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296A -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296A
KR20220161296A KR1020227032223A KR20227032223A KR20220161296A KR 20220161296 A KR20220161296 A KR 20220161296A KR 1020227032223 A KR1020227032223 A KR 1020227032223A KR 20227032223 A KR20227032223 A KR 20227032223A KR 20220161296 A KR20220161296 A KR 2022016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ing composition
package
ma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카네코
Original Assignee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함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새로운 수단의 제공.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Description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본 발명은,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용매로서 적어도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함수 조성물)은, 생체에 대하여 자극이 적은 것이나, 여러가지 성분이 배합 가능하다는 것 등의 이점에서,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물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함수 조성물에는, 방부제(살균제)을 배합하여 방부 효과를 갖게 하는 수가 많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벤류나, 벤잘코늄 염화물 등의 제4급 암모늄형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부제에는 세포 독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어(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함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새로운 수단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그런데, 고칼륨 혈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유효성이 실제로 확인되고 있는 화합물로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1종인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이 알려져 있고(특허문헌 1, 2),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의 현탁용 산분포(분말 제제)가, 고칼륨 혈증을 적응으로 하는 의약품 LOKELMA 혹은 로켈마(모두 등록 상표)로서 미국, 일본 등에서 판매되기에 이르고 있다(비특허문헌 2, 3). 당해 약제는, 복용 시에 분포 내의 약제를 모두 용기에 덜어 적당량의 물에 현탁하여 복용하라는 복약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탁 후의 약제는 보관하지 않고 폐기하도록 지도되고 있어(비특허문헌 4), 어디까지나 분말의 상태에서 유통되고 보관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표 제2014-5065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표 제2016-535749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새로운 안과 8(10): 1599~1603, 1991 비특허문헌 2: "LOKELMA(등록 상표)" 첨부 문서, 2018년 비특허문헌 3: "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5g/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10g" 첨부 문서, 2020년 3월 비특허문헌 4: "약의 안내서 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5g", 2020년 5월
그러나,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방부 효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가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함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바, 고칼륨 혈증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 등의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이,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켰을 경우에 의외로 우수한 방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킨 후에 이것을 포장체(용기)에 수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함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 오염이 저감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함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에 관한 양태의 발명>>
본 명세서에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으로서는, 적어도 지르코늄 시클로규산과 1종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성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수화물 등의 용매화물이어도 좋다. 양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루비듐 이온, 세슘 이온 등의 제1족 원소의 양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제2족 원소의 양이온; 수소 이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양이온으로서는,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나트륨 이온 및 수소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으로서는,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및 그 용매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일본 일반명(JAN). 또한, 미국 일반명(USAN)은 Sodium zirconium cyclosilicate)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은 물에 난용성인 성분이며, 그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분말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함수 조성물로의 현탁성(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여 함수 조성물 전체에 걸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1 내지 200μm가 바람직하고, 3 내지 15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00μm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내지 50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자경은, 메디안 직경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입도 분포 측정 장치(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S 13 320(베크만 콜터사))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은 공지된 화합물이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또한,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상품명:LOKELMA(등록 상표) (아스트라제네카사)) 등을 들 수 있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며, 또한, 복용감 등의 관점에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서는,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60 질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4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4 내지 35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함수 조성물 중의 (B)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에 대한 (A)물의 함유 질량비 [(A)/(B)]는,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또한, 복용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서는, 0.1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상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 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이상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 이상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함수 조성물"이란, 적어도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이란, 함수 조성물과 포장체를 구비하고,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의약 제제이다.
함수 조성물의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상(현탁액 등), 반고형상(겔상(젤리상), 연고 등) 등을 들 수 있다.
함수 조성물의 성상으로서는, 함수 조성물로의 현탁성(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고 함수 조성물 전체에 걸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점성이 있는 액상 또는 반고형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추 평판형 회전 점도계에 의해 25℃에서 측정했을 경우의 전단 점도가 1Pa·s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Pa·s)의 함수 조성물 또는 반고형상의 함수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추 평판형 회전 점도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모듈러 레오미터 MCR301(안톤파사)을 들 수 있다.
함수 조성물 중의 물로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주사용수, 멸균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며, 또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서는,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60 내지 95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70 내지 9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25℃에서 측정했을 경우의 함수 조성물의 pH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2 내지 13이지만, 미생물 오염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1,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또한, 함수 조성물은,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 이외의, 의약품의 유효 성분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술폰산 칼슘, 폴리스티렌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함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제17 개정 일본 약전 제제 총칙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7 개정 일본 약전에 기재된 제형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경구 액제, 엘릭시르제, 현탁제, 유제, 리모나데제, 시럽제, 경구 젤리제 등의 경구 투여하는 제제; 구강용 액제, 구강용 반고형제 등의 구강 내에 적용하는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함수 조성물의 제형으로서는, 함수 조성물로의 현탁성(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여 함수 조성물 전체에 걸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현탁제 및 경구 젤리제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이 바람직하다.
함수 조성물은,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 물 이외에, 제형 등에 따라,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분야에서 범용의 제제 첨가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제제 첨가물로서는, 현탁화제, 고분자 겔 기제, pH 조절제, 감미제, 향료,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함수 조성물에 대한 현탁성(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여 함수 조성물 전체에 걸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현탁화제 및 고분자 겔 기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제 첨가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수 조성물로서는, 아세트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탁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멜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알긴산 나트륨, 알파화 전분, 커드란, 카라기난, 한천, 크산탄검, 구아검, 글루코만난, 사일리움 씨드검, 젤란검, 타마린드 씨드검, 타라검, 전분, 로커스트빈검, 펙틴 등의 천연 고분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겔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펙틴, 카라기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한천, 젤라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L-아스파르트산 마그네슘,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염화 나트륨, 희염산, 시트르산 칼슘, 시트르산 수화물, 시트르산 나트륨 수화물, 시트르산 2수소 나트륨, 시트르산 2나트륨, 글루콘산 칼슘 수화물,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나트륨, 소르브산, 탄산 수소 나트륨, 락트산, 락트산 칼슘 수화물, 무수 시트르산, 무수 시트르산 나트륨, 무수 인산 1수소 나트륨, 말산, 인산 수소 칼슘 수화물, 인산 수소 나트륨 수화물, 인산 2수소 칼슘 수화물, 인산 2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파탐, 액당, 과당, 과당 포도당 액당, 환원 맥아당 물엿, 아세술팜칼륨, 고포도당 물엿, 사카린, 사카린 나트륨 수화물, 수크랄로오스, 정제 백당, 정제 벌꿀, 소르비톨, 소르비톨액, 단미 시럽, 백당, 벌꿀, 분말 환원 맥아당 물엿, 말티톨, 말티톨액, 물엿 당, 이소말트, 유당 수화물, 만니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어 오렌지 플레이버, 키위프루츠 플레이버, 자몽 플레이버,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체리 플레이버, 프루츠 플레이버, 무스카트 플레이버, 라즈베리 플레이버, 사과 플레이버, 레몬 플레이버, 캐러멜 플레이버, 그린티 플레이버, 코코아 플레이버, 커피 플레이버, 설탕 플레이버, 벌꿀 플레이버, 바닐라 플레이버, 페퍼민트 플레이버, 베르무트 플레이버, 민트 플레이버, 메이플 플레이버, 요구르트 플레이버 등을 들 수 있어,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브산, 소르브산 칼륨,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파라옥시 벤조산 메틸, 파라옥시 벤조산 부틸, 파라옥시 벤조산 프로필, 벤잘코늄염화물, 벤조도데시늄 브롬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이 구비하는 포장체(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미생물의 침입이 방해되는 결과,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방부 효과와 더불어, 함수 조성물에 대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체"는, 함수 조성물을 수용 가능한 것을 한도로 하여, 그 형상, 재료(소재)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형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또한, 포장체는, 운반 또는 보존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말하고, 반응기를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포장체는, 제17 개정 일본 약전 통칙에 정의되는 "밀폐 용기"(통상의 취급, 운반 또는 보존 상태에서, 고형의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 의약품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기밀 용기"(통상의 취급, 운반 또는 보존 상태에서, 고형 또는 액상의 이물이 침입하지 않고, 내용 의약품의 손실, 풍해, 조해 또는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밀봉 용기"(통상의 취급, 운반 또는 보존 상태에서, 기체가 침입하지 않는 용기)가 바람직하고, 외부로부터의 미생물의 침입을 보다 방해하는 관점에서, 상기 "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가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함수 조성물의 제형,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포장체는, 정형 용기이어도 부정형 용기(연포장 용기)이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병 포장(보틀 포장), SP(Strip Package) 포장, 필로우 포장, 스틱 포장, 튜브 포장 등을 들 수 있다.
포장체의 재료(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분야에서, 함수 조성물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병 포장에 사용되는 병 본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저밀도(LDPE), 고밀도(HDPE) 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등), 금속(알루미늄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개나 덮개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등), 금속(알루미늄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P 포장, 필로우 포장, 스틱 포장, 튜브 포장 등에 사용되는 포장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PET), 글루코오스 변성 PET(PET-G), 2축 연신 나일론(ONy, PA), 셀로판, 종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비연신 폴리프로필렌(CPP, IPP), 아이오노머 수지(IO),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2축 연신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EVOH), 폴리 염화 비닐(PVC), 환상 폴리올레핀(COC), 비연신 나일론(CNy),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경질 염화 비닐(VSC) 등의 수지나, 알루미늄박(AL)과 같은 금속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한 다층 구조로 해도 된다. 이러한 다층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PVC와 PVDC을 적층한 것(PVC/PVDC. 이하, 마찬가지로 생략하여 표기한다.), PVC/PVDC/PE/PVC, PVC/PVDC/PE/PVDC/PVC, CPP/COC/CPP, PVC/AL, CPP/AL, CPP/CPP/CPP, PET/AL/P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출 라미네이트, 드라이 라미네이트, 공압출 라미네이트, 서멀 라미네이트, 웨트 라미네이트, 논솔벤트 라미네이트, 히트 라미네이트 등의 공지된 라미네이트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이란, 그것 자체가 유통에 놓이고 운반 내지 보관되는 것이다. 함수 조성물에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시켜 방부 효과를 부여하며, 또한, 함수 조성물을 포장체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미생물의 침입을 저감시킴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미생물 오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고칼륨 혈증의 치료에 유용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고, 예를 들어 고칼륨 혈증을 효능·효과로 하는 의약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의약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지시서(효능서 혹은 지시 설명 문서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용법·용량, 효능·효과 등에 관한 설명 사항 등을 들 수 있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시서는, 포장체 그 자체의 표면에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포장체와는 다른 독립된 종이 등에 표시하여 이것을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과 조합한 상태(예를 들어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과 지시서가 기재된 종이를 동일한 용기에 수용한 상태 등)로 해도 되고, 나아가,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을 추가로 용기에 수용한 다음, 당해 용기 표면에 표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제17 개정 일본 약전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 조성물이 현탁제일 경우에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에 물과 필요에 따라서 현탁화제 또는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호모 믹서, 호모지나이저나 콜로이드 밀 등을 사용한 적절한 방법으로 현탁하여 전체를 균질하게 한 후에, 스틱 포장 등을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함수 조성물이 경구 젤리제일 경우에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에 물과 고분자 겔 기제 및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화하고, 정형 용기(예를 들어 포션 컵 등)에 유입한 다음 겔화시켜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고칼륨 혈증의 치료에 유용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한다. 그 때문에,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고칼륨 혈증을 효능·효과로 하는 의약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용법·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성인에 대하여, 개시 용량으로서 1회당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투여량이 10g 정도가 되는 양의 함수 조성물을 1일 3회, 수일간(예를 들어 2, 3일간) 투여한 후, 그 다음은 1회당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투여량이 5 g이 되는 양의 함수 조성물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혈청 칼륨값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증감시켜도 좋지만, 최고 용량은, 1일당,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투여량이 15 g이 되는 양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혈액 투석 시행 중인 경우에는, 1회당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투여량이 5 g이 되는 양의 함수 조성물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투석 간격 후의 투석 전의 혈청 칼륨값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증감시켜도 좋지만, 최고 용량은, 1일 1회당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투여량이 15 g이 되는 양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은, 함수 조성물에 대한 미생물 오염이 저감된 것이며, 양호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다. 당해 미생물은, 세균, 진균으로 크게 구별된다. 세균으로서는, 예를 들어 황색 포도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의 그람 양성균;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그람 음성균을 들 수 있다. 진균으로서는, 예를 들어 칸디다(Candida albican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진균에 의한 오염을 저감하는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방부 효과 부여 방법에 관한 양태의 발명>>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의 이외에, 이하의 방부 효과 부여 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공정 A 및 함수 조성물을 포장체에 수용하는 공정 B를 포함하는, 함수 조성물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또한,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된 상태가 만들어지는 한, 공정 A의 후에 공정 B를 행해도 공정 B의 후에 공정 A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부 효과 부여 방법에서, 방부 효과는, 평가하는 대상의 방부력이,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우수한 것이라면 효과 있음으로 판정되고, 그 효과의 정도는 상관없다.
또한, 방부 효과 부여 방법에서의 각 문언의 의의, 각종 성분의 배합량 등은, 상기 <<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에 관한 양태의 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이들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양태를 개시한다.
[1-1]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2]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이,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및 그 용매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인, [1-1]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3]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함유량이,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며, 또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인, [1-1] 또는 [1-2]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4] 물의 함유량이,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며, 또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인, [1-1]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5] 상기 포장체가, 바람직하게는 밀폐 용기, 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인, [1-1]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6] 상기 함수 조성물의 제형이, 바람직하게는 현탁제 및 경구 젤리제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1-1] 내지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7] 의약 제제인, [1-1]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8] 고칼륨 혈증을 효능·효과로 하는 의약품인, [1-1]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1-9] 의약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지시서를 포함하는 것인, [1-1]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2-1]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공정 A 및 함수 조성물을 포장체에 수용하는 공정 B를 포함하는, 함수 조성물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2-2]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이,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및 그 용매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인, [2-1]에 기재된 방법.
[2-3]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함유량이,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상이 되고, 또한,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로 되도록 함유하게 하는, [2-1] 또는 [2-2]에 기재된 방법.
[2-4] 상기 포장체가, 바람직하게는 밀폐 용기, 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인, [2-1] 내지 [2-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2-5] 상기 함수 조성물의 제형이, 바람직하게는 현탁제 및 경구 젤리제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2-1] 내지 [2-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2-6] 의약 제제인, [2-1] 내지 [2-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의 방부 효과의 확인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의 미생물(세균 및 진균)에 대한 방부 효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균으로서 황색 포도 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진균으로서 칸디다(Candida albicans)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황색 포도 구균에 대한 방부 효과의 확인>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NBRC 13276주를, 소이빈·카제인·다이제스트 한천 배지(닛스이 세이야쿠(주) 제조)에 파종하고, 30 내지 35℃에서 18 내지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체를 생리 식염수에 부유시키고, 100 내지 1000O CFU/mL이 되도록 생리 식염수로 희석하여 시험 균액을 얻었다.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LOKELMA(등록 상표), 로트 번호 W0200018A:아스트라제네카사) 15 g을 멸균 정제수 35 mL에 현탁하여 시료 현탁액을 얻었다.
시료 현탁액 5 mL와 시험 균액 0.05 mL을 혼합하여, 시료 샘플을 조제하였다(또한, 멸균한 정제수 5 mL와 시험 균액 0.05 mL을 혼합한 것을 대조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시료 샘플 및 대조 샘플을, 각각 14 mL 용량의 폴리스티렌제 라운드 튜브에 수용하고, 20 내지 25℃에서 1 시간, 차광 조건 하에서 보존하였다.
시료 샘플 및 대조 샘플 각각에 대해서, 샘플 조제 직후 및 1 시간 보존 후의 생균수를 이하와 같이 한천 평판 혼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조제 직후 및 1 시간 보존 후의 각종 샘플을 1 mL씩 페트리 접시에 분주하고, 여기에 미리 약 45℃로 보온해 둔 소이빈·카제인·다이제스트 한천 배지를 혼화하고, 30 내지 35℃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수를 계측하였다. 또한, 동일한 배양을 2회 행하고, 2장의 페트리 접시로부터 계측되는 콜로니 수의 평균값을 "생균수"로 하였다.
얻어진 생균수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1 시간 보존 후의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생존율(%)=(1 시간 보존 후의 각종 샘플의 생균수/조제 직후의 각종 샘플의 생균수)×100
<칸디다에 대한 방부 효과의 확인>
Candida albicans NBRC 1594주를, 사부로·포도당 한천 배지(닛스이 세이야쿠(주) 제조)에 파종하고, 20 내지 25℃에서 44 내지 52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체를 생리 식염수에 부유시키고, 100 내지 10000 CFU/mL이 되도록 생리 식염수로 희석하여, 시험 균액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 균액을 사용하여 상기한 황색 포도 구균에 대한 시험과 동일한 조작을 하고(단, 한천 평판 혼석법에서, 소이빈·카제인·다이제스트 한천 배지의 대신에 사부로·포도당 한천 배지를 사용하고, 배양 조건을 20 내지 25℃에서 3일간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시간 보존 후 생존율(%)
황색 포도 구균 칸디다
시료 샘플(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을 현탁한 정제수) 94.7 89.7
대조 샘플(멸균 정제수) 100.0 111.4
표 1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불과 1 시간의 보존에 의해,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을 현탁한 정제수에서, 황색 포도 구균도 칸디다도 모두 생존율이 저하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켜 포장체에 수용함으로써, 세균 및 진균에 대한 방부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함수 조성물의 미생물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제조예 1 내지 9]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분량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경구 젤리제)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다. 조제한 함수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제의 포션컵 용기(히트 시일은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한 알루미늄박제 필름)에, 1 용기당 100 g의 양으로 수용하여 제조예 1 내지 9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 5 5 5 10 10 10 5 5 10
젤라틴 0.3 0.2 1 1 0.4
크산탄검 0.2 0.1 0.3 0.1 0.4
로커스트빈검 0.4 0.2 0.3 0.1 0.2 0.3
한천 0.5 0.8 1 1 0.3
펙틴 0.1 0.2 0.3 0.9 0.5
분말 환원 맥아당 물엿 1 3 5 7 10
소르브산 0.1 0.1 0.1 0.1 0.1 0.1
시트르산 0.3 0.2 0.1 0.3 0.2 0.1 0.1
말산 0.1 0.1 0.3 0.2 0.1
시트르산 나트륨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전량100g 전량100g 전량100g 전량100g 전량50g 전량50g 전량50g 전량50g 전량200g
pH 3 5 6 4 4.5 5 3.5 5.5 6.5
[제조예 10 내지 18]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분량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현탁제)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다. 조제한 함수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한 알루미늄박제의 스틱 포장 용기에, 1 포장당 100 ml의 양으로 수용하여 제조예 10 내지 18의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10 11 12 13 14 15 16 17 18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 5 5 5 10 10 10 5 5 10
메틸셀룰로오스 0.3 0.2 0.5 0.4
크산탄검 0.2 0.1 0.3 0.1 0.4
로커스트빈검 0.4 0.2 0.3 0.1 0.2 0.3
펙틴 0.1 0.2 0.3 0.9 0.5
분말 환원 맥아당 물엿 1 3 5 7 10
소르브산 0.1 0.1 0.1 0.1 0.1 0.1
시트르산 0.3 0.2 0.1 0.3 0.2 0.1 0.1
말산 0.1 0.1 0.3 0.2 0.1
시트르산 나트륨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전량100mL 전량100mL 전량100mL 전량100mL 전량50mL 전량50mL 전량50mL 전량50mL 전량200mL
pH 3 5 6 4 4.5 5 3.5 5.5 6.5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 오염이 저감된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의약품 산업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유하는 함수 조성물이, 포장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칼륨 혈증을 효능·효과로 하는 의약품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약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지시서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이,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및 그 용매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이, 지르코늄 시클로규산 나트륨 수화물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의 함유량이, 함수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60 질량%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가, 기밀 용기 또는 밀봉 용기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제 및 경구 젤리제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9. 지르코늄 시클로규산염을 함수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공정 및 함수 조성물을 포장체에 수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함수 조성물에 방부 효과를 부여하는 방법.
KR1020227032223A 2020-03-31 2021-03-22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KR20220161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20/014743 2020-03-31
PCT/JP2020/014743 WO2021199239A1 (ja) 2020-03-31 2020-03-31 包装体入り含水組成物
PCT/JP2021/011593 WO2021200313A1 (ja) 2020-03-31 2021-03-22 包装体入り含水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296A true KR20220161296A (ko) 2022-12-06

Family

ID=7792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223A KR20220161296A (ko) 2020-03-31 2021-03-22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1200313A1 (ko)
KR (1) KR20220161296A (ko)
CN (1) CN115279413A (ko)
WO (2) WO202119923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556A (ja) 2011-02-11 2014-03-17 ズィーエ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カリウム血症の処置のための微孔質ジルコニウムケイ酸塩
JP2016535749A (ja) 2013-11-08 2016-11-17 ズィーエ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カリウム血症治療用細孔性ケイ酸ジルコニウ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700A1 (ja) * 2017-02-28 2018-09-07 興和株式会社 医薬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556A (ja) 2011-02-11 2014-03-17 ズィーエ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カリウム血症の処置のための微孔質ジルコニウムケイ酸塩
JP2016535749A (ja) 2013-11-08 2016-11-17 ズィーエ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カリウム血症治療用細孔性ケイ酸ジルコニウ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새로운 안과 8(10): 1599~1603, 1991
비특허문헌 2: "LOKELMA(등록 상표)" 첨부 문서, 2018년
비특허문헌 3: "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5g/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10g" 첨부 문서, 2020년 3월
비특허문헌 4: "약의 안내서 로켈마 현탁용 산분포 5g", 2020년 5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79413A (zh) 2022-11-01
WO2021199239A1 (ja) 2021-10-07
WO2021200313A1 (ja) 2021-10-07
JPWO2021200313A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6617B (zh) 阿莫西林可溶性粉及其制备方法
US9468686B2 (en) Solutions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and electrolytes
SK279329B6 (sk) Stabilný hydratovaný suchý práškový cefalosporínov
RU2205639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суспензионный пре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амоксициллин, клавулановую кислоту и целлюлозу
RU2678587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меющее слабую растворимость в воде
CN1829503B (zh) 含有氟苯尼考的兽用水性可注射悬浮液
EP2309983B1 (de) Pharmazeutische darreichungsform enthaltend tetrahydrobiopterin
EP1543831A1 (en) Pregabalin composition
US20200046716A1 (en) Lamotrigine suspension dosage form
EP1197215B1 (en) Anthelmintic compositions
KR20220161296A (ko) 포장체에 들어가는 함수 조성물
CN111741745B (zh) 多用托拉塞米组合物
RU2521391C2 (ru) Новые однократные единичные составы карбапенема и аминогликозида
EP3610858A1 (en) Smectite suspension liqu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0828311B2 (e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use
JP5611672B2 (ja) 経口ゼリー剤
US20240108697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20190336443A1 (en) Ready-To-Use Liquid Parenteral Formulations Of Ribavirin
EP3113758B1 (en) Stable quick dissolving dosage form comprising amoxicillin and clavulanic acid
KR101669556B1 (ko) 몬테루카스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경구투여용 액상제제
ES2928471T3 (es) Suplemento nutricional, apto para administración oral, que comprende lactoferrina, xiloglucano, proantocianidinas y simeticona para la prevención conjunta de infecciones del tracto gastrointestinal y urinario
AU2015261543C1 (e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use
EP3678497B1 (en) Composition for calcium supplementation
KR20110042874A (ko)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현탁제
WO2011147471A1 (en) Antidementia oral pharmaceutical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