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422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422A
KR20220169422A KR1020220073304A KR20220073304A KR20220169422A KR 20220169422 A KR20220169422 A KR 20220169422A KR 1020220073304 A KR1020220073304 A KR 1020220073304A KR 20220073304 A KR20220073304 A KR 20220073304A KR 20220169422 A KR20220169422 A KR 2022016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heating cooker
exhaust
cov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타카 사토
데츠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17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7233121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속냄비를 가열 제어함으로써 상기 속냄비 내의 식재를 조리하는 가열 조리기는, 상기 속냄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를 가열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어, 상기 속냄비의 내부를 닫힘 공간으로 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 기구를 가지고, 상기 배기 기구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에 연통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2 실을 가지고, 상기 제2 실의 기체를 기외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조리하는 식재를 수용하는 식재 수용부(속냄비)를 가지는 조리기 본체와, 식재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가열 조리기에서는 속냄비 내의 수증기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해, 제1 증기 배출 통로 및/또는 제2 증기 배출 통로가 덮개체에 설치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21757호
속냄비의 내부의 기체(증기)는 매우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해당 기체를 기외로 배출할 때에 해당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외로 배출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기구를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특허문헌 1에는, 기외로 배출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기구의 상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가열 조리기는, 속냄비를 가열 제어함으로써 상기 속냄비 내의 식재를 조리하는 가열 조리기로서, 상기 속냄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를 가열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어, 상기 속냄비의 내부를 닫힘 공간으로 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 기구를 가지고, 상기 배기 기구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에 연통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속냄비의 내부의 기체(증기)는 매우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해당 기체를 기외로 배출할 때에 해당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외로 배출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기구를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특허문헌 1에는, 기외로 배출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기구의 상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를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2 실을 가지고, 상기 제2 실의 기체를 기외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의 정면 사시도(본체부에 덮개부를 부착한 상태)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의 정면 사시도(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떼어낸 상태)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덮개부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본체부에 덮개부를 부착한 상태)이다.
도5a는 제1 실시형태의 덮개부(배기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제1 실시형태의 덮개부(배기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제1 실시형태의 덮개부(배기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단면도(XY단면도)이다.
도 7a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폐로 상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폐로 상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자동 배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자동 배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강제 배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강제 배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의 정면 사시도(본체부에 덮개부를 부착한 상태)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의 정면 사시도(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떼어낸 상태)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덮개부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2 실시형태의 덮개부(배기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제2 실시형태의 덮개부(배기 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27)의 단면 모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에 필수의 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가지 이상의 특징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좋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 조리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열 조리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 전체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체부(1)에 대하여 덮개부(2)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본체부(1)로부터 덮개부(2)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덮개부(2)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본체부(1)에 대하여 덮개부(2)를 부착한 상태의 가열 조리기(100)의 단면도(도 1의 선 A-A에서의 YZ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X축 방향을 가열 조리기(100)의 좌우 방향, Y축 방향을 가열 조리기(100)의 전후 방향, Z축 방향을 가열 조리기(100)의 상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기재하고 있는 경우, 그것은 +X방향 및 -X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는 전기 압력솥이라고도 불리고, 조리 대상물로서의 식재가 넣어진 속냄비(3)를 가열 제어함으로써 속냄비(3) 내의 식재를 조리하는 장치이다. 가열 조리기(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가열 프로그램에 따라서 속냄비(3)의 가열 제어를 실시하는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상부에 착탈 가능(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부(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1)로부터 덮개부(2)를 완전히 떼어낼 수 있도록, 즉, 본체부(1)와 덮개부(2)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1)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체부(1)는 속냄비(3)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10)와, 수용부(10)에 수용된 속냄비(3)를 가열하는 가열부(히터)(11)와,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는 도 2나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본체부(1)로부터 덮개부(2)가 떼어내어진 상태로 상측 개방부로부터 속냄비(3)를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10)는 겉냄비라고도 불리고, 예를 들면, 금속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플랜지(1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열부(11)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용부(10)에 수용된 속냄비(3)를 유도 가열하기 위해 수용부(10)의 주위(도 4에서는 하부)에 배치된 유도 가열 코일을 가진다.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가지고, 속냄비(3) 내의 식재를 조리하기 위한 소정의 가열 프로그램에 따라서 가열부(11)(유도 가열 코일)로의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속냄비(3)의 가열 처리(식재의 조리)를 제어한다. 도 4에서 제어부(12)는 본체부(1)의 전부(前部)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체부(1)의 내부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외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가 설치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는 예를 들면, 버튼이나 다이얼 등, 속냄비(3)의 가열 처리의 내용(즉, 속냄비(3)에 넣어진 식재의 조리 내용)을 설정ㆍ조정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및/또는 가열 처리(조리 내용)의 설정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덮개부(2)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덮개부(2)는 본체부(1)의 상부에 부착되고, 본체부(1)의 수용부(10)에 대하여 개폐된다. 덮개부(2)는 본체부(1)의 상부에 장착되거나, 배치되거나, 또는 설치된다고 이해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덮개부(2)는 내부 덮개(14) 및 핸들부(15)를 구비한다. 내부 덮개(14)는 수용부(10)(속냄비(3))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이고,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1)로부터 떼어내어진 덮개부(2)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에 확인할 수 있다. 내부 덮개(14)는 덮개부(2)가 본체부(1)의 상부에 부착된 경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10)(내부 덮개(3))의 상측 개방부를 덮어서, 수용부(10)(속냄비(3))를 닫힘 공간으로 하도록 구성되고, 후술하는 고정 기구(30)에 의해 수용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부(15)는 덮개부(2)의 개폐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도록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는 배기 기구(20)와, 고정 기구(30)와, 록 기구(40)와, 압력 통지 기구(50)를 구비한다.
배기 기구(20)는 속냄비(3)의 내부의 기체(증기)를,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기외(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구이고, 제어부(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 기구(20)는 속냄비(3) 내의 식재의 조리(속냄비(3)의 가열 처리)가 종료된 경우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제어하에서 덮개부(2)의 상면의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속냄비(3)의 내부의 기체를 기외로 배기하는 자동 배기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을 저감시켜서 대기압(기외의 압력)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1)로부터 덮개부(2)를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배기 기구(20)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 버튼(16)을 가지고, 사용자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눌러내림에 따라서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를 배기(강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배기 기구(20)의 상세한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 기구(30)는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상부에 부착된 덮개부(2)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고정 기구(30)는 본체부(1)의 수용부(10)의 내부를 닫힘 공간으로 유지하도록 수용부(10)에 대하여 덮개부(2)의 내부 덮개(14)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로서 이해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고정 기구(3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버(31)와, 제1 끼워맞춤 부재(32)(제1 고정 부재)와, 제2 끼워맞춤 부재(33)(제2 고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31)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조작부(제1 조작자)이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고정 위치(PF1)와 해제 위치(PF2)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위치(PF1)는 본체부(1)와 덮개부(2)를 고정할 때에 배치되는 레버(31)의 위치이고, 해제 위치(PF2)는 본체부(1)와 덮개부(2)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 배치되는 레버(31)의 위치이다. 제1 끼워맞춤 부재(32) 및 제2 끼워맞춤 부재(33)의 각가은 덮개부(2)가 본체부(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0)의 플랜지(10a)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된 부재이다. 제1 끼워맞춤 부재(32) 및 제2 끼워맞춤 부재(33)는 본체부(1)의 수용부(10) 및 내부 덮개(14)를 통하여 대향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10)의 -Y방향측 및 +Y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끼워맞춤 부재(32)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コ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고, 수용부(10)의 -Y방향측에 배치되어, 수용부(10)의 플랜지(10a)(-Y방향측의 일부)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에 끼워맞추어진다. 제1 끼워맞춤 부재(32)는 레버(31)에 연결하고 있고, Y축 방향으로의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레버(31)가 해제 위치(PF2)로부터 고정 위치(PF1)로 이동한 경우, 제1 끼워맞춤 부재(32)는, 그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수용부(10)에 가까워지는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10)의 플랜지(10a)(-Y방향측의 일부)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에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본체부(1)(수용부(10))와 덮개부(2)(내부 덮개(14))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의해 레버(31)가 고정 위치(PF1)로부터 해제 위치(PF2)로 이동한 경우, 제1 끼워맞춤 부재(32)는, 그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수용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10)의 플랜지(10a)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수용부(10))와 덮개부(2)(내부 덮개(14))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끼워맞춤 부재(33)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コ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고, 수용부(10)의 +Y방향측에 배치되어, 수용부(10)의 플랜지(10a)(+Y방향측의 일부)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에 끼워맞추어진다. 제2 끼워맞춤 부재(33)는 제1 끼워맞춤 부재(32)와 마찬가지로, 레버(31)에 연결하고 있고, Y축 방향으로의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레버(31)가 해제 위치(PF2)로부터 고정 위치(PF1)로 이동한 경우, 제2 끼워맞춤 부재(33)는, 그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수용부(10)에 가까워지는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10)의 플랜지(10a)(+Y방향측의 일부)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에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본체부(1)(수용부(10))와 덮개부(2)(내부 덮개(14))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의해 레버(31)가 고정 위치(PF1)로부터 해제 위치(PF2)로 이동한 경우, 제2 끼워맞춤 부재(33)는, 그 레버(31)의 이동에 따라서 수용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Y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용부(10)의 플랜지(10a)와 내부 덮개(14)의 겹침 부분으로의 끼워맞춤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수용부(10))와 덮개부(2)(내부 덮개(14))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록 기구(40)는 고정 기구(30)에 의한 본체부(1)와 덮개부(2)의 고정을 록하기 위한 기구이다. 록 기구(40)는 고정 기구(30)의 레버(31)가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고정 위치(PF1)로부터 해제 위치(PF2)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기구로서 이해되어도 좋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해제 위치(PF2)로의 레버(31)의 이동의 제한을 해제할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2 조작부(제2 조작자)로서의 스위치(41)(노브)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41)는 통상시에는 위치(PL1)에 배치되어 있지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PL2)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위치(41)가 위치(PL2)로 슬라이드한 경우에, 해제 위치(PF2)로의 레버(31)의 이동의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압력 통지 기구(50)는 속냄비(3)의 내부 압력에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 부재(51)(압력 핀)를 가지고, Z축 방향에서의 핀 부재(51)의 위치에 따라서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한계값) 이상인지의 여부(즉,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핀 부재(51)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단부가 덮개부(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돌출량에 따라서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통지 기구(50)의 핀 부재(51)는 Z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부재이고, 속냄비(3)의 내부에 연통하는 연통관의 유로를 막도록 해당 유로를 관통하고,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압력 통지 기구(50)에서는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 핀 부재(51)는 자중에 의해 제1 핀 위치(저압 위치)(PN1)에 배치된다. 한편,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핀 부재(51)는 속냄비(3)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Z방향으로 눌리고, 제1 핀 위치(PN1)보다 +Z방향측의 제2 핀 위치(고압 위치)(PN2)에 배치된다. 이때, 덮개부(2)의 상면으로부터의 핀 부재(51)의 돌출량은 제1 핀 위치(PN1)보다 제2 핀 위치(PN2)쪽이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돌출량에 기초하여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값은 핀 부재(51)의 질량(무게)에 따라서 규정되고,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배기 기구의 구성]
다음으로, 덮개부(2)의 배기 기구(20)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배기 기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덮개부(2)(특히, 배기 기구(20))의 분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덮개부(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5B는 덮개부(2)로부터 커버 부재(23)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C는 덮개부(2)로부터 배기 밸브(22) 및 커버 부재(23)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C에서는 커버 부재(23)를 더 상세하게 분해한 상태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20)는 예를 들면, 도 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통관(21)과, 배기 밸브(22)와, 커버 부재(23)를 구비할 수 있다.
연통관(21)은 속냄비(3)(수용부(10))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내부 덮개(14)에 설치된 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통관(21)의 한쪽의 단부는 속냄비(3)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배기 밸브(22)가 배치된다.
배기 밸브(22)는 연통관(21)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부재이고, 예를 들면, 도 4나 도 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통관(2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배기 밸브(22)는 질량체(저울추)를 포함하고, 자중에 의해 연통관(21)의 유로를 닫도록(막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속냄비(3)의 가열 처리에서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을 기외의 압력보다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배기 밸브(22)는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체(증기)를 기외로 배출하는 경우, 제어부(12)의 제어하, 연통관(21)의 유로를 열도록(개방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속냄비(3)의 내부의 기체를 연통관(21)으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커버 부재(23)는 연통관(21) 및 배기 밸브(22)를 덮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커버 부재(23)는 배기 밸브(22)가 열린 경우에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상면에 설치된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23)는 도 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기 구멍(23a)을 가지는 외장 부재(23b)와, 커버 부재(23)의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격벽 부재(23c)를 구비한다. 격벽 부재(23c)에는, 격벽 부재(23c)를 덮개부(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23d, 23e)가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 부재(23d, 23e)에 의해, 격벽 부재(23c)가 고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23i)를 통하여 덮개부(2)에 부착된다. 외장 부재(23b)는 격벽 부재(23c)의 측부 및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격벽 부재(23c)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23)는 제1 실(S1)(제1 공간)과 제2 실(S2)(제2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커버 부재(23)의 제1 실(S1) 및 제2 실(S2)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배기 밸브(22) 및 커버 부재(23)가 덮개부(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배기 기구(20)의 단면도(XY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격벽 부재(23c)는 일부에 개구(23h)를 가지는 격벽(23g)을 가지고, 이 격벽(23g)에 의하여 커버 부재(23)의 내부 공간을 제1 실(S1)과 제2 실(S2)로 구획하고(구분하고) 있다. 제1 실(S1)은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공간이고, 제2 실(S2)은 격벽(23g)의 개구(23h)를 통하여 제1 실(S1)로부터 유출되어 온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공간이다. 또한, 배기 구멍(23a)은 외장 부재(23b)의 상면 중, 제2 실(S2)을 규정하는 부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 부재(23)에서는 도 6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를 제1 실(S1)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킨 후, 격벽(23g)의 개구(23h)를 통하여 제1 실(S1)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제2 실(S2)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배기 구멍(23a)을 통하여 제2 실(S2)로부터 기외로 배출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23)는 연통관(21)으로부터 배기 구멍(23a)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가 래버린스(labyrinth)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를, 제1 실(S1) 및 제2 실(S2)의 각각에서(즉, 2단계로) 온도를 저하시키고나서, 배기 구멍(23a)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는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3)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격벽(23g)의 개구(23h)를 덮도록 격벽(23g)에 대면하여 배치된 판 부재(23f)를 구비해도 좋다. 판 부재(23f)는 격벽(23g)의 개구(23h)를 막지 않도록 개구(23h)를 덮는 판형상의 부재이고, 예를 들면, 제2 실(S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판 부재(23f)는 금속 등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판 부재(23f)는 격벽(23g) 중, 개구(23h)가 형성된 면의 +Y방향측에 있어서, 해당 면에 대면하도록 해당 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판 부재(23f)는 커버 부재(23)(격벽 부재(23c))를 덮개부(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23e)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 부재(23f)를 더 설치함으로써 연통관(21)으로부터 배기 구멍(23a)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를 더 복잡화한 래버린스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기체(증기)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향상시켜서,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더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에서 더욱 유리해질 수 있다.
[배기 기구의 배기 동작]
다음으로, 배기 기구(20)의 배기 동작에 대하여, 도 7A 내지 도 7B, 도 8A 내지 도 8B 및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배기 밸브(22)에 의해 연통관(21)의 유로를 닫고 있는 상태(이하에서는 폐로 상태라 부르는 일이 있다)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제어부(12)의 제어하에서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자동적으로 배기하는 자동 배기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강제적으로 배기하는 강제 배기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A, 도 8A 및 도 9A는 배기 기구(20)의 단면도(YZ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범위(R)의 확대도이다. 해당 단면도에서의 파선 화살표는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B, 도 8B 및 도 9B는 배기 기구(20)의 배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해당 내부 구성도에서는 배기 기구(20)의 배기 동작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배기 기구(20)의 배기 동작에 관련되는 부재만을 도시하고, 그 이외의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폐로 상태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기 밸브(22)가, 그 자중에 의하여 연통관(21)의 유로를 닫고(막고) 있기 때문에 속냄비(3)의 내부 압력을 기외의 압력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증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자동 배기를 실시한다. 소정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속냄비(3)의 가열 처리(속냄비(3) 내의 식재의 조리)가 종료된 후의 소정의 타이밍일 수 있지만, 해당 가열 처리 도중의 타이밍이어도 좋다. 가열 처리가 종료된 후의 소정의 타이밍은 일례로서, 가열 처리의 종료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타이밍, 가열 처리의 종료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직전의 타이밍, 또는 가열 처리(식재의 조리)가 종료된 직후의 타이밍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가열 처리란, 예를 들면, 소정의 가열 프로그램에 따라서 속냄비(3)의 가열 제어를 실시하는 처리를 말하고, 속냄비(3) 내의 식재의 가열, 뜸들임, 보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배기는 도 8A 내지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부(24)에 의해 배기 밸브(22)를 구동하여 연통관(21)의 유로를 엶으로써(개방함으로써),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증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처리이다. 배기 기구(20)에는, 예를 들면,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부(24)의 동력(구동력)을 배기 밸브(2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25)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부(24)는 해당 전달 부재(25)를 구동함으로써 연통관(21)의 유로를 열도록 배기 밸브(22)를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24)는 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 부재(24a)와, 돌출 부재(24a)를 본체부(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돌출 부재(24a)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2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달 부재(25)는 배기 밸브(22)(구체적으로는, 배기 밸브(22)에 설치된 돌기부(22a))의 하면에 맞닿는 핀 부재(25a)와, 돌출 부재(24a)와 핀 부재(25a)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자동 배기를 실시하는 경우,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4b)를 동작시켜서 돌출 부재(24a)를 본체부(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연결 부재(25b)를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핀 부재(25a)가 밀어올려지고, 그에 동반하여 배기 밸브(22)도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연통관(21)의 유로를 열고,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체(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구동부(24)(액추에이터(24b))를 제어함으로써 배기 밸브(22)를 구동하여 연통관(21)의 유로를 열고, 자동 배기를 실시할 수 있다.
강제 배기는 도 9A 내지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배기 밸브(22)를 구동하여 연통관(21)의 유로를 엶으로써(개방함으로써),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증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처리이다. 배기 기구(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연통관(21)의 유로를 열도록 배기 밸브(22)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자(조작부)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배기 기구(20)는 특히,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해당 조작자로서,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 버튼(16)과, 사용자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조작을 연결 부재(25b)의 구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부재(26)는 한쪽의 단부를 역점(力點)으로 하고, 다른쪽의 단부를 작용점으로 하여, 그들의 단부의 사이에 지점을 가지는 지레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변환 부재(26)의 역점에는 배기 버튼(16)이 맞닿고, 사용자 조작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눌러내림에 의하여 힘이 가해진다. 또한, 변환 부재(26)의 작용점은 사용자 조작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눌러내림에 따라서 연결 부재(25b)에 맞닿고, 연결 부재(25b)를 밀어올리도록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제 배기를 실시하는 경우, 배기 버튼(16)을 눌러내린다. 이때,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눌러내림에 따라서 변환 부재(26)가 연결 부재(25b)를 밀어올리고, 그에 동반하여 배기 밸브(22)도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연통관(21)의 유로를 열고,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체(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는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를 제1 실(S1) 및 제2 실(S2)의 각각에서(즉, 2단계로) 온도를 저하시키고나서, 배기 구멍(23a)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기 구멍(23a)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단순한 구성으로,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비용 및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열 조리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를 기본적으로 이어받는 것이고, 이하에서 언급하는 것 이외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 전체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체부(1)에 대하여 덮개부(2)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본체부(1)로부터 덮개부(2)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덮개부(2)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는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와 마찬가지로, 조리 대상물로서의 식재가 넣어진 속냄비(3)를 가열 제어함으로써 속냄비(3) 내의 식재를 조리하는 장치이고, 소정의 가열 프로그램에 따라서 속냄비(3)의 가열 제어를 실시하는 본체부(1)와,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부(2)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는 배기 기구(20) 및 고정 기구(30)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와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에서의 배기 기구(20) 및 고정 기구(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에서의 고정 기구(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 기구(30)는 본체부(1)와 덮개부(2)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이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1)에서의 수용부(10)의 플랜지(10a)와, 덮개부(2)에서의 내부 덮개(14)의 스토퍼부(14a)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0)의 플랜지(10a)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10)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부분이고, 원주 방향(Z축 주위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덮개(14)의 스토퍼부(14a)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10)의 플랜지(10a)에 걸어맞추어지도록(끼워맞추어지거나, 걸리도록) 내부 덮개(14)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한 부분이고, 수용부(10)의 플랜지(10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기구(30)를 가지는 가열 조리기(200)에서는 내부 덮개(14)의 각 스토퍼부(14a)를 수용부(10)의 플랜지(10a)의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본체부(1)의 위에 덮개부(2)를 배치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화살표 AR의 방향으로 본체부(1)에 대하여 덮개부(2)를 소정량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부(10)의 각 플랜지(10a)와 내부 덮개(14)의 각 스토퍼부(14a)를 걸어맞추어서, 본체부(1)와 덮개부(2)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에서의 배기 기구(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 기구(20)는 속냄비(3)의 내부의 기체(증기)를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 구멍(27a)으로부터 기외(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면, 배기 기구(20)는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와 마찬가지로, 속냄비(3) 내의 식재의 조리가 종료된 경우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제어하에서 덮개부(2)의 상면의 배기 구멍(27a)으로부터 속냄비(3)의 내부의 기체를 기외로 배기하는 자동 배기를 실시한다. 또한, 배기 기구(2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덮개부(2)의 상면에 설치된 배기 버튼(16)을 가지고, 사용자에 의한 배기 버튼(16)의 눌러내림에 따라서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를 배기하는 강제 배기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20)에서의 배기 동작(자동 배기, 강제 배기)은 제1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20)의 배기 동작과 동일하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덮개부(2)(특히, 배기 기구(20))의 분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덮개부(2)로부터 커버 부재(27)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B는 덮개부(2)로부터 배기 밸브(22) 및 커버 부재(27)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에서는 커버 부재(27)를 더욱 상세하게 분해한 상태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기구(20)는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통관(21)과, 배기 밸브(22)와, 커버 부재(27)를 구비할 수 있다. 연통관(12) 및 배기 밸브(22)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100)와 동일하다.
커버 부재(27)는 연통관(21) 및 배기 밸브(22)를 덮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커버 부재(27)는 배기 밸브(22)가 열린 경우에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고, 상면에 설치된 배기 구멍(27a)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27)는 도 1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측 외장 부재(27b)와, 하측 외장 부재(27c)와, 밀봉 부재(27d)와, 격벽 부재(27e)를 구비한다.
상측 외장 부재(27b)는 커버 부재(27)의 상측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이고, 상면에 배기 구멍(27a)을 가지는 것과 함께, 하측 외장 부재(27c)에 부착된다. 하측 외장 부재(27c)는 커버 부재(27)의 하측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이고, 덮개부(2)의 돌출부(2a)에 끼워맞추어지는 구멍(27f)을 가지는 것과 함께, 상측 외장 부재(27b)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27g)를 가진다. 지지 기구(27g)는 상측 외장 부재(27b)가 하측 외장 부재(27c)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측 외장 부재(27b)의 스토퍼에 걸리도록 가압된 후크(27g1)를 가지고, 해당 후크(27g1)에 연결하고 있는 버튼(27g2)을 누름으로써 후크(27g1)에 의한 상측 외장 부재(27b)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덮개부(2)의 돌출부(2a)는 도 1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7)를 덮개부(2)에 부착하기 위해 +Z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부분이고, 해당 돌출부(2a)에 연통관(21), 배기 밸브(22) 및 핀 부재(25a)가 배치된다.
밀봉 부재(27d)는 고무나 수지 등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 외장 부재(27c)의 구멍(27f)의 내측에 부착된다. 밀봉 부재(27d)는 덮개부(2)의 돌출부(2a)에 하측 외장 부재(27c)의 구멍(27f)이 끼워맞추어지도록 커버 부재(27)가 덮개부(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2a)와 하측 외장 부재(27c)의 구멍(27f)을 밀봉(밀착)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이해되어도 좋다. 또한, 밀봉 부재(27d)는 상측 외장 부재(27b)의 내측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 부재(27d)를 이용함으로써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증기)가 커버 부재(27)와 덮개부(2)의 돌출부(2a)의 사이로부터 새는 것을 저감하여, 해당 기체를 커버 부재(27)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27d)를 이용함으로써 덮개부(2)에 대하여 커버 부재(27)를 부착하기 위한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덮개부(2)에 대하여 커버 부재(27)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격벽 부재(27e)는 커버 부재(27)(밀봉 부재(27d))의 내부 공간을 제1 실(S1)(제1 공간)과 제2 실(S2)(제2 공간)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가지는 부재이다. 여기에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격벽 부재(27e)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덮개부(2)(돌출부(2a))에 부착된 커버 부재(27)의 단면 모식도(YZ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격벽 부재(27e)는 상측 외장 부재(27b)의 배기 구멍(27a)을 내측으로부터 덮도록 상측 외장 부재(27c)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격벽 부재(27e)의 외측을 제1 실(S1), 격벽 부재(27e)의 내측을 제2 실(S2)로 하여 커버 부재(27)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격벽 부재(27e)는 제1 실(S1)과 제2 실(S2)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27h)를, 격벽 중, 연통관(21) 및 배기 밸브(22)측과는 반대측에 가진다. 구체적으로, 격벽 부재(27e)의 격벽은 연통관(21) 및 배기 밸브(22)측(-Y방향측)에 위치하는 제1 벽면(W1)과, 제1 벽면(W1)과는 반대측(+Y방향측)에 위치하는 제2 벽면(W2)을 가지고, 개구(27h)는 제2 벽면(W2)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격벽 부재(27e)를 가지는 커버 부재(27)에서는 연통관(21)으로부터 배기 구멍(27a)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가 래버린스 형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증기는 도 14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실(S1)(격벽 부재(27e)의 외측 공간)에서 일시적으로 체류한 후, 격벽 부재(27e)의 개구(27h)를 통하여 제1 실(S1)로부터 제2 실(S2)(격벽 부재(27e)의 내측 공간)로 유입되고, 제2 실(S2)에서 일시적으로 체류하고나서 배기 구멍(27a)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27)는 연통관(21)을 통하여 속냄비(3)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증기를 제1 실(S1) 및 제2 실(S2)의 각각에서(즉, 2단계로) 온도를 저하시키고나서, 배기 구멍(27a)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가열 조리기(200)는 배기 구멍(27a)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본체부
2: 덮개부
3: 속냄비
10: 수용부
11: 가열부
12: 제어부
13: 조작부
14: 내부 덮개
20: 배기 기구
21: 연통관
22: 구동 밸브(밸브 부재)
23, 27: 커버 부재

Claims (14)

  1. 속냄비를 가열 제어함으로써 상기 속냄비 내의 식재를 조리하는 가열 조리기로서,
    상기 속냄비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속냄비를 가열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어, 상기 속냄비의 내부를 닫힘 공간으로 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기외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 기구를 가지고,
    상기 배기 기구는 상기 속냄비의 내부에 연통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제2 실을 가지고, 상기 제2 실의 기체를 기외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통관을 통하여 상기 속냄비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기체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배기 구멍은 상기 제2 실을 규정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연통관으로부터 상기 배기 구멍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가 래버린스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실과 상기 제2 실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가지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실로부터 상기 제2 실로 기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일부에 가지는, 가열 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격벽의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격벽에 대면하여 배치된 판 부재를 가지는, 가열 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격벽의 상기 개구를 막지 않도록 상기 개구를 덮고 있는, 가열 조리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제2 실에 배치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연통관 및 상기 밸브 부재측에 위치하는 제1 벽면과, 상기 제1 벽면과는 반대측의 제2 벽면을 가지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기는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속냄비의 가열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연통관을 여는, 가열 조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냄비의 가열 처리가 종료된 후의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여 연통관을 여는, 가열 조리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조리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기구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밸브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는, 가열 조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달 부재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연통관을 열도록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는 조작자를 가지는, 가열 조리기.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연통관을 열도록 상기 밸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자를 가지는, 가열 조리기.
KR1020220073304A 2021-06-18 2022-06-16 가열 조리기 KR20220169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1812 2021-06-18
JPJP-P-2021-101812 2021-06-18
JPJP-P-2021-117295 2021-07-15
JP2021117295A JP7233121B2 (ja) 2021-06-18 2021-07-15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422A true KR20220169422A (ko) 2022-12-27

Family

ID=8446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304A KR20220169422A (ko) 2021-06-18 2022-06-16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69422A (ko)
CN (1) CN115486692A (ko)
TW (1) TW2023000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1757A (ja) 2017-01-30 2018-08-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7070B2 (ja) * 2007-07-03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KR100902358B1 (ko) * 2007-08-20 2009-06-12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5495770B2 (ja) * 2009-12-21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
CN107440472A (zh) * 2016-05-31 2017-12-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蒸汽阀组件及设有该蒸汽阀组件的电饭煲
CN110754929B (zh) * 2018-07-27 2021-12-0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空气炸锅
CN210408079U (zh) * 2019-06-20 2020-04-28 湖南炊功夫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1757A (ja) 2017-01-30 2018-08-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86692A (zh) 2022-12-20
TW202300077A (zh) 202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620B1 (en) Gas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0078B1 (ko)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JP3996170B2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JP4649424B2 (ja) 炊飯器
JP6425831B2 (ja) 加熱調理器
WO2020163710A1 (en) Cooking device with wet cooking mode
JP6708438B2 (ja) グリル
US20160381740A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69422A (ko) 가열 조리기
JP7233121B2 (ja) 加熱調理器
JP6308897B2 (ja) グリル
JP2005300053A (ja) 加熱調理器
JP6800536B2 (ja) グリル
JP6664060B2 (ja) 炊飯器
JP6129128B2 (ja) 組込式加熱調理器
JP6351417B2 (ja) グリル
JP5798993B2 (ja) 加熱調理器
JP6179302B2 (ja) ホームベーカリー
JP2014042602A (ja) 加熱調理器
JP2016129615A (ja) 炊飯器
JP7262828B2 (ja) 加熱調理器
JP6097365B2 (ja) グリル
JP5903553B2 (ja) 圧力式炊飯器
KR200212708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938385B1 (ko) 오븐 및 오븐의 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