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288A - 광제어 합지 필름 - Google Patents

광제어 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288A
KR20220163288A KR1020220067024A KR20220067024A KR20220163288A KR 20220163288 A KR20220163288 A KR 20220163288A KR 1020220067024 A KR1020220067024 A KR 1020220067024A KR 20220067024 A KR20220067024 A KR 20220067024A KR 20220163288 A KR20220163288 A KR 2022016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pattern layer
patterns
lamin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문호
조장희
이종문
황태구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6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은,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차광 패턴층,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된 제1 투광층, 상기 제1 투광층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투광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합지를 위한 제1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제어 합지 필름{light control laminated film}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내부 또는 일면에 배치되기 위한 광제어 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내용을 타인에게 공개하지 않을 목적의 광제어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커짐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운전자와 동승자의 안전을 위해 운전 중에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지 못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광제어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제어 필름은 프라이버시 필름 또는 시야각 제한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각도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의 광제어 필름은 운전 중에 운전자가 디스플레이 영상을 보지 못하게 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설계되고 있으나, 시야각 협소 한계, 휘도 저하, 및 모아레(moire)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광제어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광제어 필름의 시야각을 협소하게 하기 위해, 광제어 시트지 2장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광제어 시트지 2장 단순 적층 시, 모아레(moire) 문제 및 투과율 저하로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제어 시트지 2장 적층 시, 적층 조립 시 발생하는 얼라인(alignment) 틀어짐에 따른 신뢰성 부족 및 광특성 불균일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함에 따라 하나의 시트(one sheet)의 광제어 필름을 구현하여, 모아레 회피가 용이하고 좁은 시야각과 높은 투과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함에 따라 하나의 시트(one sheet)의 광제어 필름을 구현하여, 용이한 조립성, 균일한 광특성 및 고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은,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차광 패턴층,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된 제1 투광층, 상기 제1 투광층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투광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합지를 위한 제1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은,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차광 패턴층,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을 합지하도록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 각각의 높이를 A,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각각의 높이를 B, 상기 중간층의 두께를 C로 정의할 때, 상기 중간층의 두께의 범위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A/2 ≤ C ≤ A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하여, 광제어 필름의 슬림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하여, 열적 수축 및 팽창과 같은 변형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 시, 상, 하 광제어 시트지의 패턴의 피치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모아레(moire) 및 광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 시, 상, 하 광제어 시트지의 패턴의 일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출사를 위한 광 경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 시, 상, 하 광제어 시트지 간의 에어갭을 제거하여 계면 반사에 의한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지들을 합지시, 상, 하 광제어 시트지의 패턴 간에 틸트된 배치를 제공하여 모아레 및 광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내부를 투영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시트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내부를 투영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시트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의 일부 패턴들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접착된 접착층의 굴절률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접착된 접착층의 두께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매트층과 관련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과 기존의 적층된 광제어 필름의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과 기존의 적층된 광제어 필름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중간층의 두께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내부를 투영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제1 차광 패턴층(21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적어도 한 개의 투광층 및 복수 개의 차광 패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적어도 세 개의 투광층들 및 상기 투광층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차광 패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접착층(예: 제1 접착층(310))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예: 제1 접착층(3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광제어 시트들을 합지할 수 있다.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광제어 시트들을 단순 적층시킨 구조와 비교하여, 시야각 협소 성능 및 휘도 성능을 개선하고, 하나의 시트(one sheet) 구조로 인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제1 접착층(310), 제1 투광층(11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을 참조하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제1 접착층(310), 제1 투광층(110), 제2 차광 패턴층(220), 제2 접착층(320), 및 제2 투광층(1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 위에는 제3 투광층(1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투광층(110), 제2 투광층(120), 및 제3 투광층(13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시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광층(110), 제2 투광층(120), 및 제3 투광층(13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시광의 투과도가 85%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투광층(110), 제2 투광층(120), 및 제3 투광층(130)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 레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투광층(1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투광층(120)은 제2 차광 패턴층(220)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은 제1 투광층(110) 위(예: +Z축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은 제1 투광층(110) 및 제3 투광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은 제1 투광층(110) 위(예: +Z축 방향 상)에 배치된 제1 접착층(310)에 의해 제1 투광층(110)에 접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은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 각각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과 같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란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패턴층(210)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은, 상기 하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상면과 지정된 거리(예: 제1 거리(d1)) 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은 제3 투광층(130)과 지정된 거리(예: 제1 거리(d1)) 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상기 지정된 거리(예: 제1 거리(d1))가 증가할수록 가변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를 제어하여 개선된 광제어 합지 필름(10)을 설계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제1 거리(d1)에 대응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를 나타낸다.
[표 1]을 참고하면, 제1 거리(d1)가 감소할수록 -21도 및 20에서 Cut-Off 시야각 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기포 및 UV 수지의 소모량을 고려할 때, 제1 패턴(510)들과 제3 투광층(130) 사이의 제1 거리(d1)는 대략 50u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310)은 제1 투광층(110) 및 제1 차광 패턴층(210)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접착층(3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에 대비하여 동등 또는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310)은 제2 차광 패턴층(220)(또는, 제1 투광층(110)) 및 제1 차광 패턴층(210)을 합지 시, 제1 투광층(110) 및 제1 차광 패턴층(210) 사이의 에어갭(air gap)을 제거함에 따라 계면 반사에 의한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310)은 설계 시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제작자가 원하는 광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착층(310)은 제1 투광층(110)의 전체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1 접착층(3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만이 제1 투광층(110) 위에 고정되도록 제1 투광층(110)의 일부 영역에만 이격 배치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차광 패턴층(220)은 제2 투광층(120) 위(예: +Z축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차광 패턴층(220)은 제2 투광층(120) 및 제1 투광층(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층(220)은 제2 투광층(120) 위(예: +Z축 방향 상)에 배치된 제2 접착층(320)에 의해 제2 투광층(120)에 접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차광 패턴층(220)은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 각각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과 같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층(320)은 제2 투광층(12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접착층(320)은 제2 차광 패턴층(220)에 대비하여 동등 또는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층(320)은 제2 투광층(12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을 합지 시, 제2 투광층(12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 사이의 에어갭(air gap)을 제거함에 따라 계면 반사에 의한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층(320)은 설계 시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제작자가 원하는 광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접착층(320)은 제2 투광층(120)의 전체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2 접착층(320)은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만이 제2 투광층(120) 위에 고정되도록 제2 투광층(120)의 일부 영역에만 이격 배치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란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층(220)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은, 상기 하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상면과 지정된 거리(예: 제2 거리(d2)) 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은 제1 투광층(110)과 지정된 거리(예: 제2 거리(d2)) 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상기 지정된 거리(예: 제2 거리(d2))가 증가할수록 가변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를 제어하여 개선된 광제어 합지 필름(10)을 설계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와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기포 및 UV 수지의 소모량을 고려할 때, 제2 패턴(520)들과 제1 투광층(110) 사이의 제1 거리(d1)는 대략 50u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일부 구성과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일부 구성은 틸트된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과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은 A 방향을 향해 평행한 패턴 방향을 갖는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 각각은 제1 방향(+Z축)을 향해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A 방향과 상이한 B 방향을 향해 평행한 패턴 방향을 갖는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패턴(520)들 각각은 제1 방향(+Z축)을 향해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이 예각을 이루도록 틸트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은 +5도 내지 -5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은 +3도 내지 -3도일 수 있다.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이 예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모아레(moire) 및 광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의 일부,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의 일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과, 제1 차광 패턴층(21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가 합지되어 제1 패턴(510)들과 제2 패턴(520)들이 중첩된 형상을 투영하여 나타낸 도면을 개시한다. 틸트의 정도는 제1 투광층(110) 및/또는 제2 투광층(120)의 일단면과 나란한 기준선(L)을 기준으로 몇 도 정도 경사를 이루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에서,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서로 틸트되지 않고,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에서,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3도 정도 기울기를 가지며,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3도 정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510)들과 제2 패턴(520)들은 서로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3에서,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5도 정도 기울기를 가지며,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5도 정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510)들과 제2 패턴(520)들은 서로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에서, 제3 투광층(130) 위(예: +Z축 방향 상)에 제1 매트층(matte layer)(4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매트층(410)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방향(+Z축 방향)를 향하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에서, 제2 투광층(120) 아래(예: -Z축 방향 상)에 제2 매트층(matte layer)(4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20)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방향(-Z축 방향)를 향하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내부를 투영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일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제3 차광 패턴층(710) 및 제4 차광 패턴층(7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적어도 두 개의 투광층들 및 상기 투광층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차광 패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접착층(예: 제3 접착층(810))을 포함하며, 접착층(예: 제3 접착층(8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광제어 시트들을 합지할 수 있다.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광제어 시트들을 단순 적층시킨 구조와 비교하여, 시야각 협소 성능 및 휘도 성능을 개선하고, 하나의 시트(one sheet) 구조로 인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제4 투광층(610)을 기준으로, 제2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제3 차광 패턴층(710), 제3 접착층(810), 제4 차광 패턴층(720), 및 제5 투광층(6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투광층(610), 및 제5 투광층(62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시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투광층(610), 및 제5 투광층(62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시광의 투과도가 85%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4 투광층(610), 및 제5 투광층(620)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 레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차광 패턴층(710)은 제4 투광층(610) 및 제3 접착층(8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차광 패턴층(710)은 제3 접착층(810) 위(예: +Z축 방향 상)에 접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차광 패턴층(710)은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 각각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과 같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차광 패턴층(710)의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란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3 차광 패턴층(710)의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은 위에 배치된 제4 투광층(610)과 지정된 거리(예: 제3 거리(d3)) 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거리(예: 제3 거리(d3))가 증가할수록 가변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를 제어하여 개선된 광제어 합지 필름(10)을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기포 및 UV 수지의 소모량을 고려할 때, 제3 패턴(910)들과 제4 투광층(610) 사이의 제3 거리(d3)는 대략 50u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접착층(810)은 제3 차광 패턴층(710) 및 제4 차광 패턴층(720) 사이에 위치하고, 제3 차광 패턴층(710)의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 및 제4 차광 패턴층(720)의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 접착층(810)은 제3 차광 패턴층(710) 및/또는 제4 차광 패턴층(720)에 대비하여 동등 또는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접착층(810)은 제3 차광 패턴층(710) 및 제4 차광 패턴층(720)을 양면에 각각 합지하여,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슬림화 및 차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차광 패턴층(720)은 제3 접착층(810) 및 제5 투광층(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차광 패턴층(720)은 제3 접착층(810) 아래(예: -Z축 방향 상)에 접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차광 패턴층(720)은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 각각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과 같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차광 패턴층(720)의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란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4 차광 패턴층(720)의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은 아래에 배치된 제5 투광층(620)과 지정된 거리(예: 제4 거리(d4)) 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거리(예: 제4 거리(d4))가 증가할수록 가변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를 제어하여 개선된 광제어 합지 필름(10)을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기포 및 UV 수지의 소모량을 고려할 때, 제4 패턴(920)들과 제5 투광층(620) 사이의 제4 거리(d4)는 대략 50u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지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는 상기 제3 거리(d3) 및/또는 제4 거리(d4)에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일부 구성과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일부 구성은 틸트된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과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4 패턴(920)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은 A 방향을 향해 평행한 패턴 방향을 갖는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 각각은 제2 방향(-Z축)을 향해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4 패턴(920)들은 A 방향과 상이한 B 방향을 향해 평행한 패턴 방향을 갖는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 각각은 제1 방향(+Z축)을 향해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이 예각을 이루도록 틸트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은 +5도 내지 -5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은 +3도 내지 -3도일 수 있다. B 방향과 A 방향이 이루는 각(φ)이 예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모아레(moire) 및 광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의 일부, 및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4 패턴(920)들의 일부를 아래 및 위에서 바라본 도면과, 제3 차광 패턴층(710) 및 제4 차광 패턴층(720)가 합지되어 제3 패턴(910)들과 제4 패턴(920)들이 중첩된 형상을 투영하여 나타낸 도면을 개시한다. 틸트의 정도는 제4 투광층(610) 및/또는 제5 투광층(620)의 일단면과 나란한 기준선(L)을 기준으로 몇 도 정도 경사를 이루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1에서,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 및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4 패턴(920)들은 서로 틸트되지 않고,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2에서,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3도 정도 기울기를 가지며,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3 패턴(91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3도 정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패턴(910)들과 제4 패턴(920)들은 서로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3에서, 제3 차광 패턴층(710)의 제3 패턴(91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5도 정도 기울기를 가지며, 제4 차광 패턴층(720)의 제4 패턴(920)들은 기준선(L)에 대하여 대략 -5도 정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패턴(910)들과 제4 패턴(920)들은 서로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에서, 제4 투광층(610) 위(예: +Z축 방향 상)에 제1 매트층(matte layer)(4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매트층(410)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방향(+Z축 방향)를 향하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에서, 제5 투광층(620) 아래(예: -Z축 방향 상)에 제2 매트층(matte layer)(4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20)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방향(-Z축 방향)를 향하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의 일부 패턴들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예: 도 1 내지 도 5의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과 제2 차광 패턴층(220), 또는 도 4 및 도 5의 제3 차광 패턴층(710)과 제4 차광 패턴층(7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 아래에는 제1 접착층(3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은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제3 차광 패턴층(710) 및 제3 접착층(81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제1 차광 패턴층(210) 및 제1 접착층(31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의 제2 차광 패턴층(220)의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은 이를 준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될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복수 개의 제3 패턴(910)들과 복수 개의 제4 패턴(920)들이 준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패턴(51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나의 제1 패턴(51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제3 투광층(예: 도 3의 제3 투광층(130))과 대면하도록 제1 방향(+Z축 방향)을 향하는 상면(514), 제1 방향(+Z축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Z축 방향)을 향하는 하면(515), 상면(514)에서부터 하면(515)(또는 하면(515)에서부터 상면(514))으로 연장된 측면들(예: 제1 면(511) 내지 제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51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면(511) 및 제2 면(512)은 서로 대면하며,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면(511)은 제1 접착층(310)을 기준으로 제1 방향(+Z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511)은 제1 접착층(310)을 기준으로 90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512)은 제1 접착층(310)을 기준으로 수직하지 않은 방향(예: 제3 방향(C))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512)은 제1 접착층(310)을 기준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1 면(511)을 기준으로 제1 지정된 각도(θ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정된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지정된 각도(θ1)는 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지정된 각도(θ1)는 6도 이하일 수 있으며 6도 이하에서 광제어 합지 필름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패턴(510)은 제1 면(511)이 제1 접착층(310)에 수직인 면을 형성하고, 제2 면(512)은 제1 면(511)과 달리 제1 접착층(310)에 대하여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모아레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차광 패턴층(예: 도 3의 제2 차광 패턴층(220))의 하나의 제2 패턴(520)의 일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제2 지정된 각도(θ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정된 각도(θ2)는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의 일면(예: 제2 면(512)) 형성하는 제1 지정된 각도(θ1)와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정된 각도(θ2)는 예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지정된 각도(θ2)는 10도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지정된 각도(θ2)는 6도 이하일 수 있으며 6도 이하에서 광제어 합지 필름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정된 각도(θ1)와 제2 지정된 각도(θ2)의 합은 0도 보다 크고 12도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됨에 따라, 광제어 합지 필름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510)을 형성하기 위한 제3 면(513) 및 제4 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3 면(513) 및 제4 면은 제1 접착층(310)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예: 제1 방향(+Z축 방향))을 향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부분은 투명한 부분으로, 광이 통과하는 투광 영역(Z1)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패턴(510)들은 차폐를 위한 검은 부분으로, 광이 통과하지 못하는 블랙 영역(Z2)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의 배열은 제1 피치(P1)에 의해 정의되며, 제1 피치(P1)는 투광 영역(Z1)의 폭과 블랙 영역(Z2)의 폭의 합일 수 있다. 제1 피치(P1)는 대략 30 내지 60um 일 수 있다. 투광 영역(Z1)의 폭은 블랙 영역(Z2)의 폭과 비교하여 대략 2 배 이상일 수 있다. 제1 패턴(510)의 높이(h)는 제1 피치(P1)의 대략 2 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치들은 모아레를 회피하고, 협시야각을 제공하는 제1 패턴(510)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510)들의 이격 거리는 투광 영역(Z1)의 폭으로 정의되며, 투광 영역(Z1)의 폭은 서로 인접한 제1 패턴(510)들의 제1 피치(P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제1 패턴(510)들의 제1 피치(P1)가 작은 경우, 투광 영역(Z1)의 면적은 작아지고, 서로 인접한 제1 패턴(510)들의 제1 피치(P1)가 큰 경우, 투광 영역(Z1)의 면적은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투광 영역(Z1)의 폭은 서로 인접한 제1 패턴(510)들의 형상에 의하여 위치에 따라 다르게 셜정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패턴(510)들에서, 일측에 위치한 제1 패턴(510)의 일면(예: 제1 면(511))은 제1 접착층(310)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위치한 제1 패턴(510)의 일면(예: 제2 면(512))은 제1 접착층(310)에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투광 영역(Z1)의 면적은 제1 방향(+Z축 방향)을 향하면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접착된 접착층의 굴절률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예: 도 1 내지 도 5의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과 제2 차광 패턴층(220), 또는 도 4 및 도 5의 제3 차광 패턴층(710)과 제4 차광 패턴층(7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접착층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제1 접착층(310) 또는 제2 접착층(32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접착층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제3 접착층(81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예: 도 2의 제1 접착층(310))은 투광층(예: 도 2의 제1 투광층(110)) 및 차광 패턴층(예: 도 2의 제1 차광 패턴층(2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 패턴층의 복수 개의 제1 패턴(예: 도 2의 제1 패턴(51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인접한 차광 패턴층에 대비하여 동등 또는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의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광제어 합지 필름의 Cut-off 시야각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시뮬레이션 실험예에 의한 접착층의 굴절률에 대한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도 7은 실제 제품에 적용 시 나타나는 광제어 합지 필름의 광 특성 정도(예: 휘도, 시야각, 및 모아레 정도)를 개시한다.
다양한 시뮬레이션 실험예 및 실제 제품에 적용 시 나타나는 결과를 참조하면, 접착층의 굴절률을 n1.50, n1.55, n1.60, 및 n1.65(또는 n1.68)로 증가시키면서, -25도, 25도, -30도, 및 30도에서의 Cut-Off 시야각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층의 굴절률이 증가함에 따라, Cut-Off 시야각 휘도가 감소하고, 중심 휘도가 소폭 하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의 굴절률이 n1.60를 초과할 경우, Cut-Off 시야각 휘도 감소가 미비함에 반하여, 중심 휘도의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접착된 접착층의 두께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예: 도 1 내지 도 5의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과 제2 차광 패턴층(220), 또는 도 4 및 도 5의 제3 차광 패턴층(710)과 제4 차광 패턴층(7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의 접착층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제1 접착층(310) 또는 제2 접착층(32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의 제1 접착층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제3 접착층(81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1 접착층(310) 및 주변 배치된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제2 접착층(320) 및 제3 접착층(810)의 구성 및 효과는 이를 준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310)은 제1 투광층(110) 및 제1 차광 패턴층(210)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접착층(310)은 두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제1 접착층(31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Cut-Off 시야각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310)의 두께가 증가하면, 제1 접착층(310)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길어지게 되며,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투광 영역(예: 도 6의 투광 영역(Z1))을 통과하는 광의 굴절각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광의 굴적각이 증가할 경우, Cut-Off 시야각 증가와 함께 Cut-Off 시야각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8a는 제1 접착층(310)의 두께가 대략 5um인 경우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b는 제1 접착층(310)의 두께가 대략 60um인 경우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 [표 3]는 시뮬레이션 실험예에 의한 접착층(예: 제1 접착제(310))의 두께에 대한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다양한 실험예를 참조하면, 접착층의 두께를 5um, 10um, 20um, 30um, 40um, 60um, 및 80um 로 증가시키면서, -25도, 25도, -30도, 및 30도에서의 Cut-Off 시야각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Cut-Off 시야각 휘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가 60um(또는 80um) 이상일 경우, Cut-Off 시야각 휘도는 감소할 수 있다.
하기 [표 4]는 시뮬레이션 실험예에 의한 접착층(예: 제1 접착층(310))의 두께 및 베이스 필름(예: 제1 투광층(110))의 두께의 연관 관계를 고려한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4]에 따른 다양한 실험예 중 하나를 참조하면, 접착층의 두께가 5um인 경우(또는 10um, 20um, 30um, 40um, 60um, 및 80um 인 경우), 베이스 필름(예: 제1 투광층(110))의 두께를 50um, 80um, 및 150um 로 증가시키면서, -25도, 25도, -21도, 및 21도에서의 Cut-Off 시야각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를 통해, 접착층의 두께가 베이스 필름의 대략 50% 이하인 경우에 누설된 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Cut-Off 시야각 휘도를 적절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의 매트층과 관련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예: 도 1 내지 5의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투광층들 및 상기 투광층과 인접 배치된 복수 개의 차광 패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상, 하측에 위치한 매트층(예: 제1 매트층(410), 제2 매트층(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매트층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매트층(예: 제1 매트층(410), 제2 매트층(42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층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방향으로 향하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매트층의 상기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은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외관 차폐를 강화할 수 있으며, 모아레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매트층은 Non-Bead Type의 표면 요철로 산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on-Bead Type 매트층은 몰드 공정에 의해 매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에 복수 개의 요철 형상을 설계한 후, UV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요철 형상을 복제함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매트층은 Nano Particle을 이용하여 표면 산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에 TiO2, SiO2, ZrO2, Al2O3와 같은 Nano Particle을 UV 수지에 분산시켜, Wet Coating 면을 구현할 수 있다. Wet coating을 통해 구현된 매트층의 표면 요철 형상은 산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매트층은 Micro Bead를 사용하여 표면 산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에 PMMA, PBMA, PDMS, PS와 같은 구형 입자를 UV Binder 용액에 분산시켜, Wet Coating 면을 구현할 수 있다. 구현된 매트층의 Wet Coating 표면은 산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과 기존의 적층된 광제어 필름의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과 기존의 적층된 광제어 필름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종래 기술로서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단순 적층 구성된 광제어 필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험예 1은 동일한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적층된 광제어 필름에 대한 광 특성 정도(예: 휘도, 시야각, 및 모아레 정도)를 개시한다 실험예 2는 동일한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지정된 각도(예: +-5도)만큼 틸트되어 적층된 광제어 필름에 대한 광 특성 정도(예: 휘도, 시야각, 및 모아레 정도)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실시예 1은 동일한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합지된 광제어 필름에 대한 광 특성 정도를 개시한다. 실시예 2는 동일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지정된 각도(예: +-5도) 만큼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에 대한 광 특성 정도를 개시한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광제어 필름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의 광제어 합지 필름들 중 하나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실험예 1은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적층된 광제어 필름으로서, 상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 하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필름의 휘도는 100%로 다른 실험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은 대략 41도/ 20도일 수 있으며, 30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0.9%,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2.5%일 수 있다. 상기 반치폭은 패턴의 중심 밝기 대비한 지정된 지점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측 반치폭(FWHM)은, 패턴의 중심 대비 밝기가 50%의 밝기를 형성하는 상하측 지점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좌우측 반치폭(FWHM)은, 패턴의 중심 대비 밝기가 50%의 밝기를 형성하는 좌우측 지점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광제어 필름의 경우,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실험예 2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적층된 광제어 필름으로서, 상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 하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필름은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지정된 각도(예: +-5도)만큼 틸트되어 적층된 구조로, 휘도는 95%일 수 있다.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은 대략 37도/ 18도일 수 있으며, 30도 기준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1.5%,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3.7%일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필름의 경우,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1 실시예(동일한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합지된 광제어 필름)를 참조하면, 상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 하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로 실험예 1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합지 필름의 휘도는 대략 115% 일 수 있다.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은 대략 37도/ 14도일 수 있으며, 30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0.4%,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0.9%일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는, 패턴들의 피치가 동일한 조건을 가진 실험예 1과 비교하여, 필름 중심의 휘도가 개선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는 실험예 1과 비교하여,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는 실험예 1과 비교하여, 30도 기준 투과율 및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이 각각 감소됨에 따라,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시야로부터 차단된 보안성이 개선된 필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2 실시예(동일 패턴 형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차광 패턴층들이 지정된 각도(예: +-5도) 만큼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를 참조하면, 상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 하측에 위치한 광제어 필름의 인접 패턴들 사이의 피치는 대략 39um로 실험예 2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필름의 휘도는 대략 110%일 수 있다.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은 대략 36도/ 18도일 수 있으며, 30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0.5%,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2.3%일 수 있다. 상기 광제어 필름의 경우, 모아레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패턴들의 피치 및 틸트 정도가 동일한 조건을 가진 실험예 2와 비교하여, 필름 중심의 휘도가 개선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는 실험예 2와 비교하여, 상하측 반치폭(FWHM) 및 좌우측 반치폭(FWHM)에 대한 시야각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는 실험예 2와 비교하여, 30도 기준 및 25도 기준 Cut-off 시야각에 대한 투과율이 각각 감소됨에 따라,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시야로부터 차단된 보안성이 개선된 필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험예 1(또는 실험예 2)에 대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1(또는 실시예 2)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L1은 실험예 1(또는 실험예 2)를 나타내며, L2는 실시예 1(또는 실시예 2)를 나타낸다.
L2는 L1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휘도(예: 투과율)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iewing angle 0˚ 근처(예: 광제어 합지 필름의 중심 영역)에서 L2는 L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예: 투과율)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광제어 시트들을 단순 적층시킨 구조와 비교하여, 시야각 협소 성능 및 휘도 성능을 개선하고, 하나의 시트(one sheet) 구조로 인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차광 패턴층과 중간층의 두께에 대한 Cut-off 시야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 합지 필름(예: 도 1 내지 도 5의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복수 개의 광제어 시트(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과 제2 차광 패턴층(220), 또는 도 4 및 도 5의 제3 차광 패턴층(710)과 제4 차광 패턴층(720))들이 합지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제어 합지 필름(10)은 제1 차광 패턴층(210), 제2 차광 패턴층(220), 및 중간층(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일면(예: 중간층(100)을 향하는 면과 반대면)에는 제3 투광층(130)이 배치되고,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일면(예: 중간층(100)을 향하는 면과 반대면)에는 제2 투광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100)은 제1 차광 패턴층(210) 및 제2 차광 패턴층(220)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차광 패턴층(210)의 복수 개의 제1 패턴(51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100)은 접착층과 투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중간층(1100)의 접착층 및 투광층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제1 접착층(310) 및 제1 투광층(11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100)은 두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중간층(110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Cut-Off 시야각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100)의 두께가 증가하면, 중간층(100)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길어지게 되며,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투광 영역(Z1)을 통과하는 광의 굴절각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광의 굴적각이 증가할 경우, Cut-Off 시야각 증가와 함께 Cut-Off 시야각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하기 [표 5]는 시뮬레이션 실험예에 의한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예: 상측 패턴)의 높이 및 중간층(1100)의 두께의 연관 관계를 고려한 Cut-Off 시야각 휘도의 수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중간층(1100)의 두께는,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510)의 높이와 대비하여 적어도 50% 이상일 경우,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우수한 시야각을 제공(예: 협시야각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의 높이를 A로, 제2 차광 패턴층(220)의 패턴의 높이를 B로, 중간층(1100)의 두께를 C로 정의할 때, 중간층(1100)의 두께의 임계 범위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Cut-Off 시야각 휘도가 상대적으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예를 들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510)의 높이가 대략 100 ㎛이고, 중간층(1100)의 두께의 범위가 상기 [식 1]에 해당하는 경우, Cut-Off 시야각 휘도는 -25도에서 대략 1.4% 이상, -20도에서 대략 1.5% 이상, -15도에서 대략 16.7% 이상, -10도에서 대략 47.8% 이상, 10도에서 대략 14.5% 이상, 15도에서 대략 4.6% 이상, 20도에서 대략 1.6% 이상, 및 25도에서 대략 1.0 %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의 높이를 A로, 제2 차광 패턴층(220)의 패턴의 높이를 B로 정의할 때, A 및 B의 수치가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경우, Cut-Off 시야각 휘도가 상대적으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의 패턴의 높이가 제2 차광 패턴층(220)의 패턴의 높이 대비 감소하면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우수한 시야각을 제공(예: 협시야각 제공)하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100)의 두께는 대략 50 ㎛ 이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1100)의 투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투광층은 제1 차광 패턴층(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광제어 합지 필름(1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대략 40㎛ 내지 50 ㎛ 이상의 두께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 각각은 비대칭 형상이며,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 각각은 비대칭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패턴(510)들과 제2 패턴(520)들은 서로 나란하게(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서로 틸트되어, 합지된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의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의 배치 구성 및 틸트 구성은 도 1 내지 3의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 및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의 배치 구성 및 틸트 구성을 준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패턴(510)들은 서로 이격 배열되어 광이 지나가기 위한 제1 투광 영역(Z1)들을 형성하고,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서로 이격 배열되어 광이 지나가기 위한 제2 투광 영역(Z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120)의 제1 패턴(510)들과 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패턴(520)들은 틸트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 투광 영역(Z1)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 투광 영역(Z2) 또한, 틸트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층(210) 위에서 바라볼 때, 또는 제2 차광 패턴층(220) 아래에서 바라볼 때, 광이 지나가기 위한 개구는 제1 투광 영역(Z1) 및 제2 투광 영역(Z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100)을 통과하여 제공되거나, 중간층(100)을 향해 제공되기 위한 광은, 제1 차광 패턴층(210)의 제1 투광 영역(Z1)의 형상 및/또는 제2 차광 패턴층(220)의 제2 투광 영역(Z2) 형상에 따라 좌우 시야각을 조절함에 따라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광제어 합지 필름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광제어 합지 필름: 10
제1 투광층: 110
제2 투광층: 120
제3 투광층: 130
제1 차광 패턴층: 210
제2 차광 패턴층: 220
제1 접착층: 310
제2 접착층: 320
제1 매트층: 410
제2 매트층: 420
제1 패턴: 510
제2 패턴: 520

Claims (28)

  1. 광제어 합지 필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차광 패턴층;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된 제1 투광층;
    상기 제1 투광층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투광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합지를 위한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은, 상기 하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상면과 제1 지정된 거리 만큼 이격 배치된 광제어 합지 필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된 거리는 50um 이하인 광제어 합지 필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은, 상기 하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상면과 제2 지정된 거리 만큼 이격 배치된 광제어 합지 필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 각각의 저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투광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을 합지하도록 이격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된 제2 투광층;
    상기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투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 차광 패턴층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투광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을 합지하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각각의 저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투광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을 합지하도록 이격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사다리꼴 쐐기 형상들을 포함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예각은 10도 이하의 범위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 각각은, 상면, 하면 및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들 중 제1 면은 상기 제1 접착층을 기준으로 수직하고, 상기 측면들 중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제1 지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된 각도는 6도 이하의 범위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격된 부분은 투명한 부분으로, 광이 통과하는 투광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 패턴들은 차폐를 위한 검은 부분으로, 광이 통과하지 못하는 블랙 영역을 형성하고,
    제1 피치는 상기 투광 영역의 폭과 상기 블랙 영역의 폭의 합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피치는 30um 내지 60um 범위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의 폭은 상기 블랙 영역의 폭과 비교하여 2 배 이상이며,
    상기 제1 패턴 각각의 높이는 상기 제1 피치에 대해 2 배 이상의 범위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각각은, 상면, 하면 및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들 중 제1 면은 상기 제2 접착층을 기준으로 수직하고, 상기 측면들 중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제2 지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정된 각도는 6도 이하의 범위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에 대비하여 고굴절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는 제1 투광층의 두께의 1/2 이하로 설계된 광제어 합지 필름.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위에 배치된 제3 투광층;
    상기 제3 투광층의 위에 배치된 제1 매트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아래에 배치된 제2 매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트층 및 상기 제2 매트층은 외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은 상기 광제어 합지 필름의 외관 차폐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2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위에 배치된 제3 투광층;
    상기 제3 투광층의 위에 배치된 제1 매트층; 및
    상기 제2 투광층의 아래에 배치된 제2 매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트층 및 상기 제2 매트층은 외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 형상들은 상기 광제어 합지 필름의 외관 차폐를 제공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23. 광제어 합지 필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차광 패턴층;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및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을 합지하도록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 각각의 높이를 A,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각각의 높이를 B, 상기 중간층의 두께를 C로 정의할 때, 상기 중간층의 두께의 범위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식 1] A/2 ≤ C ≤ A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각각의 높이를 B로 정의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 높이와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 높이는 [식 2]를 만족하는 광제어 합지 필름.
    [식 2] B ≤ A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투광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적어도 50 ㎛ 인 광제어 합지 필름.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의 두께는 적어도 40 ㎛ 인 광제어 합지 필름.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예각을 갖도록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들은 서로 이격 배열되어 광이 지나가기 위한 제1 투광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의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들은 서로 이격 배열되어 광이 지나가기 위한 제2 투광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차광 패턴층 또는 상기 제2 차광 패턴층을 향해 바라볼 때, 광이 지나가기 위한 개구는 상기 제1 투광 영역 및 상기 제2 투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된 광제어 합지 필름.
KR1020220067024A 2021-06-02 2022-05-31 광제어 합지 필름 KR20220163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14 2021-06-02
KR20210071714 2021-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88A true KR20220163288A (ko) 2022-12-09

Family

ID=844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024A KR20220163288A (ko) 2021-06-02 2022-05-31 광제어 합지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2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492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4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6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7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492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4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6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WO2024136497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제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3288A (ko) 광제어 합지 필름
JP7503580B2 (ja) 光制御フィルムを有する湾曲したディスプレイ
JP2017211454A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6492597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WO2019095534A1 (zh) 屏幕及其制作方法
JP2012064420A (ja) 光源装置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US20210405454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module
JP2016062031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767137B1 (ko) 확산수단이 일체화된 확산판 기능포함 복합광학시트
JP2015176031A (ja) 配列型表示装置
KR101767136B1 (ko) 확산수단이 일체화된 확산판 기능포함 복합광학시트
JP2016114628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4119607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多画面表示装置
WO2021187570A1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映像表示装置
JP4673199B2 (ja)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8139847A (ja) 光学板
WO2021205907A1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映像表示装置
JP2012093647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251406B2 (ja)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透過型表示装置
JP2013200495A (ja) 配列型表示装置
JP6421571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6507563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6398517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4071388A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US20240205383A1 (en) Viewing angle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