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297A - 차량용 파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9297A KR20220169297A KR1020210079545A KR20210079545A KR20220169297A KR 20220169297 A KR20220169297 A KR 20220169297A KR 1020210079545 A KR1020210079545 A KR 1020210079545A KR 20210079545 A KR20210079545 A KR 20210079545A KR 20220169297 A KR20220169297 A KR 20220169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sprag
- shaft
- elastic member
- ca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9—Spring assisted shift, e.g. springs for accumulating energy of shift movement and release it when clutch teeth are alig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12/00—Driving activities
- F16H2312/12—Par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12/00—Driving activities
- F16H2312/16—Coming to a ha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원; 상기 동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외주에 파킹스프라그의 파킹 해제 및 파킹을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는 파킹캠; 를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륜을 구속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구동륜을 구속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파킹장치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가 감속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의 파킹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파킹 장치는 운전자가 파킹(P) 레인지 조작 시 파킹로드(2)에 장착된 로드캠(2a)에 의해 파킹스프라그(3)가 파킹기어(4)에 치합되어 차량 구동륜을 구속함으로써 차량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BW(Shift By Wire)액추에이터(1)의 작동에 의해 매뉴얼샤프트(5)가 회전하고, 연동하여 매뉴얼샤프트(5)와 연결된 디텐트레버(6)가 회전하며, 디텐트레버(6)의 회전에 의해 파킹로드(2)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파킹로드(2)에 구비된 로드캠(2a)이 파킹스프라그(3)를 상향으로 밀어올리고, 이에 연동하여 파킹스프라그(3)가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파킹스프라그(3)의 돌출부(3a)가 파킹기어(4)의 치 사이(4a)에 삽입 치합됨으로써 파킹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는, SBW액추에이터(1) 작동 시 파킹스프라그(3)의 돌출부(3a)가 파킹기어(4)의 치 사이(4a)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고 파킹기어(4)의 치 외면(4b)에 맞닿아 치합이 이루어지지는 않는 버팅(Butting)이 발생하더라도 압축된 로드스프링(2b)의 탄성력이 파킹스프라그(3)에 작용하여 파킹스프라그(3)의 돌출부(3a)가 파킹기어(4)의 치 사이(4a)로 삽입 치합되게 함으로써 파킹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파킹장치는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부품 수가 많아 파킹장치의 단가가 높으며, SBW액추에어터의 작동력이 매뉴얼샤프트와 디텐트레버 및 파킹로드를 거쳐 파킹스프라그에 전달되는 등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SBW액추에어터 작동력의 전달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SBW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동력원의 조작력이 파킹스프라그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원의 작동 시 동력원과 연결된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파킹캠의 작동에 의해 파킹스프라그의 파킹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파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동력원; 상기 동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외주에 파킹스프라그의 파킹 해제 및 파킹을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는 파킹캠; 를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파킹 해제 시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안착부; 및 파킹 시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상기 제1 안착부를 벗어나서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연결되는 제2 안착부; 를 포함한다.
또한, 파킹 해제 시에는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걸이부는 파킹기어의 치 사이에서 벗어난다.
또한, 파킹 시에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위치한 상기 제1 걸이부가 상기 파킹캠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안착부로 이동하면서 파킹기어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제2 걸이부가 상기 파킹기어의 치 사이에 걸린다.
또한, 상기 파킹캠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파킹캠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샤프트에 감긴다.
또한, 상기 파킹스프라그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파킹스프라그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후단이 장착되는 제2 샤프트에 감긴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부의 반대 쪽 상기 제2 안착부의 일측 부위에 걸림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단턱에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걸린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에 디텐트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디텐트레버는 상기 파킹캠과 간격을 두고 상기 파킹캠과 동력원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에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제3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디텐트레버를 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파킹캠과 디텐트레버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파킹 해제 시에는 상기 디텐트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그루브에 위치하고, 버팅 및 파킹 시에는 상기 디텐트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그루브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SBW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동력원의 작동 시 동력원과 연결된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파킹캠의 작동에 의해 파킹스프라그의 파킹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와 같이 많은 부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 절감 및 조립 공수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파킹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어 협소한 조립공간에도 차량용 파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원의 구동력 전달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동력원의 조작력을 파킹스프라그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동력원의 작동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가 감속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의 파킹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단턱이 구비된 파킹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파킹장치의 파킹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단턱이 구비된 파킹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장치는 감속기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력원(10), 동력원(10)과 연결되어 동력원(10) 작동 시 회전 작동을 하는 제1 샤프트(21) 및 제1 샤프트(21)에 장착되고 제1 샤프트(21)의 작동 시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하는 파킹캠(30)을 포함한다.
동력원(10)은 제1 샤프트(21)에 동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동력원(10)은 SBW(Shift By Wire)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제1 샤프트(21)는 동력원(10)과 연결되고 동력원(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작동을 할 수 있다. 제1 샤프트(21)에는 파킹캠(30), 제1 탄성부재(61) 및 디텐트레버(7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파킹캠(30)과 디텐트레버(7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샤프트(21)의 회전 작동 시 파킹캠(30) 및 디텐트레버(70)도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파킹캠(30)은 외주에 파킹스프라그(40)의 파킹 해제 작동 및 파킹 작동을 위한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는 제1 안착부(31) 및 제2 안착부(32)를 포함한다.
제1 안착부(31)는 파킹스프라그(40)의 파킹 해제 작동 시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41)가 삽입된다. 제1 안착부(31)는 제1 걸이부(41)가 삽입될 수 있는 그루브(groove)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32)는 제1 안착부(31)와 연결된다. 제2 안착부(32)는 파킹캠(30)의 회전 작동 시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일측이 제1 안착부(31)를 벗어나 안착되는 영역이다.
제1 안착부(31)는 그루브 구조이기 때문에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일측이 제1 안착부(31)에 위치 시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타측은 파킹기어(50)에서 떨어지는 파킹 해제 상태가 이루질 수 있다.
제2 안착부(32)는 제1 안착부(31)를 벗어난 라운드 구조이기 때문에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일측이 제2 안착부(32)에 위치 시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타측은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려서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걸리는 파킹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킹스프라그(40)는 선단에 파킹캠(30)을 향하는 제1 걸이부(41) 및 파킹기어(50)를 향하는 제2 걸이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는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일측에서 파킹캠(30)을 향하여 돌출 구성된다.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는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 타측에서 파킹기어(50)를 향하여 돌출 구성된다.
파킹스프라그(40)의 파킹 작동 시 제1 안착부(31)에 위치해 있던 제1 걸이부(41)는 파킹캠(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2 안착부(32)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걸이부(41)가 파킹캠(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2 안착부(3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안착부(32)가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리고, 이로 인해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걸릴 수 있다.
제1 샤프트(2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샤프트(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22)에 파킹스프라그(40)의 후단이 결합될 수 있다. 파킹스프라그(40)는 제2 샤프트(22)를 중심으로 축회전 할 수 있다.
한편, 파킹캠(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1 탄성부재(6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구조에 제한이 없으며 파킹캠(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제1 탄성부재(61)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일측 단부(61a)가 파킹캠(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1 샤프트(21)에 감겨서 고정된다. 이로 인해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걸리지 않고 치 외면(52)에 맞닿아 치합이 이루어지지는 않는 버팅(Butting)이 발생하더라도 제1 탄성부재(61)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캠(30)에 작용하여 버팅을 벗어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력원(10)의 작동에 의해 파킹캠(30)이 파킹 방향으로 회전하면 파킹캠(30)과 연결된 제1 탄성부재(61)의 일측 단부(61a)가 제1 샤프트(21)에 고정되어 있는 타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파킹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 탄성부재(61)의 압축(A 위치에서 B 위치로 밀리면서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킹캠(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파킹스프라그(40)를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외면(52)에 맞닿는 버팅(Butting)이 발생하더라도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61)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캠(30)에 작용하여 파킹캠(30)을 작동시킴으로써 버팅을 극복하고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걸리게 할 수 있다.
파킹스프라그(4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탄성부재(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의 구조에 제한이 없으며 파킹스프라그(4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제2 탄성부재(62)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는 일측 단부(62a)가 파킹스프라그(4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샤프트(22)에 감겨서 고정된다. 이로 인해 파킹 상태에서 동력원(10)의 작동과 동시에 파킹스프라그(40)가 제2 탄성부재(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파킹 해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킹 시 파킹캠(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파킹스프라그(40)가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리는 과정에서 제2 탄성부재(62)의 일측 단부(62a)가 제2 샤프트(22)에 감겨서 고정 지지되어 있는 타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파킹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2 탄성부재(62)의 압축(A 위치에서 B 위치로 밀리면서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킹 상태에서 동력원(10)의 작동과 동시에 압축된 제2 탄성부재(62)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스프라그(40)에 작용하면서 파킹스프라그(40)는 파킹 해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파킹스프라그(40)가 파킹 해제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41)는 파킹캠(30)의 제1 안착면(31)에 위치하고 제2 걸이부(42)는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제1 샤프트(21)에 디텐트레버(70)가 장착될 수 있다. 디텐트레버(70)는 파킹캠(30)과 간격을 두고 파킹캠(30)과 동력원(10) 사이에 위치한다.
디텐트레버(70)는 제1 샤프트(21)의 회전 작동 시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디텐트레버(70)는 외주에 제1 그루브(71) 및 제2 그루브(72)가 구비된다.
제2 샤프트(22)에 제3 탄성부재(63)가 구비된다. 제3 탄성부재(63)는 일측 단부(63a)가 디텐트레버(70)를 향하고 타측 단부는 제2 샤프트(22)에 연결된다.
파킹 해제 작동 시 제3 탄성부재(63)의 일측 단부(63a)는 디텐트레버(7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그루브(71)에 위치한다.
버팅 작동 및 파킹 작동 시 제3 탄성부재(63)의 일측 단부(63a)는 디텐트레버(7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2 그루브(72)에 위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단턱이 구비되는 파킹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킹캠(30)의 제2 안착부(32) 일측에는 걸림단턱(33)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단턱(33)은 제1 안착부(31)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파킹캠(30)의 회전 시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가 걸림단턱(33)에 걸려 파킹캠(3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파킹 해제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는 파킹캠(30)의 제1 안착부(31)에 위치하고, 제2 걸이부(42)는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서 벗어남에 따라 파킹 해제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킹 해제 상태에서 제3 탄성부재(63)의 일측 단부(63a)는 디텐트레버(70)의 제1 그루브(71)에 위치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버팅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동력원(10)의 작동에 의해 파킹캠(30)이 파킹 방향으로 회전한다. 파킹캠(30)의 제1 안착부(31)에 위치한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는 파킹캠(30)이 파킹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가 파킹캠(30)의 회전 작동에 의해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리는 과정에서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바로 걸리지 않고 파킹기어(50)의 치 외면(52)에 맞닿는 버팅(Butting)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제1 탄성부재(61)는 파킹캠(30)이 회전 작동을 하면서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를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일측 단부(61a)가 제1 샤프트(21)에 고정되어 있는 타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파킹 방향으로 밀리면서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디텐트레버(70)가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제3 탄성부재(63)의 일측 단부(63a)는 디텐트레버(70)의 제2 그루브(72)에 위치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제2 탄성부재(62)는 파킹스프라그(40)의 제1 걸이부(41)를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파킹스프라그(40)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 단부(62a)가 파킹스프라그(40)와 함께 파킹기어(50) 방향으로 밀리면서 압축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파킹 시 작동을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파킹기어(50)의 치 외면(52)에 맞닿은 버팅 상태에서 압축된 제1 탄성부재(61)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캠(30)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킹캠(30)의 힘과 추가로 압축된 제1 탄성부재(61)의 탄성 복원력이 파킹스프라그(40)에 작용함에 따라 파킹스프라그(40)는 버팅을 벗어나 파킹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킹스프라그(40)의 제2 걸이부(42)가 버팅을 극복하고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 걸려 파킹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킹 상태에서 제3 탄성부재(63)의 일측 단부(63a)는 디텐트레버(70)의 제2 그루브(72)에 위치하게 된다.
파킹 상태에서 동력원(10)의 작동과 동시에 파킹스프라그(40)에 압축된 제2 탄성부재(62)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파킹스프라그(40)는 파킹 해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파킹 해제 상태에서 파킹스프라그(40)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41)는 파킹캠(30)의 제1 안착부(31)에 위치하고 제2 걸이부(42)는 파킹기어(50)의 치 사이(51)에서 벗어난 상태가 이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캠에 작용하여 파킹스프라그가 버팅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파킹 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파킹스프라그에 작용하여 파킹스프라그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동력원
21 : 제1 샤프트
22 : 제2 샤프트 30 : 파킹캠
31 : 제1 안착부 32 : 제2 안착부
33 : 걸림단턱 40 : 파킹스프라그
41 : 제1 걸이부 42 : 제2 걸이부
50 : 파킹기어 51 : 치 사이
52 : 치 외면 61 : 제1 탄성부재
61a : 일측 단부 62 : 제2 탄성부재
62a : 일측 단부 63 : 제3 탄성부재
63a : 일측 단부 70 : 디텐트레버
71 : 제1 그루브 72 : 제2 그루브
22 : 제2 샤프트 30 : 파킹캠
31 : 제1 안착부 32 : 제2 안착부
33 : 걸림단턱 40 : 파킹스프라그
41 : 제1 걸이부 42 : 제2 걸이부
50 : 파킹기어 51 : 치 사이
52 : 치 외면 61 : 제1 탄성부재
61a : 일측 단부 62 : 제2 탄성부재
62a : 일측 단부 63 : 제3 탄성부재
63a : 일측 단부 70 : 디텐트레버
71 : 제1 그루브 72 : 제2 그루브
Claims (12)
- 동력원;
상기 동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외주에 파킹스프라그의 파킹 해제 및 파킹을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는 파킹캠;
를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파킹 해제 시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안착부; 및
파킹 시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상기 제1 안착부를 벗어나서 안착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연결되는 제2 안착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파킹 해제 시에는,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걸이부는 파킹기어의 치 사이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파킹 시에는,
상기 제1 안착부에 위치한 상기 제1 걸이부가 상기 파킹캠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안착부로 이동하면서 파킹기어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제2 걸이부가 상기 파킹기어의 치 사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캠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파킹캠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샤프트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스프라그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파킹스프라그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후단이 장착되는 제2 샤프트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반대 쪽 상기 제2 안착부의 일측 부위에 걸림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단턱에 상기 파킹스프라그의 선단 일측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에 디텐트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디텐트레버는 상기 파킹캠과 간격을 두고 상기 파킹캠과 동력원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에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제3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디텐트레버를 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파킹캠과 디텐트레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파킹 해제 시에는 상기 디텐트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그루브에 위치하고, 버팅 및 파킹 시에는 상기 디텐트레버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그루브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9545A KR102636548B1 (ko) | 2021-06-18 | 2021-06-18 | 차량용 파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9545A KR102636548B1 (ko) | 2021-06-18 | 2021-06-18 | 차량용 파킹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9297A true KR20220169297A (ko) | 2022-12-27 |
KR102636548B1 KR102636548B1 (ko) | 2024-02-13 |
Family
ID=8456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9545A KR102636548B1 (ko) | 2021-06-18 | 2021-06-18 | 차량용 파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54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1665A (ko) | 2010-12-03 | 2012-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차량용 감속기의 파킹 시스템의 레이아웃 |
JP2013166524A (ja) * | 2012-02-17 | 2013-08-29 | Honda Motor Co Ltd |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
JP2019056484A (ja) * | 2017-07-13 | 2019-04-11 | エルリコン・グラツィアーノ・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Oerlikon Graziano S.P.A. | 車両の変速機用のパークロック装置 |
-
2021
- 2021-06-18 KR KR1020210079545A patent/KR1026365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1665A (ko) | 2010-12-03 | 2012-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차량용 감속기의 파킹 시스템의 레이아웃 |
JP2013166524A (ja) * | 2012-02-17 | 2013-08-29 | Honda Motor Co Ltd |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
JP2019056484A (ja) * | 2017-07-13 | 2019-04-11 | エルリコン・グラツィアーノ・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Oerlikon Graziano S.P.A. | 車両の変速機用のパークロッ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6548B1 (ko) | 2024-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39106B1 (en) | Power fold mechanism | |
US11473678B2 (en) | Electric park lock actuator limited rotary disconnect | |
JP6604733B2 (ja) |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 |
US11009129B2 (en) | Vehicle parking apparatus | |
WO2019068889A1 (en) | HIGH HEAD DISPLAY SYSTEM | |
JP5907555B2 (ja) |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 |
EP3428021B1 (en) | Park-lock device for a vehicle transmission | |
KR20220169297A (ko) | 차량용 파킹장치 | |
JP2000287405A (ja) | 回転型電磁アクチュエータ | |
JPH07144616A (ja) | 変速機のパークロック装置 | |
JP4816474B2 (ja) | クラッチ装置 | |
EP1536443B1 (en) | Power window switch apparatus | |
US11054022B2 (en) | Shift device | |
EP0884494A1 (en) | Locking mechanism | |
JP2021173324A (ja) | 解除装置 | |
JP6942953B2 (ja) | パーキングロック操作装置 | |
JP6854369B1 (ja) | 逆入力遮断クラッチ | |
JPH10278758A (ja) | パーキング機構 | |
JP2010098889A (ja) | 電動モータ | |
JP7299145B2 (ja) | 自動車用シートのブレーキ装置 | |
CN216555311U (zh) | 一种汽车及换挡操作装置 | |
US20240035561A1 (en) | Shift device | |
KR102495133B1 (ko) | 차량용 시트의 릴리즈 액추에이터 | |
JP7082964B2 (ja) | 逆入力遮断クラッチ | |
JP7359644B2 (ja) | レンジ選択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