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751A - X선 이미징 배열체 - Google Patents

X선 이미징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751A
KR20220165751A KR1020227038539A KR20227038539A KR20220165751A KR 20220165751 A KR20220165751 A KR 20220165751A KR 1020227038539 A KR1020227038539 A KR 1020227038539A KR 20227038539 A KR20227038539 A KR 20227038539A KR 20220165751 A KR20220165751 A KR 20220165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visible light
arrangement
ray sour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아포 키토넨
토미 휴오모
하리 카르피
Original Assignee
플란메카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205373A external-priority patent/FI20205373A1/en
Application filed by 플란메카 오이 filed Critical 플란메카 오이
Publication of KR2022016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42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7Motor-assisted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61B6/4085Cone-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7Tiltable gant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8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attached to robotic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76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 head, e.g. neuroimaging or cran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7Alignment of source unit to detect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2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2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 A61G13/04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tiltable around transverse or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5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radi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치과 또는 의료 X선 이미징의 정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배열체의 구조들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배열체는 X선 검출기(15), X선 소스(14), 광 필드 표시기(141), 및 X선 소스(14) 구성체 및 광 필드 표시기(141) 구성체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12)를 포함한다. 지지 구성체(12)는, 주어진 시간에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때, X선 검출기(15)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주어진 X선 조사 필드 패턴 및 가시 광 필드 패턴을 지향시키도록, X선 소스(14) 구성체 및 광 필드 표시기(141) 구성체를 상기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X선 이미징 배열체
본 발명은 치과 또는 의료 방사선 촬영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열체(arrangement)의 구조들은 치과 또는 의료 X선 이미징의 정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용가능하다.
의료 목적들을 위한 해부구조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전리 방사선에 생체를 노출시킬 때, 이미징은 이미징의 목적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품질의 이미지를 여전히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한 낮은 방사선 선량으로 구현되어야만 한다.
방사선 선량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하나의 파라미터는 노출되고 있는 해부구조의 체적이다. 해부구조의 필수적이지 않은 부분들을 조사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 원하는 해부구조와 이미징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상대적 포지셔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포지셔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다양한 포지셔닝 광원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광원들은, 예컨대, 해부구조 상에 레이저 라인들 또는 광 필드를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사선 촬영의 정황에서, 광 필드 표시기라는 용어는 후속적인 노출 동안 조사 필드의 형상 및 치수들을 "예측"하도록 구성된 X선 이미징 시스템에 통합된 장비를 나타낼 때 종종 사용된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이미징 노출 동안에도 X선 소스와 검출기 사이에 유지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일부 다른 시스템들에서, X선 소스와 검출기 사이에 유지될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X선 노출 전에 X선 빔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컴퓨터 단층 촬영(CT)은 이미징될 체적이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조사되고, 그렇게 취득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원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재구성될 수 있는 X선 이미징의 형태이다.
전통적인 CT 장치는 대형이고 대규모이고, 그들은 전형적으로 플로어 상에 장착된다. 환자는 전형적으로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검사 플랫폼 상에서 장치의 검사 개구 내에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다.
일 예로서 이미징 수단의 더 느린 회전 속도들이 사용되는 콘 빔 컴퓨터 단층 촬영(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기술의 개발 이후, 더 전통적인 CT 장치의 중량보다 더 가벼운 중량의 장치가 개발되었다. CBCT 장치 중에서, 예컨대 플로어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이동식으로 구성된 것들이 또한 존재한다.
최근에 설계된 CT 장치의 일부는 2D 및 3D 방사선 촬영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들과 같은 하나 초과의 이미징 모달리티를 지원하는 다목적 장치이다. 그러나, 더 많은 기능성들을 가질 때, 예컨대,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새로운 종류의 이동의 자유가 배열된 것의 결과로서, 장치의 복잡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러면, 장치의 중량이 증가될 수 있는 한편, 일부 수정들은 노출을 위해 해부구조가 포지셔닝되게 하는 것과 관련된 새로운 과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열체의 X선 소스와 이미징 노출을 위한 해부구조의 상호 포지셔닝과 관련된 새로운 피처들을 갖는 의료 또는 치과 X선 이미징 배열체,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CBCT 장치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피처들은 청구항 제1항에서 정의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한 피처들은 본 개시내용의 배열체가 광 필드 표시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X선 빔 생성 시스템이 이미징 노출 동안 X선 조사 빔을 방출하는 위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부터 가시 광 필드 패턴을 투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 중 일부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피처들을 포함하도록 적용가능한 이미징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예로서 도시하는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X선 소스 및 X선 검출기와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된 동력화된 가이딩 구성체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일부 구조적 세부사항들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3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에 대한 지지 구성체의 하우징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딩 구성체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노출 동안 X선 빔이 방출되도록 구성된 위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부터 X선 검출기를 향해 가시 광 필드 패턴을 투영하는 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5는 X선 소스 및 X선 검출기가 X선 소스 및 X선 검출기에 대한 지지 구성체의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고 그 외부로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배향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을 갖도록 배열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의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수평 포지션의 장치의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제시이고, 그의 특정 구성요소들은 그들의 베이스 포지션들 이외의 위치들로 구동된다.
도 8a는 본 개시내용의 장치에서 사용하는 데 적합한 환자 지지부의 일부 세부사항들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8b는 환자 지지부의 단면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9는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피처들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구성요소들,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는 편의성 및 용이성에 기초한 개략적인 표현들일 뿐이고, 그에 따라, 그들의 디바이스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 및 치수들을 표시하고/하거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정의 또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성을 위해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도면들에서 예시하기 위해 선택된 실시예들의 특정 구조체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정의 또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들 및 다음의 아래의 설명에서, 유사한 번호 지정들은 유사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정황 상 명확히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들("a", "an", 및 "the")은 복수의 지시대상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약,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들은 그러한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요소 또는 수의 목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적 또는 수치적 수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언급된 관계로부터 25% 또는 10% 또는 0%와 같은 변동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를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실시예들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 및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를 포함한다(comprise(s))", "~를 구비한다(include(s))", "~를 갖는(having)", "~를 갖는다(has)", "~를 할 수 있다(can)", "~를 함유한다(contain(s))", 및 그들의 변형들은 명명된 요소들/단계들의 존재를 요구하고 다른 요소들/단계들의 존재를 허용하는 개방형 전이 어구들, 용어들, 또는 단어들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을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이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 또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지지하는(도 1에서는 그와 같이 보이지 않음) 지지 구성체(12)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함께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로 지칭되거나 또는 그의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는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는 서로 본질적으로 대향하게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그들의 상호 포지션은 또한 조정가능하게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도 1의 장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일 뿐이고 그의 정황에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지 예로서, X선 소스 및 X선 검출기를 지지하기 위한 "C 형상 암"을 포함하는 것들과 같은 또한 다른 종류의 프레임 및 지지 구성체들이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의료 및 치과 X선 이미징 장치는 대개 환자 지지부를 포함하지만, 도 1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특정 종류의 환자 지지부(18) 구조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이러한 환자 지지부(18)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러한 환자 지지부(18)는 임의적이지만, 도 1의 특정 실시예에서, 환자 지지부(18)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예들은 더 아래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른 도면들 중 일부를 논의할 때 제시되지만, 도 1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21)을 포함하는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를 도시한다. 하우징(121)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가 장착되는 링 형상 갠트리(gantry)(122)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1)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갠트리 하우징(121)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 자체를 커버하는 것이 아니라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가 갠트리(122)에 장착되게 하는 구성체를 커버할 수 있다.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는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가 장착되는 링 형상 갠트리(122)가 회전가능하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서, 이 회전 축(13)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 하우징(121), 및 링 형상 갠트리(122)의 중심 축과 일치하거나 또는 그 중심 축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직접 보이지 않는 일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장치는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구동하도록 배열된 구동 메커니즘(16)을 포함한다. 회전 축(13)은 물리적 축 또는 도 1의 경우에서와 같은 가상 회전 축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의 회전 중심 또는 회전 축(13)은 곡선 경로를 따라 구동되고 그에 따라 가상 회전 축(13)의 위치를 정의할 때 갠트리(122)의 중심 축과 일치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회전 축(13)은 순간적인(임의로, 가상의) 회전 축이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 하우징(121), 및/또는 링 형상 갠트리(122)의 중심 축에 대한 순간적인 회전 축의 위치는 변경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회전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종래의 메커니즘에 의해 갠트리(12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벨트가 링 형상 갠트리(122)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구성은 심지어 360도를 초과하는 각도에 걸쳐 갠트리(122)를 회전시키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앞뒤로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구동 메커니즘(17)이 장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 메커니즘(17)은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지지 구성체(12)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 구성체(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7)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 자체에 배열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지지 구성체(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7)의 구성의 세부사항들과 상관없이,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 구성체(12)를 구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앞뒤로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7)의 세부사항들은 변화될 수 있지만, 그러한 메커니즘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가 공동 계류 중인 특허 출원 FI 20190054에서 개시되고, 이 특허 출원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도 2a 내지 도 2c로 넘어가면, 그들은, 예로서, 본 발명을 구현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의 일부 구조적 세부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의 하우징(121)의 일부가 제거되고, 이는 이미징 조립체(14, 15)의 적어도 X선 소스(14)와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가이딩 구성체(50)를 보이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딩 구성체(50)는 동력화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그들의 지지 구성체(12) 또는 갠트리(122)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2개의 가이딩 구성체(50)를 도시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14)에 대해서만 가이딩 구성체(50)가 배열된다.
지지 구성체(12) 또는 갠트리(122)에 대한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의 측방향 이동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가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열된 회전 축(13)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는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를 지지하는 지지 구성체(12)에 배열된 링 형상 갠트리(122)에 장착된다.
가이딩 구성체(50)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베이스 포지션으로부터 반대 방향들에 위치된 제1 극단 포지션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가이딩 구성체들(50)이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둘 모두에 대해 배열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가이딩 구성체(50)를 상이한 세부사항들로 도시하지만, 도면들의 명확성을 위해 그리고 심지어 구성요소들 모두가 도면들 모두에서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 2a 내지 도 2c 각각에서 모든 각각의 구성요소가 관련 참조 번호와 함께 제시되지는 않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로서, 가이딩 구성체(50)는 적어도 X선 소스(14)에 장착되어 X선 소스(14)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리지(51)(도 2c에서 보임)를 포함한다. 캐리지(51)의 측방향 이동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베이스 포지션으로부터 반대 방향들에 위치된 제1 극단 포지션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는 지지 구성체(12) 또는 갠트리(122) 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 및 캐리지(51) 측에 있는 정합 구성체(52')를 포함한다(다시, 도 2c에서 보임).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는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된 동력화된 구성체(53)를 포함할 수 있고, 동력화된 구성체(53)는 상기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적어도 X선 소스(14)의 측방향 이동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동력화된 구성체(53)는 구동 스크루(54)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스크루(54)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스크루(54)는 모터(532)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531)를 통해 회전되도록 배열되지만, 구동 스크루(54)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이딩 구성체(50)는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를 포함할 수 있고,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의 포지션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캐리지(51)의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캐리지(51)의 포지션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와 장치의 제어 시스템 사이에 신호 경로가 배열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신호 경로는 포지션 센서 배열체(55)와 장치의 제어 시스템 사이의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절대 포지션 센서 배열체(55)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절대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자기 구성요소(56)를 포함할 수 있고, 자기 구성요소(56)는 캐리지(51)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 및 구동 스크루(5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드(57)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은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게 이동되도록 배열되고, 가이딩 구성체(50)의 동력화된 구성체(53)는 i)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그들의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포지션들, 및 ii) 제1 구동 메커니즘(16)이 가상 또는 물리적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포지션들 모두와 관련하여 자립형으로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는 링 형상 갠트리 하우징(121)의 하나의 동일한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링 형상 갠트리 하우징(121)의 그 특정 면은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개구(59)가 있는 것 외에는 폐쇄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59)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에 의해 가이딩되는 바와 같은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의 측방향 이동 범위를 허용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3은 갠트리 하우징(121) 내의 개구(59)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장착 브래킷(58)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착 브래킷(58)은 하나의 측에서 캐리지(51)에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측에서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이하게 치수화된 장착 브래킷들(58)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세부사항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이딩 구성체와 관련하여, 구동부(enable)들의 이동이 반드시 측방향일 필요는 없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2a 내지 도 2c와 비교하여 광 방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 도시된다. 또는, 위의 발명에 대한 배경의 개시내용을 참조하면, 가시 광 필드 패턴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광 필드 표시기(141)가 도시된다.
도 4a 내지 도 4c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X선 소스(14)의 시준기 구성체(142)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이러한 3개의 구성요소는 고정된 조립체로서 함께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그 조립체의 이동은, 예컨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종류의 가이딩 구성체(5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광 방출 구성체(141')는 또한, 대안으로서, X선 소스(14)(그의 하우징)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다른 곳으로는, X선 소스(14)에 부착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된 시준기 구성체(142)의 프레임 구조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에서,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형상 및 크기에 대해 상이한 광 필드 패턴들을 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X선 빔 시준기 구성체(142)가 X선 빔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상들 및/또는 크기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X선 소스(14), 시준기 구성체(142),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체는, 이미징 노출 전에, 도 4a에 따른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도 4b에서 X선 소스가 위치된 위치, 즉, 이미징 노출 동안 X선 빔이 방출될 포지션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X선 소스(14)를 운반하는 지지 구성체(12)는 X선 소스(14)와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어진 시간에 상기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때, 그들은 X선 검출기(15)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주어진 필드 패턴을 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들은, 예컨대, 먼저 도 4a에 따른 포지션으로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구동하고, 배열체의 이미징 영역에 이미징될 해부구조를 포지셔닝하고, 그 후, 적용될 주어진 이미징 모드에 따라 그리고 그 특정 개별 해부구조에 따라 광 필드 패턴을 조정하여 해부구조 상에 투사하기 위한 절차를 가능하게 한다.
절차는 가시 광 및 X선 조사 빔들의 치수들이 X선 검출기(15)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다시 말하면, 가시 광 패턴 및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치수들이 X선 검출기(15)로부터 주어진 거리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하게 하기 위해, X선 검출기(15)를 향해 투사되는 광 필드 패턴 및 X선 빔의 시준의 치수들 사이의 상관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배열체의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시 광 패턴의 크기 및 형상의 정보가 X선 빔 시준기 제어를 위해 제공되고, 시준기 구성체(142)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은 개구를 한정하기 위해 이동되고, 이에 의해, 가시 광 패턴이 해부구조 상에 투영되었던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로 X선 소스(14)가 이동되었을 때, 해부구조에 충돌하는 X선 빔 패턴의 형상 및 크기가 광 패턴의 형상 및 크기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필드 패턴을 조정하는 것은 시준기 구성체(142)의 제어들을 통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시준기 구성체(142)가 제한하는 개구가 조정될 때 광 필드 패턴의 형상 및 크기가 배열체의 제어 시스템에 기록된 상관 정보에 기초하는 것과 같이 그에 따라 조정된다. 즉, 그러한 실시예에서, 광 필드 패턴을 조정하기 위한 별개의 입력 수단은 그의 제어가 시준기 구성체(142)의 제어들을 통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위의 실시예들 둘 모두에서,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적용될 주어진 이미징 모드의 정황에서와 같은 주어진 상황들 하에서 어느 종류의 X선 빔 및 광 필드 패턴이 서로 대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징 모드는, 예컨대, 특정 방향으로부터 특정 해부구조를 이미징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해부구조의 표면이 X선 검출기(15)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것이고 ― 그에 따라 또한, 지지 구성체(12)에서 그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될 때의 X선 소스(14) 및 광 방출 구성요소(141)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징 모드가 해부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즉, X선 빔에 의해 해부구조를 스캔하는 것을 포함할 때, 광 필드 패턴은, X선 빔의 초기 포지션에서의 X선 빔 패턴의 위치를 나타내는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스캔 동안 X선 빔이 이동할 전체 영역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층 촬영 그리고 특히 CBCT 이미징 모드의 경우, 가시 광 방출 구성요소(141')에 의해 표시되는 해부구조의 영역은, X선 빔의 주어진 시준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 주어진 CT 이미징 모드가 커버할 해부구조의 체적과 관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종류의 배열체를 사용할 때, 예컨대, 정황에 따라, 정밀하게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광 필드 패턴 및 X선 빔 패턴을 갖는 것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발산하는 가시 광 및 X선 빔들의 초점 또는 방출 포인트는 X선 검출기(15)로부터 정확히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필요는 없고, 그들의 발산 각도들은 정확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차이들이 있을 수 있는 것과 관련하여, 그들은 패턴들이 본질적으로 매칭되어야 하는 위치(즉, 해부구조의 표면)까지의 거리 및 차이들을 알고 있을 때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상관 정보는 배열체의 제어 시스템에 기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패턴 치수들은 주어진 상황들 하에서 서로 본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구성요소들 X선 소스(14), X선 빔 시준기 구성체(142),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통합된 조립체로서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실시예는 생성되는 광 필드 패턴의 크기 및 형상의 정보를 X선 빔 시준기 구성체(142)에 제공하도록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또는 그 반대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대안적인 배열은 X선 소스(14) 및 광 필드 표시기(141)만을 고정된 조립체로서 실현하는 것이고, 그러면, 그 고정된 조립체는 시준기 구성체(142)에 대해 이동되도록 배열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시준기 구성체(142)는 가시 광 빔과 X선 빔 둘 모두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빔 크기들 및 형상들 또는 필드 패턴 크기들 및 형상들의 대응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특정 양태들의 관점에서, 3D 단층 촬영 이미징에 비해, 단일 2D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이미징 배열체를 사용하는 정황에서, 그들을 서로 근접하게 매칭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일 양태에 따르면, 지지 구성체(12)는 링 형상 갠트리 하우징(121)을 포함하고, 링 형상 갠트리 하우징(121)은 i)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구성체(50) 및 임의로 또한 ii) 가상 또는 물리적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구동 메커니즘(16)을 하우징하고, 반면에,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는 링 형상 갠트리 하우징(121) 외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는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에 대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하우징은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모든 포지션들에서 하우징이 장착 브래킷(58)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59)를 커버하도록 설계 및 치수화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나 초과의 가이딩 구성체(50)가 있는 경우, 그들은 유사하게 기능하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기능들을 갖는 동일한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가이딩 구성체들은 동일할 수 있는 한편, 임의로, 장착 브래킷들(58)은 X선 소스(14) 및 이미지 검출기(15)에 대해 특별히 적응되어 상이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지지 구성체(12)의 하우징(121)이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인케이싱하지 않지만, 주로 또는 단독으로, 예컨대,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가 장착되는 링 형상 갠트리(122), 및 회전 축(13)을 중심으로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구동하기 위해 장치에 배열된 구조체들에 대한 하우징으로서 기능할 때, 지지 구성체(12)는 더 가볍게 되고, 환자들 및 직원이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사이의 이미징 체적에 더 양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직원이 환자가 노출을 위해 포지셔닝될 하우징(121) 내부의 이미징 체적에 대해 명확한 가시선을 갖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그리고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측면도로서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 6으로 넘어가면, 그 실시예에서, 위에서 논의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으로 지칭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고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12)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틸트(tilt) 축을 중심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틸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절식 연결 구성체(22)가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틸트 축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이 연장되는 방향뿐만 아니라 제1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수직으로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축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틸트 축은 수평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측면 상에는 도 6에서 직접 보이지 않는 장착 구조체(23)가 관절식 연결 구성체(22)와 연관되도록 배열된다. 장착 구조체(23)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 근처에서,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을 연결 및 연결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24)이 배열된다. 특히, 잠금 메커니즘(24)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의 제2 단부 근처에 배열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의 제2 단부 근처에서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을 함께 연결하고 연결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잠금 메커니즘(24)이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을 연결하고 있지 않을 때,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는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한편, 프레임 부분들(11, 21) 사이의 관절식 연결부(22)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수평 틸트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터닝을 허용한다. 수직 시작 포지션의 경우,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이러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장착 구조체는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하강 및 상승을 허용한다.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틸팅 및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하강 및 상승뿐만 아니라 위에서 논의된 잠금 메커니즘(24)의 것을 허용하는 구성은 변화될 수 있지만, 그러한 것의 예들이 공동 계류 중인 특허 출원 FI 20190054에서 더 상세히 개시되고, 이 특허 출원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도 6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였고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가 표면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한 스테이지에서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의 장치는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의 제2 단부 근처까지 줄곧(all the way)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직접 보이지 않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27)이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과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된다.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기계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때, 구동 메커니즘(27)은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2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27)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을 따라 또는 그와 나란히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의 지지 구성체(12)를 구동하는 구동 메커니즘(17)과 유사한 구성체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장착 구조체(2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27)은 체인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도 7은, 예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치의 개략적이고 일반적인 제시이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치는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 6과 연관되어 논의된 바와 같은 구성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는 도 6의 것과 유사하지 않은 한편, 도 7은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그 구성요소들은 그들의 베이스 포지션 이외의 위치들로 구동된다.
즉, 예컨대,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사이의 체적에 대한 접근의 양태와 관련하여, 도 7은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들이 그들에 대해 배열된 이동들의 범위들 내의 다양한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을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이 환자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구성체 또는 다른 유사하게 기능하는 구성체가 또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대해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 자체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이동 메커니즘(50')을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예컨대, 환자가 이미징 영역에 진입한 후에 노출을 위해 적절히 포지셔닝하기 위한 한층 더 넓은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태에 따르면, 장치는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에 대해 X선 이미징 조립체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선형 이동 메커니즘(50')을 더 포함한다. 지지 구성체(12)의 선형 이동 범위는 제1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에 대한 베이스 포지션, 및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할 수 있다.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가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선형 이동 메커니즘(50')이 길이방향 연장 프레임 부분(11)에 대해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를 이동시키는 방향이 또한 그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에 대해 선형 이동 메커니즘(50')에 의해 제공되는 베이스 포지션과 관련하여,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들 중 어느 하나는 베이스 포지션일 수 있다. 적어도 X선 소스에 대한 가이딩 구성체(5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지지부(18)를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구성체(19, 20)는 환자 지지부(18)를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그로부터 더 멀어지게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환자 지지부 조정 메커니즘(19', 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환자 지지부 구동 메커니즘(19", 20")이 환자 지지부 조정 메커니즘(19', 20')과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환자 지지부 조정 메커니즘(19', 20')은 실질적으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에 환자 지지부 구동 메커니즘(19", 20")에 포함된 자신의 구동 메커니즘(19")과 함께 배열된 제1 조정 메커니즘(19'), 및 실질적으로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에 환자 지지부 구동 메커니즘(19", 20")에 포함된 자신의 구동 메커니즘(20")과 함께 배열된 제2 조정 메커니즘(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환자 지지부 조정 메커니즘들(19', 20')은 장치의 제어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되고, 제어 시스템은 환자 지지부 조정 메커니즘(19', 20')의 환자 지지부 구동 메커니즘(19", 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어 시스템은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환자 지지부(18)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때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및 제2 단부들에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과 환자 지지부(18) 사이의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1 단부에 자신의 구동 메커니즘(19")과 함께 배열된 제1 조정 메커니즘(19') 및 실질적으로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제2 단부에 자신의 구동 메커니즘(20")과 함께 배열된 제2 조정 메커니즘(20')을 포함하는 연결 구성체(19, 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세장형 프레임 부분(11)의 단부들과 환자 지지부(18) 사이의 거리는 상이하게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지지부(18)의 위에서 논의된 제1 방향을 고려하면, 환자 지지부(18)의 우세 부분에 대한 그의 단면은 환자를 환자 지지부(18)의 오목 표면과 맞닿게 하여 더 양호하게 지지하도록 만곡된다.
하나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지지부(18)의 그 단면의 에지들(181)에서, 단면의 형상은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으로 바뀐다.
하나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8b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지지부(18)의 위에서 논의된 단면의 에지들 근처에 그리고 그의 우세 부분의 오목 표면 반대편에 홀딩 구조체(182)가 배열된다. 홀딩 구조체(182)는, 예컨대, 환자에게 추가의 지지를 제공하여 이미징 노출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될 환자 지지부(18)의 오목 면 상에서 또는 위에서 연장되도록 설계된 스트랩을 수용하기 위한 세장형 핸들 또는 부착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그리고 위에서 이미 일반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환자 지지부(18)에 대해 배열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이동 자유도들은 환자를 포지셔닝할 때 또는 더 정확하게는 노출을 위한 해부구조를 포지셔닝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예로서,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환자 지지부(18) 상에 누워 있는 동안 환자의 어깨가 검사될 상황을 고려하면, 먼저, 환자가 환자 지지부(18) 상에 올라가는 데 가장 용이한 높이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환자 지지부(18)를 구동할 수 있다. 이어서, 환자가 환자 지지부(18) 상에 누워 있을 때, i) 환자 지지부(18)의 높이 포지션, ii)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12)의 수평 포지션, 및 iii)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제공된 측방향 이동 범위 내의 X선 소스(14)와 X선 검출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지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시야에 원하는 해부구조가 위치될 것이다. 이는, 명백하게, 이를 위해 배열된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이동 자유도들의 제한들 내에서 이루어진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체들은 다양한 환자 진입 및 포지셔닝 동작들을 장치에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들은 또한, 예컨대, 전통적인 종류의 CT 이미징 이외에 그리고 CT 이미징에 추가하여, X선 이미징 조립체의 회전은 없고 단지 선형 이동만이 배치될 수 있는 이미징 모드들을 또한 수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개별 2D 이미징 노출을 위해 해부구조를 포지셔닝하는 정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것들과 같은 동작 모드들은, 사전 노출 동작으로서,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본질적으로 X선 소스(14)의 베이스 포지션에 위치되게 이동되도록,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연결된 X선 소스(14)에 대한 가이딩 구성체(50)를 구동하는 것,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에 의해 생성되는 필드 패턴을 디폴트 형상 및 크기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폴트 형상 및 크기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이미징 모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이미징 모드는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그들의 베이스 포지션들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그러한 사전 노출 동작 후에,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 주어진 해부구조의 특성들에 따라, 광 필드 패턴 그리고 그에 따른 이미징 노출 동안 사용될 X선 빔 크기 및/또는 형상을 조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열체에는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 해부구조의 위치 및/또는 형상을 결정하도록 적응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 및 이어서 그 지식을 사용하여 해부구조 상의 투영된 가시 광 패턴 및/또는 X선 빔 시준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장비된다. 좌표계에서 표면까지의 거리 및 표면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뿐만 아니라 하나의 좌표계로부터 다른 좌표계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이 경우, 이미징 배열체(의 관련 구성요소들)의 기하형상, 및 표면 위치 및 형상이 결정되는 좌표계와 그의 상관을 알고 있는 경우)이 존재한다. 실시예들에서, 해부구조의 표면의 형상을 결정하는 대신에, 예컨대, 상기 동일한 위치로부터 해부구조의 표면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만이 결정될 수 있다.
해부구조와 이미징 조립체의 상호 포지셔닝 및 주어진 이미징 모드에 따라 그리고 심지어 이미징될 해부구조에 따라 X선 빔 크기 및 형상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된 사전 노출 동작들은 이미징 장치에 배열된 다양한 이미징 모드들의 정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X선 소스, 광 방출 구성체(141'), X선 검출기, 및/또는 환자 지지부의 상호 포지션들과 관련된 기하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어진 광 필드 패턴 및 그 주어진 광 필드 패턴이 투사된 위치에 대해, 제어 시스템은 주어진 이미징 모드의 정황에서 X선 소스의 주어진 위치에서 X선 빔이 방출될 때 X선 빔을 제한하기 위한 대응하는 시준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모드는, 예로서, 임의로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그들의 베이스 포지션들로부터 구동하기 전에,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본질적으로 X선 소스(14)의 베이스 포지션에 위치되게 이동되도록,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연결된 X선 소스(14)에 대한 가이딩 구성체(50)를 구동하는 것,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에 의해 생성되는 필드 광 패턴을 디폴트 형상 및 크기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사전 노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디폴트 형상 및 크기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되는 이미징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예로서, 선택된 이미징 모드는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를 그들의 베이스 포지션들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장치는, 그러한 사전 노출 동작 후에,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 주어진 개별 해부구조의 특성들에 따라, 광 필드 패턴 그리고 그에 따른 이미징 노출 동안 사용될 X선 빔 크기 및 형상을 조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어진 환자 진입 동작 또는 환자 진입 모드와 관련하여, 일 양태에 따르면, 이는 후속적인 이미징 노출 동안 또는 그 시작 시에 X선 소스가 포지셔닝될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포지셔닝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어서, 광 필드 표시기(141)는 X선 소스(14)가 방출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방출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X선 빔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광 빔을 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 필드 표시기(141)는 지지 구성체(1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X선 소스(14)와 동일한 가이딩 구성체(50)에, 예컨대, X선 소스(14)와 별개인 구성요소로서 장착될 수 있다. 이어서, X선 소스(12) 및 광 방출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는 가이딩 구성체(50)의 이동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딩 구성체(50)가 제공하는 이동 범위 내의 동일한 위치에 X선 소스(14) 및 광 방출 구성체(141')가 포지셔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새로운 배열체를 제공하고, 그에 의해, 실제 X선 이미징 노출이 발생하거나 또는 시작될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부터 이미징될 대상 상에 포지셔닝 광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도 9는 배열체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예를 블록도로서 도시한다. 도 9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무엇보다도, 이미징 모드에 따라 노출 동안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이미징 수단 또는 조립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X선 소스(14) 및 X선 검출기(1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들은 X선 소스(14) 및/또는 X선 검출기(15) 및/또는 장치 내의 다른 곳에 물리적으로 배열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의 가이딩 구성체(50)를 구동하는 것들뿐만 아니라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에 대한 지지 구성체(20)를 이동시키는 것들과 같은 장치의 다양한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경로가 또한, 필드 패턴들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하는 것, 및 지지 구성체(12)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구성요소들을 포지셔닝하는 것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9의 제어 시스템은 X선 이미징 조립체(14, 15)를 회전시키는 임의적인 피처들뿐만 아니라, 위에서 논의된 구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환자 진입 모드 피처를 추가로 도시한다.
위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은 장착 구조체(23)로의 신호 경로가 도 9에 추가로 도시되고, 장치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세장형 프레임 부분들(11, 21)을 연결 및 연결해제하기 위한 동력화된 잠금 메커니즘(24)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은 또한, 잠금 메커니즘(2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위에서 논의된 동작들 또는 그들의 일부를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구조들 및 기능성들은 환자의 원하는 체적의 포지셔닝 및 이미징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동작들에 대한 제어 신호들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입력 또는 검출된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서 트리거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의 메모리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패턴 형상들 및 치수들의 다양한 상관 정보, 및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관련 제어 프로토콜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진입 및/또는 이미징 모드와 관련된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위에서 논의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배열체는 치과 또는 의료 X선 이미징 배열체로서 설명될 수 있고, 그 치과 또는 의료 X선 이미징 배열체는 X선 검출기, X선 조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X선 소스 ― X선 소스는 X선 소스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시준기 구성체를 포함하고, 시준기 구성체는 X선 소스에 의해 생성된 X선 조사를 X선 검출기의 방향으로 조준되고 X선 조사 필드 패턴을 정의하는 빔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됨 ―, 가시 광 방출 구성체를 포함하고, X선 검출기의 방향으로 조준될 가시 광 필드 패턴을 투영하도록 구성된 광 필드 표시기, X선 소스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 및 이미징 모드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추가로, 지지 구성체는, 주어진 시간에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때, X선 검출기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주어진 필드 패턴을 지향시키도록, X선 소스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를 지지 구성체(12)에 대해 상기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피처들 중 일부에 추가하거나 또는 그 일부를 요약하기 위해, 실시예들은 X선 소스(14), 시준기 구성체(142),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고정된 조립체로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시준기 구성체(142)에 대해 고정된 유닛으로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광 필드 표시기(141)는, 가시 광 필드 패턴이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조명되는 영역이거나 또는 조합으로서 영역을 표시하는 광 필드들의 패턴을 포함하도록, 가시 광 필드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광 필드 표시기(141)는 상이한 크기들 및/또는 상이한 형상들의 가시 광 필드 패턴들을 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시준기 구성체(142)는 상이한 크기들 및/또는 상이한 형상들의 X선 조사 필드 패턴들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시스템은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서의 가시 광 필드 패턴 및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치수들과 관련된 상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광 필드 표시기(141) 및 시준기 구성체(142)는 상관 정보에 따라 그들의 각각의 필드 패턴들의 치수들 및/또는 형상을 조정하여 필드 패턴들이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상기 주어진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커버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관 정보는 주어진 이미징 모드와 관련된 상관 정보를 임의로 포함한다. 주어진 이미징 모드는 CBCT 이미징 모드일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가시 광 필드 패턴에 의해, 주어진 CBCT 이미징 모드와 관련되고 X선 빔의 주어진 시준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 커버될 체적과 관련된 영역을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배열체는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 해부구조의 위치 및/또는 형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어서, 제어 시스템은 그 지식을 사용하여 해부구조 상의 투영된 가시 광 패턴 및/또는 X선 빔 시준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어서, 위치 및/또는 형상은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주어진 거리를 정의한다.
제어 시스템은 또한, 광 필드 표시기(141)로부터 광 필드 표시기(141)가 투영하는 가시 광 패턴의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투영된 가시 광 패턴이 표시하는 영역의 크기 및 형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X선 조사 필드 패턴을 조정하기 위해 시준기 구성체(14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로 상기 수신된 정보를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시준기 구성체(142)로부터 시준기 구성체(142)가 제한하는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크기 및 형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가시 광 필드 패턴을 조정하기 위해 광 필드 표시기(141)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로 그 수신된 정보를 변환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배열체는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된 제1 가이딩 구성체(50)를 포함할 수 있고,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고정된 유닛으로서 함께 장착되고,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그 고정된 유닛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 이동의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한다.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된 유닛에 장착된 캐리지(51)를 포함할 수 있고, 캐리지(51)의 이동의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한다.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지지 구성체(12) 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 및 캐리지(51) 측에 있는 정합 구성체(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된 동력화된 구성체(53)를 포함할 수 있고, 동력화된 구성체(53)는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들을 포함하는 그 범위 내의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고정된 유닛의 이동을 제공한다.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또한, 그 이동의 범위 내의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고정된 유닛의 포지션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를 포함할 수 있고,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캐리지(51)의 이동의 범위 내의 캐리지(51)의 포지션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고정된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동력화된 구성체(53)는 구동 스크루(54)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스크루(54)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된다.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자기 구성요소(56)를 포함할 수 있고, 자기 구성요소(56)는 캐리지(51)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가이딩 구성체(50)의 상기 구동 스크루(5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드(57)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장착 브래킷(58)이 캐리지(51)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고정된 유닛에 고정되어, 고정된 유닛을 가이딩 구성체(50)에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신호 경로가 제1 가이딩 구성체(50)와 제어 시스템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신호 경로는 포지션 센서 배열체(55)와 제어 시스템 사이의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관 정보에 따라 시준기 구성체(142) 및 광 필드 표시기(141)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호 경로가 또한 시준기 구성체(142)와 제어 시스템 사이 및 광 필드 표시기(141)와 제어 시스템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X선 검출기(15)는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될 수 있다. 배열체는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12) 이외의 다른 곳에 장착된 추가의 X선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고,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지지 구성체(12)에 장착하는 것은 그들의 각각의 필드 패턴들을 X선 검출기들 둘 모두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12)는 링 형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형상 구조체는 링 형상 갠트리(122), 및 적어도 상기 링 형상 갠트리(122) 및 제1 가이딩 구성체(50)를 하우징하는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를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는 장착 브래킷(5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를 통해 적어도 X선 소스(14)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는 상기 가이딩 구성체(50)에 의해 가이딩되는 X선 소스(14)의 이동의 범위를 허용하도록 치수화된다.
이어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배열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부분(11)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구성체(12)는 제1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제1 방향과 본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은, X선 소스(14) 및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그러한 제1 방향과 제2 방향 둘 모두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5)

  1. 치과 또는 의료 X선 이미징 배열체로서,
    X선 검출기(15);
    X선 조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X선 소스(14) ― 상기 X선 소스(14)는 상기 X선 소스(14)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시준기 구성체(142)를 포함하고,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는 상기 X선 소스(14)에 의해 생성된 상기 X선 조사를 상기 X선 검출기(15)의 방향으로 조준되고 X선 조사 필드 패턴을 정의하는 빔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됨 ―;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고, 상기 X선 검출기(15)의 방향으로 조준될 가시 광 필드 패턴을 투영하도록 구성된 광 필드 표시기(141);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지지 구성체(12); 및
    이미징 모드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성체(12)는, 주어진 시간에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X선 검출기(15)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주어진 조사/광 필드 패턴을 지향시키도록,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상기 지지 구성체(12)에 대해 상기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소스(14),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고정된 조립체로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에 대해 고정된 유닛으로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는, 상기 가시 광 필드 패턴이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조명되는 영역이거나 또는 조합으로서 영역을 표시하는 광 필드들의 패턴을 포함하도록, 상기 가시 광 필드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는 상이한 크기들 및/또는 상이한 형상들의 가시 광 필드 패턴들을 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는 상이한 크기들 및/또는 상이한 형상들의 X선 조사 필드 패턴들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서의 상기 가시 광 필드 패턴 및 상기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치수들과 관련된 상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 및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는 상기 상관 정보에 따라 그들의 각각의 필드 패턴들의 치수들 및/또는 형상을 조정하여 상기 필드 패턴들이 상기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상기 주어진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커버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상관 정보는 주어진 이미징 모드와 관련된 상관 정보를 임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이미징 모드는 CBCT 이미징 모드이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가시 광 필드 패턴에 의해, 주어진 CBCT 이미징 모드와 관련되고 X선 빔의 주어진 시준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 커버될 체적과 관련된 영역을 상기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주어진 거리에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는 이미징을 위해 포지셔닝된 해부구조의 위치 및/또는 형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이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그 지식을 사용하여 상기 해부구조 상의 투영된 가시 광 패턴 및/또는 X선 빔 시준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어서, 상기 위치 및/또는 형상은 상기 X선 검출기(15)로부터의 상기 주어진 거리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로부터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가 투영하는 상기 가시 광 패턴의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투영된 가시 광 패턴이 표시하는 영역의 크기 및 형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X선 조사 필드 패턴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로 상기 수신된 정보를 변환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로부터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가 제한하는 상기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X선 조사 필드 패턴의 크기 및 형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가시 광 필드 패턴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로 상기 수신된 정보를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는 상기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된 제1 가이딩 구성체(50)를 포함하고,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는 고정된 유닛으로서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고정된 유닛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의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된 유닛에 장착된 캐리지(51)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51)의 상기 이동의 범위는 베이스 포지션 및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지지 구성체(12) 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 및 상기 캐리지(51) 측에 있는 정합 구성체(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된 동력화된 구성체(53)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화된 구성체(53)는 상기 제1 및 제2 극단 포지션들을 포함하는 상기 범위 내의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된 유닛의 상기 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이동의 범위 내의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된 유닛의 포지션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상기 캐리지(51)의 상기 이동의 범위 내의 상기 캐리지(51)의 포지션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는 상기 고정된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력화된 구성체(53)는 구동 스크루(54)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크루(5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캐리지(51)와 기능적으로 연관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센서 배열체(55)는 자기 구성요소(56)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구성요소(56)는 상기 캐리지(51)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딩 구성체(50)의 상기 구동 스크루(5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홈 또는 레일(5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드(rod)(57)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브래킷(58)이 상기 캐리지(51)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된 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된 유닛을 상기 가이딩 구성체(5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에 신호 경로가 제공되고, 상기 신호 경로는 상기 포지션 센서 배열체(55)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의 신호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9.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정보에 따라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 및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호 경로가 상기 시준기 구성체(142)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 및 상기 광 필드 표시기(141)와 상기 제어 시스템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기(15)는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상기 지지 구성체(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는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상기 지지 구성체(12) 이외의 다른 곳에 장착된 추가의 X선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상기 지지 구성체(12)에 장착하는 것은 그들의 각각의 필드 패턴들을 X선 검출기들 둘 모두를 향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2. 제1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가 장착되는 상기 지지 구성체(12)는 링 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 형상 구조체는 링 형상 갠트리(122), 및 적어도 상기 링 형상 갠트리(122) 및 상기 제1 가이딩 구성체(50)를 하우징하는 하우징(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1)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를 갖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는 상기 장착 브래킷(58)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를 통해 적어도 상기 X선 소스(14)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59)는 상기 가이딩 구성체(50)에 의해 가이딩되는 상기 X선 소스(14)의 상기 이동의 범위를 허용하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부분(1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성체(12)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1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본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것은, 상기 X선 소스(14) 및 상기 가시 광 방출 구성체(141')를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둘 모두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KR1020227038539A 2019-06-03 2021-04-08 X선 이미징 배열체 KR20220165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90042A FI128796B (en) 2019-06-03 2019-06-03 CT imaging device
FI20205373 2020-04-08
FI20205373A FI20205373A1 (en) 2019-06-03 2020-04-08 X - ray IMAGING ARRANGEMENT
PCT/FI2021/050256 WO2021205076A1 (en) 2019-06-03 2021-04-08 X-ray imaging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751A true KR20220165751A (ko) 2022-12-15

Family

ID=73652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212A KR20220016205A (ko) 2019-06-03 2020-06-01 Ct 이미징 장치
KR1020227038539A KR20220165751A (ko) 2019-06-03 2021-04-08 X선 이미징 배열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212A KR20220016205A (ko) 2019-06-03 2020-06-01 Ct 이미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684319B2 (ko)
EP (2) EP3975853A4 (ko)
JP (2) JP2022536273A (ko)
KR (2) KR20220016205A (ko)
CN (1) CN113950289A (ko)
BR (1) BR112021024193A2 (ko)
FI (3) FI128796B (ko)
WO (4) WO20202455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2987B (en) 1977-07-15 1982-07-14 Emi Ltd Radiography
US4385397A (en) * 1981-10-23 1983-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Parallax corrected external alignment lights
JPH0462492A (ja) * 1990-06-29 1992-02-27 Toshiba Corp 核医学診断装置
US6184530B1 (en) 1991-05-23 2001-02-06 Adac Laboratories Adjustable dual-detector image data acquisition system
US5717212A (en) * 1996-04-25 1998-02-10 Picker International, Inc. Three detector head gamma camera system with independently circumferentially positionable detector heads
US6194725B1 (en) 1998-07-31 2001-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Spect system with reduced radius detectors
JP2000116631A (ja) 1998-10-16 2000-04-25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JP4678999B2 (ja) * 2001-07-27 2011-04-27 株式会社東芝 X線診断装置
JP2005006772A (ja) 2003-06-17 2005-01-1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診断装置及びct画像の生成方法
DE10332743B4 (de) * 2003-07-17 2008-10-30 Siemens Ag Röntgensystem mit einer Strahlenschutzeinrichtung
DE102004023046A1 (de) * 2004-05-11 2005-12-08 Siemens Ag Röntgeneinrichtung, insbesondere Mammographie-Röntgeneinrichtung
EP2053972B1 (en) 2006-08-17 2013-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uted tomography image acquisition
US8118488B2 (en) * 2009-01-05 2012-02-21 Mobius Imaging, Llc Mobile medical imaging system and methods
US8731634B2 (en) * 2009-10-20 2014-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dical imaging system and patient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a movable transport belt
JP5727147B2 (ja) * 2010-02-10 2015-06-03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
JP5482887B2 (ja) * 2010-03-12 2014-05-0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断層撮像装置
NL2005899C2 (en) * 2010-12-22 2012-06-25 Nucletron Bv A mobile x-ray unit.
US8966685B2 (en) * 2011-07-26 2015-03-03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Flexible bariatric overlay
JP6150464B2 (ja) * 2012-05-31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レオx線撮影装置
US10987068B2 (en) * 2012-06-14 2021-04-27 Mobius Imaging Llc Multi-directional x-ray imaging system
US10151810B2 (en) 2012-06-14 2018-12-11 Mobius Imaging, Llc Pivoting multi-directional X-ray imaging system with a pair of diametrically opposite vertical support columns tandemly movable along a stationary base support
DE102013215454A1 (de) * 2013-08-06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tientenpositionierung
DE102013217539A1 (de) * 2013-09-03 2015-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Patientenlagerungsvorrichtung sowie eine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der Patientenlagerungsvorrichtung
DE102013226289A1 (de) 2013-12-17 2015-06-18 Kuka Laboratories Gmbh Röntgenvorrichtung mit einer Verstelleinrichtung
ES2751069T3 (es) 2014-01-27 2020-03-30 Epica Int Inc Dispositivo de imagen radiológica con funcionamiento mejorado
DE102014222061A1 (de) * 2014-10-29 2016-05-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iegenbrett und Patientenliege für medizinische bildgebende Verfahren
KR102328117B1 (ko) * 2014-12-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US10039508B2 (en) * 2015-03-30 2018-08-07 Sirona Dental, Inc. Rolling yoke mount for an intra-oral 3D X-ray system
KR101798939B1 (ko) * 2015-09-08 2017-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15218298B3 (de) * 2015-09-23 2017-02-23 Siemens Healthcare Gmbh Anordnung, aufweisend eine Patientenlagerungsvorrichtung mit einer Lagerungsplatte und eine Auflage für die Lagerungsplatte
US11883217B2 (en) 2016-02-03 2024-01-30 Globus Medical, Inc. Portable medical imaging system and method
US11058378B2 (en) * 2016-02-03 2021-07-13 Globus Medical, Inc. Portable medical imaging system
US10638985B2 (en) * 2016-06-13 2020-05-05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x-ray scanner positioning
US10624596B2 (en) * 2016-11-23 2020-04-21 Mobius Imaging, Llc Cantilevered x-ray CT system for multi-axis imaging
WO2018109127A1 (en) * 2016-12-15 2018-06-21 Koninklijke Philips N.V. Visualizing collimation errors
US11471117B2 (en) * 2017-03-20 2022-10-18 Dentsply Sirona Inc. Multiposition collimation device and x-ray imaging systems
WO2019056055A1 (en) * 2017-09-21 2019-03-28 Leo Cancer Care Pty Ltd PATIENT POSITIONING APPARATUS
JP6560322B2 (ja) * 2017-11-15 2019-08-1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ct装置
KR102072684B1 (ko) 2018-02-07 2020-02-03 주식회사 뷰웍스 맘모그래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2363A4 (en) 2024-05-01
JP2022536273A (ja) 2022-08-15
FI128796B (en) 2020-12-15
EP4132363A1 (en) 2023-02-15
CN113950289A (zh) 2022-01-18
KR20220016205A (ko) 2022-02-08
WO2020249857A1 (en) 2020-12-17
EP3975853A1 (en) 2022-04-06
US20230148979A1 (en) 2023-05-18
JP2023521108A (ja) 2023-05-23
EP3975853A4 (en) 2023-08-02
US20210145374A1 (en) 2021-05-20
US11684319B2 (en) 2023-06-27
US20220296178A1 (en) 2022-09-22
WO2020245500A1 (en) 2020-12-10
WO2020249858A1 (en) 2020-12-17
WO2021205076A1 (en) 2021-10-14
FI128797B (en) 2020-12-15
BR112021024193A2 (pt) 2022-01-11
FI20196081A1 (en)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409B2 (en) Mobile imaging ring system
US10062465B2 (en) Dynamic beam aperture control to reduce radiation dose using collimator
US9055912B2 (en) Supporting device and intra-operative imaging device having the supporting device
US6102567A (en) X-ray bone densitometry using a vertically scanning gantry
EP3646793B1 (en) Mobile imaging ring system
JP5559170B2 (ja) 画像誘導多線源放射線治療
US20080310584A1 (en) Tomography Equipment Comprising a Variable Reproduction Geometry
CN107441634B (zh) 放射线摄影装置及粒子线治疗系统
US20080240349A1 (en) Radiation Therapy System and Methods For Planning a Radiation Therapy of a Patient, and For Patient Positioning
US20020099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a location at an examination subject
JP2012200607A (ja) 円弧形医用イメージング装置
US7899155B2 (en) Stand for holding a radiation detector for a radiation therapy device
US20220249035A1 (en) Ct imaging apparatus
KR20220165751A (ko) X선 이미징 배열체
US20220313179A1 (en) X-ray imaging apparatus
KR20160117730A (ko) 흉부촬영용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시스템의 자동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
RU2808364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FI20205373A1 (en) X - ray IMAGING ARRANGEMENT
KR102521549B1 (ko) 스마트 의료 영상 진단 장치
US20230301603A1 (en) Ct imaging apparatus
KR102503248B1 (ko) 조사범위 자동 조절 장치
KR102521529B1 (ko) 엑스선 발생기 높이 및 각도 조정장치
KR101474926B1 (ko) 엑스선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