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179A -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179A
KR20220167179A KR1020210123111A KR20210123111A KR20220167179A KR 20220167179 A KR20220167179 A KR 20220167179A KR 1020210123111 A KR1020210123111 A KR 1020210123111A KR 20210123111 A KR20210123111 A KR 20210123111A KR 20220167179 A KR20220167179 A KR 2022016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adhesive layer
meth
lay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윤
박찬현
정재용
차명진
권빈희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EP21209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01635A1/en
Priority to TW111121538A priority patent/TWI818583B/zh
Priority to US17/838,271 priority patent/US20220413187A1/en
Priority to JP2022094948A priority patent/JP7402275B2/ja
Priority to CN202210659822.5A priority patent/CN115464965A/zh
Publication of KR2022016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412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10℃에서 0.03 MPa 내지 0.2 MPa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Display protecto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대응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딩 신뢰도가 우수하여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박리되지 않고, 원할 때는 비교적 쉽게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단말기와 롤러블 단말기가 점차 실용화되어 감에 따라 이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에 대한 요구도 점증하고 있다. 특히 폴더블 단말기와 롤러블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장기간에 걸쳐 수많은 횟수에 걸쳐 폴딩 및 롤링을 견뎌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폴딩 및 롤링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를 갖춘 디스플레이 프로텍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대응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딩 신뢰도가 우수하여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박리되지 않고, 원할 때는 비교적 쉽게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폴딩 신뢰도가 우수하여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박리되지 않고, 원할 때는 비교적 쉽게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쉽게 부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10℃에서 0.03 MPa 내지 0.2 MPa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이 각각 600 gf/in 내지 1500 gf/in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40℃에서 0.02 MPa 내지 0.2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10℃에서 0.03 MPa 내지 0.2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40℃에서 0.02 MPa 내지 0.2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상기 UTG층 상에 비산 방지용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UTG층은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70 ㎛의 두께를 갖고, 곡률 반경 1.0 mm으로 접었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된 유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이 각각 상기 투명 기재층과 폴더블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600 gf/in 내지 15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각각 -10℃에서 0.03 MPa 내지 0.18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각각 -10℃에서 0.06 MPa 내지 0.14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각각 +40℃에서 0.02 MPa 내지 0.18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각각 +40℃에서 0.04 MPa 내지 0.14 M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UTG 층의 코너는 곡률 반경이 0.5 mm 내지 3 mm인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UTG 층의 두께는 30 ㎛ 내지 7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초박 유리층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1 유리 엣지 및 제 2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 3 유리 엣지 및 제 4 유리 엣지를 포함한다. 또, 상기 투명 기재층,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은 서로 공통되는 외연을 갖되, 상기 외연은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에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필름 엣지 및 제 2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3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4 유리 엣지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필름 엣지 및 제 4 필름엣지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 1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2 필름 엣지가 각각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offset)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에 평행한 폴딩축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름 엣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되거나, 상기 제 4 필름 엣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4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4 필름 엣지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3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4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는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고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 상기 제 3 필름 엣지의 말단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필름 엣지와 만나는 제 1 코너 엣지부; 및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와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는 상기 초박 유리의 대응되는 코너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에 가까워질수록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치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적어도 20 마이크로미터(㎛) 오프셋되고,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는 80% 이상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 3 유리 엣지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 상에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가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 되는 치수는 약 50 ㎛ 내지 약 4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의 엣지에 제공될 수 있는 점착 용액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투명 기재층,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은 서로 공통되는 외연을 갖되, 상기 외연은 상기 초박 유리의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점착 용액의 점도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cp 내지 50 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대응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딩 신뢰도가 우수하여 폴더블 단말기나 롤러블 단말기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박리되지 않고, 원할 때는 비교적 쉽게 탈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의 적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의 적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6은 각각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폴딩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유리 엣지와 제 3 유리 엣지가 만나는 부분 및 폴딩축 근처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판"은 기판 그 자체, 또는 기판과 그 표면에 형성된 소정의 층 또는 막 등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판의 표면"이라 함은 기판 그 자체의 노출 표면, 또는 기판 위에 형성된 소정의 층 또는 막 등의 외측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의 적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는 투명 기재층(110),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두 주표면, 즉 제 1 표면(110a) 및 제 2 표면(110b) 상에 각각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 및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13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대향하는 두 주표면인 제 1 표면(110a)과 제 2 표면(110b)을 갖는다.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100,000 내지 약 3,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의 중합 생성물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방향족, 지환족(alicyclic), 또는 방향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 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타디엔-1,4-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2,6-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카프로에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푸마레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이트에틸)카르보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2,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노에이트, 1,3,5-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토-4-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에테르, 1,4-부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토 메틸에스테르, 리진트리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2,6-디이소시아네이토 에틸-2,6-디이소시아네이토 헥사노에이트, 2-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2,6-디이소시아네이토 헥사노에이트, 2,6-디(이소시아네이토메틸)퓨란, 1,3-비스(6-이소시아네이토 헥실)-우레티딘-2,4-디온, 및 1,3,5-트리스(6-이소시아네이토 헥실)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페닐렌 1,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2,4- 및/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나프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2,2'- 및/또는 2,4'-,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또는 고급 동족체 (pMDI)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믈은, 예를 들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레이트, 2,5-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2,6-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토-n-부틸리덴)펜타에리트리톨,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1.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1.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사이클로[2.2.1]-헵탄, 및 노르보르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방향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벤젠(m-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XDI),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벤젠(p-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XDI), 1,3-비스(2-이소시아네이토 프로판-2-일) 벤젠(m-테트라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TMX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메틸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에틸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5-메틸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5-디메틸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5-디메틸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3,5,6-테트라메틸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5-tert-부틸 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클로로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5-디클로로벤젠,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4,5,6-테트라클로로 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3,5,6-테트라클로로 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3,5,6-테트라브로모 벤젠, 1,4-비스(2-이소시아네이토에틸)벤젠,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나프탈렌,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 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벤젠, α,α,α',α'-테트라메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 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디페닐에테르, 및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프탈레이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3-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메틸-1,8-옥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약 100,000 내지 약 3,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폴리머로서, 주로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체이다. 사용되는 다가 카르복실산은, 주로 2 가의 디카르복실산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메틸 등이 있다. 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도 주로 2 가의 디올이 사용되고,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블렌드 수지나, 공중합체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약 100,000 내지 약 3,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합 생성물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화네오펜딜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세린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나,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지트리메치로르프로판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약 10 ㎛ 내지 약 40 ㎛, 약 12 ㎛ 내지 약 35 ㎛, 약 14 ㎛ 내지 약 30 ㎛, 약 15 ㎛ 내지 약 25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얇으면 기계적 강도가 미흡하고 UTG 층이 파손되었을 때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두꺼우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를 접었을 때 접히는 부분에 전단 응력이 과도하게 집중될 수 있으며 접힘과 펼침이 반복될 때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생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틸-2-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도데실티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퍼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1관능성 모노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성 모노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공단량체와 함께 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단량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 및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면,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단량체로서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점착력의 증대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기(-CH2CH2O-)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터셔리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알킬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터셔리부틸 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알킬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ter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옥시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메틸렌 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등의 아마이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나트륨, 2-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나트륨 등의 설폰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p-tert-부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o-바이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가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스(β-메톡시에틸)실란, 비닐트리아세틸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기를 지닌 비닐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60 중량%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70 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우수한 점착력과 응력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약 100,000 내지 약 3,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00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나이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레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5의 시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옥시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릴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알킬아릴기임)
여기서, '치환'되었다는 것은 화합물 또는 작용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로서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둘 이상이 치환되는 경우 둘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치환 또는 비치환'되었다는 것은 중수소; 할로겐; 니트릴기(-CN);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실릴기; 붕소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었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어떠한 치환기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는 바이페닐기일 수 있다. 즉, 바이페닐기는 아릴기일 수도 있고, 2개의 페닐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0 ㎛ 내지 약 40 ㎛, 약 11 ㎛ 내지 약 38 ㎛, 약 12 ㎛ 내지 약 36 ㎛, 약 13 ㎛ 내지 약 34 ㎛, 약 14 ㎛ 내지 약 32 ㎛, 약 15 ㎛ 내지 약 3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얇으면 폴딩시 응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박리(들뜸)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두꺼우면 폴딩 시의 응력은 견디지만 응력 완화 점착층의 양 면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과도하게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폴딩 부위의 박리(들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10℃에서 약 0.03 MPa 내지 약 0.2 MPa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10℃에서 약 0.03 MPa 내지 약 0.20 MPa, 약 0.04 MPa 내지 약 0.18 MPa, 약 0.05 MPa 내지 약 0.16 MPa, 약 0.06 MPa 내지 약 0.14 MPa, 약 0.07 MPa 내지 약 0.12 MPa, 약 0.08 MPa 내지 약 0.11 MPa, 약 0.08 MPa 내지 약 0.10 MPa,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40℃에서 약 0.02 MPa 내지 약 0.2 MPa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40℃에서 약 0.02 MPa 내지 약 0.20 MPa, 약 0.03 MPa 내지 약 0.18 MPa, 약 0.04 MPa 내지 약 0.16 MPa, 약 0.05 MPa 내지 약 0.14 MPa, 약 0.06 MPa 내지 약 0.13 MPa, 약 0.07 MPa 내지 약 0.12 MPa, 약 0.08 MPa 내지 약 0.11 MPa, 약 0.09 MPa 내지 약 0.10 MPa,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저장 모듈러스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작으면, 소재의 물성이 과도하게 소프트해져 제조가 어렵고, 점착력 저하로 폴딩 시에 박리(들뜸)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저장 모듈러스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크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의 변형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 내에 발생하는 전단 응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의 저장 모듈러스는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저장 모듈러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이들 둘 중 더 큰 값을 기준으로 이들 두 값의 차이가 +/- 10% 이내인 것을 가리킨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약 600 gf/in 내지 약 1500 gf/in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600 gf/in 내지 약 1500 gf/in, 약 650 gf/in 내지 약 1450 gf/in, 약 700 gf/in 내지 약 1400 gf/in, 약 750 gf/in 내지 약 1350 gf/in, 약 800 gf/in 내지 약 1300 gf/in, 약 850 gf/in 내지 약 1250 gf/in, 약 900 gf/in 내지 약 1200 gf/in, 약 950 gf/in 내지 약 1150 gf/in, 약 1000 gf/in 내지 약 1110 gf/in,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작으면, 부착력이 미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의 부착을 유지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과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크면,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를 교체하고자 할 때 부착된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고 박리 시에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UTG층
상기 UTG층(130)은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0 ㎛의 두께를 갖는 강화 유리 소재로 된 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UTG층(130)은 약 30 ㎛ 내지 약 70 ㎛, 약 32 ㎛ 내지 약 70 ㎛, 약 34 ㎛ 내지 약 65 ㎛, 약 36 ㎛ 내지 약 60 ㎛, 약 38 ㎛ 내지 약 55 ㎛, 약 40 ㎛ 내지 약 5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UTG층(1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얇으면 내충격성이 미흡할 수 있다. 상기 UTG층(1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두꺼우면 반복되는 접힘(folding) 또는 말림(rolling)에 대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폴딩시에 반발력이 강해지게 된다.
상기 UTG층(130)은, 예를 들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칼리-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보로실리케이트, 알칼리-보로실리케이트,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알칼리-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소다-라임, 또는 다른 적합한 유리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a)의 적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a)는 비산 방지용 코팅층(140)을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a)는 UTG층(130) 상에 비산 방지용 코팅층(140)을 더 포함한다. 도 1b에서는 상기 비산 방지 코팅층(140)이 상기 UTG 층(130)의 상부 표면에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비산 방지 코팅층(140)은 상기 UTG 층(130)의 하부 표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산 방지 코팅층(140)은 상기 UTG 층(130)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용 코팅층(140)은 자외선(ultraviolet, UV) 경화성 수지로서 대략 5 ㎛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UV 경화성 수지는 광 개시제에 의하여 개시되어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중합되어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광 개시제는 UV 조사에 의하여 상기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의 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모노머, 비닐 에테르류, 고리모양 에테르류, 아크릴계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일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논시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UV 경화성 수지는 20 ℃ 내지 25 ℃의 온도에서 약 100 cps 내지 약 8000 cps의 점도를 갖는 유체일 수 있으며, 스핀 코팅이나 닥터 블레이드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이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비산 방지용 코팅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 패널(10) 및 하부 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는 표시 패널(10)을 지지하는 제1부분(90_1) 및 제2부분(90_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는 제1부분(90_1) 및 제2부분(90_2) 사이의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부분(90_1) 및 제2부분(90_2) 사이에는 힌지부(90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90_2)은 광투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는 상기 표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도 함께 접힌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의 접힌 부분은 대략 0.5 mm 내지 약 1.3 mm의 곡률 반경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의 UTG 층(130)(도 1a 참조)은 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1.0 mm, 1.1 mm, 1.2 mm, 및 1.3 mm의 곡률 반경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된 유리일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를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는 표시 패널(10), 롤러부(20), 하우징부(30), 모듈부(BP), 및 간격조절부(L)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은 말거나 펼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롤러부(20)에 의해 말리거나 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이 롤러부(20)에 권취될 때, 표시 패널(10)의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제1 간격만큼 하우징부(3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이 롤러부(20)에 권출될 때, 표시 패널(10)의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상기 제1 간격보다 더 큰 제2 간격만큼 하우징부(3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30)에 의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표시 패널(10)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롤러부(20)는 표시 패널(10)을 권취(roll)할 수 있다. 또는 롤러부(20)는 표시 패널(10)을 권출(unroll)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롤러부(20)는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롤러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롤러부(20)는 수동으로 표시 패널(10)을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부(20)는 제1롤러부(20A) 및 제2롤러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부(20A) 및 제2롤러부(20B)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롤러부(20A) 및 제2롤러부(20B)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부(30)는 롤러부(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 중 일부는 하우징부(30)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 중 일부는 하우징부(30) 내부로 반입되거나, 하우징부(30)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하우징부(30)는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하우징부(30)를 파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부(30)는 제1하우징부(30A) 및 제2하우징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부(30A) 및 제2하우징부(30B)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부(30A) 및 제2하우징부(30B)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30A)는 제1롤러부(20A)를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부(30B)는 제2롤러부(20B)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는 상기 표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는 상기 표시 패널(10)이 권취될 때 상기 표시 패널(10)과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폴딩 신뢰성 테스트>
각 레시피에 따라 제조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폴더블 단말기에 부착한 후 실온(약 20℃ 내지 약 25℃)에서 폴딩과 펼침을 반복하는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기 테스트는 하기 표 1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즉, 제 1 라운드 내지 제 4 라운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각 라운드는 A 단계부터 D 단계까지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표 1의 각 횟수는 폴딩과 펼침을 반복한 횟수이고, 'OUT 상태'는 펼친 상태, 'IN 상태'는 폴딩 상태를 의미한다.
제 1 라운드 내지 제 4 라운드를 모두 수행한 후 들뜸이 전혀 없는 경우는 ◎, 들뜸의 크기가 10 mm 미만이면 ○, 들뜸의 크기가 10 mm 이상이면 X로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응력 완화 점착층 시험>
기재로서 12 ㎛ 두께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고,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두께와 점착력을 변화시키며 상기 폴딩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
Figure pat00003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점착력이 600 gf/in에 미달하는 경우(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는 폴딩 신뢰성 테스트 결과, 들뜸이 발생하였다(도 3a 참조). 또,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점착력이 1500 gf/in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5 및 비교예 6)는 폴더블 단말기에서 탈착하기가 매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폴더블 단말기 표면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다.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두께가 50 ㎛인 경우, 대체로 폴딩 신뢰성 테스트 결과가 양호하였지만, 점착력이 600 gf/in인 경우(비교예 4)에는 들뜸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3b 참조).
하지만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점착력이 600 gf/in 내지 1500 gf/in의 범위에 속하고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두께가 25 ㎛ 및 35 ㎛인 경우에는 들뜸 없이 대체로 우수한 폴딩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얻었다(도 3c 참조).
<투명 기재층 시험>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으로서 각각 25 ㎛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계 OCA 층을 형성하고 폴리우레탄 투명 기재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며 상기 폴딩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3>
Figure pat0000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층의 두께를 변화시켜도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점착력이 600 gf/in에 미달하는 경우(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는 폴딩 신뢰성 테스트 결과, 들뜸이 발생하였다(도 4 참조).
<UTG층 시험>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으로서 각각 25 ㎛의 두께 및 600 gf/in의 부착력을 갖는 아크릴계 OCA 층을 사용하고, 투명 기재층으로서 12 ㎛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투명 기재층을 사용하고, 그 위에 다양한 두께(30 ㎛, 50 ㎛, 75 ㎛)의 UTG 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를 제조하고 상기 폴딩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30 ㎛와 50 ㎛ 두께의 UTG 층을 사용했을 때에는 UTG 층의 들뜸이나 파손이 없었지만 75 ㎛ 두께의 UTG 층을 사용했을 때에는 UTG 층의 들뜸과 파손이 모두 관찰되었고, 폴더블 단말기를 L자로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응력 완화 점착층의 조합>
투명 기재층으로서 12 ㎛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투명 기재층을 사용하고, 그의 양면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응력 완화 점착층을 제공하여 상기 폴딩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고 들뜸을 관찰하였다. UTG 층의 두께는 30 ㎛였으며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5
표 4에서 FOCA A는 25℃에서 0.1 MPa의 저장 모듈러스를 갖는 아크릴계 OCA이고 FOCA B는 25℃에서 0.05 MPa의 저장 모듈러스를 갖는 아크릴계 OCA이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응력 완화 점착층 저장 모듈러스가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저장 모듈러스보다 클 경우(비교예 11)에는 들뜸이 발생하는 반면(도 5a 참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보다 작을 경우 (비교예 12) 들뜸 발생 정도가 완화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와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경우(실시예 17, 실시예 18)에는 들뜸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것이 확인되었다(도 5b 참조).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40℃에서의 저장 모듈러스를 변화시키며 상기 폴딩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고 들뜸을 관찰하였으며,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6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0.2 MPa 이하일 때에는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보였지만 0.25 MPa 이상의 저장 모듈러스에서는 들뜸 현상이 관찰되었다(도 6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b)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b)는 투명 기재층(110),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층(1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초박 유리층(130)은 제 1 방향(즉,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1 유리 엣지(130E1) 및 제 2 유리 엣지(130E2)를 포함한다. 또 상기 초박 유리층(130)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즉,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3 유리 엣지(130E3) 및 제 4 유리 엣지(130E4)를 포함한다.
또, 상기 투명 기재층(110),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120a),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120b)은 서로 공통되는 외연을 가지며, 상기 외연은 상기 제 1 유리 엣지(130E1) 및 제 2 유리 엣지(130E2)에 각각 대응되며 제 1 방향(즉,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름 엣지(110E1) 및 제 2 필름 엣지(110E2)를 갖는다. 또한 상기 외연은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 및 제 4 유리 엣지(130E4)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필름 엣지(110E3) 및 제 4 필름 엣지(110E4)를 갖는다.
도 7 및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필름 엣지(110E1) 및 제 2 필름 엣지(110E2)는 각각 상기 제 1 유리 엣지(130E1) 및 제 2 유리 엣지(130E2)보다 안쪽으로 제 1 치수(d1)만큼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엣지가 유리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되는 것은 "마이너스 오프셋"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안쪽"이라 함은 상기 외연이나 각 엣지로부터 상기 초박 유리층(130)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 도 7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 및/또는 제 4 필름 엣지(110E4)는 각각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 및/또는 제 4 유리 엣지(130E4)보다 바깥쪽으로 제 2 치수(d2)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가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제 2 치수(d2)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4 필름 엣지(110E4)가 상기 제 4 유리 엣지(130E4)보다 바깥쪽으로 제 2 치수(d2)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 및 제 4 필름 엣지(110E4)는 각각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 및 제 4 유리 엣지(130E4)보다 바깥쪽으로 제 2 치수(d2)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엣지가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는 것은 "플러스 오프셋"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바깥쪽"이라 함은 상기 "안쪽"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치수(d1)는 약 20 ㎛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1 치수(d1)는 약 20 ㎛ 내지 약 200 ㎛, 약 25 ㎛ 내지 약 180 ㎛, 약 30 ㎛ 내지 약 160 ㎛, 약 35 ㎛ 내지 약 150 ㎛, 약 40 ㎛ 내지 약 140 ㎛, 약 45 ㎛ 내지 약 130 ㎛, 약 50 ㎛ 내지 약 120 ㎛, 약 55 ㎛ 내지 약 110 ㎛, 약 60 ㎛ 내지 약 10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치수(d2)는 약 50 ㎛ 내지 약 40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 치수(d2)는 약 50 ㎛ 내지 약 400 ㎛, 약 60 ㎛ 내지 약 380 ㎛, 약 70 ㎛ 내지 약 360 ㎛, 약 80 ㎛ 내지 약 340 ㎛, 약 90 ㎛ 내지 약 320 ㎛, 약 100 ㎛ 내지 약 300 ㎛, 약 120 ㎛ 내지 약 280 ㎛, 약 140 ㎛ 내지 약 26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치수(d2)가 너무 작으면 접힘 신뢰성이 미흡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치수(d2)가 너무 크면 이물질이 과도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치수(d2)는 추후 설명되는 폴딩축(FAX)에서의 오프셋 치수일 수 있다.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b)는 상기 제 1 유리 엣지(130E1) 및 제 2 유리 엣지(130E2)에 평행한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히는 부분에 대하여 플러스 오프셋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힘과 펼침이 반복될 때 접히는 부분의 신뢰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히는 부분이 마이너스 오프셋되어 있으면 접힘과 펼침이 반복됨에 따라 접히는 부분에 들뜸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히는 부분이 플러스 오프셋되어 있으면 접힘과 펼침이 반복되더라도 접히는 부분에 들뜸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9는 도 7의 제 1 필름 엣지(110E1)와 제 3 필름 엣지(110E3)가 만나는 부분 및 폴딩축(FAX) 근처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는 상기 폴딩축(FAX)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즉,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는 제 1 필름 엣지(110E1)와 만나는 제 1 코너 엣지부(110E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는 초박 유리층(130)의 대응되는 코너부의 엣지보다 안쪽으로 마이너스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는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와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의 사이에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는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와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는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는 자신의 80% 이상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가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치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가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에 더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와 교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가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110E3c)와 만나는 영역 부근에서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 1 필름 엣지(110E1)와 제 3 필름 엣지(110E3)가 만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제 2 필름 엣지(110E2)와 제 3 필름 엣지(110E3)가 만나는 부분, 제 1 필름 엣지(110E1)와 제 4 필름 엣지(110E4)가 만나는 부분, 및 제 2 필름 엣지(110E2)와 제 4 필름 엣지(110E4)가 만나는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c)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필름 엣지(110E3)는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 및 제 1 코너 엣지부(110E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는 자신의 전체 길이의 80% 이상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안쪽으로 제 3 치수(d3)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110E32)는 제 3 유리 엣지(130E3)와 평행하게 제 2 방향(즉,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치수(d3)는 약 20 ㎛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3 치수(d3)는 약 20 ㎛ 내지 약 200 ㎛, 약 25 ㎛ 내지 약 180 ㎛, 약 30 ㎛ 내지 약 160 ㎛, 약 35 ㎛ 내지 약 150 ㎛, 약 40 ㎛ 내지 약 140 ㎛, 약 45 ㎛ 내지 약 130 ㎛, 약 50 ㎛ 내지 약 120 ㎛, 약 55 ㎛ 내지 약 110 ㎛, 약 60 ㎛ 내지 약 10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폴딩축(FAX)과 교차하면서 제 2 방향(즉,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플러스 오프셋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플러스 오프셋된 부분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약 3 mm 내지 약 15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폭은 약 4 mm 내지 약 13 mm, 약 5 mm 내지 약 11 mm, 약 6 mm 내지 약 10 mm, 약 7 mm 내지 약 9 mm,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적어도 20 ㎛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폴딩축(FAX)에서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약 20 ㎛ 내지 약 400 ㎛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110E31)는 폴딩축(FAX)에서 상기 제 3 유리 엣지(130E3)보다 바깥쪽으로 약 20 ㎛ 내지 약 400 ㎛, 약 30 ㎛ 내지 약 380 ㎛, 약 40 ㎛ 내지 약 360 ㎛, 약 50 ㎛ 내지 약 340 ㎛, 약 60 ㎛ 내지 약 320 ㎛, 약 70 ㎛ 내지 약 300 ㎛, 약 80 ㎛ 내지 약 280 ㎛, 약 90 ㎛ 내지 약 260 ㎛, 약 100 ㎛ 내지 약 240 ㎛, 약 110 ㎛ 내지 약 220 ㎛, 약 120 ㎛ 내지 약 200 ㎛, 또는 이들 수치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로 오프셋될 수 있다.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c)도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히는 부분에 대하여 플러스 오프셋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힘과 펼침이 반복될 때 접히는 부분의 신뢰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100d)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필름 엣지들(110E1, 110E2, 110E3, 110E4)은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4 유리 엣지들(130E1, 130E2, 130E3, 130E4)로부터 안쪽으로 제 1 치수(d1)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필름 엣지들(110E1, 110E2, 110E3, 110E4)은 각각 마이너스 오프셋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축(FAX)에 대하여 접히는 부분에 대하여 마이너스 오프셋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조치가 없다면 접히는 부분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하지만,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너스 오프셋된 부분에 점착제(150)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150)는 상기 마이너스 오프셋된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3 필름 엣지(110E3)의 측면에서 상기 점착제(150)가 폴딩축(FAX)을 가로질러 연장되기 때문에 접힘과 펼침이 반복되더라도 접히는 부분에 들뜸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점착제(150)는 점착 용액에 경화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점착 용액은, 제 1 치수(d1)의 좁은 폭을 갖는 공간 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잘 침투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저점도의 점착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용액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베이스 폴리머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와, 유리와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실란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점착 용액의 점도는 약 20℃ 내지 약 25℃의 온도에서 약 10 cp 내지 약 50 cp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점착 성능이 떨어지고 유출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점착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모세관 현상에 의한 침투성이 저하되어 골고루 침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와 점착 용액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는 투명 기재층이 초박 유리층에 대하여 임의의 마이너스 오프셋을 갖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및 상기 마이너스 오프셋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충진하면서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하여 점착력을 갖는 점착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용액은 상기 마이너스 오프셋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충진한 후 UV 경화되어 점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도 1a, 도 1b,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들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24>
12㎛의 두께를 갖는 PET 투명 기재층의 양 면에 1200 gf/in의 부착력을 갖는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을 각각 부착한 후, 상기 제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30㎛의 두께를 갖는 초박 유리층을 부착하였다. 상기 PET 투명 기재층과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적층체는 폴딩축에서 상기 초박 유리층에 대하여 -100㎛, +50㎛, +150㎛, 및 +250㎛의 오프셋을 갖도록 재단되었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디바이스 1과 디바이스 2에 각각 부착하여 폴딩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정리하였다. 또한 -100㎛의 오프셋을 갖는 경우에는 점착제를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각각 폴딩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표 6>
Figure pat00007
표 6을 참조하면, 상기 PET 투명 기재층과 제1 및 제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적층체는 폴딩축에서 상기 초박 유리층에 대하여 마이너스 오프셋을 가지면 겨우 190회 및 300회 접힘 및 펼침 후에 들뜸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폴딩축에서 플러스 오프셋을 갖도록 하면 수천 회 내지 수만 회의 접힘 및 펼침 후에도 들뜸이 발생하지 않았다. 표 6에서 숫자 뒤에 '+'가 붙은 것은 그 횟수에서도 들뜸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 마이너스 오프셋을 갖더라도 마이너스 오프셋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점착제를 형성하면 플러스 오프셋에 필적하는 폴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100a: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10: 투명 기재층
120a: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120b: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130: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
140: 비산 방지용 코팅층

Claims (25)

  1.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10℃에서 0.03 MPa 내지 0.2 MPa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이 각각 600 gf/in 내지 15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40℃에서 0.02 MPa 내지 0.2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10℃에서 0.03 MPa 내지 0.2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40℃에서 0.02 MPa 내지 0.2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TG층 상에 비산 방지용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TG층은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70 ㎛의 두께를 갖고, 곡률 반경 1.0 mm으로 접었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된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는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9.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이 각각 상기 투명 기재층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이 부착되는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600 gf/in 내지 1500 gf/in의 점착력을 갖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각각 -10℃에서 0.03 MPa 내지 0.18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각각 -10℃에서 0.06 MPa 내지 0.14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각각 +40℃에서 0.02 MPa 내지 0.18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각각 +40℃에서 0.04 MPa 내지 0.14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UTG층 상에 비산 방지용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UTG 층의 두께는 30 ㎛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6. 대향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상기 제 2 표면 위에 제공된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상에 제공된 초박 유리(ultra-thin glass, UTG)층;
    을 포함하고,
    상기 초박 유리층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1 유리 엣지 및 제 2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 3 유리 엣지 및 제 4 유리 엣지;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재층,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은 서로 공통되는 외연을 갖되, 상기 외연은: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에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필름 엣지 및 제 2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3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4 유리 엣지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필름 엣지 및 제 4 필름엣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2 필름 엣지가 각각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offset)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는 상기 제 1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2 유리 엣지에 평행한 폴딩축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되거나,
    상기 제 4 필름 엣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4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4 필름 엣지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3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4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 및 상기 제 4 필름 엣지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3 유리 엣지 및 상기 제 4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름 엣지는: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고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
    상기 제 3 필름 엣지의 말단부를 이루며 상기 제 1 필름 엣지와 만나는 제 1 코너 엣지부; 및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와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를 연결하는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는 상기 초박 유리의 대응되는 코너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코너 엣지부에 가까워질수록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치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는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적어도 20 마이크로미터(㎛) 오프셋되고,
    상기 제 2 필름 서브 엣지부는 80% 이상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 3 유리 엣지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 상에서 상기 제 1 필름 서브 엣지부가 상기 제 3 유리 엣지보다 바깥쪽으로 오프셋 되는 치수는 약 50 ㎛ 내지 약 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24.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키트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텍터의 엣지에 제공될 수 있는 점착 용액;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재층, 제 1 응력 완화 점착층, 및 상기 제 2 응력 완화 점착층은 서로 공통되는 외연을 갖되, 상기 외연은 상기 초박 유리의 엣지보다 안쪽으로 오프셋된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용액의 점도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cp 내지 5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부착 키트.


KR1020210123111A 2021-06-11 2021-09-15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KR20220167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09995.6A EP4101635A1 (en) 2021-06-11 2021-11-23 Display protector
TW111121538A TWI818583B (zh) 2021-06-11 2022-06-10 顯示器保護器
US17/838,271 US20220413187A1 (en) 2021-06-11 2022-06-13 Display protector
JP2022094948A JP7402275B2 (ja) 2021-06-11 2022-06-13 ディスプレイプロテクタ
CN202210659822.5A CN115464965A (zh) 2021-06-11 2022-06-13 显示器保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6238 2021-06-11
KR1020210076238 2021-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179A true KR20220167179A (ko) 2022-12-20

Family

ID=8453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111A KR20220167179A (ko) 2021-06-11 2021-09-15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4648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820705B2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7013492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US20110021705A1 (en) Composite film
KR102569065B1 (ko) 무용제형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1784239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한 필름
KR20110057210A (ko) 표면보호필름 및 적층체
JP637268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20190025190A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20220167179A (ko)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EP4101635A1 (en) Display protector
KR102528474B1 (ko) 디스플레이 프로텍터
CN110573534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组合物及硬涂薄膜
KR102632908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102556168B1 (ko) 글라스 단면이 3차원으로 굴곡된 형상인 윈도우 글라스용 보호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US20220332986A1 (en) (meth)acrylic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3537493A (ja) 光学フィルム
KR101862704B1 (ko) 평판표시장치
JP7397645B2 (ja) フロントカバー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1845871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0745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JP2017177811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CN113195214B (zh) 调光薄膜
CN111440543B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粘着片及显示体
KR20140122020A (ko) 커버레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동장 적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