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801A -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801A
KR20220169801A KR1020210080354A KR20210080354A KR20220169801A KR 20220169801 A KR20220169801 A KR 20220169801A KR 1020210080354 A KR1020210080354 A KR 1020210080354A KR 20210080354 A KR20210080354 A KR 20210080354A KR 20220169801 A KR20220169801 A KR 2022016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ed
bidet
diagnosis
part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김민환
진성월
김기철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801A/ko
Priority to US18/571,943 priority patent/US20240279915A1/en
Priority to CN202280044504.6A priority patent/CN117545901A/zh
Priority to PCT/KR2022/007538 priority patent/WO2022270784A1/ko
Publication of KR2022016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75Faul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e.g. classify fault; estimate cause or root of fail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하는 진단모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장치;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부하입력부; 및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를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BID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변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는 사용자를 향하여 세정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는 세정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사용자에게 건조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품들은 소정 시간 사용되면 고장이 발생하며, 부품들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어떤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사용자가 판단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부품의 고장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니저가 방문하여 비데를 점검하였다.
그러나, 매니저가 방문하는 경우 매니저가 직접 진단을 하기 전까지 어떤 부품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기 어려웠으며, 매니저가 방문하더라도 고장의 원인이 되는 부품을 찾아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매니저가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비데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비데가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33792 “실내 장치의 자가 진단 방법”(특허문헌 1)는 자동으로 비데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자가 진단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자가 진단 방법은 부품들에 전류를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부하가 기준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부품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자가 진단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입력되었을 때 특정 기능에서 실제 사용되는 부품들에 전류를 가함으로써 부품들의 고장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자가 진단 방법은 입력된 특정 기능에서 사용되는 부품들만 테스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기능만 사용할 경우 실제 사용되지 않는 부품들을 테스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품들에 대해서만 반복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 특정 부품들이 과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자가 진단 방법은 특정 기능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을 동시에 테스트하여 측정된 값이 허용 범위에 있는지 판단하기 때문에 테스트된 부품들 중 고장난 부품을 하나로 특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특정 기능에서 실제 사용되는 부품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들에 대해서도 고장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를 부품별로 개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장난 부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비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33792 (2012.04.09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정 기능에서 실제 사용되는 부품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들에 대해서도 고장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부품에 과도하게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스트를 부품별로 개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장난 부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하는 진단모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장치;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부하입력부; 및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출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 중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건조팬을 포함하고,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팬인,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토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히터 및 상기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온수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급수밸브인,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상기 물에 살균물질을 공급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급수밸브를 진단한 이후에 상기 살균모듈을 진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에서 판단된 진단결과를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는, 상기 상시진단모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가해지는 사용 전기부하보다 큰,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출력범위는,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입력된,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요소센서를 포함하는 부품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요소센서는, 변좌온도센서, 입수온도센서, 출수온도센서, 착좌감지센서 및 수위감지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부품동작감지부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하여 센서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부품동작감지부에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전기적 출력값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요소센서에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진 요소센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상기 센서테스트를 수행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데를 제어하는 비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대하여 진단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단계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전기부하 인가 단계;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출력감지부가 상기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하는 전기적 출력값 감지 단계; 상기 출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정상유무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 중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비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건조팬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팬인, 비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토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히터 및 상기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온수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급수밸브인, 비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기능에서 실제 사용되는 부품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들에 대해서도 고장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특정 부품에 과도하게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스트를 부품별로 개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장난 부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그룹 및 부품동작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제어하는 비데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는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작동을 미리 정해진 모드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1)는 사용자가 비데(1)를 사용할 때,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데(1)는 상시진단모드뿐만 아니라 비데(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1)는 부품그룹(100), 부품동작감지부(200), 부하입력부(300), 출력감지부(400), 제어장치(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부품그룹(1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그룹(100)은 제1 부품그룹(110), 제2 부품그룹(120), 제3 부품그룹(130), 제4 부품그룹(140) 및 제5 부품그룹(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품그룹(110)은 사용자에게 건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품그룹(110)은 사용자에게 세정수가 분사된 경우 사용자에게 잔류하는 세정수를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품그룹(110)은 건조히터(111) 및 건조팬(112)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히터(111)는 사용자에게 온풍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데(1)의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조히터(111)는 건조팬(112)에 의해 비데(1)의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히터(111)가 가열하는 공기의 목표 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건조팬(112)은 건조히터(11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팬(112)은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팬(112)에 유동하는 가열 공기는 사용자에게 잔류하는 세정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제2 부품그룹(12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품그룹(12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정수를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품그룹(120)은 온수히터(121), 급수밸브(122) 및 살균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히터(121)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정수를 소정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히터(121)는 사용자가 세정수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히터(121)가 가열하는 세정수의 목표 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급수밸브(122)는 비데(1) 내부를 유동하는 세정수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밸브(122)는 온수히터(121)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 세정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살균모듈(123)은 비데(1) 내부를 유동하는 세정수를 살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모듈(123)은 세정수에 살균 분말을 함유시켜 세정수를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모듈(123)은 소정 공간에 잔류하는 세정수보다 유동하는 세정수에 살균 분말을 함유시킬 경우 살균 효과가 더 상승함으로 급수밸브(122)에 의해 외부로 유동하는 세정수를 살균할 수 있다.
제3 부품그룹(130)은 변좌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부품그룹(130)은 변좌히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변좌히터(131)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변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변좌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좌히터(131)는 변좌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여 변좌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변좌히터(131)가 가열하는 변좌의 목표 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제4 부품그룹(140)은 비데(1) 내의 부품들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부품그룹(140)은 세정모터(141), 비데모터(142), 쓰리웨이모터(143) 및 포웨이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모터(141)는 사용자에게 세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세정용 노즐(미도시)을 이동시킬 수 있다.
비데모터(142)는 사용자에게 세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비데용 노즐(미도시)을 이동시킬 수 있다.
쓰리웨이모터(143)는 비데(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쓰리웨이모터(143)는 비데(1)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포웨이모터(144)는 비데(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웨이모터(144)는 비데(1)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체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5 부품그룹(150)은 비데(1)를 유동하는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5 부품그룹(150)은 에어펌프(151) 및 도기펌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151)는 세정용 노즐 및 비데용 노즐로 유동하는 세정수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펌프(151)에서 공기가 주입된 세정수는 세정용 노즐 및 비데용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기펌프(152)는 비데(1)의 도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살균용 노즐(미도시)로 유동시킬 수 있다.
부품동작감지부(200)는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요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요소센서는 변좌온도센서(210), 입수온도센서(220), 출수온도센서(230), 착좌감지센서(240) 및 수위감지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좌온도센서(210)는 변좌에 구비되어 변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좌온도센서(210)에서 측정된 변좌의 온도는 변좌히터(131)로 전달될 수 있다.
입수온도센서(220)는 비데(1)로 입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수온도센서(220)는 측정한 물의 온도를 제어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출수온도센서(230)는 비데(1)로부터 외부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온도센서(230)는 측정한 물의 온도를 제어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착좌감지센서(240)는 변좌에 사용자가 앉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좌감지센서(240)는 사용자가 변좌에 앉으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신호를 제어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250)는 변기 내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센서(250)는 측정한 변기 내의 물의 수위를 제어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부하입력부(300)는 정밀진단모드에서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대상부품은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부하입력부(300)에 의해 전기부하가 가해질 진단의 대상이 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부하입력부(300)는 진단대상부품에 가해지는 진단용 전기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입력부(300)는 진단대상부품에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할 때,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통하여 가해지는 AC 부하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부하입력부(300)는 진단대상부품에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할 때, 션트 저항(Shun Resistor)을 통하여 가해지는 DC 부하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부하입력부(300)는 상시진단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100)에 가하는 사용 전기부하보다 큰 진단용 전기부하를 정밀진단모드에서 진단대상부품에 가할 수 있다.
또한, 부하입력부(200)는 부품동작감지부(2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입력부(200)는 진단대상부품에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품동작감지부(200)에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할 수 있다. 다만,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는 진단용 전기부하와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출력감지부(400)는 진단대상부품에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감지부(400)는 Op-AMP를 이용하여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AC 부하를 고전류 및 저전류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감지부(400)는 Op-AMP를 이용하여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DC 전류를 고전류 및 저전류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감지부(400)는 부품동작감지부(200)에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진 요소센서로부터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장치(500)는 진단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모드는 앞서 설명한 상시진단모드와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상시진단모드에서 복수 개의 부품그룹(10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부품그룹(10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상시진단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500)는 정밀진단모드에서 복수 개의 부품그룹(10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500)는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 중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진단 순서에 따라 진단을 진행하며, 이러한 진단 순서는 제어장치(500)가 결정하거나, 진단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500)가 제1 부품그룹(11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제어장치(500)는 건조히터(111)를 선진단대상부품으로 건조팬(112)을 후진단대상부품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히터(111)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건조히터(111)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건조팬(112)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건조팬(112)의 작동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조히터(11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건조팬(112)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열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장치(500)가 제2 부품그룹(12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제어장치(500)는 온수히터(121)를 선진단대상부품으로 급수밸브(122)를 후진단대상부품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히터(121)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물은 급수밸브(122)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살균모듈(123)을 급수밸브(122)보다 후진단대상부품으로 결정하고, 급수밸브(122)를 진단한 이후에 살균모듈(123)을 진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온수히터(121)에서 발생된 고온의 물이 사용자에게 직접 출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급수밸브(122)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온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밸브(122)에 의해 물이 출수되는 과정에서 살균모듈(123)을 작동시켜 유동하는 물에 살균 분말을 함유시켜 살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제어장치(500)가 제4 부품그룹(14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세정모터(141), 비데모터(142), 쓰리웨이모터(143) 및 포웨이모터(144)를 순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가 제5 부품그룹(150)에 대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에어펌프(151) 및 도기펌프(152)를 순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품을 진단하는 순서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출력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500)에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는 복수 개의 요소부품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부품그룹(110)의 부품과 제2 부품그룹(120)의 부품은 서로 다른 기준 출력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판단된 진단 결과를 통신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어장치(500)는 복수 개의 요소센서에 순차적으로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하도록 부하입력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복수 개의 요소 센서에 순차적으로 센서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500)는 변좌온도센서(210), 입수온도센서(220), 출수온도센서(230), 착좌감지센서(240) 및 수위감지센서(250)에 순차적으로 센서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센서테스트 과정에서 출력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진 요소센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어장치(500)는 부품그룹(100)에 대한 진단이 수행된 이후에 부품동작감지부(200)를 진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품동작감지부(200)에 대한 진단은 부품그룹(100)을 진단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부품그룹(110)과 제2 부품그룹(120)의 진단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다.
통신부(600)는 제어장치(500)에서 판단된 진단결과를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PDA, 테블릿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6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통신부(6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Radio Frequency)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를 제어하는 비데 제어 방법(S1)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데 제어 방법(S1)은 비데(1)에 포함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모드에 따라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 제어 방법(S1)은 진단 단계(S10) 및 진단 결과 송신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계(S10)에서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대하여 진단모드에 따라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단 단계(S10)는 전기부하 인가 단계(S100), 전기적 출력값 감지 단계(S200), 및 정상유무 판단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부하 인가 단계(S100)에서는 정밀진단모드에서 부하입력부(300)가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하 인가 단계(S100)에서는 부하입력부(300)가 부품동작감지부(200)에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할 수 있다.
전기적 출력값 감지 단계(S200)에서는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출력감지부(400)가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출력값 감지 단계(S200)에서는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출력감지부(400)가 부품동작감지부(2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정상유무 판단 단계(S300)에서는 진단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순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상유무 판단 단계(S300)에서는 출력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상유무 판단 단계(S300)는 정밀진단모드에서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경우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진단 순서에 따른다. 이러한 진단 순서는 제어장치(500)가 결정하거나 진단모드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진단 결과 송신 단계(S20)에서는 통신부(600)가 진단 단계(S10)에서 판단된 진단결과를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비데
100: 부품그룹 110: 제1 부품그룹
111: 건조히터 112: 건조팬
120: 제2 부품그룹 121: 온수히터
122: 급수밸브 123: 살균모듈
130: 제3 부품그륩 131: 변좌히터
140: 제4 부품그룹 141: 세정모터
142: 비데모터 143: 쓰리웨이모터
144: 포웨이모터 150: 제5 부품그룹
151: 에어펌프 152: 도기펌프
200: 부품동작감지부 210: 변좌온도센서
220: 입수온도센서 230: 출수온도센서
240: 착좌감지센서 250: 수위감지센서
300: 부하입력부 400: 출력감지부
500: 제어장치 600: 통신부

Claims (11)

  1. 비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하는 진단모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장치;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부하입력부; 및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출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 중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비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건조팬을 포함하고,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팬인,
    비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토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히터 및 상기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온수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급수밸브인,
    비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상기 물에 살균물질을 공급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급수밸브를 진단한 이후에 상기 살균모듈을 진단하는,
    비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서 판단된 진단결과를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비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는, 상기 상시진단모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가해지는 사용 전기부하보다 큰,
    비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출력범위는,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입력된,
    비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요소센서를 포함하는 부품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요소센서는,
    변좌온도센서, 입수온도센서, 출수온도센서, 착좌감지센서 및 수위감지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부품동작감지부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하여 센서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부품동작감지부에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전기적 출력값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요소센서에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를 가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테스트용 전기부하가 가해진 요소센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상기 센서테스트를 수행하는,
    비데.
  9. 비데를 제어하는 비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요소부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에 대하여 진단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상시진단모드와, 사용자가 상기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그룹의 정상작동여부를 진단하는 정밀진단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단계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요소부품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대상부품에 미리 정해진 진단용 전기부하를 가하는 전기부하 인가 단계;
    상기 진단용 전기부하가 가해졌을 때 출력감지부가 상기 진단대상부품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출력값을 감지하는 전기적 출력값 감지 단계;
    상기 출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출력값이 미리 입력된 기준 출력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진단대상부품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정상유무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는,
    상기 정밀진단모드에서 상호간에 유체 연통된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 중 먼저 진단되는 선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발생된 열이 나중에 진단되는 후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할 때 제거될 수 있는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을 진단하는,
    비데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건조팬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건조팬인,
    비데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단대상부품은, 외부로 토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히터 및 상기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사기 정상유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선진단대상부품은 상기 온수히터이고, 상기 후진단대상부품은 상기 급수밸브인,
    비데 제어 방법.
KR1020210080354A 2021-06-21 2021-06-21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20169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354A KR20220169801A (ko) 2021-06-21 2021-06-21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8/571,943 US20240279915A1 (en) 2021-06-21 2022-05-27 Bid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280044504.6A CN117545901A (zh) 2021-06-21 2022-05-27 智能马桶盖及其控制方法
PCT/KR2022/007538 WO2022270784A1 (ko) 2021-06-21 2022-05-27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354A KR20220169801A (ko) 2021-06-21 2021-06-21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801A true KR20220169801A (ko) 2022-12-28

Family

ID=8453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354A KR20220169801A (ko) 2021-06-21 2021-06-21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279915A1 (ko)
KR (1) KR20220169801A (ko)
CN (1) CN117545901A (ko)
WO (1) WO202227078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792A (ko) 2010-09-30 2012-04-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내 장치의 자가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870A (ja) * 1994-07-18 1996-01-30 Toto Ltd 衛生装置
JP2000129751A (ja) * 1998-10-21 2000-05-09 Toto Ltd 情報送信可能な衛生洗浄装置
KR100484522B1 (ko) * 2001-12-03 2005-04-20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의 테스트 모드 제어장치
KR101977029B1 (ko) * 2012-11-13 2019-05-1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의 고장검사방법, 비데의 예상 사용전력량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비데
KR20140141936A (ko) * 2013-06-03 2014-12-11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및 비데의 자가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792A (ko) 2010-09-30 2012-04-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내 장치의 자가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784A1 (ko) 2022-12-29
US20240279915A1 (en) 2024-08-22
CN117545901A (zh) 202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854B2 (en) Universal calibration system
CN109577441B (zh) 卫生洗净装置
KR100838751B1 (ko) 번인장치의 상태 진단방법
CN109577440B (zh) 卫生洗净装置
CN109975007B (zh) 阀门检测方法及系统
KR20220169801A (ko) 비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961634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977029B1 (ko) 비데의 고장검사방법, 비데의 예상 사용전력량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비데
JPH0972610A (ja) 給湯装置および給湯装置の温度検出手段の故障検知方法
JP2006233473A (ja) 便座装置
KR20140141936A (ko) 비데 및 비데의 자가진단방법
JP6281732B1 (ja) 衛生洗浄装置
JP7179259B2 (ja) 便座装置
KR20180110791A (ko) 건조기의 기능 점검 방법
US103525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as powered appliances
KR101529648B1 (ko) 온수세정기의 순간 온수장치 제어방법
JP3810306B2 (ja) 風呂戻り温度センサの異常診断方法
JP2001221448A (ja) 温水暖房装置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並びに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JP7114024B2 (ja) 便座装置
US11402422B2 (en) Methods for detecting sensor faults in a consumer appliance
JP2013137201A (ja) 信号検出回路および加熱装置
JP4465885B2 (ja) 制御装置、給湯装置および故障診断方法
JP6281733B1 (ja) 衛生洗浄装置
CN108951792B (zh) 卫生清洗装置
KR20220170660A (ko) 유량 감지 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