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69B1 -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 Google Patents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69B1
KR101775869B1 KR1020170033173A KR20170033173A KR101775869B1 KR 101775869 B1 KR101775869 B1 KR 101775869B1 KR 1020170033173 A KR1020170033173 A KR 1020170033173A KR 20170033173 A KR20170033173 A KR 20170033173A KR 101775869 B1 KR101775869 B1 KR 10177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frames
mai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석
윤석기
Original Assignee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3Ladder stabilis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6Non-skid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가 개시된다. 상기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발판프레임; 상기 다수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제2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벽체 및 노면 사이에 세워질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지는 안전받침대; 상기 안전받침대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받침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안전받침대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받침대회전구속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전받침대가 노면에 지지될 때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SAFETY-ACCESSIBLE L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및 노면 사이에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발판을 밝고 올라서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 때 디딜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구를 의미한다.
사다리는 사다리 양측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평행한 한 쌍의 메인프레임 및 한 쌍의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발판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다리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상부와 하부에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지간길이가 길게되어 처짐과 출렁거림 발생으로 인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다리를 벽체 및 노면에 세워서 사용할 때 횡방향 발판프레임 아래에 안전받침대를 설치하여 노면에 지지되므로 지간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처짐과 진동을 감소시켜서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발판프레임; 상기 다수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제2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이 벽체 및 노면 사이에 세워질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지는 안전받침대; 상기 안전받침대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받침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안전받침대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받침대회전구속부재;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전받침대가 노면에 지지될 때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를 수용하는 원통 형태이고, 원통의 내면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원통의 내경이 상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단부 외면을 둘러싸도록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의 연결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임연결구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와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연결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핀삽입구멍;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2 핀삽입구멍;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될 때 상기 제1 핀삽입구멍 및 제1 핀삽입구멍에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2 핀삽입구멍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메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슬릿;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메인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2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가이드벽; 상기 제1 가이드슬릿 및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벽에 결합되고, 일단부는 메인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샤프트; 상기 연결샤프트의 노출된 일단부에 연결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외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고, 공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구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일면에서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가이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거치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제3 가이드슬릿에 체결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 제1 측면판;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판에 연결되고, 횡단면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비된 공구거치프레임; 상기 공구거치프레임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거치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제2 측면판; 및 상기 공구거치프레임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공구거치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에 연결되는 공구거치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에 의하면, 사다리를 벽체 및 노면에 세워서 사용할 때 횡방향 발판프레임 아래에 안전받침대를 설치하여 노면에 지지되므로 지간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처짐과 진동을 감소시켜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전받침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받침대의 하단부에 미끄럼방지구가 구비되므로 미끄럼방지구에 의해 안전받침대를 노면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벽체 및 노면에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연결샤프트, 가이드프레임, 공구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사다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안전받침대(130),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미끄럼방지구(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은 사다리의 전체 구조 중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다. 각각의 메인프레임(110)은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메인프레임(110)은 중공일 수 있다. 각각의 메인프레임(110)은 다수의 발판프레임(1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다수의 발판프레임(120)은 사용자가 사다리를 오를 때 발로 밟고 오르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다수의 발판프레임(120)은 단면 형상이 사각 또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발판프레임(120)은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발판프레임(120)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의 사이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안전받침대(13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이 벽체 및 노면 사이에 세워질 때 메인프레임(110)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안전받침대(130)는 제1 지지프레임(131), 제2 지지프레임(132), 연결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31)은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지지프레임(131)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31)은 원형 클램프(2331)를 통해 발판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32)은 제1 지지프레임(131)보다 큰 직경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제1 지지프레임(131)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32)은 제1 지지프레임(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연결수단(133)은 제1 지지프레임(131) 및 제2 지지프레임(132)을 연결한다. 일 예로, 연결수단(133)은 나사부(1331) 및 조임너트(133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1331)는 제2 지지프레임(132)의 상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1331a) 및 제1 나사산(1331a)이 형성된 부분에 제2 지지프레임(1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절개홈(133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너트(1332)는 나사부(1331)를 수용하는 원통 형태이고, 원통의 내면에 제2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조임너트(1332)의 원통의 내경은 상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조임너트(1332)가 나사부(1331)에 조여지면 나사부(1331)는 절개홈(1331b)을 점점 조이게 되어 제2 지지프레임(132)의 내부로 삽입된 제1 지지프레임(13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지지프레임(132)은 제1 지지프레임(1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는 안전받침대(130)가 메인프레임(110)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질 대 안전받침대(13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한다.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는 안전받침대(130)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일 예로,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는 체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인은 안전받침대(130)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구(150)는 안전받침대(130)가 노면에 지지될 때 제2 지지프레임(132)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 예로, 미끄럼방지구(150)는 측면 형상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저면부에 다수의 첨예한 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프레임(13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노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위해 사용되며, 사다리의 사용을 위해 사다리는 벽체 및 노면에 지지시켜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의 상단부는 벽체에 지지되고 메인프레임(110)의 하단부는 노면 상에 지지된다. 그리고 안전받침대(13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안전받침대(130)가 펼쳐지는 각도는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에 의해 제한되며, 안전받침대(130)의 제2 지지프레임(132)의 하단부는 미끄럼방지구(150)가 노면에 밀착되며, 이때 작업자가 미끄럼방지구(150)를 발로 누르면 미끄럼방지구(150)의 저면부에 돌출된 돌기들(151)의 끝단부는 노면에 박혀서 제2 지지프레임(132)이 노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사다리가 벽체 및 노면에 지지되면 사다리 위로 작업자가 올라서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및 안전받침대(130)의 하단부를 향해 하중이 분산되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및 안전받침대(130)가 하중을 견디어 사다리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사다리를 벽체 및 노면에 세워서 사용할 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및 안전받침대(130)가 서로 대칭을 이루어 노면에 지지되므로 사다리를 안정적으로 벽체 및 노면에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다리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전받침대(13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받침대(130)의 하단부에 미끄럼방지구(150)가 구비되므로 미끄럼방지구(150)에 의해 안전받침대(130)를 노면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벽체 및 노면에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연결수단(233)이 클램프(2331) 및 캠레버(233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연결수단(233)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클램프(2331)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개구된 부분에 한 쌍의 연결부(2331a)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2331a)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각각의 연결부(2331a)에는 관통구멍(2331b)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연결부(2331a)에는 안착곡면(2331c)이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2331)는 안전받침대(230)의 제1 지지프레임(231)과 결합된 제2 지지프레임(23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제2 지지프레임(232)에 결합될 수 있다.
캠레버(2332)는 상기 연결부(2331a)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임연결구(2333)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331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캠레버(2332)는 조임연결구(2333)와 연결되는 캠부(2332a) 및 캠부(2332a)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2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연결구(2333)는 연결부(2331a)의 관통구멍(2331b)에 삽입되도록 핀 형태로 구성되고, 일부분이 나사가공되어 있고, 나사가공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원형의 레버연결부(2333a)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임연결구(2333)의 레버연결부(2333a)에는 캠레버(2332)가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임연결구(2333)의 나사가공된 부분에는 체결너트(2334)가 결합되어 조임연결구(2333)가 클램프(2331)의 연결부(233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임연결구(2333)의 레버연결부(23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캠레버(2332)를 클램프(233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부(2332a)의 가장자리의 캠면(2332c)은 클램프(2331)의 일측 연결부(2331a)에 형성된 안착곡면(2331c)에 밀착되면서 안착곡면(2331c)이 형성된 연결부(2331a)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2331a)의 간격은 좁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안전받침대(230)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고자 할 때, 캠레버(2332)가 클램프(233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2 지지프레임(232)에 제1 지지프레임(231)이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캠레버(2332)를 클램프(233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부(2332a)의 캠면(2332c)이 연결부(2331a)를 가압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2331a)의 간격을 좁힌 상태로 고정되어 제2 지지프레임(232)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는 연결수단(333)이 제1 핀삽입구멍(3331), 제2 핀삽입구멍(3332), 고정핀(3333)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연결수단(333)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핀삽입구멍(3331)은 제1 지지프레임(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2 핀삽입구멍(3332)은 제2 지지프레임(332)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고정핀(3333)은 제2 지지프레임(332)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될 때 상기 제1 핀삽입구멍(3331) 및 제1 핀삽입구멍(3331)에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2 핀삽입구멍(3332)에 체결된다. 또한 고정핀(3333)은 제2 지지프레임(332)에 연결체인(미도시)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안전받침대(43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고정핀(3333)을 제1 핀삽입구멍(3331) 및 제2 핀삽입구멍(3332)으로부터 분리하고, 제2 지지프레임(332)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킨 후 제2 지지프레임(332)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2 지지프레임(332)의 제2 핀삽입구멍(3332) 및 제2 핀삽입구멍(3332)에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1 핀삽입구멍(3331)에 체결되어 제2 지지프레임(332)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연결샤프트, 가이드프레임, 공구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다수의 발판프레임(420), 안전받침대(430), 받침대회전구속부재(440), 미끄럼방지구(450), 가이드벽(460), 연결샤프트(470), 가이드프레임(480), 공구거치대(4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다수의 발판프레임(420), 안전받침대(4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다수의 발판프레임(420), 안전받침대(4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중 가이드벽(460)이 결합되는 메인프레임(410)은 후술하는 가이드벽(460)의 제1 가이드슬릿(4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가이드슬릿(461)이 구비된다.
가이드벽(460)은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중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410)의 내부에 메인프레임(4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된다. 가이드벽(460)은 메인프레임(4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된다. 일 예로, 가이드벽(46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연결샤프트(470)는 가이드벽(460)이 구비된 메인프레임(410)의 측면부 및 상기 제1 가이드슬릿(411)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벽(460)에 결합된다. 이때, 연결샤프트(470)의 일단부는 메인프레임(4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샤프트(470)는 제1 가이드슬릿(41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연결샤프트(470)는 측면플레이트(471), 측면플레이트(47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축부(472), 측면플레이트(471)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472)는 가이드벽(460)의 제1 가이드슬릿(411) 및 메인프레임(410)의 제2 가이드슬릿(461)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메인프레임(4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측면플레이트(471) 및 돌출부(473)는 축부(472)가 제1 가이드슬릿(411) 및 제2 가이드슬릿(461)을 관통한 상태에서 가이드벽(460)의 후방에 위치하고, 이때 측면플레이트(471)는 돌출부(473)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가이드프레임(480)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 프레임 형태로 구비된다.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는 연결샤프트(470)의 노출된 일단부, 즉 축부(472)의 노출된 일단부에 연결샤프트(47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는 메인프레임(410)의 외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프레임(480)의 자중에 의해 쳐짐이 발생하여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가 메인프레임(410) 외면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평상시 및 공구거치대(490)에 공구가 거치된 상태에서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470)의 측면플레이트(471)가 가이드벽(460)의 후방에서 돌출부(473)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있고,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가 메인프레임(410)과 이격되므로 가이드프레임(480)의 자중에 의해 연결샤프트(470)는 메인프레임(410)의 하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샤프트(470)의 측면플레이트(471) 및 돌출부(473)는 가이드벽(460)의 표면에 지지되고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의 일부분도 메인프레임(410)의 외면에 지지되므로 가이드프레임(480) 및 연결샤프트(470)는 하강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가이드프레임(480)의 전방측은 후술하는 공구거치대(49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고, 가이드프레임(480)의 일면, 예를 들면 가이드프레임(480)의 상면에는 제3 가이드슬릿(48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구거치대(490)는 가이드프레임(480)의 내외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에 결합되고, 공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공구거치대(490)는 제1 측면판(491), 공구거치프레임(492), 제2 측면판(493), 공구거치와이어(4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판(491)은 가이드프레임(48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제3 가이드슬릿(481)에 체결되는 가이드편(491a)이 구비된다.
공구거치프레임(492)은 사각의 프레임 형태이고, 가이드프레임(480)과 평행하도록 일단부가 제1 측면판(491)에 연결되고, 횡단면이 가이드프레임(480)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제2 측면판(493)은 가이드프레임(48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면판(493)은 공구거치프레임(49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공구거치프레임(492)이 가이드프레임(48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다.
공구거치와이어(494)는 공구거치프레임(492)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공구거치프레임(492)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1 측면판(491) 및 제2 측면판(493)에 연결된다. 일 예로, 공구거치와이어(494)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안전받침대(4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받침대(430) 및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을 벽체 및 노면에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전받침대(4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 높게 이동한 상태에서 각종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를 공구거치대(490)를 통해 간단히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공구거치대(49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사다리의 발판프레임(420)을 밟고 사다리에 오른 상태에서의 위치로 공구거치대(49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공구거치대(490)의 이동은, 연결샤프트(470), 가이드프레임(480) 및 공구거치대(490)는 연결샤프트(470)가 가이드벽(460)의 제1 가이드슬릿(411) 및 메인프레임(410)의 제2 가이드슬릿(461)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연결샤프트(470)는 측면플레이트(471)가 돌출부(473)에 의해 가이드벽(460)과 이격되고,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가 메인프레임(410)의 외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프레임(480) 및 연결샤프트(470)가 제1 가이드슬릿(411) 및 제2 가이드슬릿(461)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공구거치대(490), 가이드프레임(480) 및 연결샤프트(470)가 이동한 후에는 가이드프레임(480) 및 공구거치대(490)의 자중에 의해 공구거치대(490), 가이드프레임(480) 및 연결샤프트(470)가 아래로 기울어져서 가이드프레임(480)의 후단부는 메인프레임(410)의 외면에 지지되고, 연결샤프트(470)의 측면플레이트(471) 및 돌출부(473)는 가이드벽(460)의 표면에 지지되므로 공구거치대(490)는 다시 아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작업 위치를 미리 선정한 후 사다리를 오르기 전에 선행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사다리를 오른 후 자세를 낮추거나 손을 아래로 뻗어서 공구거치대(490)를 잡고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구거치대(490)가 사용자의 작업 위치와 근접하게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이드프레임(480)의 내측으로부터 공구거치대(490)를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공구거치대(490)의 제2 측면판(493)을 잡고 당기면 공구거치대(490)는 가이드프레임(48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며, 공구거치대(490)의 인출은 공구거치대(490)의 제1 측면판(491)의 가이드편(491a)이 가이드프레임(480)의 제3 가이드슬릿(481)의 단부에 대응될 때 멈추게 된다.
인출된 공구거치대(490)에 사용자가 공구를 거치하는 과정은, 공구의 손잡이를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의 사이로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망치인 경우 망치의 손잡이부를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의 사이로 삽입하면 망치의 타격부는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 상에 거치되어 망치를 공구거치대(490)에 거치시킬 수 있다. 만약, 망치의 손잡이부가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의 간격보다 두꺼운 형태라 하더라도 공구거치대(490)는 공구거치와이어(494)가 소정 폭 늘어나면서 망치의 손잡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구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를 이용하면, 사다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오른 상태에서 각종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공구를 작업 중에 쉽게 공구거치대(490)에 거치하면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작업 환경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구거치대(490)는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의 사이로 공구를 거치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공구거치와이어(494) 및 공구거치프레임(492)의 사이의 간격보다 직경 또는 크기가 큰 공구의 일부분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공구거치와이어(494)가 소폭 인장되면서 공구의 일부분이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공구의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는 메인프레임(110, 410)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420)의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화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화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메타규산화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타규산화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화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화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0.1 몰 및 메타규산화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는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의 표면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 소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가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표면보호도포층은 지르코늄 분말 2.5중량%,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지르코늄 분말은,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지르코늄 분말은 2.5중량% 혼합된다. 지르코늄 분말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내식성, 내열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지르코늄 분말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아연,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아연,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모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된다.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표면보호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표면보호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에도 높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에 지르코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표면보호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410 : 메인프레임 120, 420 : 발판프레임
130, 230, 430 : 안전받침대 140, 440 : 받침대회전구속부재
150, 450 : 미끄럼방지구

Claims (5)

  1.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410);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110, 410)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420);
    상기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4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131, 231, 331), 상기 제1 지지프레임(131, 231, 331)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131, 231, 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131, 231, 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지지프레임(132, 232, 332), 상기 제1 지지프레임(131, 231, 331) 및 제2 지지프레임(132, 231, 33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133, 233, 333)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410)이 벽체 및 노면 사이에 세워질 때 상기 메인프레임(110, 410)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지는 안전받침대(130, 230);
    상기 안전받침대(130, 230) 및 다수의 발판프레임(120, 4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받침대(130, 230)가 상기 메인프레임(110, 410)과 대칭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안전받침대(130, 23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받침대회전구속부재(140, 440);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132, 232, 33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전받침대(130, 230, 430)가 노면에 지지될 때 상기 제2 지지프레임(132, 232, 332)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구(150)를 포함하며;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 중 어느 하나에 메인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슬릿(411);
    상기 제1 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된 메인프레임(410)의 내부에 메인프레임(4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슬릿(41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2 가이드슬릿(461)이 형성된 가이드벽(460);
    상기 제1 가이드슬릿(411) 및 상기 제2 가이드슬릿(461)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벽(460)에 결합되고, 일단부는 메인프레임(4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가이드슬릿(461)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샤프트(470);
    상기 연결샤프트(470)의 노출된 일단부에 연결샤프트(47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48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내외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에 결합되고, 공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구거치대(4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은 일면에서 가이드프레임(48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가이드슬릿(481)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거치대(49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제3 가이드슬릿(481)에 체결되는 가이드편(491a)이 구비된 제1 측면판(491);
    상기 가이드프레임(480)과 평행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판(491)에 연결되고, 횡단면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비된 공구거치프레임(492);
    상기 공구거치프레임(492)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거치프레임(492)이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48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제2 측면판(493); 및
    상기 공구거치프레임(492)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공구거치프레임(492)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1 측면판(491) 및 제2 측면판(493)에 연결되는 공구거치와이어(4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33173A 2017-03-16 2017-03-16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KR10177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173A KR101775869B1 (ko) 2017-03-16 2017-03-16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173A KR101775869B1 (ko) 2017-03-16 2017-03-16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69B1 true KR101775869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173A KR101775869B1 (ko) 2017-03-16 2017-03-16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374A (en) * 2017-04-05 2018-12-19 R D S Innovations Ltd Ladder safet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818A (ja) * 2000-07-04 2002-01-23 Suritsuku Kk 伸縮自在管のク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818A (ja) * 2000-07-04 2002-01-23 Suritsuku Kk 伸縮自在管のクラン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374A (en) * 2017-04-05 2018-12-19 R D S Innovations Ltd Ladder safe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0142A1 (en) Ladder securing apparatuse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9488003B2 (en) Portable ladder with a stand off device
AU2006349972B2 (en) Fall arrester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AU2014277621B2 (en) Ladder safety mechanisms
US20230349235A1 (en) Extendable walkthrough device for ladders
US20050139425A1 (en) Ladder stabilizer
KR101775869B1 (ko) 안전 사용이 가능한 사다리
US9932771B1 (en) Ladder safety rails
KR101775868B1 (ko)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
KR101848008B1 (ko)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US10294721B1 (en) Ladder for narrow structures
CN2876304Y (zh) 火灾自救软梯
CN201431722Y (zh) 角钢架铁塔登高施工安全装置
EP2194224A1 (en) Protection device for ladders
JP2006249890A (ja) はしごや脚立の転倒防止支え
CN211081098U (zh) 一种建筑工程用安全防坠网
JP2007056592A (ja) 梯子安定具
US10316585B1 (en) Strand grab and ladder including the same
JP3100173U (ja) 梯子用転倒防止保持具
CN217427635U (zh) 桥梁施工用临时电缆支架
KR102228480B1 (ko) 안전사다리
GB2454596A (en) Safety clamp
JP6467106B1 (ja) 安全ネット用ブラケット
AU2017101773A4 (en) A screen assembly
AU2004203632B2 (en) Safety Bracket for Lad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