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182A -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182A
KR20220169182A KR1020210079277A KR20210079277A KR20220169182A KR 20220169182 A KR20220169182 A KR 20220169182A KR 1020210079277 A KR1020210079277 A KR 1020210079277A KR 20210079277 A KR20210079277 A KR 20210079277A KR 20220169182 A KR20220169182 A KR 2022016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obesity
hexen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117B1 (ko
Inventor
이미자
이현진
김현영
서우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07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1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4,6-트리페닐-1-헥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2,4,6-트리페닐-1-헥센은 우수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비만 치료 효과를 가지므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식품 및 치료 방법의 활성 성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ing obesity of 2,4,6-tripehenyl-1-hexene}
본 발명은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도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되며, 이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만치료용 약물은 크게 지방흡수 억제,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촉진, 식욕 및 포만감의 조절, 단백질 대사 저해 그리고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정서 조절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오리스타트(oristat)를 원료로 하여 지방흡수를 억제하는 제니칼??(Xenical??)과 시부트라민(sibutramine)을 주원료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는 리덕틸??(Reductil??)이 있다. 그러나 제니칼??의 경우 지방변, 복부통증, 구토, 가려움증, 간 손상 등의 부작용이 보 고되어 있으며, 리덕틸??의 경우는 두통,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최근 사용 기준이 강화되는 등의 논란이 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비만 치료제는 세로토닌 계열의 식욕억제제인 로카세 린(lorcaserin)과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인 오르리스타트(orlistat) 두 가지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비만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여전히 안전한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물질이 필요가 충족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정성이 확보된 천연물로부터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찾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보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용어,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보리 또는 새싹보리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 또는 구매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보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분리동정하였다.
또한, 상기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 화합물은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 화합물에서 당업자가 예상 가능한 범위의 유도체는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동일한 효과가 있는한 제한 없이 포함된다.
상기 화합물의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효과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다한 상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신체비만지수(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 매우 복합적인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지방이 축적되어 유발된다. 비만이 될 경우, 당뇨병 및 고지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만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지방전구세포에 2,4,6-트리페닐-1-헥센(2,4,6-tripehenyl-1-hexene)을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분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2).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 태의 염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 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 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 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 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 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 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 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비만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비만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비만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조성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 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농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 μg/ml 이 상 150 μg/ml 미만, 구체적으로 2 μg/ml 이상 120 μg/ml 미만, 보다 구체적으로 3 μg/ml 이상 100 μg/ml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비만의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비만인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비만", "투여", "예방" 및 "치료"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비만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나타난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 내 투여, 경구 투여, 비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2,4,6-트리페닐-1-헥센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 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2,4,6-트리페닐-1-헥센", "비만" 및 "예방"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비만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비만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2,4,6-트리페닐-1-헥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섬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 기능 손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이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체,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비만에 대한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 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내지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2,4,6-트리페닐-1-헥센", "비만", "예방" 및 "개선"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우수한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 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 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LC/MS 분석을 통해 보리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한 그래프이다.
도 2는 2,4,6-트리페닐-1-헥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 억제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리 유래 화합물의 분리동정
분쇄한 보리 분말에 핵산을 가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한 보리 분말 잔여물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고, 모든 여액을 모아서 동결건조하여 갈색 분말의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보리 물 추출물에서 당을 제거하고 C18 open column을 이용하여 분획을 진행하였다. 분획 구간에 따라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혼합한 1 L 용출 용매의 조성을 달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의 비율을 8:1 에서 0:1까지 변화시키면서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도 1은 상기 수득한 물 분획물 S18(F17)을 LC/MS 분석을 통해 타겟 화합물을 선별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보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로부터 타겟 화합물을 분리한 다음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분석기기에 적용하여, 이를 동정한 결과, 상기 화학물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4,6-triphenylhex-1-ene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품명 2,4,6-Triphenylhex-1-ene
CAS no. 18964-53-9
이명 2,4,6-TRIPHENYL-1-HEXENE;2,4,6-TRIPHENYL-1-HEXENE-D5;2,4,6-Triphenyl-1-hexene Standard;Benzene
분자식(분자량) C24H24 (MW 312.45 g/mol)
녹는 용매 DMSO, Methanol
성상 White
실시예 2. 2,4,6-트리페닐-1-헥센의 비만 활성 억제 효과 확인
2,4,6-트리페닐-1-헥센의 비만 억제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오일 레드 오(Oil Red O) 염색을 통한 2,4,6-트리페닐-1-헥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세포에 MDI 즉, 0.5 μ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3-isobuty1-methylxanthine; IBMX), 1 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 및 10 μg/ml 인슐린을 포함하는 지방형성 분화배지에 배양하여 지방세포(adipocyte)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때, 2,4,6-트리페닐-1-헥센을 1, 5, 10, 20 μg/ml를 각각 처리하였다. 한편, 음성대조군의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하지 않았으며, 양성대조군의 경우 2,4,6-트리페닐-1-헥센의 처리 없이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3T3-L1 세포를 9일 동안 분화 과정을 거친 후 지방세포가 되었을 때 보이는 지방소립(lipid droplet)이 2,4,6-트리페닐-1-헥센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분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즉, 2,4,6-트리페닐-1-헥센의 10 μg/mL 농도에서 비만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20 μg/mL 농도에서는 확실한 분화 억제를 보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2,4,6-트리페닐-1-헥센이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보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의 품종이 베타원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KR1020210079277A 2021-06-18 2021-06-18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77A KR102623117B1 (ko) 2021-06-18 2021-06-18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77A KR102623117B1 (ko) 2021-06-18 2021-06-18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182A true KR20220169182A (ko) 2022-12-27
KR102623117B1 KR102623117B1 (ko) 2024-01-10

Family

ID=8456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77A KR102623117B1 (ko) 2021-06-18 2021-06-18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117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19, Article number: 243 (2019) *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32(2) 301-308 (2007.2.1.) *
ReproductiveToxicology14(2000)403±4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117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45464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4183B1 (ko)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23721B1 (ko) 오수유 추출물 또는 에보디아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카페인 중독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117B1 (ko) 2,4,6-트리페닐-1-헥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6133B1 (ko)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102242400B1 (ko)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KR102184812B1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1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362976B2 (ja) 血流改善剤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18822A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48213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을 갖는 백질려 추출물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5767B1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2059452B1 (ko) 패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80295B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7651B1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4303B1 (ko)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51751B1 (ko)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68398B1 (ko) 면역계 부작용이 억제된 암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