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269A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269A
KR20220164269A KR1020210072819A KR20210072819A KR20220164269A KR 20220164269 A KR20220164269 A KR 20220164269A KR 1020210072819 A KR1020210072819 A KR 1020210072819A KR 20210072819 A KR20210072819 A KR 20210072819A KR 20220164269 A KR20220164269 A KR 2022016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lip
housing
protrus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269A/ko
Publication of KR2022016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는 클립(30)을 가진다. 상기 클립(30)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클립레일(18)에 양단이 걸어진 상태에서 돌기레버(24)에 있는 탄성걸이돌기(26)에 클립(30)의 고정걸이돌기(38)가 걸어져서 클립(30)이 제1커넥터(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는 자유단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클립(30)이 상기 클립레일(18)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클립(30)이 클립레일(18)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돌기레버(24)가 버틸 수 있고, 제2커넥터(40)와 제1커넥터(1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커넥터(40)의 지지단(45)에 의해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되는 것이 차단되어 장착상태가 해지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커넥터는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되어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서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일측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할 때, 클립에 있는 돌기와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는 돌기가 서로 걸어져서 클립과 커넥터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립에 있는 돌기와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는 돌기는 견고할 결합을 위해서 탄성변형이 거의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돌기 들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의 하우징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를 해제하게 되면은 클립이나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는 돌기들이 손상되어 재 사용이 어렵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커넥터의 하우징에 클립이 장착되고, 상기 클립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상기 커넥터에 작용할 때, 상기 클립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해지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클립이나 커넥터 하우징의 돌기가 탄성변형 가능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으면 클립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클립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다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워크 과정에서 돌기들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클립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으면 외력에 의해 클립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지될 수 있다.
한국 공개실용산안 제 20-2010-0001036 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0-0002454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이 커넥터로부터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선단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한 쌍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클립채널을 구비하는 클립레일과, 상기 클립레일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탄성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레버와, 상기 클립채널에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걸이돌기에 고정걸이돌기가 걸어져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패널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장착날개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에 형성된 탄성걸이돌기에는 상기 돌기레버의 자유단부 쪽에 걸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면 반대쪽에 상기 클립의 고정걸이돌기가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돌기에는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걸이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경사안내면에 안내되는 경사안내면이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선단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클립레일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클립레일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부 내에 탄성걸이돌기가 있는 돌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클립레일에 걸어져 설치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에 고정걸이돌기가 걸어져 상기 제1커넥터에 설치되며 판넬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어지는 클립과,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돌기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에 형성된 탄성걸이돌기에는 상기 돌기레버의 자유단부 쪽에 걸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면 반대쪽에 상기 클립의 고정걸이돌기가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돌기에는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걸이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경사안내면에 안내되는 경사안내면이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의 지지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의 지지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평면인 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레버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하는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돌기레버를 자유단부가 클립이 커넥터에 장착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클립을 커넥터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레버가 탄성변형되면서 클립이 커넥터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돌기레버의 자유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클립이 커넥터에서 빠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으로, 클립이 보다 견고하게 커넥터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클립을 커넥터에 장착하여 체결하기 위한 탄성걸이돌기가 돌기레버에 설치되어 있어서, 클립의 고정걸이돌기가 상기 탄성걸이돌기를 타고 넘을 때 돌기레버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을 커넥터에 착탈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쉽게 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걸이돌기와 고정걸이돌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클립과 커넥터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클립이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면 상대 커넥터의 지지단이 상기 돌기레버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이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크립이 임의의 외력에 의해 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클립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이고, (b)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어 지지단이 돌기레버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10), 클립(30), 제2커넥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고)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외부와 연통되게 터미널안착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져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부호 16은 제1스페이서로서 터미널을 터미널안착공간(14)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 외면에는 클립레일(18)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레일(18)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클립레일(18)에는 레일채널(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채널(20)은 양측의 클립레일(18)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상기 레일채널(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30)의 레일걸이부(37)가 위치되고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클립레일(18)의 일단부에는 스톱단(2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톱단(22)은 상기 클립레일(18) 사이를 연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레일(18)에 걸어진 클립(3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스톱단(22)이 할 수 있다.
상기 클립레일(18)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돌기레버(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관통부(2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5)는 제1하우징(11)의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의 자유단부는 상기 스톱단(22)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의 자유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30)이 상기 클립레일(18)에 장착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에는 탄성걸이돌기(2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걸이돌기(26)에는 일측에 안내경사면(27)이 형성되고, 타측에 걸이면(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27)은 상기 돌기레버(24)의 자유단부 반대쪽을 향하도록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걸이면(28)은 상기 탄성걸이돌기(26)에서 상기 돌기레버(24)의 자유단부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면(28)은 상기 돌기레버(24)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클립(30)의 골격을 클립몸체(3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32)의 일측에는 장착날개(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3)는 판넬(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날개(33)는 2개가 한 쌍으로 되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3)의 자유단부에는 걸이편(3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편(34)은 상기 장착날개(33)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편(34)은 상기 판넬에 형성된 관통공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3)의 자유단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클립몸체(32)를 둘러서 밀착편(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36)은 대략 원판 또는 타원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36)은 판넬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3)와 상기 밀착편(36)이 서로 협력하여 클립(30)이 판넬에 장착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편(36)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날개(33)의 반대 편에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32)의 타측에는 레일걸이부(3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는 2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는 각각 상기 클립레일(18)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는 각각 상기 클립레일(18)의 레일채널(20)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의 선단 외측 모서리에는 각각 안내경사면(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37')은 상기 레일걸이부(37)가 레일채널(20)에 들어가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의 사이에 해당되는 클립몸체(32)에는 고정걸이돌기(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돌기(38)는 상기 탄성걸이돌기(26)에 걸어져 클립(30)이 제1커넥터(1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돌기(38)는 상기 클립몸체(32)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걸이돌기(38)는 재질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변형만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걸이돌기(38)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안내경사면(39)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 걸이면(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39)은 상기 탄성걸이돌기(26)의 안내경사면(27)에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걸이면(39')은 상기 클립(30)이 제1하우징(1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탄성걸이돌기(26)의 걸이면(28)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40)는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4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43)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면 일측에는 지지단(4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단(45)의 상면은 지지면(46)이다. 상기 지지면(46)은 평면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단(45)의 일측에는 안내경사면(4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48)은 상기 제2하우징(41)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45)은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레버(24)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45)의 지지면(46)이 상기 돌기레버(24)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지지단(45)의 지지면(46)은 상기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9는 제2스페이서로서 제2커넥터(40)의 터미널안착공간(43) 내에 있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에 클립(30)이 장착되는 것을 먼저 설명한다. 상기 클립(30)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클립레일(18) 사이로 상기 레일걸이부(37)가 삽입된다. 상기 레일걸이부(37)는 양측의 것이 상기 클립레일(18)의 레일채널(20)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레일걸이부(37)가 상기 레일채널(20)에 삽입될 때, 상기 레일걸이부(37)의 선단에 안내경사면(37')이 있어서, 상기 클립레일(18)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립(30)의 레일걸이부(37)가 정확하게 상기 클립레일(18) 사이로 들어가지 않고 좌우로 이동되어 있더라도 레일걸이부(37)가 레일채널(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일걸이부(37)가 상기 레일채널(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걸이돌기(38)의 안내경사면(39)이 상기 돌기레버(24)에 있는 탄성걸이돌기(26)의 안내경사면(27)에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걸이돌기(26)가 상기 안내경사면(39)에 의해 눌러져 상기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탄성걸이돌기(26)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걸이돌기(38)는 상기 탄성걸이돌기(26)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걸이돌기(38)가 상기 탄성걸이돌기(26)를 타고 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돌기(38)가 상기 탄성걸이돌기(26)를 타고 넘게 되면, 상기 돌기레버(24)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탄성걸이돌기(26)의 걸이면(28)에 상기 고정걸이돌기(38)의 걸이면(39')이 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클립(30)이 상기 제1하우징(11)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의 제1커넥터(10)에 상기 제2커넥터(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4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단(45)이 상기 돌기레버(2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45)의 지지면(46)이 상기 돌기레버(24)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돌기레버(24)가 눌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될 수 없어서 클립(30)이 상기 제1커넥터(1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클립(30)을 상기 제1커넥터(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커넥터(40)를 먼저 상기 제1커넥터(1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제2커넥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돌기레버(24)를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클립(30)을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지그를 도 6의 (a)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돌기레버(24)의 탄성걸이돌기(26)를 눌러주면 상기 탄성걸이돌기(26)와 상기 고정걸이돌기(38)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30)을 상기 클립레일(18)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30)이 상기 제1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걸이돌기(38)에 의해 상기 탄성걸이돌기(26)에 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힘에 의해 상기 돌기레버(24)는 자유단부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려고 한다. 즉, 상기 고정걸이돌기(38)와 탄성걸이돌기(26)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돌기레버(24)가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걸이돌기(38)와 탄성걸이돌기(26) 사이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터미널안착공간
16: 제1스페이서 18: 클립레일
20: 레일채널 22: 스톱단
24: 돌기레버 25: 관통부
26: 탄성걸이돌기 27: 안내경사면
28: 걸이면 30: 클립
32: 클립몸체 33: 장착날개
34: 걸이편 36: 밀착편
37: 레일걸이부 37': 안내경사면
38: 고정걸이돌기 39: 안내경사면
39': 걸이면 40: 제2커넥터
41: 제2하우징 43: 터미널안착공간
45: 지지단 46: 지지면
48: 안내경사면 49: 제2스페이서

Claims (12)

  1. 내부에 선단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한 쌍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클립채널을 구비하는 클립레일과,
    상기 클립레일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탄성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레버와,
    상기 클립채널에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걸이돌기에 고정걸이돌기가 걸어져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패널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장착날개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레버에 형성된 탄성걸이돌기에는 상기 돌기레버의 자유단부 쪽에 걸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면 반대쪽에 상기 클립의 고정걸이돌기가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돌기에는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걸이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경사안내면에 안내되는 경사안내면이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부 내에 형성되는 커넥터.
  6.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선단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 클립레일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클립레일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부 내에 탄성걸이돌기가 있는 돌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클립레일에 걸어져 설치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에 고정걸이돌기가 걸어져 상기 제1커넥터에 설치되며 판넬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어지는 클립과,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돌기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레버는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레버에 형성된 탄성걸이돌기에는 상기 돌기레버의 자유단부 쪽에 걸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면 반대쪽에 상기 클립의 고정걸이돌기가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돌기에는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걸이면에 걸어지는 걸이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이돌기의 경사안내면에 안내되는 경사안내면이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레일에 삽입되는 방향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지지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지지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평면인 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레버의 하면에 접촉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210072819A 2021-06-04 2021-06-04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KR20220164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19A KR20220164269A (ko) 2021-06-04 2021-06-04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19A KR20220164269A (ko) 2021-06-04 2021-06-04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69A true KR20220164269A (ko) 2022-12-13

Family

ID=8443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19A KR20220164269A (ko) 2021-06-04 2021-06-04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2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36U (ko)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컨넥터 하우징과 클립의 결합구조
KR20100002454U (ko)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36U (ko)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컨넥터 하우징과 클립의 결합구조
KR20100002454U (ko) 2008-08-27 2010-03-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358B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CN107017498A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WO2001003246A1 (fr) Connecteur pour cartes avec contact a la masse
KR20110088346A (ko) 커넥터
JP2009170108A (ja) ダミーコネクタ
KR20220164269A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
CN106329174B (zh) 壁挂架组件及其夹线型连接器
KR20220169146A (ko) 클립 및 이를 가진 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CN211376991U (zh) 电连接器
CN212332599U (zh) 一种雨刮适配器与簧片之间的连接结构
JP2006210733A (ja) 接続端子の補強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810132B1 (ko) 커넥터
CN209805019U (zh) 零部件互锁型高可靠连接器
KR20100070893A (ko) 방수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2644963B1 (ko) 커넥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219040817U (zh) Usb type-c弯头连接器
CN221043549U (zh) 走线固定机构
CN213989952U (zh) 一种线缆固定装置和一种天线
CN110048279B (zh) 一种零部件互锁型高可靠连接器
CN111725670B (zh) 一种开关插座
CN211429709U (zh) 一种卡扣组件及组合仪表
KR200444896Y1 (ko) 커넥터
KR101969459B1 (ko)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