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605A -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605A
KR20220165605A KR1020210074455A KR20210074455A KR20220165605A KR 20220165605 A KR20220165605 A KR 20220165605A KR 1020210074455 A KR1020210074455 A KR 1020210074455A KR 20210074455 A KR20210074455 A KR 20210074455A KR 20220165605 A KR20220165605 A KR 2022016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ssion shaft
housing
roto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605A/ko
Priority to US17/659,095 priority patent/US20220388566A1/en
Priority to CN202220934540.7U priority patent/CN217048754U/zh
Priority to DE202022102442.1U priority patent/DE202022102442U1/de
Publication of KR2022016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62D5/005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 B62D5/006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powe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62D5/0412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the axes of motor and steering column being parallel
    • B62D5/0415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the axes of motor and steering column being parallel the axe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80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means for equalising the distribution of load on the planet-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티어링샤프트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전달축부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부와,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스테이터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전달축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부 및 로터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REACTION TORQUE APPARATUS OF STEER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BW(Steer By Wire)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력을 경감하여 조향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력보조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SBW(Steer By Wire) 시스템은 스티어링휠과 차량의 구동바퀴의 기계적 연결을 분리한 조향시스템으로, 스티어링휠의 회전 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ECU)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회전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바퀴에 연결된 조향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조향할 수 있다. 이러한 SBW(Steer By Wire) 시스템은 기존의 조향시스템이 갖는 기계적 연결구조가 제거됨으로써, 조향계 구성에 따른 레이아웃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연비를 개선하며, 차륜에서 역입력되는 외란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SBW(Steer By Wire)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계적 연결구조가 없기 때문에 모터 등을 이용한 반력 장치를 통해 조향반력 또는 복원반력을 생성한다.
종래의 조향 반력 장치는 감속기와 모터로 구성된다. 감속기가 모터에 동축으로 적층되는 구조에서는 전장이 길어지게 되고, 감속기와 모터를 별도로 구성을 해야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타 구조대비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고, 늘어난 전장으로 인해 동축의 장점인 패키지 설계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6945호(2008.02.22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장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티어링샤프트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전달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부; 상기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전달축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부; 및 상기 로터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터부는, 외주면이 상기 스테이터부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로터 코어; 상기 로터 코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달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터부는, 상기 로터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응력분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응력분산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전달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기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선기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기어부; 상기 선기어부와 상기 링기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선기어부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부; 및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부의 공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캐리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부는, 상기 선기어부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내주면이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부와 맞물리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부는 외측면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는 전달축부의 회전력을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전장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 감소 및 경량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모터 장치(1)는 하우징(100), 커버부(200), 전달축부(300), 스테이터부(400), 로터부(500), 동력전달부(600), 체결부(7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모터 장치(1)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는 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전달축부(300), 스테이터부(400), 로터부(500), 동력전달부(600), 체결부(7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있게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모터 장치(1)의 각 구성이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개구된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개구된 측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압입되거나, 볼팅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전달축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축부(300)는 샤프트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전달축부(300)는 베어링 등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축부(300)는 중심축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스티어링샤프트(미도시)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즉 전달축부(300)는 길이 방향이 스티어링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스테이터부(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로터부(500)를 회전시키는 자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부(40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테이터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내주면이 전달축부(300)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스테이터부(400)는 중심축이 전달축부(3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스테이터부(4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부(400)에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스테이터 코어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부(5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달축부(300)와 연결된다. 로터부(500)는 스테이터부(40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며 전달축부(30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부(500)는 로터 코어(510), 수용부(520), 연결부(530), 응력분산부(540)를 포함한다.
로터 코어(51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로터 코어(5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주면이 스테이터부(400)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주면이 전달축부(300)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로터 코어(510)는 중심축이 전달축부(3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로터 코어(5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마그넷이 부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마그넷은 로터 코어(5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마그넷은 스테이터부(400)로부터 발생되는 자계로 인한 전자기력에 연동되어 로터 코어(510)를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시킨다.
수용부(520)는 로터 코어(51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수용부(520)는 내부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부(600)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520)는 동력전달부(600)를 하우징(100)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1)의 전장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5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이 로터 코어(510)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수용부(520)는 외주면이 로터 코어(510)의 내주면에 압입되거나, 볼팅 결합에 의해 로터 코어(510)에 고정되어 로터 코어(510)의 회전 시 로터 코어(510)와 일체로 회전된다. 수용부(520)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고, 일측(도 3 기준 상측)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520)는 내부로 동력전달부(600)가 원활하게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520)는 중심축이 전달축부(3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의 직경, 높이는 동력전달부(6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연결부(530)는 수용부(520)로부터 연장되고, 전달축부(300)와 연결된다. 연결부(530)는 로터 코어(510)의 회전 시 수용부(520)와 함께 회전되며 로터부(500)의 회전력을 전달축부(3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30)는 수용부(520)의 폐쇄된 측(도 3 기준 하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0)는 내부로 전달축부(300)가 삽입된다. 연결부(530)의 내주면은 전달축부(300)의 외주면에 압입되거나, 스플라인 치형에 의해 전달축부(30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530)는 로터 코어(51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달축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530)는 외주면이 베어링 등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응력분산부(540)는 로터부(500)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수용부(520)와 연결부(530)의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분산부(540)는 수용부(520)와 연결부(530)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된다. 응력분산부(540)는 수용부(520)로부터 연결부(530)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분산부(540)는 로터부(500)의 회전 시 수용부(520)와 연결부(530)의 경계지점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600)는 로터부(5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동력전달부(600)는 전달축부(300)와 스티어링샤프트에 연결되어 전달축부(300)의 회전력을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함으로써 조향 반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600)는 선기어부(610), 유성기어부(620), 링기어부(630), 캐리어부(640)를 포함한다.
선기어부(610)는 전달축부(300)로부터 연장되고, 수용부(5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기어부(610)는 전달축부(300)의 단부로부터 전달축부(30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기어부(610)는 후술하는 유성기어부(6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다. 선기어부(610)는 전달축부(3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전달축부(300)와 함께 회전된다. 선기어부(610)는 전달축부(300)의 제작 시 전달축부(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달축부(300)와 별물로 제작되어 전달축부(3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링기어부(630)는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되고, 선기어부(6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부(630)는 링기어(631), 고정부(632)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링기어(63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선기어부(610)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링기어(631)는 수용부(5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이 선기어부(61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링기어(631)는 내주면에 복수개의 기어치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성기어부(620)와 맞물려 결합된다. 링기어(631)는 외측면이 수용부(52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링기어(631)는 로터부(500)의 회전 시 수용부(520)에 간섭되어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632)는 링기어(631)로부터 상단부로부터 링기어(63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632)는 상측면이 커버부(200)의 하측면에 접촉되고, 볼트스크류 등으로 예시되는 체결부(700)에 의해 커버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632)는 링기어부(63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632)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기어(6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부(200)에 직접 조립되는 등, 커버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유성기어부(620)는 선기어부(610)와 링기어부(630)의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부(620)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620)는 선기어부(610)와 링기어(63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성기어부(620)는 양측면이 각각 선기어부(610)의 외주면과 링기어(631)의 내주면에 맞물려 결합된다. 유성기어부(620)는 후술하는 캐리어부(640)의 일측에 삽입되어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6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선기어부(610)와 링기어부(6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유성기어부(620)는 선기어부(610)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하며 후술하는 캐리어부(640)를 회전시킨다.
캐리어부(640)는 일측이 스티어링샤프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개의 유성기어부(620)와 연결된다. 캐리어부(640)는 복수개의 유성기어부(620)의 공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스티어링샤프트에 조향 반력을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부(6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리어부(640)는 베어링 등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캐리어부(640)는 중심축이 전달축부(300) 및 스티어링샤프트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캐리어부(640)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은 캐리어부(6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유성기어부(620)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부(640)는 복수개의 유성기어부(620)가 공전됨에 따라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ㄷ될 수 있다. 캐리어부(640)의 타측(도 3 기준 상측)은 커버부(2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캐리어부(640)의 타측은 스티어링샤프트의 단부에 압입되거나, 스플라인 결합되어 로터부(5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100 : 하우징
200 : 커버부 300 : 전달축부
400 : 스테이터부 500 : 로터부
510 : 로터 코어 520 : 수용부
530 : 연결부 540 : 응력분산부
600 : 동력전달부 610 : 선기어부
620 : 유성기어부 630 : 링기어부
631 : 링기어 632 : 고정부
640 : 캐리어부 700 : 체결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티어링샤프트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전달축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부;
    상기 전달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전달축부를 회전시키는 로터부; 및
    상기 로터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스티어링샤프트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외주면이 상기 스테이터부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로터 코어;
    상기 로터 코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달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상기 로터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응력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전달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기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선기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링기어부;
    상기 선기어부와 상기 링기어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선기어부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부; 및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부의 공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캐리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부는,
    상기 선기어부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내주면이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부와 맞물리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외측면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KR1020210074455A 2021-06-08 2021-06-08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KR20220165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55A KR20220165605A (ko) 2021-06-08 2021-06-08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US17/659,095 US20220388566A1 (en) 2021-06-08 2022-04-13 Steering reaction force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CN202220934540.7U CN217048754U (zh) 2021-06-08 2022-04-20 用于车辆的转向反作用力产生装置
DE202022102442.1U DE202022102442U1 (de) 2021-06-08 2022-05-04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Lenkreaktionskraft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55A KR20220165605A (ko) 2021-06-08 2021-06-08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605A true KR20220165605A (ko) 2022-12-15

Family

ID=8184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455A KR20220165605A (ko) 2021-06-08 2021-06-08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88566A1 (ko)
KR (1) KR20220165605A (ko)
CN (1) CN217048754U (ko)
DE (1) DE202022102442U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873B2 (ja) * 2001-12-21 2007-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1920991A1 (en) 2005-07-11 2008-05-14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88566A1 (en) 2022-12-08
DE202022102442U1 (de) 2022-05-18
CN217048754U (zh)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780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109130815B (zh) 动力装置的支承结构
US9109685B2 (en) Flexspline protective structure and robot arm mechanism using same
EP2711286B1 (en) Drive structure for electric bicycle
JP2009190440A (ja) 車両用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102519998B1 (ko) 구동 장치
JP6953528B2 (ja) カプラー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ー組立体
EP3059155B1 (en) Hub unit for electric power-assisted human powered vehicle
KR20220165605A (ko) 차량용 조향 반력 장치
US10060509B2 (en) Pancake gear motor
JP201305276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177265A (ja) 駆動装置
CN102756640A (zh) 车轮驱动装置
JP7080339B2 (ja) 減速機
CN217892985U (zh) 用于车辆的转向反作用力设备
KR101786197B1 (ko) 감속기 일체형 모터
US20210320562A1 (en) Motor
JP2012192787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659588B2 (ja) ホイール軸受および電動車両駆動装置
CN103997159A (zh) 驱动设备
CN219513880U (zh) 轮毂电机和割草设备
JP2005053259A (ja)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3182326A1 (ja) 車両用駆動装置
JP5803727B2 (ja) 動力伝達装置
JP2022155794A (ja) 車両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