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115A - 파이프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115A
KR20220167115A KR1020210076252A KR20210076252A KR20220167115A KR 20220167115 A KR20220167115 A KR 20220167115A KR 1020210076252 A KR1020210076252 A KR 1020210076252A KR 20210076252 A KR20210076252 A KR 20210076252A KR 20220167115 A KR20220167115 A KR 2022016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pe holder
pipe
holder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지호
Original Assignee
곽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지호 filed Critical 곽지호
Priority to KR102021007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115A/ko
Publication of KR2022016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single supports directly connect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된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1 파이프 홀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2 파이프 홀더, 내측에 제1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제1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내측에 제2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제2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및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의 일단은 제2 케이스의 일단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상호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제1 케이스의 타단은 제2 케이스의 타단과 접촉되고, 제1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은 제2 파이프 홀더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개방 시, 제1 파이프 홀더는 제1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고, 제2 파이프 홀더는 제2 케이스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클램핑 장치{PIPE CLAIMPING DEVI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의 구조와 관련된다.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파이프를 원통형 홈에 삽입한 후 체결함으로써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파이프가 밀리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파이프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파이프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한 후 파이프의 단부를 넓히거나 변형된 파이프를 복원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인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홈의 크기에 대응하는 파이프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정해진 직경의 파이프를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를 이용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기 위해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보관 및 휴대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는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된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1 파이프 홀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2 파이프 홀더, 내측에 제1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제1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내측에 제2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제2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및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의 일단은 제2 케이스의 일단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상호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제1 케이스의 타단은 제2 케이스의 타단과 접촉되고, 제1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은 제2 파이프 홀더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개방 시, 제1 파이프 홀더는 제1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고, 제2 파이프 홀더는 제2 케이스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제1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과 제2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에 의해 파이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홀더 및 제2 파이프 홀더는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수용 홈이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노출된 수용 홈에 의해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홀더 및 제2 파이프 홀더는 탈착에 의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4가지 타입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홀더 및 제2 파이프 홀더의 4개의 수용 홈에는 파이프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파이프 홀더를 채용함으로써, 파이프 홀더를 회전시켜 결합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방식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에 포함된 파이프 홀더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에 포함된 파이프 홀더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100)는 제1 파이프 홀더(110), 제2 파이프 홀더(120), 제1 케이스(130), 제2 케이스(140), 체결 부재(150) 및 고정 클립(16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클램핑 장치(100)는 제1 파이프 홀더(110)와 제2 파이프 홀더(120) 사이에 파이프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는 제1 파이프 홀더(11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된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수용 홈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의 하면은 제1 케이스(130)에 형성된 돌출부(131)과 접촉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파이프 홀더(110)가 제1 케이스(130)의 내부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파이프 홀더(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파이프 홀더(110)와 동일한 형상 또는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2 파이프 홀더(12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된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수용 홈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홀더(12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케이스(130)는 제1 파이프 홀더(110)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의 단면은, 예를 들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30)는 내측에 제1 파이프 홀더(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는 제1 파이프 홀더(110)의 3개 측면을 둘러쌀 수 있고, 제1 파이프 홀더(110)의 나머지 1개 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는 내측면에 제1 파이프 홀더(110)의 하면과 접촉되는 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돌출부(131)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돌출부(131)는 제1 파이프 홀더(11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40)는 제2 파이프 홀더(120)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40)의 단면은, 예를 들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케이스(140)는 내측에 제2 파이프 홀더(12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40)는 제2 파이프 홀더(120)의 3개 측면을 둘러쌀 수 있고, 제2 파이프 홀더(120)의 나머지 1개 측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케이스(140)는 제1 케이스(130)의 돌출부(131)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의 일단은 제2 케이스(140)의 일단과 힌지(hinge)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는 힌지를 중심으로 한 상호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체결 부재(150)는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150)는 손잡이 및 손잡이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제2 케이스(140)의 상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클립의 말단은 제1 케이스(130) 상단에 형성된 요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의 말단을 제1 케이스(130)에 삽입한 후 손잡이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클립(160)은 제1 케이스(130) 및/또는 제2 케이스(14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클립(160)의 일 부분은 제1 파이프 홀더(110) 및/또는 제2 파이프 홀더(120)와 접촉될 수 있다. 고정 클립(160)에 의해 제1 파이프 홀더(110) 및/또는 제2 파이프 홀더(120)가 제1 케이스(130) 및/또는 제2 케이스(1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의 폐쇄 시, 제1 케이스(130)의 타단은 제2 케이스(140)의 타단과 접촉되고, 제1 파이프 홀더(110)의 일 측면은 제2 파이프 홀더(120)의 일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의 폐쇄 시, 제1 케이스(130)의 타단과 제2 케이스(140)의 타단이 접촉되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는 사각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의 폐쇄 시, 제1 파이프 홀더(110)의 노출된 측면과 제2 파이프 홀더(120)의 노출된 측면은 파이프가 수용되는 원통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홀더(1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과 제2 파이프 홀더(12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에 의해 파이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의 개방 시, 제1 파이프 홀더(110)는 제1 케이스(130)에 탈착 가능하고,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2 케이스(14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를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로부터 분리하고, 수용할 파이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를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파이프 클램핑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방식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탈착에 의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4가지 타입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수용 홈이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되고,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의 폐쇄 시, 노출된 수용 홈에 의해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직경을 갖는 수용 홈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가 만나는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수용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로부터 분리된 후 제2 직경을 갖는 수용 홈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가 만나는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수용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로부터 분리된 후 제3 직경을 갖는 수용 홈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가 만나는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수용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는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로부터 분리된 후 제4 직경을 갖는 수용 홈이 제1 케이스(130)와 제2 케이스(140)가 만나는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제1 케이스(130) 및 제2 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수용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직경, 제2 직경, 제3 직경 및 제4 직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100)에 의해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에 포함된 파이프 홀더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에 대응할 수 있다. 파이프 홀더(300)는 제1 수용 홈(310), 제2 수용 홈(320), 제3 수용 홈(330), 제4 수용 홈(340), 중앙 개구(350) 및 L자형 그루브(groove)(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 홈(310)은 파이프 홀더(300)의 제1 측면에 파이프 홀더(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 홈(310)은 제1 직경을 갖는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제2 수용 홈(320)은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 홈(320)은 제1 직경보다 긴 제2 직경을 갖는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제3 수용 홈(330)은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이웃하고 수직인 제3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용 홈(330)은 제2 직경보다 긴 제3 직경을 갖는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제4 수용 홈(340)은 제3 측면에 대향하는 제4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수용 홈(340)은 제3 직경보다 긴 제4 직경을 갖는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중앙 개구(350)는 파이프 홀더(300)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개구(350)는 원형의 개구일 수 있다. L자형 그루브(360)는 파이프 홀더(300)의 측면의 4개의 모서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클램핑 장치에 포함된 파이프 홀더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400, 500)의 4개의 수용 홈에는 파이프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홀더(400, 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파이프 홀더(110) 및 제2 파이프 홀더(12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홀더(400)는 4개의 수용 홈에 형성된 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그루브(4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그루브(410)에 의해 4개의 수용 홈은 톱니 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파이프 홀더(500)는 4개의 수용 홈에 형성된 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돌출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410) 또는 돌출부(510)에 의해 파이프의 고정 시 파이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승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이프가 더 단단하게 파이프 홀더(400, 5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파이프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형성된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1 파이프 홀더;
    상기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4개의 측면 각각에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제2 파이프 홀더;
    내측에 상기 제1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내측에 상기 제2 파이프 홀더의 3개의 측면을 둘러싸고 나머지 1개의 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파이프 홀더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상호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상기 제1 케이스의 타단은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과 접촉되고, 상기 제1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파이프 홀더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 시, 상기 제1 파이프 홀더는 상기 제1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2 파이프 홀더는 상기 제2 케이스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상기 제1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과 상기 제2 파이프 홀더의 일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에 의해 상기 파이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홀더 및 상기 제2 파이프 홀더는 상기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수용 홈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폐쇄 시, 상기 노출된 수용 홈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홀더 및 상기 제2 파이프 홀더는 탈착에 의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4가지 타입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홀더 및 상기 제2 파이프 홀더 각각의 상기 4개의 수용 홈에는 상기 파이프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0076252A 2021-06-11 2021-06-11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220167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52A KR20220167115A (ko) 2021-06-11 2021-06-11 파이프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52A KR20220167115A (ko) 2021-06-11 2021-06-11 파이프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115A true KR20220167115A (ko) 2022-12-20

Family

ID=8453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52A KR20220167115A (ko) 2021-06-11 2021-06-11 파이프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228A (en) Cable clip
WO2017135339A1 (ja) クリップ、クランプ組立体及び取付構造
JP5200289B2 (ja) 保持部材および分岐プロテクタ
US20140212096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6486397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universal serial bus cables
US8472169B2 (en) Cable clamp, circuit board and computer enclosure using the cable clamp
US10007069B2 (en) Fiber optical connector
KR20220167115A (ko)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880009798A (ko) 개량된 서류 홀더
JP654649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固定構造
JP2023168396A (ja) ケーブルカバー
KR20180026850A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JP200715617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110020036A (ko) 전선 고정용 클램프
KR20230000225U (ko) 단말기 거치대
JP2015233352A (ja) ケーブルホルダー
US20200189486A1 (en) Mounting member
JP2009009020A (ja) ケーブル把持構造
JP2004215400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6627146B2 (ja) ケーブル保持具
JP6445769B2 (ja) ケーブル把持構造体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6737716B2 (ja) 光ファイバ固定器具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器
JP3221944U (ja) 携帯機器用物品取付け具
JP2010255760A (ja) ケーブ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