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211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211A
KR20220170211A KR1020210080983A KR20210080983A KR20220170211A KR 20220170211 A KR20220170211 A KR 20220170211A KR 1020210080983 A KR1020210080983 A KR 1020210080983A KR 20210080983 A KR20210080983 A KR 20210080983A KR 20220170211 A KR20220170211 A KR 2022017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hromaticity
light
beam patte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명
정재우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211A/ko
Priority to PCT/KR2022/006154 priority patent/WO2022270749A1/ko
Publication of KR2022017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색도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부 및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빔 패턴 영역으로 제1 광을 조사하는 제1 램프 유닛, 및 제2 광원부 및 제2 광학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패턴 영역으로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은 나란히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요망하는 색도의 빔 패턴을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는 그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색도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는 백색의 색도를 갖는 광을 출사하고, 브레이크 램프는 적색의 색도를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운행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광의 색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색도의 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는 것은 불필요한 비용의 발생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저렴한 비용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색도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요망하는 색도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4203호 (2019.03.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색도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부 및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빔 패턴 영역으로 제1 광을 조사하는 제1 램프 유닛, 및 제2 광원부 및 제2 광학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패턴 영역으로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 광원부에 구비된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제2 광원의 수는 동일하다.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의 수가 각각 한 개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색도와 상기 제2 광원의 색도는 상이하다.
상기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의 수가 각각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및 복수의 제2 광원은 각각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은 제1 색도를 갖는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를 갖는 제2 색도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의 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의 수와 동일하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각각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은 교호 배치된다.
상기 제1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의 배치 순서는 상기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의 배치 순서와 상이하다.
상기 빔 패턴 영역은 서로 다른 복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1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2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하다.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중 하나가 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 광학부 및 제2 광학부는 리플렉터, 쉴드 및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여 상기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패턴 영역에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 주간 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빔 패턴, 포지션 빔 패턴, 턴(turn) 빔 패턴, 테일(tail) 빔 패턴 및 정지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제어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색도를 구현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복수의 색도의 광을 출사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하나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2개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3개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광원의 광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제2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광원의 광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제1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광원의 광도 및 제2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차량용 램프의 기능에 따라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설명하기 위한 색도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부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 유닛(100), 제2 램프 유닛(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빔 패턴 영역으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이 동시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제1 광원부(110) 및 제1 광학부(120)를 포함하고, 빔 패턴 영역으로 제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2 광원부(210) 및 제2 광학부(220)를 포함하고, 빔 패턴 영역으로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램프 유닛(100)의 측면 및 제2 램프 유닛(200)의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1 램프 유닛(100)의 제1 광은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제2 램프 유닛(200)의 제2 광은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해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빔 패턴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광원부(110)에 구비된 광원을 제1 광원이라 하고, 제2 광원부(210)에 구비된 광원을 제2 광원이라 한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각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 각각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또는 벌브타입의 광원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광원부(110)에 구비된 제1 광원의 수와 제2 광원부(210)에 구비된 제2 광원의 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0)에 하나의 제1 광원이 포함된 경우 제2 광원부(210)에 하나의 제2 광원이 포함되고, 제1 광원부(110)에 2개의 제1 광원이 포함된 경우 제2 광원부(210)에 2개의 제2 광원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광원과 제2 광원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가 각각 복수의 제1 광원 및 복수의 제2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제1 광원을 연결한 가상 직선에 복수의 제2 광원을 연결한 가상 직선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광원 및 복수의 제2 광원은 각각 곡선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제1 광원의 배치를 형성하는 곡선의 중심 및 복수의 제2 광원의 배치를 형성하는 곡선의 중심이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광학부(120)는 제1 광원의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고, 제2 광학부(220)는 제2 광원의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광학부(120) 및 제2 광학부(220)는 리플렉터(121), 쉴드(122) 및 렌즈(123)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121)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121)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빔 패턴 영역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쉴드(122)는 광원의 광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광원의 광 중 일부가 차단됨에 따라 빔 패턴 영역에는 일정 형태의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이 로우 빔 패턴인 경우 쉴드(122)에 의해 광의 일부가 차단되어 컷 오프 라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123)는 광원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123)는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킬 수 있다. 렌즈(123)를 투과한 광은 집중되거나 확산되어 빔 패턴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123)는 광원의 광에 대한 어떠한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조사되도록 그대로 투과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제어부(300)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여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 조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하나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각각 하나의 광원(111a, 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111a)의 수와 제2 광원(211b)의 수가 각각 한 개인 경우 제1 광원(111a)의 색도와 제2 광원(211b)의 색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111a)은 A 색도의 광원일 수 있고, 제2 광원(211b)은 A 색도와는 상이한 B 색도의 광원일 수 있다.
제1 광원(111a) 및 제2 광원(211b)에 의한 서로 다른 색도의 광은 빔 패턴 영역(20)으로 조사될 수 있다. 빔 패턴 영역(20)은 A 색도 및 B 색도가 혼합된 혼합 색도의 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A 색도를 제1 색도라 하고, B 색도를 제2 색도라 한다.
도 4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2개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가 각각 3개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 빔 패턴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각각 복수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빔 패턴 영역(20)의 범위가 넓거나 빔 패턴 영역(20)의 전역에 걸쳐 보다 균일한 색도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광원부(110, 210)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의 수와 제2 광원의 수가 각각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제1 광원 및 복수의 제2 광원은 각각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은 제1 색도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제2 색도의 광을 조사하는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수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수 및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수는 각각 2개일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수 및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수는 각각 3개일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각각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은 교호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는 2개의 제1 색도 광원(111a) 및 1개의 제2 색도 광원(111b)을 포함하고, 제2 광원부(210)는 1개의 제1 색도 광원(211a) 및 2개의 제2 색도 광원(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원부(110)에서 제1 색도 광원(111a), 제2 색도 광원(111b) 및 제1 색도 광원(111a)의 순서로 제1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광원부(210)에서 제2 색도 광원(211b), 제1 색도 광원(211a) 및 제2 색도 광원(211b)의 순서로 제2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광원부(110, 210) 내에서 동일한 색도 광원이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색도 광원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및 제2 색도 광원(111b)의 배치 순서는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211a) 및 제2 색도 광원(211b)의 배치 순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에서 제1 색도 광원(111a) 및 제2 색도 광원(111b)의 순서로 제1 광원이 배치되고, 제2 광원부(210)에서 제2 색도 광원(211b) 및 제1 색도 광원(211a)의 순서로 제2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10)에서 제1 색도 광원(111a), 제2 색도 광원(111b) 및 제1 색도 광원(111a)의 순서로 제1 광원이 배치되고, 제2 광원부(210)에서 제2 색도 광원(211b), 제1 색도 광원(211a) 및 제2 색도 광원(211b)의 순서로 제2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각 광원부(110, 210)각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색도 광원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색도 광원이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각 색도 광원이 광을 조사함에 따라 빔 패턴 영역(20)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색도의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빔 패턴 영역(20)은 서로 다른 복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패턴 영역(20)은 2개의 분할 영역(21, 22)을 포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패턴 영역(20)은 3개의 분할 영역(21, 22, 23)을 포함할 수 있다.
빔 패턴 영역(20)에 포함된 분할 영역의 수는 각 광원부(110, 210)에 포함된 색도 광원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각 광원부(110, 210)에 2개의 색도 광원이 포함된 경우 빔 패턴 영역(20)에 포함된 분할 영역의 수는 2개이고, 각 광원부(110, 210)에 3개의 색도 광원이 포함된 경우 빔 패턴 영역(20)에 포함된 분할 영역의 수는 3개일 수 있다.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은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은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1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하고,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2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으로 복수의 제1 광원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광원 중 하나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은 제2 분할 영역(22)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111b)은 제2 분할 영역(22)으로 광을 조사하지 않고, 제1 분할 영역(21)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211a)은 제1 분할 영역(21)으로 광을 조사하고, 제2 색도 광원(211b)은 제2 분할 영역(22)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분할 영역(21) 및 제2 분할 영역(22)에 각각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의 조사되어 혼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분할 영역(21)에 형성된 빔 패턴의 혼합 색도와 제2 분할 영역(22)에 형성된 빔 패턴의 혼합 색도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광원부(110, 210)에 포함된 광원의 수가 3개인 경우 빔 패턴 영역(20)은 3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111a) 중 하나는 제3 분할 영역(23)으로 광을 조사하고, 다른 하나는 제1 분할 영역(21)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111b)은 제2 분할 영역(22)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211b) 중 하나는 제3 분할 영역(23)으로 광을 조사하고, 다른 하나는 제1 분할 영역(21)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제2 광원부(210)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211a)은 제2 분할 영역(22)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분할 영역(21), 제2 분할 영역(22) 및 제3 분할 영역(23)에 각각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의 조사되어 혼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분할 영역(21)에 형성된 빔 패턴의 혼합 색도, 제2 분할 영역(22)에 형성된 빔 패턴의 혼합 색도 및 제3 분할 영역(23)에 형성된 빔 패턴의 혼합 색도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각 광원부(110, 210)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광원이 구비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 광원부(110, 210)는 4개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빔 패턴 영역(20)은 각 광원부(110, 210)에 포함된 광원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분할 영역으로 서로 다른 색도의 광이 조사되고 각 분할 영역은 균일한 색도의 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 광원의 광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제2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2 광원의 광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제1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제1 광원의 광도 및 제2 광원의 광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빔 패턴 영역(20)에 형성된 빔 패턴의 합성 색도는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광도 및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광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를 조절함으로써 합성 색도가 조절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광도를 조절함으로써 합성 색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광도 및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합성 색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제1 색도 광원(111a, 211a)의 광도를 증가시킬수록 제1 색도가 점차 뚜렷하게 합성 색도가 변화하고,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를 증가시킬수록 제2 색도가 점차 뚜렷하게 합성 색도가 변화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111a, 211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111b, 211b)의 광도를 조절하여 빔 패턴 영역(20)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0)는 차량용 램프(10)의 기능에 따라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차량용 램프의 기능에 따라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설명하기 위한 색도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빔 패턴 영역(20)에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 주간 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빔 패턴, 포지션 빔 패턴, 턴(turn) 빔 패턴, 테일(tail) 빔 패턴 및 정지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빔 패턴 영역(20)에 형성되도록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0)는 색도 테이블(30)을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10)의 기능에 따라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램프(10)는 전조등, 주간 주행등, 포지션 램프, 턴 램프, 테일 램프 및 정지 램프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가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시원한 느낌의 빔 패턴 또는 따뜻한 느낌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가 주간 주행등 빔 패턴 또는 포지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조작된 경우 제어부(300)는 백색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가 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조작된 경우 제어부(300)는 앰버(amber)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가 테일 빔 패턴 또는 정지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조작된 경우 제어부(300)는 적색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가 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조작된 경우 제어부(300)는 앰버(amber)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가 테일 빔 패턴 또는 정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적색의 빔 패턴 또는 밝은 적색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빔 패턴 영역(20)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차량용 램프(10)에 의해 서로 다른 복수의 색도를 갖는 빔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차량용 램프(10)를 서로 다른 기능의 램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00)에 의해 빔 패턴의 색도가 미세하게 조절됨에 따라 운전 환경에 맞는 색도로 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보다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램프 20: 빔 패턴 영역
21, 22, 23: 분할 영역 100: 제1 램프 유닛
110: 제1 광원부 111a, 211a: 제1 색도 광원
111b, 211b: 제2 색도 광원 120: 제1 광학부
121: 리플렉터 122: 쉴드
123: 렌즈 200: 제2 램프 유닛
210: 제2 광원부 220: 제2 광학부
300: 제어부

Claims (15)

  1. 제1 광원부 및 제1 광학부를 포함하고, 빔 패턴 영역으로 제1 광을 조사하는 제1 램프 유닛; 및
    제2 광원부 및 제2 광학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패턴 영역으로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은 나란히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에 구비된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부에 구비된 제2 광원의 수는 동일한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은 일렬로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의 수가 각각 한 개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색도와 상기 제2 광원의 색도는 상이한 차량용 램프.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의 수와 상기 제2 광원의 수가 각각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및 복수의 제2 광원은 각각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색도를 갖는 복수의 광원은 제1 색도를 갖는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를 갖는 제2 색도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의 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2 색도 광원의 수와 동일한 차량용 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각각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은 교호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의 배치 순서는 상기 제2 광원부에 포함된 제1 색도 광원 및 제2 색도 광원의 배치 순서와 상이한 차량용 램프.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 영역은 서로 다른 복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대응하는 분할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1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은 다른 제2 광원에 대응하는 분할 영역과는 상이한 차량용 램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광원 중 하나가 광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 및 제2 광학부는 리플렉터, 쉴드 및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색도 광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도 광원의 광도를 조절하여 상기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의 색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패턴 영역에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 주간 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빔 패턴, 포지션 빔 패턴, 턴(turn) 빔 패턴, 테일(tail) 빔 패턴 및 정지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빔 패턴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080983A 2021-06-22 2021-06-22 차량용 램프 KR20220170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83A KR20220170211A (ko) 2021-06-22 2021-06-22 차량용 램프
PCT/KR2022/006154 WO2022270749A1 (ko) 2021-06-22 2022-04-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83A KR20220170211A (ko) 2021-06-22 2021-06-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211A true KR20220170211A (ko) 2022-12-29

Family

ID=8453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983A KR20220170211A (ko) 2021-06-22 2021-06-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70211A (ko)
WO (1) WO20222707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03B1 (ko) 2012-07-13 2019-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3627B2 (ja) * 2008-12-05 2013-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EP2814068A4 (en) * 2012-02-07 2016-01-20 Panasonic Ip Man Co Ltd LIGHT-EMITTING CIRCUIT, LIGHT-EMIT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KR101959793B1 (ko) * 2015-05-29 2019-03-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HUE049046T2 (hu) * 2016-02-23 2020-08-28 Signify Holding Bv Mesterséges napfény világító
KR102650693B1 (ko) * 2018-09-21 202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모듈, led 드라이버, 및 led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03B1 (ko) 2012-07-13 2019-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749A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817B1 (ko) 차량용 전조등
JP4587048B2 (ja) 車両用灯具
JP7264068B2 (ja) 車両用灯具
JP6774755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灯具システム
US11168858B2 (en) Vehicular lamp
US10876699B2 (en) Adaptive headlamp for optically and electronically shaping light
CN112747287B (zh) 产生弓形光分布的照明装置
US11738681B2 (en) Vehicular lamp
JP2018206769A (ja) ハイブリッド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275923A1 (en) Vehicle lamp
KR10198600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05053381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配光制御装置
KR20220170211A (ko) 차량용 램프
JP4165331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US11920755B2 (en) Automotive headlamp system and automotive lamp
JP7177802B2 (ja) 車両用灯具
JP7084199B2 (ja) 車両用灯具
CN109424908B (zh) 前照灯道路书写系统
US11982420B2 (en) Vehicle lighting
KR10232246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2024025681A (ja) 多光源照明モジュール及びその自動車用灯火器
JP2023178905A (ja) 車両用灯具
KR20230046418A (ko) 차량용 램프
JP2023162988A (ja) 車両用灯具
KR20230045959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