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352A -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352A
KR20230000352A KR1020210082684A KR20210082684A KR20230000352A KR 20230000352 A KR20230000352 A KR 20230000352A KR 1020210082684 A KR1020210082684 A KR 1020210082684A KR 20210082684 A KR20210082684 A KR 20210082684A KR 20230000352 A KR20230000352 A KR 2023000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post
virtual
metavers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707B1 (ko
Inventor
김영군
한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7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설문을 조사할 수 있는 설문 포스트를 배치하고, 이용자의 아바타가 해당 설문 포스트에 방문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게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현재위치 감지부; 실제 세계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타버스 운영부;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문항 내용을 등록하는 설문포스트 관리부;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하는 설문 활성부; 및, 활성화된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입력된 설문 결과를 수집하는 설문결과 수집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설문설문 포스트를 배치하여 설문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설문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 가상의 설문 포스트를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제 조사 단말을 설치하지 않고도 오프라인 상의 서비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 A survey system on metaverse based on location }
본 발명은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설문을 조사할 수 있는 설문 포스트를 배치하고, 이용자의 아바타가 해당 설문 포스트에 방문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게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에게 설문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조사 결과를 서비스 개선에 활용한다. 즉,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서비스 제공자(기업, 조직, 개인, 공공기관 등)가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관람 서비스에 대한 혁신 혹은 개선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종전에는 서비스 현장에서 설문지를 비치하고, 이용자에게 설문 작성을 요청한다. 이 경우, 수작업에 의한 설문 작성으로 인해 시간 낭비 등의 이유로, 조사에 대한 이용자의 참여율이 상당히 저조하다. 따라서 종이 등 수작업에 의한 만족도 조사는 전수 조사가 어렵다. 즉, 이용자의 참여가 저조하여 만족도 결과를 수치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서비스 만족도 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조사 대상 서비스들에 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사 항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다. 특히, 직접 조사 요원을 고용하여 직접 이용자을 대면하여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기관을 활용하는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에도 비용으로 인해 전수 조사는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만족도 조사는 실시간으로 결과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없다. 즉, 설문지에 의한 조사 결과나 조사원의 조사 결과를 별도의 절차에 따라 컴퓨터에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취합하여 만족도를 분석하는 등 번거로운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만 최종적인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라인 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히, 만족도 조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고객이 온라인에 접속하여 설문을 작성하므로, 행정 서비스, 관광지, 전시장 등 오프라인 상의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다. 즉, 오프라인 상의 관광지나 카페 등에 대한 설문을 진행할 때, 온라인 상에 접속하는 고객이면 누구나 설문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지 않는 사람도 평가 등 설문에 참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설문 조사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설문조사 단말을 구비하여, 해당 설문조사 단말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4].
그러나 현장 오프라인에서 설문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설문조사 단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8149호(2012.09.05.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604호(2015.10.13.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826호(2013.10.11.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445호(2009.01.09.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설문을 조사할 수 있는 설문 포스트를 배치하고, 이용자의 아바타가 해당 설문 포스트에 방문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게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의 위치가 설문 포스트의 일정한 범위 내로 들어오면, 설문 포스트를 활성화시키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현재위치 감지부; 실제 세계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타버스 운영부;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문항 내용을 등록하는 설문포스트 관리부;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하는 설문 활성부; 및, 활성화된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입력된 설문 결과를 수집하는 설문결과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재위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운영부는 실제 세계의 지도 정보와 매핑되는 가상 지도 정보를 사전에 축적하고,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범위 내의 가상 지도 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여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지도 정보는 가상 도로, 가상 건축물, 가상 시설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가상설문 포스트의 시설문에 대한 설치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가상설문 포스트를 가상 시설물로서 생성하여 배치하되,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설문을 진행하는 객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에 대한 설문문항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설문문항 정보에 따라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 설문문항을 게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가 특정 시간에 중복되지 않고 하나의 설문문항만을 게재하도록, 상기 설문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 활성부는 현재 위치에서 가상설문 포스트가 사전에 정해진 활성 범위 내에 가상설문 포스트가 존재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가 여론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의 내용으로 게재되고 설치장소에 기반하여 행정구역 별로 수집되는 여론조사용 포스트, 지역에 기반한 상점 또는 업체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위한 내용으로 게재되는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 위치에 기반한 개인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한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현장과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설문설문 포스트를 배치하여 설문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설문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 가상의 설문 포스트를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제 조사 단말을 설치하지 않고도 오프라인 상의 서비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의하면,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설문 포스트의 일정한 범위 내로 들어오면 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함으로써, 특정 지역 또는 장소를 방문한 경우에만 설문에 참여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문항 내용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 설치된 가상설문 포스트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의 가상설문 포스트에서의 구동된 설문 문항에 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조사 클라이언트(20), 및, 설문을 조사하는 조사 서버(3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 또한, 사용자 단말(10) 및 조사 서버(30)는 네트워크(8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패블릿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10)은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1),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2), 터치스크린 등 입력장치(13), GPS 센서 등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16), 자이로스코프 등 방향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14), 이동통신망/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는 통신부(15),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어플 등)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18)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게시자 단말(50)은 게시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패블릿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게시자 단말(50)은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게시자는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 설문 포스트를 생성하거나 가상 설문 포스트에 설문 내용을 게재하는 사용자이나, 모든 사용자가 게시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게시자 단말(50)은 사용자 단말(10)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조사 서버(30)와 연동하여 설문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즉, 조사 클라이언트(20)는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이다.
먼저, 조사 클라이언트(2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감지 센서(16)를 통해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획득한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현재 위치의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12) 또는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메타버스 공간은 현재 위치의 현실 세계 또는 실제 지도정보에 매핑되도록 구성된다. 실제 지도정보는 실제 세계에 대한 통상의 지리 정보이며, 메타버스 공간은 가상의 공간으로서, 가상 공간 상의 지도(맵)는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하는 메타버스 공간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거리 내의 가상 지도정보 또는 실제 지도정보를 말한다. 특히, 메타버스 공간은 가상 공간 상에 지도 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되는 공간이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메타버스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사 클라이언트(20)는 메타버스 상에서 아바타를 표시하고, 아바타가 메타버스 상에서 사람과 같이 이동하거나 행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아바타의 행위가 제어된다. 아바타의 제어는 통상의 메타버스 상에서 아바타의 제어 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의 설문 포스트를 생성하여 배치한다. 가상 설문 포스트는 실제 세계(또는 현실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시설물이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메타버스 상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서 가상 설문 포스트가 위치된 경우, 해당 가상 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시킨다. 사용자는 활성화된 설문 포스트에서 설문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사 클라이언트(20)는 가상 설문 포스트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명령 또는 입력에 따라 설문 포스트에 의한 설문을 수행하나, 활성화되지 않으면 설문을 진행하지 않는다.
즉, 설문 포스트의 객체는 설문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설문 문항 및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 문항들을 표시하고, 응답 문항 중에서 선택되는 응답 결과를 입력받는다. 설문 결과는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설문 포스트는 특정 시간에 하나의 설문 문항만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한편, 조사 클라이언트(20)는 게시자 단말(50)에도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게시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 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거나 설문 포스트에 설문 내용을 게재한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설문 결과를 조사 서버(30)로 전송한다.
또한, 조사 클라이언트(20)는 조사 서버(30)로부터 설문의 분석결과(또는 설문의 통계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결과를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사 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메타버스 상에서 설문 조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게시자 단말(5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특히, 조사 서버(30)는 조사 클라이언트(20)와 연동하여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고, 메타버스 상에서 설문 포스트를 통해 설문 조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조사 서버(30)는 실제 지도 정보와 매핑되는 가상 지도정보를 사전에 저장해둔다. 가상 지도정보는 실제 세계에서 설치된 도로, 건축물, 시설물 등에 매핑되는 가상 도로, 가상 건축물, 가상 시설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가상 지도정보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즉,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한다. 특히, 전체 3차원 가상 공간 중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범위(사전에 정해진 이동범위)의 공간만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조사 서버(30)가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또는 이동 범위)의 가상 지도정보를 조사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하고, 조사 클라이언트(20)에서 3차원 가상 공간, 즉, 메타버스 공간을 랜더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사 클라이언트(20) 또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상에서, 현재 위치의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또는 가상 지도정보로부터의 메타버스 공간)이 표시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가상설문 포스트의 시설물에 대한 설치 정보를 등록한다. 가상설문 포스트는 실제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메타버스 공간 상에만 존재하는 시설물이다. 설치 정보는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가 설치되는 위치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관리자 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의 입력에 의해 가상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거나, 게시자 단말(5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입력에 의해 설치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게시자 단말(5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입력에 의해,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문항 내용(또는 설문문항 정보)을 설정한다. 설문문항 내용(또는 설문문항 정보)은 설문으로 물어보는 설문 문항,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되는 응답 항목, 설문을 게시하는 기간(또는 시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조사 클라이언트(2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받고, 현재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사전에 정해진 이동 범위) 내의 메타버스 공간(또는 이에 대한 데이터)을 조사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한다. 특히, 조사 서버(30)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사용자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맞게 각기 다른 메타버스 공간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현재 위치에서 사전에 정해진 접근 범위 내에 가상설문 포스트가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또는 아바타)에게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시킨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각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설문결과(또는 응답 내용)를 수집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각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설문 결과를 축적하고, 축적된 설문 결과로부터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요청에 따라, 설문의 통계 분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조사 클라이언트(20)와 조사 서버(30)는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 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 클라이언트(20)가 단순히 입력과 출력 장치로서의 역할만 수행하고, 서버(30)가 메타버스 공간 생성, 설문 조사 작업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가 지도 정보만 수신하여 3차원 가상 공간의 랜더링 작업을 직접 수행하고, 서버(30)는 지도 정보 축적 및 저장이나 백업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문 조사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실제 지도정보에 매핑되는 가상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DB(41), 설문 조사 포스트의 설치 데이터나 설문 내용을 저장하는 설문정보DB(42), 및, 설문 결과를 저장하는 설문결과DB(4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3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클라이언트(20)와 서버(30)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서버의 구체적인 구현 기술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될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 의해 분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300)은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현재위치 감지부(31),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타버스 운영부(32), 설문 포스트 또는 설문 항목을 관리하는 설문포스트 관리부(33), 설문을 진행하는 설문 활성부(34), 및, 설문 결과를 수집하는 설문결과 수집부(35)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설문응답 데이터들을 통계 분석하는 통계 분석부(36), 또는,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현재위치 감지부(31)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감지 센서(16)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즉, 위치감지 센서(16)에서 측정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운영부(32)는 실제 세계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한다. 특히, 현재 위치의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한다.
실제 지도정보는 실제 세계에 대한 통상의 지리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실제 세계에서 설치된 도로, 건축물, 시설물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현재 위치의 실제 지리정보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거리 내의 실제 지도정보를 말한다.
또한, 메타버스 공간은 가상의 공간으로서, 가상 공간 상의 지도(맵)는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메타버스 공간은 현재 위치의 현실 세계 또는 실제 지도정보에 매핑되도록 구성된다. 즉, 메타버스 공간은 가상 도로, 가상 건축물, 가상 시설물 등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은 현실 세계의 실제 도로, 실제 건축물, 실제 시설물 등에 매핑된다.
특히, 메타버스 공간은 가상 공간 상에 지도 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상 도로, 가상 건축물, 가상 시설물 등은 모두 3차원으로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메타버스 운영부(32)는 실제 지도정보와 매핑되는 가상의 지도 정보를 사전에 구축하고,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사전에 정해진 범위 내의 가상 지도 정보로부터 가상의 3차원 공간을 생성하여 메타버스 공간을 구성한다.
특히, 메타버스 운영부(32)는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의 위치(현재 위치)에 따라 메타버스 공간을 각각 생성하여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사 서버(30)에서 메타버스 공간이 생성되어, 해당 메타버스 공간의 데이터가 조사 클라이언트(2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또한, 메타버스 운영부(3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이동, 방향 전환, 확대, 축소 등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운영부(32)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가상설문 포스트의 시설물에 대한 설치 정보를 등록하고, 메타버스 공간 상에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각 가상설문 포스트에 등록할 설문 문항(또는 설문 문항 정보)을 등록받아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 설문 문항을 등록한다.
가상설문 포스트는 실제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메타버스 공간 상에만 존재하는 시설물 또는 시설물 객체이다. 설치 정보는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가 설치되는 위치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가상설문 포스트 또는 포스트 객체는 메타버스 상의 하나의 객체(또는 시설물 객체)로서, 설문 문항 정보의 등록, 설문 응답 진행 등의 기능을 구비된다. 따라서 가상설문 포스트의 객체가 활성화 되고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면, 등록된 설문 내용(설문 항목)에 따라 설문을 수행한다.
즉, 가상설문 포스트는 메타버스 상의 통상의 객체로서 구현된다. 일례로서,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 내용(설문 문항)에 대한 내용이 객체의 속성으로서 등록되고, 등록 기능, 응답 진행 기능 등이 기능(함수, function)으로 구현된다.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사용자가 가상설문 포스트의 객체를 터치하거나 특정 명령을 수행하면, 가상설문 포스트가 내재된 기능(함수 등)이 수행된다.
이때, 가상설문 포스트는 활성화와 비활성화 속성을 가지며, 비활성화 되면 해당 기능이 블록되어 실행되지 않고, 활성화 된 경우에만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관리자 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의 입력에 의해 가상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거나, 게시자 단말(5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입력에 의해 설치한다. 또는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치 위치(위치 정보)가 사전에 정해지고, 해당 위치에 가상설문 포스트가 설치된다.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치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특정 위치에 해당 객체가 생성되어 위치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게시자 단말(5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입력에 의해,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문항 내용(또는 설문문항 정보)을 설정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문문항 내용(또는 설문문항 정보)은 설문으로 물어보는 설문 문항,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되는 응답 항목, 설문을 게시하는 기간(또는 시간) 등으로 구성된다. 도 4에서, "관람하신 내용에 만족하세요"가 설문 문항이고, 응답 항목은 "① 매우 만족", "② 만족" 등 5개로 구성된다. 또한, 설문 기간은 설문이 진행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한편, 각 가상설문 포스트는 특정 시간에 하나의 설문 문항만을 게재한다. 설문 기간이 겹치지 않으면, 서로 다른 설문 문항이 게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제1 설문 문항이 게재되고, 오후 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2 설문 문항이 게재될 수 있다. 그러나 2개 이상의 설문 문항이 동시에 동시간대에 게재되지 않는다.
또한,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게시자 단말(50) 또는 조사 클라이언트(20)의 입력에 의해, 설문 문항을 게재한다. 즉, 게시자가 특정 가상 설문 포스트에 설문 문항을 게재하기 위해, 설문 문항 또는 설문문항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게시자는 특정 사용자로서, 설문 문항을 등록하는 사용자이다. 즉, 모든 사용자가 게시자가 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설문문항 정보로서, 활성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각 설문 문항은 활성 범위를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활성 범위는 해당 설문 문항에 대한 설문을 위해 가상설문 포스트가 활성화 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즉, 활성 범위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의 범위로서, 가상설문 포스트가 해당 범위 내에 존재하면 활성화 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활성 범위는 설문 문항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내의 정치인들에 대한 설문 문항인 경우, 가상설문 포스트는 해당 지역 내에 위치되고, 활성범위는 해당 지역 내로 한정된다. 또는, 특정 음식점에 대한 설문 문항인 경우, 특정 음식점 내에서 30m 등, 해당 음식점에서 가까운 거리의 범위로서, 활성범위가 설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문포스트 관리부(33)는 설문문항 정보로서, 조사대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각 설문 문항은 조사대상 범위를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조사 대상 범위는 설문 조사의 대상인 사용자의 범위를 나타낸다. 조사대상 범위는 나이(또는 연령대), 성별, 직업 등 사용자의 속성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노인 정책에 관련된 설문은 60대 이상의 사용자만 한정되거나, 여성 정책 관련 설문은 여성 사용자에 대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상설문 포스트는 여론조사용 포스트, 만족도조사용 포스트,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 등으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론조사용 포스트는 행정구역에 기반한 여론 조사를 위한 가상설문 포스트이다. 가상설문 포스트에 게재된 설문 문항의 내용에 따라 설문이 진행된다. 이때,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가 설치된 장소를 기준으로, 해당 설문 결과는 행정구역별로 분류되어 수집된다. 예를 들어, 강남구 내의 지역내에 설치된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 결과는 강남구 지역의 설문 내용으로 취합된다.
여론조사용 포스트는 정치, 선거, 행정 서비스, 사회문제 등에 대한 여론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의 내용이 설정(게재)된다.
바람직하게는, 여론조사용 포스트는 설치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여론조사용 포스트는 유료로 서비스된다. 즉, 포스트 설치나, 설문문항 내용의 설정에 비용이 설정되고, 해당 비용이 결제된 경우에 설문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는 기업 또는 업체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가상설문 포스트이다. 가상설문 포스트에는, 설치 장소에 위치한 상점 또는 업체, 해당 상점/업체의 서비스에 대한 설문 문항의 내용(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는 유료로 서비스되고, 설문 응답자에게 보상이 주어지도록 설정된다. 즉,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에 설문문항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게재자는 게재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지불된 게재 비용 내에서 설문 응답자에게 보상을 지불한다.
또한,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는 설치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일정한 기간만 필요한 설치장소에 설치되어 설문이 진행되고,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는 위치에 기반한 개인 위주의 설문조사를 위한 가상설문 포스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내에 사용자들에게 당일 점심 메뉴에 대한 설문 조사, 특정 지역 내의 선호 상점(주변 상점 중 가장 좋아하는 상점 등)에 대한 설문 조사 등으로 게재된다.
바람직하게는,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는 무료로 진행된다.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는 관심을 유발하기 위하여 재미 위주로 게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설문 활성부(34)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현재 위치(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상설문 포스트가 사전에 정해진 범위(또는 활성 범위) 내에 있으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 또는 포스트 객체를 활성화 시킨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활성 범위가 50m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또는 아바타)의 현재 위치에서 사전에 정해진 범위(또는 활성 범위) 50m 내에 가상설문 포스트가 존재하므로,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는 활성화 된다.
가상설문 포스트가 활성화 되면,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될 수 있다. 가상설문 포스트의 구동은 가상설문 포스트의 객체가 터치되거나 특정 명령이 입력됨으로써 시작된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화면 상의 가상설문 포스트를 클릭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는 해당 설문 문항을 화면 상에 표시하여, 설문에 응답하도록 제공한다.
한편, 가상설문 포스트는 해당 시간에 진행되는 설문 문항의 활성범위에 따라 활성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설문 문항의 활성범위에 따라 활성화 된다. 예를 들어, 오전에 음식점에 관한 설문이고 그 범위가 10m이면 10m이내 접근할 때에만 활성화 되고, 오후에 해당 지역에 관한 설문인 경우 그 범위가 해당 지역으로 한정되어 해당 지역 내에 위치하면 활성화 된다.
또한, 설문 활성부(34)는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설문문항의 조사 대상에 포함될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의 메타버스 상에서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시킨다.
다음으로, 설문결과 수집부(35)는 활성화된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를 설문 결과(또는 응답 데이터)로서 수집한다.
즉, 가상설문 포스트가 활성화 되면, 사용자에 의해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가상설문 포스트를 클릭하는 등의 명령을 실행하면,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설문 포스트는 설문 항목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해당 설문문항이 화면 상에 표시되고, 그 응답을 받아들인다.
다음으로, 통계 분석부(36)는 추출된 응답 데이터들에 대하여 합산 또는 평균 등 통계치를 산출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속성 별로 통계치를 산출한다.
속성은 사용자별 속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회원 정보는, 나이, 성별 등 회원가입시 수집된다.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회원 정보(회원 속성 정보)에 따라, 즉, 나이, 설명 등에 따라 통계치가 분석될 수 있다.
또한, 통계 분석부(36)는 통계치를 표 또는 그래프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구역별 응답 합계/평균, 성별 응답 합계/평균, 나이 그룹별 응답 합계/평균, 시간대별 응답 합계/평균, 구역과 성별 응답 합계/평균, 구역과 성별과 나이 그룹별 만족도 응답 합계/평균 등 속성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응답 데이터 대한 통계 데이터 또는 해당 통계 데이터의 표와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계 분석부(36)는 새로운 응답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통계치를 산출하여,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결과 출력부(37)는 산출된 응답 통계치의 수치 데이터 또는, 표 또는 그래프 데이터(이하 통계치 데이터)를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또는 결과 출력부(37)는 응답 통계치 데이터를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고, 스마트 단말(60)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페이지를 전송한다.
특히, 결과 출력부(37)는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각 이용자는 응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단말 11 : 카메라
12 : 디스플레이 13 : 입력장치
14 : 움직임 센서 15 : 통신부
16 : 위치감지 센서 18 : 중앙처리장치
20 : 조사 클라이언트 30 : 조사 서버
300 : 조사 시스템 31 : 현재위치 감지부
32 : 메타버스 운영부 33 : 설문포스트 관리부
34 : 설문 활성부 35 : 설문결과 수집부
36 : 통계 분석부 37 : 결과 출력부
40 : 데이터베이스 80 : 네트워크

Claims (9)

  1.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현재위치 감지부;
    실제 세계와 매핑되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메타버스 운영부;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설문 포스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가상설문 포스트의 설문문항 내용을 등록하는 설문포스트 관리부;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하는 설문 활성부; 및,
    활성화된 가상설문 포스트가 구동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서 입력된 설문 결과를 수집하는 설문결과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위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운영부는 실제 세계의 지도 정보와 매핑되는 가상 지도 정보를 사전에 축적하고,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범위 내의 가상 지도 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여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지도 정보는 가상 도로, 가상 건축물, 가상 시설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가상설문 포스트의 시설문에 대한 설치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가상설문 포스트를 가상 시설물로서 생성하여 배치하되,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설문을 진행하는 객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에 대한 설문문항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설문문항 정보에 따라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에 설문문항을 게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포스트 관리부는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가 특정 시간에 중복되지 않고 하나의 설문문항만을 게재하도록, 상기 설문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활성부는 현재 위치에서 가상설문 포스트가 사전에 정해진 활성 범위 내에 가상설문 포스트가 존재하면 해당 가상설문 포스트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설문 포스트가 여론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의 내용으로 게재되고 설치장소에 기반하여 행정구역 별로 수집되는 여론조사용 포스트, 지역에 기반한 상점 또는 업체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위한 내용으로 게재되는 만족도 조사용 포스트, 위치에 기반한 개인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한 개인위주 조사용 포스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KR1020210082684A 2021-06-24 2021-06-24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KR10266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84A KR102664707B1 (ko) 2021-06-24 2021-06-24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84A KR102664707B1 (ko) 2021-06-24 2021-06-24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52A true KR20230000352A (ko) 2023-01-02
KR102664707B1 KR102664707B1 (ko) 2024-05-09

Family

ID=8492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84A KR102664707B1 (ko) 2021-06-24 2021-06-24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7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147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리서치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0119A (ko) * 2004-08-31 2006-03-06 (주)도프네트웍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설문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445A (ko) 2007-04-13 2009-01-09 박종운 고객 만족도 조사 전용단말 장치
KR20120098149A (ko) 2011-02-28 2012-09-05 최천규 온라인 고객만족도조사 및 실시간 고객만족도지수 제공 시스템
KR20130111826A (ko) 2012-04-02 2013-10-11 배윤식 고객 만족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7968A (ko)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114604A (ko) 2014-04-01 2015-10-13 이강석 고객 보상 서비스를 적용한 설문 조사 시스템
KR20190018994A (ko) * 2017-11-01 2019-02-26 조연희 가상현실 설문조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147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리서치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0119A (ko) * 2004-08-31 2006-03-06 (주)도프네트웍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설문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445A (ko) 2007-04-13 2009-01-09 박종운 고객 만족도 조사 전용단말 장치
KR20120098149A (ko) 2011-02-28 2012-09-05 최천규 온라인 고객만족도조사 및 실시간 고객만족도지수 제공 시스템
KR20130111826A (ko) 2012-04-02 2013-10-11 배윤식 고객 만족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7968A (ko)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114604A (ko) 2014-04-01 2015-10-13 이강석 고객 보상 서비스를 적용한 설문 조사 시스템
KR20190018994A (ko) * 2017-11-01 2019-02-26 조연희 가상현실 설문조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707B1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wan How GIS can help address the uncertain geographic context problem in social science research
Caldeira et al. Spatiotemporal tourist behaviour in urban destinations: a framework of analysis
US20180054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tion and movement mapping, tracking and analytics
Bluemke et al.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into survey research: Current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avenues
Goncalves et al. Crowdsourcing queue estimations in situ
KR20120035600A (ko) 상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상권정보 제공장치, 서비스장치 및 상권정보 제공단말
Chiu et al. System satisfaction survey for the App to integrate search and augmented reality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technology
Lyu et al. Preferences for tourist information centres in the ubiquitous information environment
Murad Creating a GIS application for local health care planning in Saudi Arabia
Park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n behavior mapping: A case study of neighborhood parks
Piccialli et al. An IoT data analytics approach for cultural heritage
Lee et al. How information quality and market turbulence impact convention and visitors bureaus’ use of marketing information: Insights for destination and event marketing
EP3806017A1 (en) Methods, platforms and systems for paying persons for use of their personal intelligence profile data
Yabiku et al. Comparing paper and tablet modes of retrospective activity space data collection
Syahidi et al. Measuring user assessments and expectations: The use of WebQual 4.0 method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o evaluate the quality of school websites
Velasquez et al. Marketing practices in Australian libraries: Is promotion enough?
JP6816091B2 (ja) 分析システム
KR102664707B1 (ko)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Sandkuhl et al. Targeted digital signage: technologies, approaches and experiences
Knote et al. Towards design excellence for context-aware services-the case of mobile navigation apps
Fletcher et al. Review of survey methods in events management research
JP6707020B2 (ja) 抽出装置、抽出方法及び抽出プログラム
Knutson et al. Geographic distributions of drag performers relative to urban centers: Implications for health
Wei et al. A self-control theory perspective on tourists’ short-vacation preference: empirical evidence from China
Schlundt et al.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evaluation of Nashville's REACH 2010 community action plan: reducing disparities 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in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