장, 미팅룸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기구물이다.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출입문 개폐와 관련한 여러가지 위험 요인 판단을 위하여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센서 부재(1200)는 개별 부품이 산재되지 않고 단일의 모듈 내에 센서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능 유지 “G 안전출입문 제작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복합 센서 부재(1200)는 도어 하우징(1100)에서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예: 얼굴 사진)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 원격지의 관리자나 AI 컴퓨터가 출입 희망자와 소통하기 위한 양방향 오디오 부재(1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부재(1300)는 개별 부품이 산재되지 않고 단일의 모듈(박스 장치) 내에 카메라 부품, LED, 마이크, 스피커 등이 탑재되어 있는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능 유지 “G 안전출입문 제작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 하우징(1100) 전방에 위치해있는 사람에 대하여 체온과 얼굴 사진을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예: 장애인, 노약자)이 그 공간을 이용하려는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는 앉은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복합 센서 부재(1200)와 카메라 부재(1300)는 도어 하우징(1100)의 양 단면에서 상호 비정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이 정렬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출입문 외부에서 모듈을 강하게 타격하면 출입문을 관통하는 구멍이 생기게 되고, 그 구멍을 통해 손이나 장비를 집어넣어 문을 열 수 있으므로 보안에 큰 허점이 생긴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복합 센서 부재(1200)와 카메라 부재(1300)가 비정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출입문 외부에서 누군가가 카메라 부재(1300)를 타격하더라도 출입문이 관통되지 않으며, 반대쪽에 위치한 복합 센서 부재(1200)를 타격하는 공간도 확보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한다.
외부통신 부재(1500)는 네트워크(예: 인터넷, 무선랜, 이동통신망 등)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출입문(1000)은 외부통신 부재(1500)를 자체 구비한다.
출입 등록 부재(1600)는 호텔 예약 과정에서 호텔 예약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한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예: 얼굴 사진)를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호텔 관리 서버(2000)로부터 제공받아 예컨대 안전출입문(1000) 내부의 컴퓨터 장치에 등록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전출입문(1000)은 소형 컴퓨터(MCU)를 자체적으로 구비하는데, 출입 등록 부재(1600)도 이 소형 컴퓨터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출입문 오픈 요청(예: 출입문에 설치된 오픈 버튼, 출입문 노브를 돌리는 조작, 카드키 접근 등)이 식별되는 경우에, 그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출입 등록 부재(1600)에 해당 기간의 호텔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트라이얼 데이터의 일 예로서 도어 하우징(1100)의 실외 방향으로 설치된 실외촬영 카메라(1320)가 촬영한 얼굴 사진을 들 수 있다. 개인 스마트폰에서 전용 앱(app)을 통해 사용 일정과 공간의 종류를 선택하고 결제 후 셀카 사진만 보내면, 별다른 체크인 절차 없이 그 공간(예: 객실)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체크아웃은 예약 스케줄에 의한 자동 체크아웃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체크아웃이 가능하다.
도어 개폐 부재(1800)는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전자 개폐 장치(magnetic swithch)로 구현할 수 있다.
개폐 제어 부재(1900)는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안전출입문(1000)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에 의해 특별한 위험 요인이 발견되지 않아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이라고 판단되고, 권한 확인 부재(1700)에 의해 현재 안전출입문(1000) 앞에 있는 사람이 해당 시간에 대한 정당한 호텔 예약자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개폐 제어 부재(1900)는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여 안전출입문(1000)이 오픈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안전출입문(1000)을 구성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가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지연을 제거함으로써 안전출입문(1000)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고, 해킹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설비에 출입문만 교체하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호텔에 적용하기 위한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출입 등록 부재(1600)와 권한 확인 부재(1700)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호텔 객실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구현된 고객 에이전트부(3000) 상에서 예약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의 셀카 사진을 전송한다. 이 셀카 사진은 호텔 관리 서버(2000)를 매개하여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출입 등록 부재(1600)로 전달된다. 출입 등록 부재(1600)는 이 셀카 사진을 그 호텔 예약자에 대한 증거 데이터로서 내부에 등록 관리한다. 이때, 증거 데이터와 이용 일정을 보관하는 증거 데이터베이스(1610)과 일정 데이터베이스(1620)는 안전출입문(1000) 내부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그 예약한 바에 따라 해당 호텔 객실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그 예약한 객실 앞에 도착하여 출입문 오픈을 요청한다. 호텔 예약 과정에서 호텔 관리 서버(2000)가 고객 에이전트부(3000)로 객실 정보(예: 서관 704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 부재(1300)는 입실 요청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며,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이 트라이얼 데이터가 호텔 예약자의 증거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그 예약된 일정을 고려한다.
만일 등록되어 있다면,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입실 요청자가 출입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다. 반면, 만일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권한 확인 부재(1700)는 입실 요청자가 출입 권한이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셀카 사진 전송만으로 공간 사용을 예약할 수 있으므로 호텔 객실의 사용 관리에 있어서 관리자 접촉이 불필요하며, 관리자가 바이러스 유포의 허브 역할을 하게될 위험도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사실상의 불법적 출입이었던 하나의 인증(예약)으로 두 사람이 해당 객실을 출입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어 안티패스백(anti-passback)이 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증거 데이터와 트라이얼 데이터가 생체 정보, 예컨대 얼굴 사진, 홍채 사진, 지문 사진인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현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분증 사진이나 자신이 간직하고 다니는 물건(예: 도장, 인형, 가방)의 사진이나 반려동물의 얼굴 혹은 발 사진을 포함하는 방식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1400)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안전출입문(1000)에 복합센서, 얼굴인식 및 체온 감지 카메라를 탑재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문열림을 차단하며, 외부로부터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안전 확인 부재(1400)가 식별하는 비정상 상황으로는 입실 요청자가 고열인 경우(예: 37.5도 이상), 실내 화재 등으로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우, 실내에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실내에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한 경우, 비정상 개문시도(예: 드릴 작동, 드라이버 끼움, 문고리 강제 개방, 돌맹이 투척 등)가 감지되는 경우, 비정상 방향의 문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등이다. 이중에서 비정상 방향의 문열림은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5162호 "비정상 문열림 감지 방법"에서 다루어졌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 확인 부재(1400)는 감염 방지 부재(1410), 화재 방지 부재(1420), 침입 방지 부재(1430)를 구비한다.
감염 방지 부재(1410)는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37.5도)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실내 공간이 바이러스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종래의 일반 출입문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주의깊게 관찰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강 이상자도 별다른 제재 없이 출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고열이 발생한 출입자를 감지하여 문열림을 차단한다. 추가로, 행정 명령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 강제되는 경우에, 감염 방지 부재(1410)는 실외촬영 카메라(1320)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입실 요청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경우에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화재 방지 부재(1420)는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실내에 불꽃이 감지되고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급격한 산소 공급에 의해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백드래프트 현상)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종래의 일반 출입문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출입구를 열고 들어오려는 사람은 내부 화재 상황을 알 수 없었기에 백드래프트에 의한 폭발 사고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다.
침입 방지 부재(1430)는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를 진동 감지 센서(1250)와 소음 감지 센서(1260)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평소에 자주 감지되는 소리 또는 진동은 무시하고,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에서 발생하는 소리 또는 진동을 선별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로는 누군가 안에 있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돌멩이를 던지는 행동, 손잡이를 억지로 돌리거나 밀거나 당기는 행동, 특정 도구(드릴, 드라이버)로 문을 따려고 하는 행동을 들 수 있다. 비정상적인 문열림 시도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아 출입문이 열려버리게 되면 문이 열리자 마자 총격, 방화, 흉기에 의한 공격이 일어날 수도 있고 경찰과 경비가 출동하기 전에 도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상 사용자가 위험에 빠질 수 있어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전자 개폐 장치를 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전 확인 부재(1400)는 비명이나 폭발 등의 큰 소리,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의 조명 켜짐(불법침입), 기준치 이상의 유해가스(예: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 농도,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여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0 : 안전출입문
1100 : 도어 하우징 1200 : 복합 센서 부재
1210 : 가스 감지 센서 1220 : 화염 감지 센서
1230 : 온도 감지 센서 1240 : 습도 감지 센서
1250 : 진동 감지 센서 1260 : 소음 감지 센서
1300 : 카메라 부재
1310 : 열화상 카메라 1320 : 실외촬영 카메라
1330 : 발광 부재 1340 : 양방향 오디오 부재
1400 : 안전 확인 부재
1410 : 감염 방지 부재 1420 : 화재 방지 부재
1430 : 침입 방지 부재
1500 : 외부통신 부재 1600 : 출입 등록 부재
1610 : 증거 데이터베이스 1620 : 일정 데이터베이스
1700 : 권한 확인 부재 1800 : 도어 개폐 부재
1900 : 개폐 제어 부재
2000 : 호텔 관리 서버
2100 : 객실 데이터베이스 2200 : 예약 데이터베이스
2300 : 출입문 데이터베이스
3000 : 고객 에이전트부

Claims (8)

  1. 호텔 객실 별로 설치되어 있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하는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호텔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고객 에이전트부(3000);
    호텔 서비스를 위하여 호텔 이용자의 고객 에이전트부(3000)와 안전출입문 간의 상호 연동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호텔 관리 서버(2000);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도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호텔 이용자의 권한 확인 및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안전출입문(10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객 에이전트부(3000)는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특정 호텔에 대한 이용 일정, 객실 종류, 비용 결제를 포함한 호텔 예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호텔 예약자 확인을 위한 증거 데이터를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상기 고객 에이전트부(3000)로부터 상기 호텔 예약 정보를 제공받아 호텔 예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호텔 예약 처리에 배정된 객실의 안전출입문(1000)을 식별하여 해당 안전출입문(1000)으로 상기 이용 일정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출입문(1000)은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객실의 예약 처리에 따른 이용 일정 및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해당 객실에 대한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실 요청자로부터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출입문 오픈 요청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 일정에 매칭된 증거 데이터와 상기 트라이얼 데이터를 대비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한 권한 확인을 수행하고,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센서로 획득한 실내 환경 정보와 도어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에 관한 안전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거 데이터는 호텔 예약자의 셀프카메라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라이얼 데이터는 상기 안전출입문(1000)의 카메라로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얼굴 사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0)는 상기 셀프카메라 사진의 촬영 디바이스와 상기 고객 에이전트부(3000)가 설치된 고객의 스마트 단말 간의 동일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증거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출입문(1000)은,
    호텔 객실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해당 객실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도어 하우징(110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실내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복합 센서 부재(120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부재(1300);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의 실내 환경 정보와 상기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문이 오픈되어도 안전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확인 부재(1400);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부재(1500);
    상기 외부통신 부재(1500)를 통해 상기 호텔 관리 서버(2000)로부터 상기 이용 일정 및 상기 증거 데이터를 제공받아 내부 등록하는 출입 등록 부재(1600);
    출입문 오픈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부재(1300)의 실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가 상기 출입 등록 부재(1600)에 호텔 예약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권한 확인 부재(1700);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락킹하는 도어 개폐 부재(1800);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의 판단 결과와 상기 권한 확인 부재(170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오픈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개폐 부재(1800)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 부재(19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 카메라 부재(1300), 안전 확인 부재(1400), 외부통신 부재(1500), 출입 등록 부재(1600), 권한 확인 부재(1700), 도어 개폐 부재(1800), 개폐 제어 부재(1900)가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는 제 1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해 기립 상태의 사람 얼굴에 대응하는 높이에 실외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제 2 모듈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와는 비정렬된 위치에 실내 방향으로 매립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부재(1300)는,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1310);
    상기 도어 하우징(1100) 전방의 실외 공간에 위치한 입실 요청자의 트라이얼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실외촬영 카메라(1320);
    카메라 촬영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부재(1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310)에 의해 획득한 입실 요청자의 체온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감염 방지 부재(14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메탄가스 농도, 독성가스 농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가스 감지 센서(1210);
    실내 공간에 대한 화염 유무를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1220);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230);
    실내 공간에 대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1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122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30)에 의해 온도 증가가 감지되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1240)에 의해 습도 감소가 감지되고 상기 가스 감지 센서(1210)에 의해 가스 농도 증가가 감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화재 방지 부재(1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부재(1200)는,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1250);
    상기 도어 하우징(1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센서(12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 확인 부재(1400)는,
    상기 진동 감지 센서(1250)에 의해 획득한 진동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소음 감지 센서(1260)에 의해 획득한 소음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정상 문열림 시도 가능성에 따라 출입문을 오픈했을때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침입 방지 부재(14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83499A 2021-06-25 2021-06-25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KR10263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99A KR102632839B1 (ko) 2021-06-25 2021-06-25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JP2021124580A JP7148183B1 (ja) 2021-06-25 2021-07-29 複合センサ及びカメラ一体型安全ドアを利用した非対面のホテルサービス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499A KR102632839B1 (ko) 2021-06-25 2021-06-25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58A true KR20230000858A (ko) 2023-01-03
KR102632839B1 KR102632839B1 (ko) 2024-02-05

Family

ID=8350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499A KR102632839B1 (ko) 2021-06-25 2021-06-25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48183B1 (ko)
KR (1) KR1026328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1235A (ja) * 2016-12-20 2018-06-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民泊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90001239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및 호텔 객실 관리 방법
KR101986997B1 (ko) *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KR102091243B1 (ko)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KR102177824B1 (ko) * 2020-04-23 2020-11-12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158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IoT기반의 스마트 객실관리 통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1665A (ja) * 2019-06-07 2020-12-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設利用管理方法
WO2021106737A1 (ja) * 2019-11-26 2021-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間演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空間演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1235A (ja) * 2016-12-20 2018-06-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民泊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90001239A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및 호텔 객실 관리 방법
KR101986997B1 (ko) *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KR20210046158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IoT기반의 스마트 객실관리 통합시스템
KR102091243B1 (ko)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KR102177824B1 (ko) * 2020-04-23 2020-11-12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04780A (ja) 2023-01-17
KR102632839B1 (ko) 2024-02-05
JP7148183B1 (ja)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6525B2 (en) Door locking device and a smart door apparatus
CN107408316A (zh) 门和住宅安全系统以及方法
EP3886420B1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KR20060073408A (ko) 개인 인증 장치
KR101046655B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출입 통제 장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
JP4755900B2 (ja) 不審者入館防止システム、不審者入館防止方法及び不審者入館防止プログラム
KR20180045761A (ko) 옥상문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1784889A (zh) 一种门禁管理系统
JP2003109129A (ja) 通行管理装置、通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行管理方法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JP7148184B1 (ja) 複合センサ及びカメラ一体型安全ドアを利用した非対面のコワーキングスペース管理システム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2124164B1 (ko)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102632839B1 (ko)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을 이용한 비대면 호텔 서비스 시스템
KR20220170014A (ko) 복합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 안전출입문
TWI729657B (zh) 保全系統
JP5411776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KR20140060032A (ko) 출입자의 영상을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및 출입자 감시 방법
KR101053474B1 (ko)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US20240087388A1 (en) Camera with in-built access control
JP3742424B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418791Y1 (ko) 전자키를 이용한 티씨피 아이피 기반의 지능형 출입 관리시스템
JP200614687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22063783A (ja) 制御システム、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入退管理システム、顔認証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