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244A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244A
KR20220162244A KR1020210070483A KR20210070483A KR20220162244A KR 20220162244 A KR20220162244 A KR 20220162244A KR 1020210070483 A KR1020210070483 A KR 1020210070483A KR 20210070483 A KR20210070483 A KR 20210070483A KR 20220162244 A KR20220162244 A KR 20220162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part
hand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844B1 (ko
Inventor
이민경
김혜진
안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78Chair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는 등 받침부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부터 다리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촬영자가 환자를 촬영 시, 본체부가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촬영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영 차폐막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DENTAL SHIELD WITH ADJUSTABLE LENGTH}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는 등 받침부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부터 다리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촬영자가 환자를 촬영 시, 본체부가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촬영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영 차폐막에 관한 발명이다.
포터블 치과엑스선촬영장치는 1993년 미국에서 군대의 야전용으로 처음 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장애자나 재택 환자의 진료를 위한 응급용으로 판매되며 일반 치과 임상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 국내에서는 2003년 포터블 치과엑스선촬영장치가 제작 판매되기 시작하여, 환자가 진료용 의자에서 방사선실로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촬영 가능하여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여러 제품들이 치과 임상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포터블 치과엑스선촬영장치의 두 가지 큰 문제점으로 방사선에 의한 촬영자의 피폭과 보다 높은 환자선량을 들 수 있다.
즉, 이 장치는 촬영자가 직접 손에 들고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 시 관두부에서 나오는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산란방사선에 의해 촬영자의 몸과 손의 피폭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아직 이에 대한 안전 사용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하여 구강악안면 영역의 영상진단을 할 때 사용되는 방사선량의 위험도는 매우 미미한 수치임이 증명 되었고, 치과종사자들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방사선 촬영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고 있다.
또한, 촬영자가 포터블치과엑스선촬영장치를 직접 들고 촬영할 때 필름보다 감도 높은 디지털 센서를 사용해야 하며, 촬영자는 납 장갑을 반드시 착용하고, 콘의 길이가 긴 포터블 치과엑스선촬영장치를, 가급적 차폐된 공간에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정작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경우에는 반복적인 방사선 노출환경에 처해있음에도 피복문제에 대한 주의관심이 부족하다.
따라서, 치과 의자에 결합되어 촬영자의 몸과 손에 피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2013-0006616호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는 등 받침부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부터 다리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촬영자가 환자를 촬영 시, 본체부가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촬영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영 차폐막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본체부, 제1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제1 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본체부 및 제3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 본체부를 포함하고, 제1 본체부, 제2 본체부, 제3 본체부 및 제4 본체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촬영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본체부의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제4 본체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고,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제2 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레일, 제3 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레일 및 제4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4 레일을 포함하고, 제1 본체부 및 제3 본체부는 제2 본체부의 타측면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는 제2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고, 제2 본체부는 제3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고, 제3 본체부는 제4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당겨 제1 본체부와 제4 본체부가 상호 가까워지면, 제1 본체부는 제2 본체부의 일단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제3 본체부는 제2 본체부의 타단의 외부로 일부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치과용 의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고정부는 치과용 의자의 일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 및 제1 고정부와 수직하며, 제1 고정부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는 제1 고정부의 일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제2 고정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 홈을 포함하고, 결합부는 제2 고정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본체부는 등 받침부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부터 다리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촬영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증가한다.
또한, 촬영자가 환자를 촬영 시, 촬영자가 환자에게 가까이 접근한 경우 본체부가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촬영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 시,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이 가능하여 그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은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당겨 본체부를 간편하게 단축할 수 있어 본체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등 받침부의 일측면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어 있는 경우, 등 받침부의 일측면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경우, 본체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가 접혀 있는 경우, 본체부를 후방에서 살펴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부에 결합된 본체부가 등 받침부의 측면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부에 결합된 본체부가 머리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4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이고, '폭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Z축 방향이다. 또한,'일측면'은 제1 본체부(110)가 위치한 부분이고, '타측면'은 제4 본체부(140)가 위치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은 종래의 치과 의자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은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이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에 결합되었을 때,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형태가 처음 형태라고 가정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00) 및 고정부(200)로 구성되고, 본체부(100)는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제3 본체부(130) 및 제4 본체부(140)를 포함한다.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제3 본체부(130) 및 제4 본체부(140)는 사각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길이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본체부(110)의 일단에는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되고, 제2 본체부(120)의 일단에는 제3 본체부(130)가 결합되고, 제3 본체부(130)의 일단에는 제4 본체부(140)가 결합된다.
본체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 본체부(110)의 타단은 길이 방향으로 머리 받침부(10)의 일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고, 제4 본체부(140)의 타단은 길이 방향으로 다리 받침부(30)의 일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를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제3 본체부(130) 및 제4 본체부(140)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손잡이(150)는 제1 본체부(110) 일단의 일 지점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손잡이(160)는 제4 본체부(140) 일단의 일 지점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고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으면, 본체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은 치아 치료 시, 관두부에서 나오는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산란방사선에 의해 촬영자의 몸과 손이 피폭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에서 탈부착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조작이 편리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어 있는 경우,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0)가 처음 형태이며, 사용자가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고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으면, 본체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된다.
본체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면, 제2 본체부(120)의 후방에 제1 본체부(110)와 제3 본체부(130)가 위치된다.
제2 본체부(120)의 일단에 제1 본체부(11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본체부(120)의 타단에 제3 본체부(13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은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당겨 본체부(100)를 간편하게 단축할 수 있어 본체부(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즉, 적은 힘으로도 본체부(100)를 단축시킬 수 있어 누구나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고정부(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200)는 한 쌍의 제1 고정부(210), 한 쌍의 제2 고정부(220), 결합부(230), 돌출부(231) 및 제2 고정부 홈(221)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1 고정부(210)의 일단은 각각 등 받침부(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1 고정부(210)의 타단에는 제2 고정부(220)가 제1 고정부(210)와 상부를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직 방향으로 제2 고정부(220)의 상부에는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되고, 제1 고정부(210)의 상부에는 결합부(230)가 제1 고정부(210)와 맞닿아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30)는 단면이 삼각형이며 결합부(230)의 하면은 제1 고정부(210) 일단의 상부와 맞닿아 있고, 결합부(230)의 측부는 제2 고정부(220)의 일측면과 맞닿아 있다.
결합부(230) 측부의 일 지점에는 돌출부(231)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고정부(220) 일측면의 일 지점에는 제2 고정부 홈(221)이 형성된다.
결합부(230)는 제2 고정부(220)의 일측면에 맞닿으면서 돌출부(231)가 제2 고정부 홈(22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고정부(210)와 결합부(230)의 하면은 고정되어 있어 탈부착이 불가능하고, 결합부(230)의 돌출부(231)와 제2 고정부 홈(221)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서로 탈부착 가능하다.
제2 고정부(220)와 결합부(230)가 분리되면 제1 고정부(210)의 타단과 제2 고정부(220)의 일단이 맞닿게 되고,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가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220)와 결합부(230)의 분리 및 결합이 손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후술할 본체부(100)의 보관이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경우, 본체부(100)를 후방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 쌍의 제1 레일(111)이 제1 본체부(110)의 일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레일(121)이 제2 본체부(120)의 타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3 레일(131)이 제3 본체부(13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4 레일(141)이 제4 본체부(140)의 일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레일(111)은 제2 레일(121)과 맞닿으며 제1 본체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제1 본체부(110)는 제2 본체부(120)의 중심까지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면에 구성된 제3 레일(131)은 제2 레일(121)과 맞닿으며 제3 본체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제3 본체부(130)는 제2 본체부(120)의 중심까지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레일(141)은 타측면에 구성된 제3 레일(131)과 맞닿으며 제4 본체부(140)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레일(111), 제2 레일(121), 제3 레일(131) 및 제4 레일(141)에 안내롤이 긴밀히 접촉되어 본체부(100)가 자중에 의해서 급속히 개폐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의 손상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등 받침부(20)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부터 다리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촬영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증가한다.
즉, 촬영자가 환자를 촬영 시, 촬영자가 환자에게 가까이 접근한 경우 본체부(100)가 누출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을 차단시켜줌으로써 촬영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본체부(100)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 시,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이 가능하여 그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100)가 접혀 있는 경우, 본체부(100)를 후방에서 살펴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부(100)가 접혀있을 때, 제2 본체부(120)의 후방에 제1 본체부(110)와 제3 본체부(130) 및 제4 본체부(140)가 위치한다.
제1 본체부(110)는 제2 본체부(120) 후방에 위치되되, 제2 본체부(120)의 일측에 맞닿아 형성된다.
제3 본체부(130)는 제2 본체부(120) 후방에 위치되되, 제2 본체부(120)의 타측에 맞닿아 형성된다.
제4 본체부(140)는 제3 본체부(130)의 후방에 위치되되, 제4 본체부(140)와 맞닿아 형성된다.
또한, 제2 본체부(120)의 일단에는 제1 본체부(11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본체부(120)의 타단에는 제3 본체부(13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본체부(110) 일단의 일 지점에는 제1 손잡이(150)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4 본체부(140) 일단의 일 지점에는 제2 손잡이(160)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고 제1 손잡이(150)와 제2 손잡이(160)를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본체부(100)가 연장된다.
덧붙여, 본체부(100) 각각은 제1 레일(111), 제2 레일(121), 제3 레일(131) 및 제4 레일(141)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 바람 등의 충격을 받더라도 본체부(100)가 뒤틀어지거나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본체부(100)는 접고 펼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 각각은 제1 레일(111), 제2 레일(121), 제3 레일(131) 및 제4 레일(141)에 결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본체부(100)의 손상 및 변형이 방지되어 치과 임플란트 시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 받침부(20)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부(300)에 결합된 본체부(100)가 등 받침부(20)의 측면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형태는 치료가 끝난 직후, 제1 고정부(210)의 일단과 제2 고정부(220)의 일단이 맞닿아 일직선을 이룬다.
중심부(300)는 등 받침부(20)의 하부의 일 지점에 결합되되, 중심부(300)의 외주면에 후술할 회동부(310)가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동부(310)는 중심부(300)의 외주면을 감싸며 힌지 결합되어 있고, 회동부(310)와 제1 고정부(210)는 연결부(240)를 통해 결합된다.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40)는 중심부(300)의 외주면의 일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고정부(210)는 연결부(240)의 일단에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고정부(210)는 제1-1 고정부(211) 및 제1-2 고정부(212)로 구성된다.
제1-1 고정부(211)는 연결부(240)와 수직되어 결합되고, 한 쌍의 제1-2 고정부(212)는 제1-1 고정부(211)의 일단과 타단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한 쌍의 제2 고정부(220)는 각각 한 쌍의 제1 고정부(210)의 일단에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고정부(220)의 일단에는 본체부(100)가 결합된다.
한 쌍의 제2 고정부(220)의 사이에는 지지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지지부의 구성으로 한 쌍의 제2 고정부(220)의 위치가 이탈되거나 탈락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회동부(310)와 제1 고정부(210) 및 제2 고정부(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도 6에서는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가 수직을 이루지 않고 폭 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 받침부(20)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부(300)에 결합된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체부(100)의 사용이 끝났을 경우 또는 본체부(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본체부(100)의 제1 손잡이(150) 또는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고, 본체부(100)를 머리 받침부(10) 측으로 밀어 준다.
이후, 도 7의 도시와 같이 회동부(310)가 회전하여 제1 고정부(210) 및 제2 고정부(220)와 함께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의 하부에 위치되면,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머리 받침부(10)가 본체부(100)를 완전히 가리지 않으므로 제1 손잡이(150) 및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기도 편리하다.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본체부(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본체부(10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하여도 본체부(100)의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중심부(300)에는 탈착구가 결합되어 있어 연결부(240)는 중심부(3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자가 등 받침부(20)의 상부에 누워있는 환자를 촬영하여 차폐가 필요한 경우, 제1 손잡이(150) 또는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를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으로 당겨주면 회동부(310)와 결합된 본체부(100)가 중심부(300)를 따라 회전하면서 등 받침부(20)의 일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1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2 고정부(220)와 제1 고정부(210)를 수직하도록 결합시키면, 본체부(100)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체부(100)를 보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손잡이(150) 또는 제2 손잡이(160)를 파지하고, 본체부(100)를 머리 받침부(10) 측으로 밀어 주기만 하면 본체부(100)가 머리 받침부(10)의 하부로 이동한다.
즉, 본체부(100)는 중심부(300)에 연결부(240)와 결합되어 침입자로부터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회동부(310)의 구성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이동 동작이 원활하여 인출 사용 및 보관 동작에 따른 편리성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본체부(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본체부(1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본체부(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본체부(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본체부(1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본체부(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본체부(1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부(100)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본체부(1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머리 받침부,
20 : 등 받침부,
30 : 다리 받침부,
100 : 본체부,
110 : 제1 본체부,
111 : 제1 레일,
120 : 제2 본체부,
121 : 제2 레일,
130 : 제3 본체부,
131 : 제3 레일,
140 : 제4 본체부,
141 : 제4 레일,
150 : 제1 손잡이,
160 : 제2 손잡이,
200 : 고정부,
210 : 제1 고정부,
211 : 제1-1 고정부,
212 : 제1-2 고정부,
220 : 제2 고정부,
221 : 제2 고정부 홈,
222 : 지지부,
230 : 결합부,
231 : 돌출부,
240 : 연결부,
300 : 중심부,
310 : 회동부.

Claims (7)

  1.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본체부; 및
    상기 제3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 상기 제3 본체부 및 상기 제4 본체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촬영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4 본체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제2 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레일;
    상기 제3 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레일; 및
    상기 제4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4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3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타측면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3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고,
    상기 제3 본체부는 상기 제4 본체부와 일부 겹쳐져 있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를 당겨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4 본체부가 상호 가까워지면,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상기 제3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타단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치과용 의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치과용 의자의 일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수직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고정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KR1020210070483A 2021-06-01 2021-06-01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KR10249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83A KR102492844B1 (ko) 2021-06-01 2021-06-01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83A KR102492844B1 (ko) 2021-06-01 2021-06-01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44A true KR20220162244A (ko) 2022-12-08
KR102492844B1 KR102492844B1 (ko) 2023-01-26

Family

ID=8443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83A KR102492844B1 (ko) 2021-06-01 2021-06-01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8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617A (ja) * 1999-11-22 2001-05-29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WO2012121765A1 (en) * 2010-11-30 2012-09-13 Contour Fabricators, Inc. Radiation shield assembly and method of providing a sterile barrier to radiation
WO2013014488A1 (en) * 2011-07-22 2013-01-31 Trophy Shield for patient positioning in extra-oral imaging
KR20130006616U (ko)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20160112288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바텍 방사선 차폐장치
KR20180083887A (ko) * 2015-11-09 2018-07-23 레디액션 엘티디. 방사선 차폐 장치 및 그 적용
KR20210027584A (ko) * 2019-08-28 2021-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617A (ja) * 1999-11-22 2001-05-29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WO2012121765A1 (en) * 2010-11-30 2012-09-13 Contour Fabricators, Inc. Radiation shield assembly and method of providing a sterile barrier to radiation
WO2013014488A1 (en) * 2011-07-22 2013-01-31 Trophy Shield for patient positioning in extra-oral imaging
KR20130006616U (ko)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20160112288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바텍 방사선 차폐장치
KR20180083887A (ko) * 2015-11-09 2018-07-23 레디액션 엘티디. 방사선 차폐 장치 및 그 적용
KR20210027584A (ko) * 2019-08-28 2021-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선 차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844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rl et al. The effect of varnishes and other surface treatments on water movement across the glass ionomer cement surface. II
KR102492844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CA2597069A1 (en) Pyridaz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EP326303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of radiation detection cassette
WO2009032752A3 (en) Multimodal nanoparticles for non-invasive bio-imaging
EP2048266A1 (en) Corrosion protective layer
US7270477B1 (en) X-ray detector methods and apparatus
DE1069847B (de) Reflexvermindernde, lichtdurchlässige, leitende Überzüge auf Gegenständen aus elektrisch nichtleitenden Werkstoffen
FI3411437T3 (fi) Nanokomposiittiformulaatioita optisiin sovelluksiin
JP2007504450A (ja) それぞれ異なるシールド特性を有する少なくとも2つの層を備えた無鉛放射線防護材料
KR20190069756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210380853A1 (en) Adhesive for endoscope, cured product thereof, endosc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36568A (ko) 방사선 이미지 변환 스크린 및 플랫 패널 디텍터
CN109346202B (zh) 防射线移动防护装置
JP5843307B2 (ja) 帯電防止性粘着剤
TW200709930A (en) Antistatic curable composition, cured film thereof, and antistatic multilayer body
KR101775869B1 (ko)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CA2764380C (en) Alignment device for bitewing radiograph
CN210521512U (zh) 一种急诊呼吸用抢救辅助装置
KR10206864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05522471A (ja) 金属内包フラーレン造影剤
JP475984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を用いた積層体
Yoon et al. Evaluation of tungsten blended filament shields made by 3D printer in radiography
JP2006317439A (ja) 放射線遮蔽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v et al. Effect of Microarc Oxidation Treatment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gSiF6 on Titanium‐Porcelain Bonding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