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97A -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97A
KR20220165497A KR1020210074208A KR20210074208A KR20220165497A KR 20220165497 A KR20220165497 A KR 20220165497A KR 1020210074208 A KR1020210074208 A KR 1020210074208A KR 20210074208 A KR20210074208 A KR 20210074208A KR 20220165497 A KR20220165497 A KR 2022016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fixed
fixing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929B1 (ko
Inventor
한규진
Original Assignee
한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진 filed Critical 한규진
Priority to KR102021007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97A/ko
Priority to KR1020230054064A priority patent/KR102555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Drawers which can be rotated while or after sliding out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서랍; 복수개의 서랍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적층되는 서랍들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서랍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 고정축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및 각각의 서랍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축에 결합된 해당 위치의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어 서랍이 고정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시 수납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을 포함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Drawer rotating structure and drawer chest with thereof}
본 발명은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축에 복수개의 서랍들이 복층으로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서랍들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은 일단 또는 다단으로 서랍이 구성되며 서랍의 내부에 다양한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랍장은, 서랍의 경우 상면이 개구된 통체를 구조를 가지고 복수개의 서랍들이 프레임에 대하여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 출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서랍장은, 서랍이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서랍의 깊이가 깊거나 길이가 긴 경우 서랍을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빼는 것이 불편하며 이에, 수납된 여러 내용물 중 원하는 내용물을 쉽게 찾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일상생활에서 거의 매일 착용하는 양말이나 속옷, 손수건 등과 같이 원하는 내용물을 찾고자 하는 경우, 서랍을 프레임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빼낸 후 서랍에 정돈 보관된 내용물들 중에서 원하는 내용물을 빼내야 하는데, 프레임의 전방으로 빠진 서랍의 거치 상태가 균형 상태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서랍이 완전히 빠지게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고, 이에, 양말이나 속옷 등은 항상 위에 위치한 것만을 계속 착용하게 되어 골고루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개의 서랍을 적층하기 위하여 서랍의 깊이에 대응된 곳에 가이드레일이 구성되고 서랍에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가 구성되어야 함에 따라 조립 및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서랍장은, 서랍들이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정확한 수납 위치를 모를 경우에는 서랍들을 일일이 하나씩 빼내면서 해당 서랍의 내용물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원하는 내용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20-0488276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10-2013-00009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축에 복수개의 서랍들이 복층으로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서랍들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복수개의 서랍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원하는 내용물을 신속하게 찾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서랍; 복수개의 서랍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적층되는 서랍들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서랍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 고정축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및 각각의 서랍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축에 결합된 해당 위치의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어 서랍이 고정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시 수납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을 포함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서랍은,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바디; 서랍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브라켓이 관통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브라켓이 고정축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 및 결합공이 형성된 서랍바디의 일측 하면에 형성되어 회전브라켓이 서랍바디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서랍 중 고정축의 가장 하단의 서랍에 해당되는 서랍바디에는 고정축의 하단부가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판이 고정홈에 볼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축은, 고정브라켓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브라켓은, 고정축이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통; 고정통의 하단부에 고정통 보다 큰 직경의 단차를 가지면서 확장 연장되고 서랍에 고정된 회전브라켓이 끼움 및 안착되도록 하여 서랍이 고정축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안착통; 및 안착통의 외주연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서랍에 고정된 회전브라켓이 안착통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브라켓은, 서랍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판; 결합판의 중심 부위에 돌출 구성되고 서랍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축의 관통시 내주연에 고정브라켓의 고정통이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통; 밀착통의 하면과 결합판 사이에 단차 형성되어 밀착통의 하면이 고정브라켓의 고정통과 안착통 사이의 단차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단; 및 안착단과 결합판 사이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구성되고 고정브라켓의 가이드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안착단에 안착된 결합판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서랍 회전 구조체를 통하여 조립되는 서랍장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축에 복수개의 서랍들이 복층으로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서랍들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복수개의 서랍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원하는 내용물을 신속하게 찾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 회전 구조체를 가지는 서랍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서랍장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서랍장에 있어서 서랍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1의 서랍 회전 구조체에 있어서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이 고정축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과 도 8은 도 1의 서랍 회전 구조체에 있어서 회전브라켓과 회전브라켓이 서랍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서랍 회전 구조체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에 회전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서랍 회전 구조체에 있어서 서랍, 고정축 및 고정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1의 서랍 회전 구조체를 가지는 서랍장에 있어서 서랍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 회전 구조체는,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서랍(110),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다층 구조를 가지는 서랍(110)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서랍(110-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120), 고정축(120)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130) 및 각각의 서랍(110)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축(120)에 결합된 해당 위치의 고정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어 서랍(110)이 고정축(120)에 대하여 360도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통해 수납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140) 등을 포함한다.
서랍(110)은, 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140)을 통해 고정축(120)의 고정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 부재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바디(111), 서랍바디(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브라켓(140)이 관통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브라켓(140)이 고정축(120)에 결합된 고정브라켓(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12) 및 결합공(112)이 형성된 서랍바디(111)의 일측 하면에 형성되어 회전브라켓(140)이 서랍바디(111)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11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랍(110)은, 복수개가 고정축(120)의 고정브라켓(130)에 적층 결합시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해당되는 서랍바디(111)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서랍(110) 중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해당되는 서랍바디(111)에는 고정축(120)의 하단부가 직접 결합되도록 하여 가장 하단의 서랍(110-1)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축(12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150)이 고정홈(114)에 볼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랍(110)에 의하면, 수납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고정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140)이 설치되어 종래와 같이, 서랍바디(111)에 슬라이더 등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조립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축(120)은, 도 1, 도 2 및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층 구조를 가지는 서랍(110)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서랍(110-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부재로서, 복수개의 서랍(110)들의 적층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원통 막대 형상을 가지고, 고정브라켓(130)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공(121)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에는 고정판(150)에 볼팅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된 서랍장 구조를 가질 경우 서랍장의 이동을 보조하는 손잡이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축(120)에 의하면,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되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서랍(110)들 중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고정 결합되어 가장 하단의 서랍(110-1)을 제외한 나머지 서랍(110)들이 회전시 피봇(pivo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0)은, 도1, 도 2, 도 5, 도 6, 도 8 및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20)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 결합되어 서랍(110)이 회전브라켓(140)을 통해 고정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결합 부재로서, 소정 길이와 원통체 형상을 가지고 고정축(120)의 외주연이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공(121)에 고정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통(131), 고정통(131)의 하단부에 고정통(131) 보다 큰 직경의 단차를 가지면서 확장 연장되고 서랍(1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140)이 끼움 및 안착되도록 하여 서랍(110)이 고정축(120)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안착통(132) 및 안착통(132)의 외주연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서랍(1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140)이 안착통(132)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3) 등을 포함한다.
고정통(131)은, 고정축(120)의 고정공(12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로서, 원통체 형상을 가지고 서랍(110)의 두께나 깊이 또는 서랍(110)의 결합공(112)의 길이에 대응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홈(133)은, 서랍(1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140)에 끼움 및 안착되는 안착통(132)의 외주연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회전브라켓(140)이 고정 및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로서, 안착통(132)의 외주연을 따라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회전브라켓(140)이 회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홈(134)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30)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고정축(120)에 간편한 구조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으로 적층 및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브라켓(140)은, 도1, 도 2 및 도 7 내지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랍(110)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축(120)에 결합된 해당 위치의 고정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어 서랍(110)이 고정축(120)에 대하여 360도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통해 수납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회전 부재로서, 서랍(110)의 결합홈(113)에 안착 및 고정 결합되는 결합판(141), 소정 길이와 원통체 형상을 가지고 결합판(141)의 중심 부위에 돌출 구성되어 서랍(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되어 내주연에 고정브라켓(130)의 고정통(131)이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통(142), 밀착통(142)의 하면과 결합판(141) 사이에 단차 형성되어 밀착통(142)의 하면이 고정브라켓(130)의 고정통(131)과 안착통(132) 사이의 단차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단(143) 및 안착단(143)과 결합판(141) 사이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구성되고 고정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안착단(143)에 안착된 결합판(141)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고 가이드홈(133)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34)에 탄력적으로 출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편(144) 등을 포함한다.
결합판(141)은, 서랍(110)의 결합홈(113)에 안착 및 고정 결합되기 위한 두께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정축(120)에 적층된 다층 구조의 서랍(110) 회전시 하층에 위치된 서랍(11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밀착통(142)은, 고정브라켓(130)의 고정통(13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고정브라켓(130)과의 결합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서랍(110)의 회전시 안정감을 제공하고 수납된 내용물의 하중에도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단(143)은, 결합판(141)과 고정통(131)이 고정브라켓(13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 수단으로서, 밀착통(142)의 하면과 결합판(141) 사이에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어링편(144)은, 안착단(143)과 결합판(141) 사이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구성되고 고정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안착단(143)에 안착된 결합판(141)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고 가이드홈(133)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34)에 탄력적으로 출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안착단(143)과 결합판(141) 사이에 연장되는 탄성편과, 탄성편의 단부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편의 탄력을 이용하여 가이드홈(133)과 위치고정홈(134)에 출입 및 가이드되는 가이드볼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브라켓(140)은, 베어링편(144) 대신에 안착단(143)이 형성된 결합판(141)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브라켓(140)에 의하면, 서랍(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30)에 안착 및 회전이 가이드됨으로써, 고정축(120)에 다층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동시에 모두 또는 일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여 서랍(110)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 회전 구조체를 이용한 서랍장의 조립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랍(110)의 하부에 회전브라켓(140)이 고정 결합된다.
이후, 고정축(120)에 복수개의 서랍(110)이 적층 결합시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해당되는 서랍(110)의 결합공(112)에 고정축(120)이 관통된 후 고정판(150)을 통해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볼팅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축(120)에 결합되는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는 복수개의 캐스터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후, 가장 하단의 서랍(110-1)이 결합된 고정축(120)의 바로 상측에 고정브라켓(130)이 고정 결합된다.
이후, 회전브라켓(140)이 고정 결합된 서랍(110)의 결합공(112)에 고정축(120)이 관통되면서 회전브라켓(140)이 고정브라켓(130)에 안착되는데, 이때, 회전브라켓(140)의 베어링편(144)이 고정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회전브라켓(140)이 고정브라켓(13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후, 고정축(120)의 상단까지 고정브라켓(130)이 고정 결합되고, 고정브라켓(130)이 고정축(120)에 결합될 때마다 회전브라켓(140)이 고정 결합된 서랍(110)의 결합공(112)에 고정축(120)이 관통되면서 회전브라켓(140)이 고정브라켓(130)에 안착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고정축(12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서랍장이 조립된다.
이후, 복수개의 서랍(110)들에는 다양한 내용물이 수납되고 내용물을 빼낼 경우 해당 서랍(110)을 고정축(1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거나 베어링편(144)이 가이드홈(133)에 요홈 구성된 위치고정홈(134)에 삽입시 그 위치에 서랍(110)이 고정되도록 하는 등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축(120)에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복층으로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서랍(110)들이 고정축(12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복수개의 서랍(110)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원하는 내용물을 신속하게 찾고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서랍(110);
    복수개의 서랍(110)들이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적층되는 서랍(110)들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서랍(110-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축(120);
    고정축(120)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130); 및
    각각의 서랍(110)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축(120)에 결합된 해당 위치의 고정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어 서랍(110)이 고정축(1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시 수납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서랍(110)은,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바디(111);
    서랍바디(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브라켓(140)이 관통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브라켓(140)이 고정축(120)에 결합된 고정브라켓(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112); 및
    결합공(112)이 형성된 서랍바디(111)의 일측 하면에 형성되어 회전브라켓(140)이 서랍바디(111)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홈(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서랍(110) 중 고정축(120)의 가장 하단의 서랍(110-1)에 해당되는 서랍바디(111)에는 고정축(120)의 하단부가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판(150)이 고정홈(114)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축(120)은,
    고정브라켓(130)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공(12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브라켓(130)은,
    고정축(120)이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축(12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통(131);
    고정통(131)의 하단부에 고정통(131) 보다 큰 직경의 단차를 가지면서 확장 연장되고 서랍(1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140)이 끼움 및 안착되도록 하여 서랍(110)이 고정축(120)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안착통(132); 및
    안착통(132)의 외주연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서랍(110)에 고정된 회전브라켓(140)이 안착통(132)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브라켓(140)은,
    서랍(11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판(141);
    결합판(141)의 중심 부위에 돌출 구성되고 서랍(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되어 고정축(120)의 관통시 내주연에 고정브라켓(130)의 고정통(131)이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통(142);
    밀착통(142)의 하면과 결합판(141) 사이에 단차 형성되어 밀착통(142)의 하면이 고정브라켓(130)의 고정통(131)과 안착통(132) 사이의 단차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단(143); 및
    안착단(143)과 결합판(141) 사이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구성되고 고정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안착단(143)에 안착된 결합판(141)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편(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회전 구조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랍 회전 구조체를 통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KR1020210074208A 2021-06-08 2021-06-08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KR10255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08A KR102555929B1 (ko) 2021-06-08 2021-06-08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KR1020230054064A KR102555931B1 (ko) 2021-06-08 2023-04-25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08A KR102555929B1 (ko) 2021-06-08 2021-06-08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064A Division KR102555931B1 (ko) 2021-06-08 2023-04-25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97A true KR20220165497A (ko) 2022-12-15
KR102555929B1 KR102555929B1 (ko) 2023-07-13

Family

ID=844394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08A KR102555929B1 (ko) 2021-06-08 2021-06-08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KR1020230054064A KR102555931B1 (ko) 2021-06-08 2023-04-25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064A KR102555931B1 (ko) 2021-06-08 2023-04-25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592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754Y2 (ko) * 1988-01-14 1993-10-27
JPH0612656Y2 (ja) * 1987-07-15 1994-04-06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転収納体付き収納箱の構造
KR19990013291U (ko) * 1997-09-25 1999-04-15 전재권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100850169B1 (ko) * 2007-05-16 2008-08-04 김진선 회전식 수납상자
US20110127228A1 (en) * 2009-12-01 2011-06-02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Rotary Fitting for a Corner Cupboard
KR20130000905A (ko) 2011-06-24 2013-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64772Y1 (ko) * 2012-03-16 2013-01-21 최진우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시약장
US10111521B2 (en) * 2017-01-18 2018-10-30 Hardware Resources, Inc. Adjustable rotary shelf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488276Y1 (ko) 2017-11-13 2019-01-07 서용석 영유아를 위한 안전 잠금장치를 장착한 서랍장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56Y2 (ja) * 1987-07-15 1994-04-06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転収納体付き収納箱の構造
JPH0542754Y2 (ko) * 1988-01-14 1993-10-27
KR19990013291U (ko) * 1997-09-25 1999-04-15 전재권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100850169B1 (ko) * 2007-05-16 2008-08-04 김진선 회전식 수납상자
US20110127228A1 (en) * 2009-12-01 2011-06-02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Rotary Fitting for a Corner Cupboard
KR20130000905A (ko) 2011-06-24 2013-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64772Y1 (ko) * 2012-03-16 2013-01-21 최진우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시약장
US10111521B2 (en) * 2017-01-18 2018-10-30 Hardware Resources, Inc. Adjustable rotary shelf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488276Y1 (ko) 2017-11-13 2019-01-07 서용석 영유아를 위한 안전 잠금장치를 장착한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29B1 (ko) 2023-07-13
KR20230065206A (ko) 2023-05-11
KR102555931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6738B2 (ja) 物体の回転並進移動用装置
US8474923B2 (en) Safes with rotating inner supports
US5651595A (en) Storage cabinet
US6568772B2 (en) Rotatable shelf
US20030019873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ontainer
KR102555931B1 (ko)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US8495796B2 (en) Opening-and-closing mechanism and latching mechanism
JP4651449B2 (ja) 天板等の昇降ガイド装置
US5355997A (en) Storage case for disc-shaped recording media
US20090308291A1 (en) Safes with rotating inner supports
JP2020060093A (ja) 蝶番、蝶番付き扉、並びに、扉取付部構成部材
US20100060121A1 (en) Modular storage unit for a cabinet
JP7202536B2 (ja) 収納機器
JP4281520B2 (ja) テーブル
US20120181907A1 (en) Storage carousel
JP3148112U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包丁差し
CN213247776U (zh) 一种旋转式角柜
KR20230164612A (ko) 회전 선반
JP6280276B1 (ja) 地震対応具
JP7439894B2 (ja) 収納機器
KR102369860B1 (ko)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수납장
US20170035205A1 (en) Antipanic table, particularly for conference room chair
KR20230064326A (ko) 쇼 케이스
JP2009201917A (ja) カップホルダ
JP2020060092A (ja) 蝶番、蝶番付き扉、並びに、扉取付部構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