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59B1 -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59B1
KR101969459B1 KR1020180080090A KR20180080090A KR101969459B1 KR 101969459 B1 KR101969459 B1 KR 101969459B1 KR 1020180080090 A KR1020180080090 A KR 1020180080090A KR 20180080090 A KR20180080090 A KR 20180080090A KR 101969459 B1 KR101969459 B1 KR 10196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x
assembly
connec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59B1/ko
Priority to CN201910614731.8A priority patent/CN11069674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멀티블럭(10) 및 멀티블럭(10)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P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쪽으로 제1터미널(T)이 삽입되어 수납되고 반대쪽으로 상기 제1터미널(T)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조립부품이 설치되는 블럭몸체(11)와, 상기 블럭몸체(11)의 외면에 구비되어 블럭몸체(11)가 차량용 박스(P1)에 고정되게 하는 박스조립부(13)와, 상기 블럭몸체(11)의 외면에 구비되어 확장커넥터(30)가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커넥터조립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블럭(10)에는 확장커넥터(30)가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확장커넥터(30)에는 멀티블럭(10)과 별개로 다양한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Extendable multi-block and box for c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 등 전자부품이 결합되고 추가로 다른 커넥터나 블럭을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는 멀티블럭 및 이러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전원분배를 위한 차량용 박스가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 릴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을 집합시켜 놓은 것이다. 차량용 박스는 자동차의 각종 전장 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전류를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량용 박스에는 릴레이가 꽂히는 릴레이블럭이 사용되기도 한다. 릴레이블럭은 그 위쪽에 릴레이가 설치되면, 릴레이가 릴레이블럭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릴레이블럭은 차량용 박스와 별개물로 만들어진 후에 차량용 박스에 조립되거나, 또는 차량용 박스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릴레이블럭에는 릴레이만 설치될 수 있고 다른 부품이 설치될 수 없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블럭만으로 회로구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는 없고 반드시 차량용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용 박스의 다른 부품들과 연결되어야 하는 한계도 있다.
한편, 차량용 박스에는 릴레이블럭을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데,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새롭게 부품을 추가하려면 차량용 박스 전체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차량용 박스를 새롭게 설계/생산하지 않고도 보다 다양하고 많은 부품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8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박스에 설치되는 멀티블럭에 릴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게 하고, 멀리블럭이 독자적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박스에 멀티블럭을 결합하여 확장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쪽으로 제1터미널이 삽입되어 수납되고 반대쪽으로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조립부품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블럭몸체가 차량용 박스에 고정되게 하는 박스조립부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확장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커넥터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조립부와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 중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있고,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있다.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을 1차고정하기 위한 랜스가 있고, 상기 제1조립부품은 상기 제1터미널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확장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조립부에 조립되고, 제2터미널 및 상기 제2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조립부품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 사이에 위치하고 경사지게 돌출된 커넥터체결턱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커넥터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체결턱에 걸려 고정되되 상기 커넥터체결턱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탄성걸림편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삽입홈 및 여기에 끼워지는 가이드리브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삽입홈은 상기 블럭몸체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다.
상기 블럭몸체에는 제1터미널고정수단이 조립되는데,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은 상기 제1터미널이 블럭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터미널을 블럭몸체에 2차고정시킨다.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에는 탄성변형가능한 고정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에 있는 후크걸림턱에 걸려 제1터미널고정수단이 블럭몸체에 고정된다.
상기 박스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돌출된 한 쌍의 블럭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블럭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차량용 박스에 조립되는 블럭탄성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박스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박스부품들이 회로를 구성하여 전기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부에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부와, 상기 블럭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박스부품 이외의 추가적인 제1조립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멀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블럭의 외면에는 확장커넥터가 탈착가능한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박스부품 및 제1조립부품 이외에 추가적인 제2조립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확장커넥터가 조립된다.
상기 블럭고정부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경사지게 돌출된 블럭체결턱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블럭에는 상기 블럭고정부에 대응하는 박스조립부가 있으며, 상기 박스조립부는 상기 멀티블럭의 블럭몸체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한 쌍의 블럭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블럭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블럭체결턱에 걸리는 블럭탄성편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슬롯 및 이에 끼워지는 상기 블럭가이드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블럭몸체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가이드슬롯의 입구는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박스몸체의 안쪽에는 블럭장착부가 있고, 상기 멀티블럭은 상기 블럭장착부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멀티블럭은 상기 블럭장착부의 아래쪽에서 끼워지고, 상기 블럭장착부는 상기 멀티블럭의 상단과 멀티블럭의 박스조립부 하단을 각각 고정한다.
상기 블럭장착부에는 상기 블럭장착부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블럭고정편이 있고, 상기 블럭고정편은 상기 멀티블럭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박스조립부의 블럭가이드 하단을 걸어 고정하며, 상기 블럭장착부의 위쪽에는 걸림단차부가 블럭장착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블럭의 가이드펜스 상단을 걸어 고정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멀티블럭에는 확장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확장커넥터에는 멀티블럭과 별개로 다양한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블럭에 결합되는 확장커넥터를 통해서 종래의 릴레이블럭에 비해 제품호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멀티블럭에 설치되는 전장부품과, 확장커넥터에 설치되는 전장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독립적인 회로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용 박스와 별개로 추가적인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차량용 박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멀티블럭은 차량용 박스의 외면에 결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박스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있을 때 차량용 박스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멀티블럭만 차량용 박스에 결합시키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용 박스의 호환성이 높아지고, 추가 설계 및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과 여기에 결합되는 확장커넥터로 구성되는 멀티블럭조립체의 일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블럭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멀티블럭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에 두 개의 확장커넥터가 결합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에 확장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조립된 차량용 박스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차량용 박스에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차량용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조립된 차량용 박스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차량용 박스에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이 차량용 박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멀티블럭(10)(이하 '멀티블럭(10)'이라 함)과, 멀티블럭(10)이 설치되는 차량용 박스(P1)에 관한 것이다. 멀티블럭(10)은 다양한 전장부품, 예를 들어 릴레이나 퓨즈와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이고, 멀티블럭(10)은 다시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어 차량용 박스(P1)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멀티블럭(10)에는 다시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되어 멀티블럭(10) 및 차량용 박스(P1)에 새로운 부품을 장착할 수 있게 해준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멀티블럭(10)-확장커넥터(30) 사이의 조립구조와, 차량용 박스(P1)-멀티블럭(10) 사이의 조립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멀티블럭(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멀티블럭(10)에는 확장커넥터(30)가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커넥터(30)가 멀티블럭(10)에 조립되어 블럭조립체를 구성한 상태로, 블럭조립체는 다시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멀티블럭(10)에는 박스조립부(13)와 커넥터조립부(20)가 있다.
멀티블럭(1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멀티블럭(10)의 블럭몸체(1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럭몸체(11)의 상부에는 제1장착부(12)가 있고 여기에는 제1조립부품(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1조립부품은 릴레이일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2)의 양쪽에는 가이드펜스(14)가 있는데, 상기 가이드펜스(14)는 상기 제1장착부(12)의 양쪽에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제1장착부(12) 및 제1조립부품을 보호해준다.
상기 멀티블럭(10)의 외면에는 박스조립부(13)가 있다. 상기 박스조립부(13)는 상기 멀티블럭(10)이 아래에서 설명할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게 해주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박스조립부(13)는 멀티블럭(10)의 외면에 하나만 있지만, 서로 다른 외면에 다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박스조립부(13)가 차량용 박스(P1)의 블럭고정부(130)와 조립되면 상기 멀티블럭(10)이 차량용 박스(P1)에 고정된다.
상기 박스조립부(13)를 살펴보면, 상기 박스조립부(13)는 크게 상기 블럭몸체(11)의 외면에 돌출된 한 쌍의 블럭가이드(15)와, 한 쌍의 블럭가이드(15) 사이에 위치한 블럭탄성편(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가이드(15)는 상기 멀티블럭(10)이 차량용 박스(P1)에 결합되는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블럭탄성편(16) 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블럭가이드(15)는 대략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차량용 박스(P1)의 가이드슬롯(132)에 끼워지는데, 아래 차량용 박스(P1)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럭탄성편(16)은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는 부분으로, 상기 블럭몸체(11)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된다. 상기 블럭탄성편(16)은 양쪽의 블럭가이드(15)가 만드는 소정의 공간(15')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블럭탄성편(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차량용 박스(P1)의 블럭고정부(130)에 있는 블럭체결턱(135)에 걸린다. 이를 위해 블럭탄성편(16)의 외면에는 블럭체결턱(135)에 걸리는 걸이턱(17)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블럭탄성편(16)의 고정단부(16')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자유단부는 위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블럭탄성편(16)이 블럭몸체(11)에 고정되는 부분은 블럭몸체(11)의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있고,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자유단부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된 형태가 된다.
블럭몸체(11)에는 제1터미널(T)이 설치된다. 제1터미널(T)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1조립부품이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조립부품이 멀티블럭(10)에 장착되면, 제1조립부품은 상기 제1터미널(T)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터미널(T)은 블럭몸체(11)의 아래쪽에서 끼워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블럭몸체(11)의 내부에는 제1터미널(T)을 고정하기 위한 랜스가 있다.
제1터미널(T)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고, 와이어(W)는 외부로 연장되어 다른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와이어(W)는 외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외력을 받기 쉬운데, 그 과정에서 제1터미널(T)이 멀티블럭(10)에서 분리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는 제1터미널고정수단(18)이 멀티블럭(10)에 조립된다.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18)은 상기 제1터미널(T)이 블럭몸체(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T)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터미널(T)을 블럭몸체(11)에 2차고정시켜준다.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18)에는 탄성변형가능한 다수개의 고정후크(19)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후크(19)의 걸림공(19')이 상기 블럭몸체(11)의 내부에 있는 후크걸림턱(12')에 걸려 제1터미널고정수단(18)이 블럭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블럭몸체(11)에 있는 랜스는 제1터미널(T)을 고정하기 위한 첫번째 고정수단이 되고,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18)은 두번째 고정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터미널(T)과 와이어(W)를 멀티블럭(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멀티블럭(10)에 있는 커넥터조립부(20)를 보면, 상기 커넥터조립부(20)는 상기 멀티블럭(10)의 외면에 위치하여 멀티블럭(10)의 외면에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커넥터조립부(20)는 다수개가 있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조립부(20)가 상기 블럭몸체(11)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있으면, 확장커넥터(30)도 멀티블럭(10)에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박스조립부(13)와 상기 커넥터조립부(20)는 상기 블럭몸체(11)의 외면 중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조립부(20)가 블럭몸체(11)의 서로 반대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총 2개의 확장커넥터(30)가 멀티블럭(10)에 조립될 수 있는데, 도 1과 같이 하나의 확장커넥터(30)만 조립되거나, 도 4와 같이 2개의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조립부(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커넥터조립부(20)는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2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22) 사이에 위치한 커넥터체결턱(25)을 포함한다. 가이드삽입홈(22)은 가장 바깥쪽에 있는 외곽펜스(21)와 외곽펜스(21) 안쪽에 위치한 중심체결돌부(2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삽입홈(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확장커넥터(30)의 가이드리브(4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 및 여기에 끼워지는 가이드리브(41)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은 상기 블럭몸체(11)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동시에 블럭몸체(11)의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커넥터(30)는 상기 멀티블럭(10)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체결턱(25)에는 경사면이 있고, 이 경사면(26)을 타고 확장커넥터(30)의 탄성걸림편(43)이 탄성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의 입구에 해당하는 위쪽 끝부분은 개방되어 있어서 가이드리브(41)가 끼워질 수 있지만, 가장 아래쪽 끝부분은 막혀 있어서 확장커넥터(30)가 아래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다음으로 확장커넥터(30)를 설명하면, 상기 확장커넥터(30)는 상기 멀티블럭(10)의 커넥터조립부(20)에 조립되고, 제2터미널 및 상기 제2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조립부품이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터미널과 제2조립부품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터미널과 제2조립부품은 생략되고 확장커넥터(3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확장커넥터(30)의 커넥터몸체(31)에는 제2조립부품이 설치되는 제2장착부(32)가 있고, 그 내부에는 랜스가 있어서 제2터미널을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확장커넥터(30)는 블럭몸체(11)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형상의 커넥터몸체(31)가 골격을 형성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확장커넥터(30)에는 설치부(40)가 있는데, 상기 설치부(40)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41)와 그 사이에 위치한 탄성걸림편(4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리브(41)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22)에 끼워지는 것으로, 대략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탄성걸림편(43) 보다 돌출되어 탄성걸림편(43)을 보호한다. 상기 가이드리브(41)는 가이드삽입홈(22)의 위쪽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가이드삽입홈(22)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43)은 양쪽에 있는 탄성슬릿(44)의 존재로 인해 일종의 외팔보형상이 되는 부분이고, 그 외면에는 장착턱(45)이 돌출되어 있다. 장착턱(45)에는 경사면(46)이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탄성걸림편(43)은 멀티블럭(10)의 커넥터체결턱(25)에 걸려 고정되는데, 조립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탄성걸림편(43)의 장착턱(45)이 커넥터체결턱(25)에 걸린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해서 멀티블럭(10)에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확장커넥터(30)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멀티블럭(1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우선 도 5(a)와 같이 확장커넥터(30)의 설치부(40)와 멀티블럭(10)의 커넥터조립부(20)가 마주보는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서, 동시에 확장커넥터(30)의 가이드리브(41) 하단이 가이드삽입홈(22)의 위쪽에 위치해야 한다.
이 상태로 확장커넥터(3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확장커넥터(30)의 가이드리브(41)는 멀티블럭(10)의 가이드삽입홈(22)에 끼워져 이동하는데, 상기 가이드삽입홈(22) 및 여기에 끼워지는 가이드리브(41)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기 때문에 서로 걸려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도 5(b)와 같이 탄성걸림편(43)이 커넥터체결턱(25)을 타고 탄성변형된다. 도면부호 44'는 탄성걸림편(43)의 후방에 위치한 일종의 여유공간인 변형공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확장커넥터(30)가 더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탄성걸림편(43)이 커넥터체결턱(25)을 완전히 타고 넘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탄성걸림편(43)의 장착턱(45)이 커넥터체결턱(25)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커넥터(30)는 다시 반대방향인 위쪽으로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가이드리브(41)가 가이드삽입홈(22)의 바닥면에 닿아 아래쪽으로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확장커넥터(30)는 멀티블럭(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되어 멀티블럭조립체(B)를 구성하면, 멀티블럭(10)에 결합되는 확장커넥터(30)를 통해서 종래의 단순한 릴레이블럭 보다 다양한 부품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블럭(10)에는 릴레이를 설치하되 확장커넥터(30)에는 릴레이가 아닌 다른 전장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멀티블럭(10)에 설치되는 전장부품과, 확장커넥터(30)에 설치되는 전장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독립적인 회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차량용 박스(P1)를 설명하면, 차량용 박스(P1)는 퓨즈, 릴레이 등 다양한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자동차 내부에서 전원분배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박스몸체(10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여기에는 차량의 내부에 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브라켓(110)이 돌출된다.
상기 박스몸체(100)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15)가 있는데, 여기에는 퓨즈, 릴레이 터미널 등 박스부품이 장착된다. 이러한 박스부품은 앞서 설명한 1조립부품 및 제2조립부품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차량용 박스(P1)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다. 즉, 박스몸체(100)에 박스부품이 장착되어 차량용 박스(P1)가 기능을 수행하고, 만약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멀티블럭(10) 또는 멀티블럭조립체(B)를 차량용 박스(P1)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00)에는 다수개의 블럭고정부(130)가 있다. 상기 블럭고정부(130)는 박스몸체(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기에 멀티블럭(10) 또는 멀티블럭조립체(B)가 조립된다. 도 6에는 하나의 확장커넥터(30)가 포함된 멀티블럭조립체(B)가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블럭고정부(130)는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둘러서 다수개가 있을 수 있는데, 도 7에는 2개의 블럭고정부(130)가 박스몸체(100)의 같은 외면에 떨어져 있고, 1개의 블럭고정부(130)는 이와 이웃한 다른 외면에 있다.
상기 블럭고정부(130)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13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132) 사이에 위치하는 블럭체결턱(1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132)에는 앞서 설명한 멀티블럭(10)의 박스조립부(13)에 있는 블럭가이드(15)가 끼워지는데, 상기 가이드슬롯(132) 및 이에 끼워지는 상기 블럭가이드(15)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다. 상기 가이드슬롯(132)은 상기 블럭몸체(11)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동시에 가이드슬롯(132)의 입구에 해당하는 위쪽 끝부분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블럭가이드(15)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슬롯(132)의 가장 아래쪽 끝부분은 막혀 있어서 멀티블럭(10)이 아래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가이드슬롯(132)은 가장 바깥쪽에 있는 슬롯펜스(131) 안쪽에 만들어지고, 한 쌍의 가이드슬롯(132) 사이에 위치한 중앙장착부(133)의 중심에는 블럭체결턱(135)이 있다. 상기 블럭체결턱(135)에는 경사면(136)이 있어서 멀티블럭(10)의 블럭탄성편(16)을 자연스럽게 탄성변형시켜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을 참조하여 멀티블럭조립체(B)가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멀티블럭조립체(B)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차량용 박스(P1)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우선 도 8(a)와 같이 차량용 박스(P1)의 블럭고정부(130)와 멀티블럭(10)의 박스조립부(13)가 마주보는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서, 동시에 멀티블럭(10)의 블럭가이드(15) 하단이 가이드슬롯(132)의 위쪽에 위치해야 한다.
이 상태로 멀티블럭조립체(B)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멀티블럭(10)의 블럭가이드(15)는 차량용 박스(P1)의 가이드슬롯(132)에 끼워져 이동하는데, 상기 가이드슬롯(132) 및 여기에 끼워지는 블럭가이드(15)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기 때문에 서로 걸려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도 8(b)와 같이 블럭탄성편(16)이 블럭체결턱(135)을 타고 탄성변형된다. 도면부호 S는 블럭탄성편(16)의 후방에 위치한 일종의 여유공간인 변형공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멀티블럭조립체(B)가 더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블럭탄성편(16)이 블럭체결턱(135)을 완전히 타고 넘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블럭탄성편(16)의 걸이턱(17)이 블럭체결턱(135)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멀티블럭조립체(B)는 다시 반대방향인 위쪽으로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블럭가이드(15)가 가이드슬롯(132)의 바닥면에 닿아 아래쪽으로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멀티블럭조립체(B)는 차량용 박스(P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멀티블록에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되지 않고 멀티블록만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거나, 또는 두 개의 확장커넥터(30)가 조립된 상태의 멀티블록조립체가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박스(P1)에 다수개의 멀티블록조립체가 조립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다른 종류의 차량용 박스(P2)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박스(P1)의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는 2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멀티블럭(10)이 차량용 박스(P2)에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멀티블럭(10)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박스(P2)에는 블럭장착부(230)가 있다. 상기 블럭장착부(230)는 박스몸체(200)의 안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블럭장착부(230)는 박스몸체(200)의 외면이 아니라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블럭장착부(230)는 박스몸체(20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러한 블럭장착부(230)에는 멀티블럭(10)이 설치되고, 블럭장착부(230)는 차량용 박스(P2)에 다수개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내부에는 멀티블럭(10)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멀티블럭(10)은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아래쪽에서 끼워진다. 다시 말해 상기 멀티블럭(10)은 차량용 박스(P2)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끼워지므로, 차량용 박스(P2)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 예를 들어 릴레이나 퓨즈 등과 반대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장착공간(231)은 위아래 방향으로 각각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블럭장착부(230)는 멀티블럭(10)을 수용할 수는 있지만, 확장커넥터(30)가 포함된 멀티블럭조립체(B)는 수용할 수 없다. 물론, 블럭장착부(230)가 멀티블럭조립체(B)까지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멀티블럭(10) 뿐 아니라 확장커넥터(30)에도 블럭장착부(23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장착공간(231)의 가장자리에는 펜스가 더 돌출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단차부(238, 도 11 참조)가 있다. 상기 장착공간(231)의 안쪽에는 블럭고정편(235)이 있다. 상기 블럭고정편(235)은 장착공간(231)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도 9와 도 10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상기 블록고정편은 탄성변형을 통해 멀티블럭(10)을 블럭장착부(230)에 고정시켜준다. 상기 블럭고정편(235)은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고, 상기 블럭고정편(235)은 상기 멀티블럭(1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박스조립부(13)의 블럭가이드(15) 하단을 걸어 고정해준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해서 멀티블럭(10)이 차량용 박스(P1)에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멀티블럭조립체(B)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차량용 박스(P1)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우선 도 11(a)와 같이 장착공간(231)의 아래쪽 입구쪽에 멀티블럭(10)을 배치한 상태에서, 멀티블럭(10)을 위쪽으로 밀어올려야 한다.
멀티블럭(10)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멀티블럭(10)의 블럭가이드(15)는 블럭장착부(230)의 내면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된 블럭고정편(235)에 닿는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멀티블럭(10)을 위로 더 이동시키면 블럭가이드(15)가 블럭고정편(235)을 탄성변형시킨다. 도 11(b)에는 상기 블럭고정편(235)이 후방에 위치한 변형공간(237)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블럭(10)이 더 위쪽으로 이동하면 블럭가이드(15)가 블럭고정편(235)을 완전히 타고 넘어 블럭고정편(235)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블럭고정편(235)의 지지턱(236)이 멀티블럭(10)의 블럭가이드(15)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블럭장착부(230)의 위쪽에는 걸림단차부(238)가 블럭장착부(230)를 좁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블럭(10)의 가이드펜스(14) 상단을 걸어 고정해준다. 이에 따라 상기 멀티블럭(10)은 다시 반대방향인 아래쪽으로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위쪽으로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멀티블럭(10)은 차량용 박스(P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의 실시례에는 차량용 박스(P1)에 블럭장착부(230)가 생략되어 있지만, 도 6의 실시례의 차량용 박스(P1)에도 블럭고정부(130) 외에 블럭장착부(230)가 함께 있을 수도 있다.
10: 멀티블럭 11: 블럭몸체
12: 제1장착부 13: 박스조립부
15: 블럭가이드 16: 블럭탄성편
18: 제1터미널고정수단 19: 고정후크
20: 커넥터조립부 21: 외곽펜스
22: 가이드삽입홈 25: 커넥터체결턱
30: 확장커넥터 31: 커넥터몸체
40: 설치부 41: 가이드리브
43: 탄성걸림편 45: 장착턱
100: 박스몸체 130: 블럭고정부
132: 가이드슬롯 135: 블럭체결턱
230: 블럭장착부 231: 장착공간
235: 블럭고정편 B: 멀티블럭조립체
T: 제1터미널 W: 와이어

Claims (16)

  1. 한쪽으로 제1터미널이 삽입되어 수납되고 반대쪽으로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조립부품이 설치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블럭몸체가 차량용 박스에 고정되게 하는 박스조립부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확장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커넥터조립부를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조립부와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 중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있고,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있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을 1차고정하기 위한 랜스가 있고, 상기 제1조립부품은 상기 제1터미널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커넥터조립부에는 상기 확장커넥터가 조립되어 멀티블럭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커넥터에는 제2터미널 및 상기 제2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조립부품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에 설치된 제1조립부품과 확장커넥터에 설치된 제2조립부품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조립부는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 사이에 위치하고 경사지게 돌출된 커넥터체결턱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커넥터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삽입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체결턱에 걸려 고정되되 상기 커넥터체결턱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탄성걸림편이 구비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삽입홈 및 여기에 끼워지는 가이드리브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삽입홈은 상기 블럭몸체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에는 제1터미널고정수단이 조립되는데,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은 상기 제1터미널이 블럭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터미널을 블럭몸체에 2차고정시키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고정수단에는 탄성변형가능한 고정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에 있는 후크걸림턱에 걸려 제1터미널고정수단이 블럭몸체에 고정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조립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돌출된 한 쌍의 블럭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블럭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차량용 박스에 조립되는 블럭탄성편을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11. 내부에 다수의 박스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박스부품들이 회로를 구성하여 전기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부에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부와,
    상기 블럭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박스부품 이외의 추가적인 제1조립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멀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블럭의 외면에는 확장커넥터가 탈착가능한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박스부품 및 제1조립부품 이외에 추가적인 제2조립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확장커넥터가 조립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고정부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경사지게 돌출된 블럭체결턱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블럭에는 상기 블럭고정부에 대응하는 박스조립부가 있으며, 상기 박스조립부는
    상기 멀티블럭의 블럭몸체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한 쌍의 블럭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블럭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여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블럭체결턱에 걸리는 블럭탄성편을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 및 이에 끼워지는 상기 블럭가이드의 횡단면은 각각 'L'자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블럭몸체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가이드슬롯의 입구는 상부로 개방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의 안쪽에는 블럭장착부가 있고, 상기 멀티블럭은 상기 블럭장착부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블럭은 상기 블럭장착부의 아래쪽에서 끼워지고, 상기 블럭장착부는 상기 멀티블럭의 상단과 멀티블럭의 박스조립부 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장착부에는 상기 블럭장착부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블럭고정편이 있고, 상기 블럭고정편은 상기 멀티블럭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박스조립부의 블럭가이드 하단을 걸어 고정하며, 상기 블럭장착부의 위쪽에는 걸림단차부가 블럭장착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블럭의 가이드펜스 상단을 걸어 고정하는 확장가능한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KR1020180080090A 2018-07-10 2018-07-10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KR10196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90A KR101969459B1 (ko) 2018-07-10 2018-07-10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CN201910614731.8A CN110696740B (zh) 2018-07-10 2019-07-09 可扩展的多块以及包括多块的汽车盒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90A KR101969459B1 (ko) 2018-07-10 2018-07-10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459B1 true KR101969459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90A KR101969459B1 (ko) 2018-07-10 2018-07-10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9459B1 (ko)
CN (1) CN11069674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047A (ja) * 1997-01-16 1998-07-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ブロック構造
JP2007129790A (ja) * 2005-11-01 2007-05-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1671862B1 (ko) 2015-04-09 2016-11-03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73B1 (ko) * 2014-07-09 2015-06-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멀티박스
CN205800989U (zh) * 2016-05-13 2016-12-14 深圳车盒子科技有限公司 汽车智能盒子及车载智能交互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047A (ja) * 1997-01-16 1998-07-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ブロック構造
JP2007129790A (ja) * 2005-11-01 2007-05-2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1671862B1 (ko) 2015-04-09 2016-11-03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96740A (zh) 2020-01-17
CN110696740B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436B2 (ja) コネクタ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8317545B2 (en) Electric connector plug and its assembly method
JP2011019375A (ja) 電気接続箱
KR101441045B1 (ko)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JP2011015467A (ja) 電気接続箱
KR101969459B1 (ko) 확장가능한 멀티블럭 및 멀티블럭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US20060035536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90111705A (ko) 차량용 박스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CN112436465B (zh) 电连接盒
CN107210550B (zh) 允许拆卸的电连接器、电子模块和组装方法
KR20100006922U (ko) 차량용 정션 박스
KR101512615B1 (ko) 자동차용 박스
KR101044038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200448593Y1 (ko) 커넥터
US9263816B1 (en) Retention member for use with a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90023816A (ko)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KR20110070192A (ko) 커넥터
KR200447847Y1 (ko)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JP2957063B2 (ja) 電気接続箱
KR101830435B1 (ko) 배선장치
KR20220169146A (ko) 클립 및 이를 가진 커넥터
KR101821107B1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KR100922156B1 (ko) 차량용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