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760A -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760A
KR20220168760A KR1020210078643A KR20210078643A KR20220168760A KR 20220168760 A KR20220168760 A KR 20220168760A KR 1020210078643 A KR1020210078643 A KR 1020210078643A KR 20210078643 A KR20210078643 A KR 20210078643A KR 20220168760 A KR20220168760 A KR 20220168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lood sugar
weight
gujeolcho
schisandra ch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참살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참살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참살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760A/ko
Publication of KR2022016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추출액을 발효시킨 상태에서 간수 투입시 함께 투입함으로써 텁텁하거나 떫은맛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당뇨병 예방 및 혈당을 강하시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 대한 치료효과가 높은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혈당을 강하시키는 작용, 혈당의 상승을 예방하는 작용 및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당뇨병에 대한 탁월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고유의 텁텁함과 떫은맛이 발효를 통해 제거됨으로써 음식물로서 섭취가 용이하여 당뇨환자의 혈당 조절 및 당뇨 예방에 많은 도움을 주어 성인병 예방을 위한 국민 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Soybean curd Having Diabetes Prevention and Blood sugar control effects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또는, 오미자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추출액을 발효시킨 상태에서 간수 투입시 함께 투입함으로써 텁텁하거나 떫은맛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혈당을 강하시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및 그의 합병증은 암, 신장순환기 질환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현재에도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발병 시기도 이전 성인에서 발병하던 것이 점차적으로 소아시기부터 나타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당뇨 환자는 안질환, 신장질환, 심장질환 등의 합병증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
당뇨병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3대 증상으로 다음, 다뇨, 다식을 들 수가 있다. 즉 혈액 내에 높은 혈당치 때문에 소변으로 포도당 및 많은 양의 수분이 삼투압에 의하여 배설되게 되며 소변을 자주 보게 되고 따라서 탈수 증상으로 심한 갈증을 느껴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또 공복감을 느껴 음식을 많이 먹게 되나 대체적으로는 체중이 많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제2형)으로 분류한다. 제1형인 인슐린 의존형은 당뇨병 성산혈증(Diabetic Ketoacidosis)같은 위독한 증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 5~10%가 제1형인 인슐린 의존형 당뇨 환자로 추정되나 우리나라에서는 약 1~2% 정도이다.
궁극적으로 부작용이 존재하고, 부작용 발생시 저혈당 등의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약물 치료제를 배제하고, 생약제중 혈당 강하효과가 크면서 환자의 섭취가 용이하고 기타 음식과도 잘 어울리는 기능성 식품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두부의 경우 콩을 주요물질로 하여 섭취자에게 각종 영양분을 공급하고, 섭취자의 생리현상을 활성화시키지만, 두유의 고유한 색상이 흰색이기 때문에 유아나 소아 등의 어린아이들은 색상에 대한 선입관으로 두부의 섭취를 꺼려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과 오미자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추출액을 발효시킨 상태에서 간수 투입시 함께 투입함으로 텁텁하거나 떫은맛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혈당을 강하시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 대한 치료효과가 높은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을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1 내지 5 중량 %를 혼합하여 응고시킴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혼합함으로 수득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사용하여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 (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자에 (Aspergillus sojae)를 이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함으로써 수득된 추출액을 급냉시켜 준비하고,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소자에 (Aspergillus Sojae)를 넣어 20-35℃의 온도, 50-65%의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10시간 동안 발효시켜 수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선별, 세척된 콩의 껍질을 탈피시킨 후, 건조시키는 제 1과정과;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하여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 2과정과; 탈피된 콩을 6 내지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콩을 불리는 제 3과정과; 불린 콩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두유를 수득하는 제 4과정과; 수득된 두유 100중량 %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추출액 1 내지 5 중량 %를 혼합하는 제 5과정과; 응고된 두유를 성형 틀에 투입하여 압축, 탈수하고, 이를 성형 후 선별, 포장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과정은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추출액을 준비하는 과정과; 추출액에 대한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오리자(Aspergillus oryzae)에 및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를 넣어 20-35℃의 온도, 50-65%의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10시간 동안 발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 %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 추출액, 구절초 추출액, 1 내지 5 중량% 및 오미자 추출액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은 혈당을 강하시키는 작용, 혈당의 상승을 예방하는 작용 및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당뇨병에 대한 탁월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돼지감자 고유의 텁텁함과 떫은맛이 발효를 통해 제거됨으로써 음식물로서 섭취가 용이하여 당뇨환자의 혈당을 강하 및 혈당 조절 효과에 많은 도움을 주어 성인병 예방을 위한 국민 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가 두부에 함유되므로 제조된 두부는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가 두부 고유한 색상인 우윳빛깔을 띄어서 인공색소의 부작용이 전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 평균 혈당(mg/dl)
도 2 - 약물투여 전/후 총 8일간 각 군별 혈당 평균치의 변화
도 3 -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와 대조군 간의 혈당강하 효과를 비교 확인 도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은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또는 오미자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추출액을 발효시킨 상태에서 간수 투입시 함께 투입함으로써 텁텁하거나 떫은맛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혈당을 강하시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 대한 치료효과가 높은 두부 및 그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는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두부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용어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는 당뇨병에 의해 유발되는 증세를 호전시키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혈당강하, 체중조절 및 지질대사 개선 작용을 하는 것을 일컫는다.
당뇨병을 완화하고 개선하는 치료약제나 의약제재는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치료약제나 의약제재는 과량복용이나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함께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는 천연식품이므로 과량복용이나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다. 보다 상세하게,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에는 항산화물질과, 아미노산, 미네랄은 물론이고, 크로로필이나 프라보노이드, 각종 효소, 베타케로틴이나 칼슘, 구리, 엽산, 철분, 마그네슘, 포타시움, 아연, 비타민B1, B2, B5, B6, B12 그리고 비타민 A, C, E를 함유하고 있다.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에 포함된 항산화물질은 두 가지 항산화효소 (SOD, 퍼옥시다아제), 항산화 비타민 AㆍBㆍCㆍE와 폴리페놀, β-카로틴 등이다. 특히,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과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효소가 상호작용을 통해 활성화 된다.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에는 특히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아서 외부의 식품으로부터 공급 받아야 하는 8가지의 필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아미노산은 에너지를 생산하고 세포나 단백질의 구성에 필요하며 세포를 재생하기도 하고 그리고 인체의 여러 기관에 관여하여 건강을 유지시켜 주고 향상시켜 주는 영양소이다.
또한,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는 많은 종류의 비타민이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이 가지고 있는 여러 영양소는 소화기관을 통해서 용이하게 흡수된다.
돼지감자, 구절초는 일종의 다당류인 글루칸(Glucan)이라는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성분이 콜레스테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말초혈관의 흐름을 좋게 하고 기관지염에 좋으며, 오미자는 오가피와 마찬가지로 암을 예방하여 주는 성분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1]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는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응고시킴으로 제조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는 선별, 세척된 콩의 껍질을 탈피시킨 후, 건조시키는 사전 준비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공정에서는 콩의 껍질을 탈피시키고 건조시키는바, 이는 깨끗한 두유를 얻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하여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을 수득한다. 즉,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는 소량의 정류된 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도록 한다.
더불어,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고유의 텁텁하고 떫은맛을 제거하기 위해, 발효공정에 투입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에 대한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를 접종하여 배양 및 발효시킨다.
이 공정에서 배양온도는 20-35℃로 하고, 습도는 50-6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시간은 8-12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기간 동안 400rpm의 속도로 1시간마다 4-6초간 교반시켜 발효시킨다. 발효가 이루어지면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고유의 텁텁함과 떫은맛이 제거된다.
상기 공정에서 수득된 탈피된 콩을 6 내지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콩을 불리고, 불린 콩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두유를 수득한다.
다음으로,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한다.
응고제로는 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오랜 시간에 걸쳐 물을 뺀 간수, 바람직하게는 3년 정도 물을 뺀 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수는 두부에 일정한 간이 이루어지도록 소금물과 혼합하여 응고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간수와 소금물은 간수와 소금물에 포함되는 용해물의 중량비가 1:9 -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해물의 중량비가 2:8 -8:2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금물의 지나치게 많은 경우 응고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게 되며, 소금물의 양이 적을 경우 제조되는 두부에 충분한 간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마지막 공정으로, 상기 응고된 두유를 성형 틀에 투입하여 압축 탈수하고, 이를 성형하여 선별 포장하는 후가공 공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의 혈당 강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로 당뇨병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실시하여 혈당 강하 효과를 실험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의 혈당 강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동물 실험으로, ICR계 마우스에게 당부하 실험(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를 실시하였으며, 당뇨병에 대한 효과를 규명을 위해 스트렙토 조토신 유발 당뇨병 마우스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1] 혈당 강하 정도 측정 - 동물실험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의 혈당강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SPF(Specific Pathogeus Free : 특정 병원체 부재)상태의 5~6주령의 ICR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당부하 실험(OGTT)을 실시하여 실시예 1의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와 대조군간의 혈당강하 효과를 비교 확인하였다.
투여 용량은 성인 체중 60kg을 기준으로 선정하여 13.4mg/kg을 산출하였으며, MOUSE DOSE은 그의 10배량 134mg/kg으로 결정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실험동물 총 20마리를 설정하고 10마리씩 2개군으로 분류하고 24시간동안 절식시킨 후 실험군 1은 실시예 1의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를 0.85% 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초음파 처리하여 매일 0.2g씩 경구 투여하고, 대조군 1은 0.85% 식염수 0.2g씩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1시간 경과 후 동일한 경로로 2g/kg의 D-(+)-Glucos를 10g 체중당 0.2g씩 투여하였다. 혈당의 측정은 죤슨 앤 죤슨사에서 제조한 혈당계를 이용하여 안구로부터 혈액을 매 0, 10, 30, 60, 120분에 채취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1은 시료를 경구 투여한지 30분 경과시 혈당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스트렙토 조토신 유발 당뇨 마우스에 대한 실험
스트렙토 조토신(streptoz otocin,STZ)은 D-글루코사민의 N-나이트로소 유도체로서 원래 항생제로 개발되었던 물질이다. 스트렙토 조토 신은 세포내 NAD를 감소시키며, 이것이 베타세포를 파괴시켜 당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 험에서는 마우스에 60mg/kg의 스트렙토 조토신을 5일간 반복,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뒤, 시료를 투여하여 혈당의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당뇨병에 대한 본 발명의 혈당강하용 두부의 치료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청정실 내에서 온도 22℃,습도 55±5%, 조명 12L/12D의 조건하에서 관리하였다. 시험동물은 총 4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 2 : 스트렙토 조토신을 투여하지 않은 군
대조군 3 : 스트렙토 조토신 60mg/kg을 35회 복강투여한 군
대조군 4 :스트렙토 조토신 60mg/kg과 위약으로 0.85% saline액 10 ml/Kg을 투여한 군
실험군 2 : 스트렙토 조토신 60mg/k g과 위약으로 0.85% saline액 10ml/Kg 및 실시예 1의 혈당강하용 두부 300mg/kg을 투여한 군
혈당강하용 두부의 투여는 투여당일부터 23일간 투여하였으며, 매 4일마다 혈당, 요당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대조군 2, 대조군 3, 대조군 4 및 실험군 2의 개체별 혈당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측정 기술상 최고 혈중농도 500mg/dl까지만 측정하였다. 약물 투여 8일째의 각 군별 평균 혈당치를 비교하였고, 약물투여 전/후 총 8일간의 각 군별 혈당 평균치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혈당치 300mg/dl 이상을 당뇨 마우스로 판정할 때 대조군 3에서는 시험을 마친 마우스 10마리 중 9마리, 대조군 4에서는 10마리 중 8마리가 당뇨로 판정받았다. 이에 비해 치료를 실시한 실험군 2에서는 10마리 중 2마리의 경우에만 당뇨증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서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 2에서 본 발명의 혈당강하용 두부를 투여시킴으로써 STZ마우스의 당뇨병 발병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02
[실시 예 2]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는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 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1 내지 5 중량% 및 오미자추출액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이때,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및 오미자추출액은 돼지감자 100g, 구절초 100g,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함으로써 수득된 추출액이다.
[실험예 3] 혈당 강하 정도 측정 - 동물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의 혈당강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SPF(Specific Pathogeus Free : 특정병원체 부재)상태의 5~6주령의 ICR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당부하 실험(OGTT)을 실시하여 실시예 2의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와 대조군간의 혈당강하 효과를 비교 확인하였다.
투여 용량은 성인 체중 60kg을 기준으로 선정하여 13.4mg/kg을 산출하였으며, MOUSE DOSE은 그의 10배량 134mg/kg으로 결정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실험동물 총 20마리를 설정하고 10마리 씩 2개 군으로 분류하고 24시간동안 금식시킨 후 실험군 3은 실시예 2의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 는 두부를 0.85% 식염수에 고속 용해시킨 후 초음파 처리하여 매일 0.2g씩 경구 투여하고, 대조군 5는 0.85% 식염수 0.2g씩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1시간 경과 후 동일한 경로로 2g/kg의 D-(+)-G lucos를 10g 체중당 0.2g씩 투여하였다. 혈당의 측정은 죤슨 앤 죤슨사에서 제조한 혈당계를 이용하여 안구로부터 혈액을 매 0분, 10분, 30분, 60분, 120분에 채취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3은 시료를 경구 투여한지 30분 경과시 혈당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로 부터 추출한 추출 혼합액을 함유하여 제조한 두부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인슐린 의존형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강하에 매우 유용한 식품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가 두부에 함유되므로 제조된 두부는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의 고유한 색상인 우윳빛깔을 띄어서 인공색소의 부작용이 전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7)

  1.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1내지 5중량%를 혼합하여 응고시킴 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혼합함으로 수득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추출액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를 이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은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함으로 수득된 추출액을 급냉시켜 준비하고,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0.1 중량% 아스퍼질러스 소자에 (Aspergillus sojae)를 넣어 20-35℃의 온도, 50-65%의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10시간 동안 발효시켜 수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조성물.
  5. 선별, 세척된 콩의 껍질을 탈피시킨 후, 건조시키는 제 1과정과; 돼지감자, 구절초, 오미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하여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 2과정과; 탈피된 콩을 6 내지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콩을 불리는 제 3과 정과; 불린 콩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두유를 수득하는 제 4과정과;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오미자추출액 1내지 5 중량%를 혼합하는 제 5과정과; 응고된 두유를 성형 틀에 투입하여 압축 탈수하고, 이를 성형 후 선별, 포장 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6. 불린 콩을 분쇄하여 수득된 두유 100 중량%에 대해, 응고제 0.01 내지 1 중량% 를 혼합하고,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1 내지 5 중량% 및 오미자추출액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추출액, 구절초추출액 및 오미자추출액은 돼지감자 100g, 구절초 100g, 오미 자 100g당 정류된 물 60㎖를 믹서에 믹싱함으로써 수득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KR1020210078643A 2021-06-17 2021-06-17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KR20220168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43A KR20220168760A (ko) 2021-06-17 2021-06-17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43A KR20220168760A (ko) 2021-06-17 2021-06-17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60A true KR20220168760A (ko) 2022-12-26

Family

ID=8454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643A KR20220168760A (ko) 2021-06-17 2021-06-17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7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6280B (zh) 紅藜萃取物用於製備促進膠原蛋白生成及抗皮膚老化之組合物之用途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250445A (ja) グリケーション阻害剤及びその利用
CN106954770A (zh) 一种美容饮料
CN104982928A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976203B (zh) 一种美容养颜的果冻及其制备方法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97723A (zh) 一种由核桃花、核桃叶、分心木和核桃壳混合酿制的果酒
CN109123686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火麻籽粉高蛋白素肉及其制备方法
CN103976202B (zh) 一种可食用胶原蛋白果冻及其制备方法
CN1791419A (zh) 治疗药物
KR20070005317A (ko) 땅감자를 주원료로 한 당뇨환자용 건강보조식품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99782B1 (ko)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식품 조성물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CN109452417A (zh) 一种纯天然清脂减肥茶饮料及其制备方法
JP2011037811A (ja) 脂肪低減用組成物
JP2006069967A (ja) 白髪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飲食タイプの化粧料
KR20220168760A (ko) 당뇨병 예방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갖는 두부 제조방법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0911A (ko) 두유의 제조방법
KR100475628B1 (ko)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