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832A -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832A
KR20220163832A KR1020210122428A KR20210122428A KR20220163832A KR 20220163832 A KR20220163832 A KR 20220163832A KR 1020210122428 A KR1020210122428 A KR 1020210122428A KR 20210122428 A KR20210122428 A KR 20210122428A KR 20220163832 A KR20220163832 A KR 2022016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titial
user interface
advertisement
user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윤무영
박철오
김시명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207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73585B2/ja
Priority to US17/663,699 priority patent/US20220391046A1/en
Publication of KR2022016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ADVERTISEMENTS}
본 개시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표시되는 하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되, 사용자가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와 같은 전통적인 매체의 사용량이 줄어들고,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매체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광고주들의 온라인 광고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매체의 제공자들은, 광고주들에게 해당 매체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위치 또는 영역에 온라인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광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또는 그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전면 광고'는 사용자에게 광고 내용이나 관련 상품 정보를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광고 효과가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전면 광고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나 기능의 선택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페이지에 진입하는 경우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진입하려고 의도한 페이지가 아닌 전면 광고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광고를 보기 보다는 본인이 의도한 페이지에 제대로 진입한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들 수 있다. 또한, 전면 광고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해당 광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추가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광고 페이지 위에 표시된 닫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 스크린을 스와이프(swipe)하여 페이지를 전환시킴으로써 전면 광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만, 전면 광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표시되지 않거나 알기 어렵게 표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에 따라 전면 광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전면 광고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호 전환 가능한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은,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전면 광고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은,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은,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에 따라 전면 광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전면 광고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은,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호 전환 가능한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전면 광고가 출력된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표시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가 표시되었음 및 사용자의 입력으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면 광고의 높은 광고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줄이고 광고 출력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광고 레이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A의 각각' 또는 '복수의 A 각각'은 복수의 A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하거나, 복수의 A에 포함된 일부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는 컴퓨팅 장치와 연관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공된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면 광고'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광고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역,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면 광고는 페이지의 전체 영역이 아닌 대부분의 영역에 출력되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 표시 영역, 메뉴 영역 등과 같이 페이지 출력, 변경 또는 이동에 따라 변하지 않고 항상 출력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어포던스(Affordance)'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행동을 유도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클릭, 터치 또는 스와이프와 같은 입력을 유도하여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게 유도하는 버튼, 아이콘, 링크, 이미지, 문자 또는 영상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가 노출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전환 중에 온라인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120)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120)의 입력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에 대한 터치 또는 클릭 입력, 다른 페이지에서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 또는 버튼 등에 대한 터치 또는 클릭, 또는 드래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가 인터넷 검색 또는 포털 서비스의 홈 화면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120)의 입력에 응답하여, 홈 화면을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어포던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포던스(132)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행동을 유도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어포던스(132)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서 전면 광고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외부 서버(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는,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와 다른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 할당 여부, 전면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 여부, 전면 광고의 노출 기간 시작 또는 종료 여부 등과 같이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와 함께 어포던스(132)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 광고의 노출 횟수 또는 광고의 노출 기간 등에 따라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면 광고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면 광고로의 전환(140)은 사용자(120)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120)의 입력(예를 들어, 스와이프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사용자의 손을 움직이는 동작)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내에 포함된 어포던스(132)에 대한 사용자(120)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의 출력 여부 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내에 어포던스(132)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120)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가 표시되었음과, 사용자가 원할 때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 광고의 높은 광고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다양한 동작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전면 광고가 겹쳐지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면 광고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노출되도록 출력되고,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부는 전면 광고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되고, 나타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사라지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전면 광고의 위를 덮는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출력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전면 광고가 출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출력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제1 영역(152)에 출력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출력 영역을 제2 영역(162)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의 크기는 제1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영역을 변경시키는 과정은 애니메이션 효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출력되는 영역(152, 162)의 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픽셀(Pixel)의 수 또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 대한 비율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영역(152, 162)의 크기가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줄이고 광고 출력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온라인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온라인 광고 노출과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온라인 광고 노출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광고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의 각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에 전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전면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110_1), 태블릿 단말(110_2) 및 PC 단말(1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미디어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로부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110_1), 태블릿 단말(110_2), PC 단말(1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노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노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 요청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온라인 광고 노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1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등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320)를 통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접근 요청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 등을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입출력 장치(320)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음성 출력 가능 장치(예: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320)를 통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면 광고,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등을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노출의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특정한 입력을 함으로써,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화면(도 4의 오른쪽)에서 디스플레이를 오른쪽으로 스와이프(swipe)함으로써, 쇼핑 화면(도 4의 왼쪽)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호 전환 시에,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가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환되는 사이에 전면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전면 광고 표시 화면(4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전면 광고 표시 화면(420)에서 디스플레이를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쇼핑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포던스(410)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키기 위한 터치 입력, 스와이프 입력 또는 클릭 입력 등에 응답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면 광고 표시 영역(4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면 광고 표시 영역(420)은 전면 광고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전면 광고 표시 영역(420)에는 전면 광고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출력되는 영역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왼쪽 영역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전면 광고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가 표시되었음과, 사용자가 원할 때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전면 광고의 높은 광고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광고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컨텐츠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컨텐츠가 쇼핑 컨텐츠인 경우, 전면 광고는 쇼핑과 관련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어포던스(410)는 전면 광고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면 광고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어포던스(410)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문구, 이미지,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광고 레이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광고는 여러 레이어의 이미지들이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광고는 메인 레이어(510), 딤드(Dimmed) 레이어(520) 및 배경 레이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레이어(510)는 메인 이미지(예를 들어, 누끼형 이미지), 메인 애니메이션, 메인 동영상 또는 메인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인 레이어(510)는 안내 문구 이미지 또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링크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경 레이어(530)는 배경 이미지, 배경 동영상 또는 배경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딤드 레이어(520)는 배경 레이어(530)로부터 메인 레이어(510)를 차별화하여 강조하기 위해 삽입되는 반투명 음영 처리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딤드 레이어(520)는 배경 레이어와 메인 레이어(51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경 레이어가 배경 동영상 또는 배경 애니메이션 등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전면 광고는 스틸컷(Still Cut) 이미지(550) 및 스틸컷 상단 딤드 레이어(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틸컷 이미지(550)는 배경 영상의 한 장면을 캡처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배경 영상이 로딩되기 전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6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600)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610).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다른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등에 응답하여,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S620).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면 광고로 전환되는 과정 역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위 레이어의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스와이프한 방향대로 사라지고, 아래 레이어의 전면 광고가 드러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600)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가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함으로써 종료될 수 있다(S63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가 표시되었음과, 사용자가 원할 때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전면 광고의 높은 광고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7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700)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는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와 함께 어포던스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어포던스를 포함하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S720). 어포던스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전면 광고를 선택해서 출력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어포던스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면 광고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영역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S740). 여기서 출력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일종의 어포던스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S750). 여기서 제2 영역의 크기는 제1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이 감소되는 과정은 애니메이션 효과로 구현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인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줄이고 광고 출력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는 방법(8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800)은 프로세서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810). 일 실시예에서,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로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전면 광고 출력 횟수를 기초로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해당 전면 광고를 사전 결정된 횟수를 노출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해당 전면 광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광고의 총 노출 횟수 또는 노출 기간에 기초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된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S8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포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포던스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810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어포던스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과정은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로 결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S830).
일 실시예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으며(S840), 사용자가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전면 광고의 일부에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S850). 이후, 전면 광고 화면에서 터치 스크린을 스와이프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방법(800)이 종료될 수 있다(S860). 즉,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S810a, S810b)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10). 이러한 전면 광고 출력 여부의 결정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따라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10a).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로 결정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면 광고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전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 또는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의 노출 기간 또는 노출 횟수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전면 광고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10b). 예를 들어, 전면 광고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노출된 총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전면 광고 출력을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에서 전면 광고가 노출된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사용자
130: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전면 광고로의 전환
152, 162: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출력되는 영역
152: 제1 영역
162: 제2 영역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광고의 일부에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제1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및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출력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는,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어포던스(Affordance)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는 메인 레이어, 딤드(Dimmed) 레이어 및 배경 레이어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는 스틸컷(Still Cut) 이미지 및 스틸컷 상단 딤드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경 레이어는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전면 광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광고의 일부에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광고의 노출 기간 또는 노출 횟수가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면 광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광고의 일부에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제1 영역에 출력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출력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는,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컨텐츠와 연관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어포던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19.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전면 광고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면 광고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광고의 일부에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전면 광고와 연관된 데이터 수신 여부, 상기 전면 광고의 노출 기간 또는 상기 전면 광고의 노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면 광고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호 전환 가능한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광고가 출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되었다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사라지도록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23.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호 전환 가능한 복수의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전면 광고가 출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전면 광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 광고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면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되었다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사라지도록 상기 제2 전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노출 시스템.

KR1020210122428A 2021-06-03 2021-09-14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3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71494A JP7473585B2 (ja) 2021-06-03 2022-04-25 オンライン広告露出方法及びシステム
US17/663,699 US20220391046A1 (en) 2021-06-03 2022-05-17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93 2021-06-03
KR20210072393 2021-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832A true KR20220163832A (ko) 2022-12-12

Family

ID=8439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28A KR20220163832A (ko) 2021-06-03 2021-09-14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8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86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76005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1899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454193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662475B (zh) 應用程式生成設備、方法和非臨時性電腦可讀媒介及應用程式驅動設備
CN103460171B (zh) 用于组织、调用和使用应用的三维图标
US20230168805A1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CN110168487B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EP2926234B1 (en) Managing applications in multitasking environment
KR20170066431A (ko) 애플리케이션의 제시 및 설치를 위한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7246502B2 (ja) ミニプログラム作成方法、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0990075A (zh) 快应用的启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602381A (zh) 一种图标切换方法、显示gui的方法及电子设备
CN115605837A (zh) 带有动作卡链的游戏控制台应用程序
KR20220163832A (ko) 온라인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309243B1 (ko)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3910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content
CN110853643A (zh) 快应用中进行语音识别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489874A (zh) 小程序页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81935A (ko) 제스처를 이용하여 대화 메시지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072251A1 (zh) 交互方法、交互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16551A (ko) 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7692A (ko) 영상 콘텐츠 내 사용자 감정표현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6048334A (zh) 页面切换方法、页面切换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10000140A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