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08B1 -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08B1
KR101848008B1 KR1020170054801A KR20170054801A KR101848008B1 KR 101848008 B1 KR101848008 B1 KR 101848008B1 KR 1020170054801 A KR1020170054801 A KR 1020170054801A KR 20170054801 A KR20170054801 A KR 20170054801A KR 101848008 B1 KR101848008 B1 KR 10184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ole
frame
leve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7005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광케이블용 통신주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의 상부에 통신주를 수용하는 고정장치를 탈착 및 절곡가능케 마련하기 위해,
통신주를 투입가능한 개구부와 통신주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몸체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대로 연결한 수용홈 내부에는 개구부에 걸쇠를 겹치게 한 잠금구를 스프링에 의해 잠금되고 레버에 의해 열려지게 하고 몸체 타측에는 사다리의 수직프레임에 고정가능한 걸림부재와 발판프레임에 고정가능한 발판부재를 마련한 발판프레임에서 회전 및 탈착가능케 하여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전주 또는 통신주에 기대어 놓을 때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사다리의 수직프레임 또는 발판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 가능케 할 수 있는 이점과 그로 인한 종래의 2인 작업자로 구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과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시 사다리가 기울어져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과 그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Fixed device for ladder}
본 발명은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광케이블용 통신주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의 상부에 통신주를 수용하는 고정장치를 탈착 및 절곡가능케 마련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통신주의 외주연을 고정가능케 하여 사다리가 통신주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건물의 외벽에 간판을 설치하거나 실내외의 높은 곳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지를 바르거나 장식물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때는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다리 중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자형 사다리는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과 두 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발판역활을 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의 수직프레임 하단을 바닥에 두고 경사진 각도로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통신주에 밀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경사진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발판프레임을 통해 높은 곳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자형 사다리는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수직프레임의 하단이 양쪽이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다리의 균형이 잡히지 않아 매우 심하게 흔들리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없거나 작업자가 불안해서 작업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전선이 연결하는 20 ~ 30cm의 직경인 전주 또는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12 ~ 15cm의 직경인 통신주에도 많이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야외에 설치된 전주 또는 통신주는 설치된 바닥은 지면으로 고르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사다리를 통한 이동이나 작업시 작업자가 수직사다리 상에서 신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마다 안전후프가 마련하여 작업자가 수직사다리를 타고 높은 장소로의 이동시 양측의 수직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발판을 밟고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수직사다리용 안전후프는 이 안전후프가 수직사다리에 일체형으로 고정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후프의 선택적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여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안전후프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후프 제작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와 설치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안전후프 전체 형상이 직선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 등에 부딪힐 경우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되는 등 안정성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지면이 고르지 않은 높은 장소의 현장에서 사다리를 기대고 올라가기에 어려움이 있어 작업자 2인으로 구성하여 한사람이 사다리를 밑에서 잡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동안 밑에 한사람은 계속 사다리를 잡고 있어야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직경이 작은 통신주에 기대어 높은 현장으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기 위해 작업자가 2인으로 구성하면 작업비용을 상승시키게 하는 원인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그로 인한 2인으로 작업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직경이 작은 통신주에 기대어 놓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에 전주 또는 통신주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선호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494호 "수직사다리용 안전후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벽면 또는 전주에 기대어 놓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주를 투입가능한 개구부와 통신주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몸체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대로 연결한 수용홈을 마련하되,
상기 수용홈에는 개구부에 걸쇠를 겹치게 한 잠금구를 스프링에 의해 잠금되고 레버에 의해 열려지게 하고 몸체 타측에는 사다리의 수직프레임에 고정가능한 걸림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발판프레임에 고정가능한 발판부재를 발판프레임과 회전 및 탈착가능케 하는 고정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상부에 결속공(4)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공(4)에는 고정장치(10)를 결속나사(5)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장치(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일측에 돌출마련하고 타측에는 통신주(9)를 투입가능한 개구부(14)와 통신주(9)를 수용하는 수용부(15)를 몸체(11)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상판(12)과 하판(13)을 연결시켜 내부에 수용홈(16)을 마련하고,
상기 상판(12)과 하판(13)의 끝단에는 멈춤핀(18)을 연결하고 상기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걸쇠(31)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16)에는 걸쇠(31)를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에 의해 탄성으로 연결하며 잠금구(30)의 타측에는 레버(36)를 몸체(11) 외부로 돌출 마련하고 중앙에 회동핀(17)에 의해 잠금구(30)가 회전가능케 연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30)는 내부에 통신주(9)를 수용하는 피난공(33)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쇠(31)를 형성하되 걸쇠(31)의 일측에는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는 회동공(3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레버(36)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상기 걸쇠(31)는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마련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의 양끝단에 형성한 걸구(41)를 걸공(34)에 끼워 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30)의 레버(36)에는 레버공(37)을 형성하여 연결고리(7)를 마련하고 상기 사다리(1)의 수직프레임(3) 일측에는 다수개의 아이볼트(6)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고리(7)와 연결하는 연결끈(8)을 아이볼트(6) 내부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사다리(1)의 발판프레임(2)에는 발판결속공(60)을 형성하고,
상기 발판프레임(2)을 수용하는 발판공(51)을 내부에 형성한 발판부재(50)에 발판고정공(52)을 형성하여 발판나사(55)로 발판프레임(2)에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발판부재(50)의 타측에는 걸림공(54)을 형성한 걸림구(5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림구(53)의 걸림공(54)에 몸체(11)의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나사(56)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주를 투입가능한 개구부와 통신주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몸체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대로 연결한 수용홈 내부에는 개구부에 걸쇠를 겹치게 한 잠금구를 스프링에 의해 잠금되고 레버에 의해 열려지게 하고 몸체 타측에는 사다리의 수직프레임에 고정가능한 걸림부재와 발판프레임에 고정가능한 발판부재를 마련한 발판프레임에서 회전 및 탈착가능케 하는 고정장치를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고정장치의 레버를 스프링에 의해 작동시켜 걸쇠를 열어 개구부로 전주 또는 통신주의 외주연을 투입하도록 한 후 수용부에서 통신주를 고정가능케 레버로 스프링에 의해 걸쇠를 닫히게 하여 간단하게 수용부에 마련한 전주 또는 통신주의 외주연을 잠금구로 통신주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여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전주 또는 통신주에 기대어 놓을 때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사다리의 수직프레임 또는 발판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 가능케 할 수 있는 이점과 그로 인한 종래의 2인 작업자로 구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과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시 사다리가 기울어져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과 그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상부에 결속공(4)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공(4)에는 고정장치(10)를 결속나사(5)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장치(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일측에 돌출마련하고 타측에는 통신주(9)를 투입가능한 개구부(14)와 통신주(9)를 수용하는 수용부(15)를 몸체(11)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상판(12)과 하판(13)을 연결시켜 내부에 수용홈(16)을 마련하고,
상기 상판(12)과 하판(13)의 끝단에는 멈춤핀(18)을 연결하고 상기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걸쇠(31)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16)에는 걸쇠(31)를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에 의해 탄성으로 연결하며 잠금구(30)의 타측에는 레버(36)를 몸체(11) 외부로 돌출 마련하고 중앙에 회동핀(17)에 의해 잠금구(30)가 회전가능케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30)의 실시예로는 내부에 통신주(9)를 수용하는 피난공(33)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쇠(31)를 형성하되 걸쇠(31)의 일측에는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는 회동공(3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레버(36)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상기 걸쇠(31)는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마련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의 양끝단에 형성한 걸구(41)를 걸공(34)에 끼워 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잠금구(30)의 레버(36)에는 레버공(37)을 형성하여 연결고리(7)를 마련하고 상기 사다리(1)의 수직프레임(3) 일측에는 다수개의 아이볼트(6)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고리(7)와 연결하는 연결끈(8)을 아이볼트(6) 내부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1)의 발판프레임(2)에는 발판결속공(60)을 형성하고 상기 발판프레임(2)을 수용하는 발판공(51)을 내부에 형성한 발판부재(50)에 발판고정공(52)을 형성하여 발판나사(55)로 발판프레임(2)에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발판부재(50)의 타측에는 걸림공(54)을 형성한 걸림구(5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림구(53)의 걸림공(54)에 몸체(11)의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나사(56)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통신주(9)에 사다리(1)를 기댄 후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시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먼저 사다리(1)를 먼저 통신주(9)에 기댄 후 작업자가 사다리(1)를 잡고 다른 작업자는 사다리(1)를 타고 올라가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10)의 레버(36)를 양측으로 잡고 당기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핀(17)에 의해 잠금구(30)가 회전하면서 벌어지게 되어 개구부(14)에 마련한 걸쇠(31)가 열려지게 되고 이때 개구부(14)는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레버(36)에 의해 개구부(14)가 개방되면 개구부(14)로 통신주(9)를 투입하고 난 후 다시 당긴 레버(36)를 놓으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구(30)가 다시 회동핀(17)에 의해 복귀하면서 개구부(14)로 걸쇠(31)가 서로 교차하게 되고 이때 개구부(14)는 잠금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14)를 통해 통신주(9)가 투입하여 몸체(11)의 수용부(15)에 마련하게 되면 직경이 작은 통신주(9)에 사다리(1)가 고정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작업자가 한사람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통신주(9)에 사다리를 기대어 본 발명의 고정장치(10)를 밀착시킨 후 작업자가 사다리(1) 밑에서 연결끈(8)을 잡아당기게 되면 레버(36)의 레버공(37)에 연결고리(7)로 연결된 연결끈(8)이 사다리(1)의 수직프레임(3)의 일측에 고정한 아이볼트(6)의 내부를 통해 당겨진 연결끈(8)은 레버(36)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아이볼트(6)는 연결끈(8)을 당길 때 레버(36)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이볼트(6)의 위치를 레버(36)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3)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작업자가 사다리(1) 밑에서도 레버(36)를 잡아당기더라도 본 발명의 고정장치(10)의 레버(36)를 작동시켜 개구부(14)를 개폐가능케 함으로 작업자가 1인으로 작업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장시간 높은 사다리(1)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작업자가 수직방향으로 세운 사다리(1)에서 밑에 작업자가 손을 놓더라도 사다리(1)는 수직방향을 유지하게 되면서 다른 작업자가 사다리(1)를 잡아주는 도움없이 작업자가 혼자서도 발판프레임(2)을 밟고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1 : 사다리 2 : 발판프레임
3 : 수직프레임 4 : 결속공
5 : 결속나사 6 : 아이볼트
7 : 연결고리 8 : 연결끈
9 : 통신주 10 : 고정장치
11 : 몸체 12 : 상판
13 : 하판 14 : 개구부
15 : 수용부 16 : 수용홈
17 : 회동핀 18 : 멈춤핀
20 : 걸림부재 21 : 연결공
30 : 잠금구 31 : 걸쇠
32 : 걸턱 33 : 피난공
34 : 걸공 35 : 회동공
36 : 레버 37 : 레버공
40 ; 스프링 41 : 걸구
50 : 발판부재 51 : 발판공
52 : 발판고정공 53 : 걸림구
54 : 걸림공 55 : 발판나사
56 : 나사 60 : 발판결속공

Claims (4)

  1.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상부에 결속공(4)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공(4)에는 고정장치(10)를 결속나사(5)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장치(10)는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일측에 돌출마련하고 타측에는 통신주(9)를 투입가능한 개구부(14)와 통신주(9)를 수용하는 수용부(15)를 몸체(11) 일측에 형성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상판(12)과 하판(13)을 연결시켜 내부에 수용홈(16)을 마련하고,
    상기 상판(12)과 하판(13)의 끝단에는 멈춤핀(18)을 연결하고 상기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걸쇠(31)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16)에는 걸쇠(31)를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에 의해 탄성으로 연결하며 잠금구(30)의 타측에는 레버(36)를 몸체(11) 외부로 돌출 마련하고 중앙에 회동핀(17)에 의해 잠금구(30)가 회전가능케 연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30)는 내부에 통신주(9)를 수용하는 피난공(33)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쇠(31)를 형성하되 걸쇠(31)의 일측에는 멈춤핀(18)에 걸려지는 걸턱(32)을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는 회동공(3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레버(36)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상기 걸쇠(31)는 개구부(14)에 대칭되게 겹치게 마련한 잠금구(30)를 스프링(40)의 양끝단에 형성한 걸구(41)를 걸공(34)에 끼워 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연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30)의 레버(36)에는 레버공(37)을 형성하여 연결고리(7)를 마련하고 상기 사다리(1)의 수직프레임(3) 일측에는 다수개의 아이볼트(6)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고리(7)와 연결하는 연결끈(8)을 아이볼트(6) 내부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발판프레임(2)에는 발판결속공(60)을 형성하고,
    상기 발판프레임(2)을 수용하는 발판공(51)을 내부에 형성한 발판부재(50)에 발판고정공(52)을 형성하여 발판나사(55)로 발판프레임(2)에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발판부재(50)의 타측에는 걸림공(54)을 형성한 걸림구(5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림구(53)의 걸림공(54)에 몸체(11)의 연결공(21)을 형성한 걸림부재(20)를 나사(56)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20170054801A 2017-04-28 2017-04-28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184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01A KR101848008B1 (ko) 2017-04-28 2017-04-28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01A KR101848008B1 (ko) 2017-04-28 2017-04-28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008B1 true KR101848008B1 (ko) 2018-05-24

Family

ID=6229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01A KR101848008B1 (ko) 2017-04-28 2017-04-28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036A (zh) * 2019-09-27 2019-12-03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装置
KR20220065363A (ko) * 2020-11-13 2022-05-20 황호용 전신주 사다리용 안전거치장치
CN115288420A (zh) * 2022-09-14 2022-11-04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爬架上用于辅助施工的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3009A1 (en) 2008-04-01 2010-08-26 Ruben Guinovart Stabilizing mechanism for lad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3009A1 (en) 2008-04-01 2010-08-26 Ruben Guinovart Stabilizing mechanism for ladde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036A (zh) * 2019-09-27 2019-12-03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装置
CN110529036B (zh) * 2019-09-27 2024-03-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检修装置
KR20220065363A (ko) * 2020-11-13 2022-05-20 황호용 전신주 사다리용 안전거치장치
KR102440874B1 (ko) * 2020-11-13 2022-09-05 황호용 전신주 사다리용 안전거치장치
CN115288420A (zh) * 2022-09-14 2022-11-04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爬架上用于辅助施工的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008B1 (ko) 통신주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1960059B1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10760338B2 (en) Ladder securing apparatuse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EP3015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KR102028043B1 (ko)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AU2014277621B2 (en) Ladder safety mechanisms
WO1995010958A1 (en) Stabilized ladder and platform
EP3492688B1 (en) Arrangement introduced in a device having a hook for anchoring a ladder to cables
KR102165298B1 (ko)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KR101862512B1 (ko) 사다리용 완충장치
GB2476283A (en) Attachment device to secure a ladder to a scaffold
EP1760224A2 (en) Guardrall attachement means for scaffolding towers
AU2012344261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a crane
KR20110134121A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JP2020111949A (ja) 安全梯子
EP2031150A2 (en) Scaffolding stairway system
JP2005061106A (ja) 屋根上作業方法および屋根上作業方法に用いる安全帯取付具
US20120000727A1 (en) Safe Ascend Bosun's Chair
JP5814596B2 (ja) 仮設足場の昇降装置
CN216446830U (zh) 消防救援挂钩梯
JPS6350342Y2 (ko)
EP3425157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CN218636503U (zh) 一种攀登铁塔防坠装置
NL2020293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CN215407322U (zh) 一种爬架防坠导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