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66A -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66A
KR20220166966A KR1020210075902A KR20210075902A KR20220166966A KR 20220166966 A KR20220166966 A KR 20220166966A KR 1020210075902 A KR1020210075902 A KR 1020210075902A KR 20210075902 A KR20210075902 A KR 20210075902A KR 20220166966 A KR20220166966 A KR 2022016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ush
vacuum cleaner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727B1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21007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2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92Clean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설원예를 위한 온실 내부에서 보일러 배관을 레일(110)로 하여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부(121)가 설치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수확 잔여물을 쓸어 모아 흡입하는 청소장치부(130)와, 상기 본체(12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청소장치부(130)에 의해 흡입된 수확 잔여물을 수거하는 수거함부(150)로 이루어진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장치부(130)는,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잎을 쓸어 모으는 브러쉬(131); 상기 브러쉬(131)을 회전시키는 모터(133); 쓸어 모아진 잎을 흡입하여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노즐(132); 상기 흡입노즐(132)와 연결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34); 상기 흡입노즐(132)을 통해 흡입된 잎을 수거함부(150)로 배출하는 배출관(135);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131)는 브러시 승강장치(170)에 의해 지지되어 브러시(131)의 회전축이 수직을 유지하여 지면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는 모터(133)를 탑재하는 모터브라켓(171)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 상부에는 모터(133)가 탑재되며, 하부에는 브러시(131)가 모터(133)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은 흡입팬(134)에 4절링크(172)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4절링크(172)는, 모터브라켓(171) 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제1링크(172a)와, 흡입팬(134) 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72b)와,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3링크(172c)와, 상기 제3링크(172c)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4링크(172d)와, 상기 모터브라켓(171)이 청소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복귀수단(172e)을 포함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Rail type vacuum cleaner for controlled horticulture}
본 발명은 시설원예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경작식물의 수확 후 바닥으로 낙하된 수확 잔여물을 쓸어 모으는 브러시가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브러시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브러시에 의해 쓸려져 모아지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동이 사이클론 방식으로 구현되어 진공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동을 위한 청소구동부가 비교적 공간이 넓은 수거함 일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청소기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한 시설원예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시설원예는 유리온실이나 비닐온실을 이용하여 채소, 꽃, 과수 등을 재배하는 원예방식이며, 이와 같은 시설원예는 계절에 관계없이 경작식물에 최적의 생장조건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은 주지된 것과 같다.
이러한 시설원예는 여러 구간의 경작구간을 형성하고, 이들 경작구간의 사이에 작업자가 각각의 경작구간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경작식물이 일정기간 성장하거나 수확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다량의 잎이나 자잘한 나뭇가지 등(이하, 수확 잔여물)이 낙하하여 전술된 통로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쌓여진 수확 잔여물은 수확작업의 마무리 단계로 청소가 실시되어 퇴비 등으로 제조되도록 수집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327호(등록일자 2016.03.04. 이하 선발명)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시설원예를 실시할 때 경작구간 사이에 형성된 통로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수확 부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도로서, 이와 같은 선발명의 진공청소기는「시설원예를 위한 온실 내부에서 경작구간의 고랑과 고랑의 사이에 설치된 보일러 배관을 레일(10)로 하여, 상기 레일(10) 상에 이동되기 위해 하부에 주행장치부(21)가 설치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잎을 브러쉬로 쓸어 모으며, 쓸어 모아진 잎을 흡입노즐을 통해 흡입한 후, 흡입한 잎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청소장치부(30)와; 상기 본체(20) 상에 설치되며, 본체(20)의 주행장치부(21)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청소장치부(30)가 설치된 본체(20)를 레일(10)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주행동력부(40)와; 상기 본체(20)의 후측에 설치되고, 청소장치부(30)에 의해 배출되는 잎을 수거하기 하기 위한 수거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레일(10) 상에서 이동되기 위해 하부에 주행장치부(21)가 설치된 수거함부(50);를 포함하여」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장치부(30)를 구성하는 브러시(31)가 바(bar) 형태의 연결대 끝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가 본체(20)의 선단에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브러시(31)를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연결대의 힌지회전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31)는 상당기간 사용될 경우, 지면과 접촉되는 끝단부가 마모되는데 연결대의 힌지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로 인해 최초 대략 정사다리 형태(측면상 형태)에서 지면과 접촉압력이 높은 일측으로 편마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편마모 현상이 가중될 경우, 브러시(31)는 브러시(3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지면에 접촉되는 하단부가 동축회전 상태에서 어긋나게 되어 브러시(31)가 정상적인 회전을 하지 못하고 편심회전되기 때문에 브러시(31)가 들썩거리며 회전되거나, 편마모에 의해 발생된 긴쪽의 브러시(31)가 일측으로 몰려 지면의 수확 잔여물을 정상적으로 쓸어 모으지 못하여 브러시(31)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선발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측으로 지면의 분진이 흡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터를 채용하고 있지만, 상기 필터는 모터로 분진이 흡입되어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우려에 의해 상당히 조밀한 밀집도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당히 조밀한 밀집도의 필터는 모터의 흡입력을 저해하기 때문에 청소기를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청소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터의 밀집도를 낮춰줄 것을 요구하지만, 이와 같이 낮은 밀집도의 필터를 채용할 경우 모터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선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장치부(30)와 주행동력부(40)가 주로 한 몸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거함부(50)는 상당히 가볍게 되어 청소기가 레일(10)을 주행할 때, 청소장치부(30)와 주행동력부(40)의 무거운 하중과 수거함부(50)의 가벼운 하중의 하중편차로 인해 수거함부(50)가 들썩거리며 주행하여 주행이 불안정하고,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경작식물의 수확 후 바닥으로 낙하된 수확 잔여물을 쓸어 모으는 브러시가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브러시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브러시에 의해 쓸려져 모아지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동이 사이클론 방식으로 구현되어 진공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동을 위한 청소구동부가 비교적 공간이 넓은 수거함 일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청소기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한 시설원예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설원예를 위한 온실 내부에서 보일러 배관을 레일(110)로 하여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부(121)가 설치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수확 잔여물을 쓸어 모아 흡입하는 청소장치부(130)와, 상기 본체(12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청소장치부(130)에 의해 흡입된 수확 잔여물을 수거하는 수거함부(150)로 이루어진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장치부(130)는,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잎을 쓸어 모으는 브러쉬(131); 상기 브러쉬(131)을 회전시키는 모터(133); 쓸어 모아진 잎을 흡입하여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노즐(132); 상기 흡입노즐(132)와 연결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34); 상기 흡입노즐(132)을 통해 흡입된 잎을 수거함부(150)로 배출하는 배출관(135);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131)는 브러시 승강장치(170)에 의해 지지되어 브러시(131)의 회전축이 수직을 유지하여 지면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는 모터(133)를 탑재하는 모터브라켓(171)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 상부에는 모터(133)가 탑재되며, 하부에는 브러시(131)가 모터(133)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은 흡입팬(134)에 4절링크(172)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4절링크(172)는, 모터브라켓(171) 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제1링크(172a)와, 흡입팬(134) 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72b)와,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3링크(172c)와, 상기 제3링크(172c)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4링크(172d)와, 상기 모터브라켓(171)이 청소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복귀수단(172e)을 포함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브러시의 수직 승강에 의해 브러시의 편마모가 해소되어 브러시를 보다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브러시의 사용수명이 완료될 때까지 항상 균일한 청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클론 방식의 흡입구동에 의해 모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동력을 향상시켜 보다 우수한 집진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상당한 하중의 청소구동부를 수거함부 측에 설치함에 따라 주행구동부와 수거함부의 하중 편차를 최소화하여 청소구동과 주행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러시 승강치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브러시 승강치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본체(120), 청소장치부(130), 주행동력부(140), 수거함부(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장치부(130)와 주행동력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60)를 더 갖추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시설원예를 위한 유리 또는 비닐 온실 내에서 경작지의 통로에 "U" 형태로 설치된 보일러 배관을 레일(110)로 이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후술될 '레일간의 간격' 표현은 경작지 통로에 "U" 형태로 설치된 평행한 배관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120)은 레일(110) 상에 이동되기 위해 하부에 주행장치부(121)가 설치되어 레일(110) 상에 얹혀진 주행대차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20)는 그 상부에 청소장치부(130), 주행동력부(140), 수거함부(15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청소장치부(130)는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잎을 브러쉬(131)로 쓸어 모으고, 쓸어 모아진 잎을 흡입노즐(132)을 통해 흡입한 후, 흡입한 잎을 후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청소장치부(130)는 기출원발명의 구성에서와 모터(133)에 의해 회전되는 양측의 브러쉬(131)에 의해 잎을 쓸고, 흡입팬(134)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입노즐(132)을 통해 브러쉬(131)에 의해 쓸려진 잎을 흡입하여 배출관(135)을 통해 수거함부(150)로 배출하도록 한 구성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131)는 브러시 승강장치(170)에 의해 지지되고, 브러시(131)의 회전축이 수직을 유지하여 지면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작동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러시 승강치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는 모터(133)를 탑재하는 모터브라켓(171)을 형성한다. 상기 모터브라켓(171) 상부에는 모터(133)가 탑재되고, 하부에는 브러시(131)가 모터(133) 회전축과 결합된다.
상기 모터브라켓(171)은 흡입팬(134)에 4절링크(172)로 연결된다.
4절링크(172)의 구성은, 모터브라켓(171) 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제1링크(172a)와, 흡입팬(134) 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72b)와,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3링크(172c)와, 상기 제3링크(172c)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4링크(172d)와, 상기 모터브라켓(171)이 청소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복귀수단(172e)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링크(172c) 또는 제4링크(172d) 중 어느 하나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턴버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귀수단(172e)은 제2링크(172b)에 결합되는 제3, 제4링크(172c, 172d)의 힌지축에 결합하는 토션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172b)에는 제3, 제4링크(172c, 172d)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72f)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172f)이 설치 위치에 따라서 제3, 제4링크(172c, 172d)의 상향 회전각을 정할 수 있게 되고, 이는 평상시 브러시(131)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승강된 상태로 유지시켜 진공청소기의 이동시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172e)은 평상시 브러시(131)를 지면으로부터 승강된 상태가 되도록 작용하거나, 이와 반대로 브러시(131)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한편, 브러시 승강장치(170)의 후방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탑승부(18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탑승부(180)는 작업자가 탑승할 때 발판(181)을 펼쳐졌다가 탑승하지 않을 때는 발판(181)을 접어서 보관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181)은 연결대(182)를 이용해서 흡입팬(134), 흡입노즐(132), 브러시 승강장치(170)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브러시 승강장치(170)와 작업자 탑승부(180)가 연계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브라켓(171)측과 발판(181)측에 각각 연결대(182)의 양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발판(181)을 펼쳤을 때, 발판(181)이 꺽이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발판스토퍼(18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작업자가 발판(181) 위에 탑승하게 되면,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브러시 승강장치(170)이 하강되고, 브러시(131)이 지면과 수직으로 맞닿아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주행동력부(140)는 본체(120) 상에 설치되며, 본체(120)의 주행장치부(121)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120)가 레일(110)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주행동력부(140)는 엔진 또는 모터로 된 동력발생유닛(141)과, 동력발생유닛(141)과 본체(120)의 주행장치부(121)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스프로킷, 기어박스 등의 동력전달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수거함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거함부(150)는 본체(120)의 후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거함부(150)는 청소장치부(130)에 의해 배출되는 잎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151)를 형성한다.
상기 저장탱크(151)는 밀폐구조를 갖는 공간을 제공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51)의 상부 전방(1청소장치부 방향)에 배출관(135)과 연결되는 탱크유입부(152)를 형성하고, 저장탱크(151)의 상부 후방에 배기부(153)를 형성하되, 상기 배기부(153)에는 진공펌프(154)를 형성하여 저장탱크(15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펌프(154)는 저장탱크(151)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듦으로써,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이 가능해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탱크유입부(152)로 유입되는 수거물 중에는 식물의 줄기나 뿌리, 자갈돌, 나뭇가지 등 무거운 입자와 잎사귀나 덤불처럼 비교적 가벼운 입자, 먼지나 흙과 같은 미세입자가 혼재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수거물은 탱크유입부(152)에서 배기부(153)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거운 순서대로 저장탱크(151)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거물이 탱크유입부(152)에서 배기부(153)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자중에 의해서 저장탱크(151)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고 일부 미세먼지만이 배기부(153)을 통해 배기된다.
이때, 상기 배기부(153)와 진공펌프(154) 사이에는 복수의 먼지필터(15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51)에 수거된 수거물은 저장탱크(151)의 후방에 말련된 개폐도어(157)를 개방시켜 한번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폐도어(157)가 개방된 저장탱크(151)의 후방을 통해 수거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
개폐도어(157)를 저장탱크(151) 후방에 배치하게 되면, 작업자가 저장탱크(151)에 탑승하지 않고도 지상에서 편리하게 수거물을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수거함부(150) 하부에는 상기 레일(110) 상에서 이동되기 위해 주행장치부(1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청소장치부(130)와 주행동력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160)는 기본적으로 전술된 흡입팬(134)과 동력발생유닛(14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통상의 제어회로 구성을 갖추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특화된 컨트롤러(160)의 기능은 사용자가 경작식물의 낙하된 잎의 청소용량에 따라 청소시간을 설정하면, 최적화되어 설정된 청소장치부(130)의 흡입압력과 주행동력부(140)의 주행속도를 자동 설정하여 잎의 청소 및 수거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레일 120: 본체
121: 주행장치부 130: 청소장치부
131: 브러시 132: 흡입노즐
133: 모터 134: 흡입팬
135: 배출관
140: 주행동력부
150: 수거함부 151: 저장탱크
152: 탱크유입부 153: 배기부
154: 진공펌프 156: 먼지필터
157: 개폐도어
160: 컨트롤러
170: 브러시 승강장치 171: 모터브라켓
172: 4절링크 172a: 제1링크
172b: 제2링크 172c: 제3링크
172d: 제4링크 172e: 복귀수단
172f: 스토퍼
180: 작업자 탑승부 181: 발판
182: 연결대 183: 발판스토퍼

Claims (8)

  1. 시설원예를 위한 온실 내부에서 보일러 배관을 레일(110)로 하여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부(121)가 설치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수확 잔여물을 쓸어 모아 흡입하는 청소장치부(130)와, 상기 본체(12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청소장치부(130)에 의해 흡입된 수확 잔여물을 수거하는 수거함부(150)로 이루어진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청소장치부(130)는,
    본체(120)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된 경작식물의 잎을 쓸어 모으는 브러쉬(131); 상기 브러쉬(131)을 회전시키는 모터(133); 쓸어 모아진 잎을 흡입하여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흡입노즐(132); 상기 흡입노즐(132)와 연결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34); 상기 흡입노즐(132)을 통해 흡입된 잎을 수거함부(150)로 배출하는 배출관(135);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131)는 브러시 승강장치(170)에 의해 지지되어 브러시(131)의 회전축이 수직을 유지하여 지면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는 모터(133)를 탑재하는 모터브라켓(171)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 상부에는 모터(133)가 탑재되며, 하부에는 브러시(131)가 모터(133)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브라켓(171)은 흡입팬(134)에 4절링크(172)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4절링크(172)는, 모터브라켓(171) 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제1링크(172a)와, 흡입팬(134) 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72b)와,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3링크(172c)와, 상기 제3링크(172c)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172a)와 제2링크(172b) 사이를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4링크(172d)와, 상기 모터브라켓(171)이 청소 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복귀수단(172e)을 포함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172c) 또는 제4링크(172d) 중 어느 하나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턴버클로 형성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172e)은 제2링크(172b)에 결합되는 제3, 제4링크(172c, 172d)의 힌지축에 결합하는 토션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의 후방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탑승부(180)를 더 형성하되, 상기 작업자 탑승부(180)는 작업자가 탑승할 때 발판(181)을 펼쳐졌다가 탑승하지 않을 때는 발판(181)을 접어서 보관하는 구조로서, 발판(181)은 연결대(182)를 이용해서 흡입팬(134), 흡입노즐(132), 브러시 승강장치(170) 중 어느 한 곳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승강장치(170)와 작업자 탑승부(180)가 연계되도록 하되, 모터브라켓(171)측과 발판(181)측에 각각 연결대(182)의 양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발판(181)을 펼쳤을 때, 발판(181)이 꺽이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발판스토퍼(183)를 더 형성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부(150)는 본체(120)의 후측에 설치되고, 청소장치부(130)에 의해 배출되는 잎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151)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탱크(151)는 밀폐구조를 갖는 공간을 제공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저장탱크(151)의 상부 전방(1청소장치부 방향)에 배출관(135)과 연결되는 탱크유입부(152)를 형성하며, 저장탱크(151)의 상부 후방에 배기부(153)를 형성하되, 상기 배기부(153)에는 진공펌프(154)를 형성하여 저장탱크(15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여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153)와 진공펌프(154) 사이에는 복수의 먼지필터(156)를 형성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51)에 수거된 수거물은 저장탱크(151)의 후방에 마련된 개폐도어(157)를 개방시켜 한번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KR1020210075902A 2021-06-11 2021-06-11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KR10262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02A KR102627727B1 (ko) 2021-06-11 2021-06-11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02A KR102627727B1 (ko) 2021-06-11 2021-06-11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66A true KR20220166966A (ko) 2022-12-20
KR102627727B1 KR102627727B1 (ko) 2024-01-19

Family

ID=8453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02A KR102627727B1 (ko) 2021-06-11 2021-06-11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7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460A (ja) * 1994-09-28 1996-04-09 East Japan Railway Co 清掃装置
KR200340722Y1 (ko) * 2003-09-06 2004-02-05 임성황 발로 작동시키는 지지대 달린 청소기
KR20050104999A (ko) * 2004-04-30 2005-11-03 정석동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시 동력장치
JP2010240477A (ja) * 2010-08-02 2010-10-28 Toshiba Corp 吸込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KR20100136882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장치
KR20130073176A (ko) * 2011-12-23 2013-07-03 한국철도공사 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0150359397A1 (en) * 2014-06-11 2015-12-17 Hako Gmbh Floor cleaning machine
KR101602327B1 (ko) 2015-10-30 2016-03-10 김성호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460A (ja) * 1994-09-28 1996-04-09 East Japan Railway Co 清掃装置
KR200340722Y1 (ko) * 2003-09-06 2004-02-05 임성황 발로 작동시키는 지지대 달린 청소기
KR20050104999A (ko) * 2004-04-30 2005-11-03 정석동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시 동력장치
KR20100136882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장치
JP2010240477A (ja) * 2010-08-02 2010-10-28 Toshiba Corp 吸込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KR20130073176A (ko) * 2011-12-23 2013-07-03 한국철도공사 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0150359397A1 (en) * 2014-06-11 2015-12-17 Hako Gmbh Floor cleaning machine
KR101602327B1 (ko) 2015-10-30 2016-03-10 김성호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727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06739U (zh) 打瓜联合收获机
US3705483A (en) Multi-row, multi-crop harvester
KR101602327B1 (ko)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US5375399A (en) Lawn thatching device and process for removal of thatch
KR20220061396A (ko) 자주식 밭작물 수집형 수확기
CN108142106A (zh) 荸荠采收装置及其采收方法
WO2017049131A1 (en) Harvester and components therefor, harvesting methods, collectors, and collection methods
CN111226605A (zh) 一种红枣集条装置及红枣收获机
KR102627727B1 (ko) 시설원예용 레일방식 진공청소기
CN212184231U (zh) 自走式捡拾机
US3095680A (en) Cane stalk gathering, topping, detrashing and severing means
US7163067B2 (en) Ground maintenance apparatus
CN113287411A (zh) 一种园林绿化用除草装置及其使用方法
US3616630A (en) Machine for harvesting fruit on low plants
CN215836018U (zh) 一种落地棉捡拾机
US3100368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cotton from the ground
US20050229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ebris from a surface
US20020107057A1 (en) Harvester for small fallen fruits
KR101029474B1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US1173485A (en) Lawn mowing and sweeping machine, &c.
CN216087680U (zh) 一种园林管理用杂草切碎装置
CN111802062A (zh) 一种市政园林工程用除草装置及清理结构
CN218587651U (zh) 一种大葱联合收获机
CN214811602U (zh) 一种园林垃圾枝干叶破碎装置
US4265318A (en) Chunk pic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