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215A -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215A
KR20220164215A KR1020210072698A KR20210072698A KR20220164215A KR 20220164215 A KR20220164215 A KR 20220164215A KR 1020210072698 A KR1020210072698 A KR 1020210072698A KR 20210072698 A KR20210072698 A KR 20210072698A KR 20220164215 A KR20220164215 A KR 2022016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detection
lateral flow
p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90B1 (ko
Inventor
이병환
김다미
민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메디
Priority to KR102021007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6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magnetic fo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은 외벽(110)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내부 공간(12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내부 공간(120)의 좌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제1 흡수 패드(210) 및 제1 자석(220)을 포함하는 유인부(200);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인부(200)의 우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기판(310), 상기 제1 기판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제2 자석(320), 시료 패드(sample pad)(330) 및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부(340)를 포함하는 이동부(300); 상기 시료 패드(330)와 접하는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를 포함하는 검출부(400);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판(31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4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30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은 시료의 양이 일정 이상 주입되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에 더 이상 시료의 주입이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시료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METHOD OF QUANTITATIVE SAMPLE INJEC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USING LATERAL FLOW ASSAY STRIP}
본 발명은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의 정량화를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형태의 시료가 일정한 양으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에 주입되게 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해 정량의 시료가 주입된 스트립의 정량적 결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측방유동분석(Lateral flow assay, LFA)은 대표적으로 임신 진단 키트가 존재하는데 대부분 정량 분석보다는 정성적(on/off) 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측방유동분석에서 분석 물질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인가되는 시료의 양(volume)이 일정해야 한다. 하지만, 실험실 조건이 아닌 환경에서 일반인 사용자가 시료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인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에서 시료의 정량 주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에서 시료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벽(110)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내부 공간(12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내부 공간(120)의 좌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제1 흡수 패드(210) 및 제1 자석(220)을 포함하는 유인부(200);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인부(200)의 우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기판(310), 상기 제1 기판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제2 자석(320), 시료 패드(sample pad)(330) 및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부(340)를 포함하는 이동부(300); 상기 시료 패드(330)와 접하는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를 포함하는 검출부(400);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판(31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4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30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자석(220) 및 상기 제2 자석(320)은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시료 투입부(340)로 투입된 시료와 접촉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인력이 작용하여 파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는 액체이고, 상기 시료 패드(330)는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검출부(400)는 상기 시료 패드(13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시료에 의해 파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파열이 상기 검출부(400)에 소정의 양을 초과한 시료가 공급되었을 때 검출부(40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가 시료에 의해 파열됨으로써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인부(200)와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검출부(400)와 상기 시료 패드(130)가 분리되어 소정의 양을 초과한 초과분의 시료가 검출부(400)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200)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흡수 패드(210)가 상기 시료 패드(33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가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코올(PVA),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타측이 상기 검출부(400)와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검출부(400)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400)가 제2 기판(44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440) 상에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검출부(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의 일면이 상기 제1 기판(31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500)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44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440)과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검출부(400)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투입부(340)가 시료 투입 저장소(reservoi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해 스트립에 정량의 시료를 주입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이고, (a) 시료 투입부(340)에 시료들 투입하여 시료 패드(330)에 시료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시료 패드(330)와 접하는 검출부(400)로 상기 시료가 공급되고,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고정부(500)로 시료가 공급되어 고정부(500)가 파열되는 단계; 및 (c) 상기 고정부(500)의 파열에 의해 이동부(300)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부(300)가 유인부(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하고, 상기 시료 패드(330)와 상기 검출부(400)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시료의 소정의 양을 초과하는 초과분이 검출부(400)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200)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부(100)의 이동이 제1 자석(120) 및 제2 자석(320) 간의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정량 주입 방법이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검출부(400)가 공급된 상기 시료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의 대상이 독감(influenza) 바이러스, 후천성 면역 결핍(HIV) 바이러스, 천연두(variola)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지카(Zika) 바이러스, 코로나(corona) 바이러스, HPV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폐렴, 결핵 및 임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은 시료의 양이 일정 이상 주입되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에 더 이상 시료의 주입이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시료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은 시료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일반인도 쉽게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하우징 내부 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하우징 내부 공간의 구조에서 고정부(500)의 위치와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이동부(위)와 검출부 및 고정부(아래)의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에서 고정부(500)의 위치와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해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진행할 때 모습을 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여," 또는 "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하우징 내부 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외벽(110)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내부 공간(12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내부 공간(120)의 좌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제1 흡수 패드(210) 및 제1 자석(220)을 포함하는 유인부(200);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인부(200)의 우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기판(310), 상기 제1 기판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제2 자석(320), 시료 패드(sample pad)(330) 및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부(340)를 포함하는 이동부(300); 상기 시료 패드(330)와 접하는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를 포함하는 검출부(400);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판(31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4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300)를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석(220) 및 상기 제2 자석(320)은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시료 투입부(340)로 투입된 시료와 접촉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인력이 작용하여 파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는 액체이고, 상기 시료 패드(330)는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검출부(400)는 상기 시료 패드(13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시료에 의해 파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파열이 상기 검출부(400)에 소정의 양을 초과한 시료가 공급되었을 때 검출부(40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가 시료에 의해 파열됨으로써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인부(200)와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검출부(400)와 상기 시료 패드(130)가 분리되어 소정의 양을 초과한 초과분의 시료가 검출부(400)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200)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유인부(20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흡수 패드(210)가 상기 시료 패드(330)로부터 시료를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가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친수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코올(PVA),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타측이 상기 검출부(400)와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검출부(400)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의 하우징 내부 공간의 구조에서 고정부(500)의 위치와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은 상기 검출부(400)가 제2 기판(44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440) 상에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검출부(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의 일면이 상기 제1 기판(31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500)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440)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0)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440)과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410), 검출 멤브레인(420)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4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검출부(400)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투입부(340)가 시료 투입 저장소(reservoi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한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해 스트립에 정량의 시료를 주입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이고, (a) 시료 투입부(340)에 시료들 투입하여 시료 패드(330)에 시료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시료 패드(330)와 접하는 검출부(400)로 상기 시료가 공급되고,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고정부(500)로 시료가 공급되어 고정부(500)가 파열되는 단계; 및 (c) 상기 고정부(500)의 파열에 의해 이동부(300)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부(300)가 유인부(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하고, 상기 시료 패드(330)와 상기 검출부(400)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시료의 소정의 양을 초과하는 초과분이 검출부(400)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200)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부(100)의 이동이 제1 자석(120) 및 제2 자석(320) 간의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정량 주입 방법이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검출부(400)가 공급된 상기 시료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의 대상이 독감(influenza) 바이러스, 후천성 면역 결핍(HIV) 바이러스, 천연두(variola)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지카(Zika) 바이러스, 코로나(corona) 바이러스, HPV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폐렴, 결핵 및 임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Backing card 1, 310)으로 Boreda strip backing card를 사용하였고, 시료 패드(sample pad, 330)로 glass fiber(Boreda 사)를 사용하였다.
제2 기판(Backing card 2, 440)으로 Boreda strip backing card를 사용하였고, 탐지 패드(probe pad, 410)로 glass fiber(Boreda 사), 검출 멤브레인(detection membrane, 420)으로 Nitrocellulose membrane, Vivid 170(PALL 사),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 430)로 Cellulose membrane, AP22, grade 222(Boreda 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정부는 물에 녹는 종이(사이언스피아/퓨처테크닉)를 사용하였으며 고정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접착제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의 제조
(이동부 제조)
제1 기판의 한쪽 끝에 자석을 결합시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30 mm 길이의 시료 패드가 제1 기판과 접합되게 위치시켰다. 이때, 시료 패드의 28 mm만 제1 기판에 고정되어 있으며(backing card의 점착제에 의해 부착됨) 나머지 2 mm는 검출부의 검출 멤브레인과 겹치기 위해 제1 기판과 접합되어 있지 않게 하여 이동부를 제조하였다. 도 4에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이동부(위)의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검출부 및 고정부 제조)
실시예 1에서는 탐지 패드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나 통상적인 검출 스트립의 경우 Gold nanoparticle을 내장시키기 위해 probe pad가 필요하다.
제2 기판에 검출 멤브레인을 접합시킨 후, 상기 검출 멤브레인에 2 mm 겹치도록 흡수 패드를 위치시켰다.
상기 제2 기판의 하단에 1 mm 두께에 4 mm 길이의 접착제(양면테이프)를 붙인 후, 1 mm 두께, 9 mm 길이의 고정부(녹는 종이)를 상기 검출 멤브레인과 제2 기판을 두르게 위치시켰으며, 이때 상기 제2 기판의 하단에 위치한 접착제에 상기 고정부가 붙게 된다.
도 4에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검출부 및 고정부(아래)의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제조)
상기 이동부의 제1 기판 상에 1 mm 두께에 4 mm 길이의 접착제(양면테이프)를 붙인 후, 상기 검출부의 제2 기판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부(녹는 종이)와 접착시켰다.
상기 접착에 따라 이동부, 검출부, 고정부의 단면이"이동부의 제1 기판 상단의 접착제-고정부(녹는 종이)-검출부의 제2 기판-상기 제2 기판 상의 검출 멤브레인-고정부(녹는 종이)"순서로 나열되며 이를 도 3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부의 자석 방향에서 2 내지 5 c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고,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반대 극성의 자석을 하우징의 좌측에 고정시켜 유인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검출부의 흡수 패드 방향의 제2 기판을 상기 하우징의 우측에 고정시켜 자석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지만, 고정부에 의해 이동부가 움직이지 않는 형태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의 시료 정량 주입 확인
도 8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10)을 이용해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을 진행할 때 모습을 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시료가 정량으로 주입되는지 확인하였고, 이 확인 과정을 도 8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8을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에서 시료 패드(sample pad)에 90 μL의 붉은색 잉크가 포함된 물을 피펫으로 인가하였으며 50 초가 지난 시점에서 이동부와 검출부가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5개에 각각 붉은색 잉크가 포함된 물을 피펫으로 인가하는 것을 반복 수행(15회)하였다.
이동부와 검출부가 분리된 이후, 이동부의 시료패드를 분리하여 저울을 통해 무게를 측정하고, 실험 전 시료 패드의 무게를 빼서 남아있는 물의 양을 측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13.24 μL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15회 반복 수행에서 상대표준편차 백분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은 3.6348 %로 4 %미만의 오차율을 보였으며 상기 오차율은 시료 패드에 잔류하는 액상의 시간에 따른 증발, 플라스틱 하우징 없는 실험 진행, 측정 오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에 주로 관여하는 검출부의 검출 멤브레인에 흐르는 액상시료는 낮은 오차로 정량 주입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00: 하우징
110: 외벽
120: 내부 공간
200: 유인부
210: 제1 흡수 패드(absorbent pad 1)
220: 제1 자석
300: 이동부
310: 제1 기판
320: 제2 자석
330: 시료 패드(sample pad)
340: 시료 투입부
400: 검출부
410: 탐지 패드(probe pad)
420: 검출 멤브레인(detection membrane)
430: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 2)
440: 제2 기판
500: 고정부

Claims (19)

  1.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좌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제1 흡수 패드 및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유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인부의 우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제2 자석, 시료 패드(sample pad) 및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부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시료 패드와 접하는 탐지 패드(probe pad), 검출 멤브레인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판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시료 투입부로 투입된 시료와 접촉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인력이 작용하여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액체이고,
    상기 시료 패드는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시료 패드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시료를 공급받고, 상기 시료에 의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파열이 상기 검출부에 소정의 양을 초과한 시료가 공급되었을 때 검출부로부터 시료를 공급받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시료에 의해 파열됨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상기 유인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인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유인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검출부와 상기 시료 패드가 분리되어 소정의 양을 초과한 초과분의 시료가 검출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유인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흡수 패드가 상기 시료 패드로부터 시료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친수성 고분자(hydrophilic polym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코올(PVA),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측이 상기 검출부와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검출부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제2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 상에 탐지 패드(probe pad), 검출 멤브레인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검출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면이 상기 제1 기판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 검출 멤브레인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면이 상기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영역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 검출 멤브레인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탐지 패드(probe pad), 검출 멤브레인 및 제2 흡수 패드(absorbent pa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접하는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검출부에 공급되는 상기 시료의 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투입부가 시료 투입 저장소(reservoi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16. 제1항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을 이용해 스트립에 정량의 시료를 주입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이고,
    (a) 시료 투입부에 시료들 투입하여 시료 패드에 시료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시료 패드와 접하는 검출부로 상기 시료가 공급되고, 상기 검출부로부터 고정부로 시료가 공급되어 고정부가 파열되는 단계; 및
    (c) 상기 고정부의 파열에 의해 이동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부가 유인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하고, 상기 시료 패드와 상기 검출부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시료의 소정의 양을 초과하는 초과분이 검출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유인부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이 제1 자석 및 제2 자석 간의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attraction force)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정량 주입 방법이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검출부가 공급된 상기 시료를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의 대상이 독감(influenza) 바이러스, 후천성 면역 결핍(HIV) 바이러스, 천연두(variola)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지카(Zika) 바이러스, 코로나(corona) 바이러스, HPV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폐렴, 결핵 및 임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정량주입방법.
KR1020210072698A 2021-06-04 2021-06-04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KR10256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98A KR102561290B1 (ko) 2021-06-04 2021-06-04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98A KR102561290B1 (ko) 2021-06-04 2021-06-04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15A true KR20220164215A (ko) 2022-12-13
KR102561290B1 KR102561290B1 (ko) 2023-07-28

Family

ID=8443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98A KR102561290B1 (ko) 2021-06-04 2021-06-04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203A (ja) * 2008-08-20 2010-03-04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00058674A (ko) * 2018-11-19 2020-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단 키트
KR102138192B1 (ko) * 2018-12-28 2020-07-27 (주)프로테옴텍 다수 개의 검사선을 구비한 임신진단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임신진단키트
KR20210057742A (ko) * 2018-09-12 2021-05-21 로버트 비. 래딕 루프 멤브레인 무결성을 유지하는 습기 검출 및 인디케이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203A (ja) * 2008-08-20 2010-03-04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57742A (ko) * 2018-09-12 2021-05-21 로버트 비. 래딕 루프 멤브레인 무결성을 유지하는 습기 검출 및 인디케이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200058674A (ko) * 2018-11-19 2020-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단 키트
KR102138192B1 (ko) * 2018-12-28 2020-07-27 (주)프로테옴텍 다수 개의 검사선을 구비한 임신진단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임신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90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0699B1 (en) Displacement assay on a porous membrane
US8197775B2 (en) Detection article having fluid control film
US7476533B2 (en) Diagnostic devices for use in the assaying of biological fluids
KR100968524B1 (ko) 생체 시료 분석용 마이크로-나노 플루이딕 바이오칩
US2013023691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sis of samples with depletion of analyte content
CA2819195A1 (en) Sample metering device and assay device with integrated sample dilution
WO2012075263A1 (en) Assay devices with integrated sample dilution and dilution verific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80077383A (ko) 신속 진단용 검사 장치
CA2819126A1 (en) Sample metering device and assay device with integrated sample dilution
JP6281945B2 (ja) 多孔質媒体を利用したアッセイ装置
US9795962B2 (en) Ratiometric immunoassay method and blood testing device
JP2004294388A (ja) 成分分析装置
US20060154301A1 (en) Test kit for immunochromatography
JPS63180857A (ja) 診断装置、その製造方法と使用方法
JP2011095164A (ja) 分析チップ及び分析チップの使用方法
KR102561290B1 (ko)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으로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 방법
KR102656271B1 (ko) 탄성체를 갖는 측방유동분석 검출 스트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해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의 정량주입방법
US20220276238A1 (en) Poc test system and method
EP1449585A1 (en) Microfluidic article
CN116171378A (zh) 被检体液的浓缩方法、及被检体液的检查方法
CN116113826A (zh) 浓缩器件、被检体液的浓缩方法、被检体液的检查方法、及检查试剂盒
JP7016152B2 (ja) アッセイ装置
JP7062285B2 (ja) アッセイプログラム及びアッセイ装置
JP2011092125A (ja) 捕集器具
US20230405590A1 (en) Sample transfer devices, and component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