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100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100A
KR20220159100A KR1020210067013A KR20210067013A KR20220159100A KR 20220159100 A KR20220159100 A KR 20220159100A KR 1020210067013 A KR1020210067013 A KR 1020210067013A KR 20210067013 A KR20210067013 A KR 20210067013A KR 20220159100 A KR20220159100 A KR 2022015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pneumatic tire
studs
trea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595B1 (ko
Inventor
김민균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25Arrangements thereof in the tread patterns, e.g. irre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37Attachment of the plugs into the tread, e.g. screw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판에서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숄더부에도 스터드가 설치되도록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중심부(11)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의 외측에 위치하고 사이드월부(20)로 연결되는 숄더부(12)를 포함하는 트레드(10)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10)에 둘레에 간격을 두고 제1스터드(31)가 설치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12)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1)의 둘레방향으로 제2스터드(3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빙판에서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숄더부에도 스터드가 설치되도록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이하 '타이어'라고 함)는 빙판길에서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터드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130)는 상기 타이어(100)에서 트레드(110)에서 트레드 중심부(111)에 설치된다. 상기 스터드(1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면, 상기 스터드(130)의 일부가 노면을 덮고 있는 얼음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이어(100)의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상기 스터드(130)가 상기 트레드 중심부(111)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차량이 직진시에는 충분한 접지력을 발휘하지만, 상기 차량이 선회중일에에는 상기 타이어(100)에 횡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트레드 중심부(111)에 설치된 일부 스터드(130)는 지면과 충분히 접지되지 못하고, 상기 스터드(130)가 설치되지 않은 숄더부(112)는 지면과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의 선회시에는 상기 타이어(100)의 접지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20-1997-0012470 U(1997.04.25, 명칭 : 차량용 가변 스파이크 타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트레드에서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숄더부에도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스터드가 구비되도록 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중심부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사이드월부로 연결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트레드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에 둘레에 간격을 두고 제1스터드가 설치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제2스터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터드는 상기 제1스터드와 교번(交番)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터드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간격보다, 상기 제1스터드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터드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숄더부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를 따라 데코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데코블럭에 상기 제2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블럭마다 상기 제2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숄더부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의 경계에 제3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터드의 개수는, 상기 제2스터드의 개수보다 적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터드는 상기 제2스터드의 개수보다 50% 적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터드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를 따라 2개의 상기 제2스터드 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터드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스터드와 상기 제2스터드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3스터드와 상기 제1스터드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1스터드 사이의 간격보다 좁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숄더부에도 스터드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빙판에서 접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의 배열을 숄더부와 트레드 중심부에 교번하여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숄더부와 트레드 중심부에 모두 스터드가 배열된 부분에서는 강한 접지력이 발생하면서, 나머지 구간에서는 접지력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빙판에서 차량의 주행성능이 향상된다.
아울러, 동절기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을 규정범위이내에서 낮추도록 하면, 상기 숄더부에 설치된 스터드가 상기 타이어의 접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의 접지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스터드가 배열된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의 접지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중심부(11)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의 외측에 위치하고 사이드월부(20)로 연결되는 숄더부(12)를 포함하는 트레드(10)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10)에 둘레에 간격을 두고 제1스터드(31)가 설치된 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숄더부(12)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1)의 둘레방향으로 제2스터드(32)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공기입 타이어(이하, '타이어'라고 함)은,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10)와, 상기 트레드(10)의 외측에 사이드월부(20)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드(10)는 트레드 중심부(11)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11)가 상기 사이드월부(20)에 연결되도록 하는 숄더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에 빙판에서 상기 타이어(1)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제1스터드(31)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터드(31)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방향과 상기 타이어(1)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숄더부(12)는 상기 트레드(10)에서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트레드(10)와 상기 사이드월부(20)를 연결한다.
상기 숄더부(12)에 추가적으로 스터드(32)가 설치된다. 상기 숄더부(12)에 설치되는 스터드(32)는 앞서 트레드 중심부(11)에 설치되는 스터드(31)와 구분하기 위하여, 제2스터드(32)로 칭한다.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숄더부(12)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이 선회하여, 상기 타이어(1)에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숄더부(12)도 지면과 접지되는데, 이때 상기 제2스터드(32)가 지면과 접지되면서,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숄더부(12)에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숄더부(12)에 형성되는 데코블럭(15)상에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데코블럭(15) 마다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데코블럭(15)과 동수(同數)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타이어(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타이어(1)의 축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터드(32)와 상기 제1스터드(31)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스터드(32)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스터드(31)와 교번(交番)하여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도 3을 보면, 상기 타이어(1)의 둘레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라인 L1에서는 상기 제2스터드(32)가 설치되고, 라인 L2에서는 상기 제1스터드(31)와 상기 제2스터드(32)가 모두 설치된다. 상기 라인L1, 상기 라인 L2와 그 다음 라인 L2 사이에서는 상기 제1스터드(31)와 상기 제2스터드(32)가 모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제1스터드(31)와 상기 제2스터드(32)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스터드(31)가 설치되는 둘레방향의 간격은 상기 제2스터드(32)가 설치되는 타이어의 둘레방향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3에서 상기 라인 L2와 L2 사이에서 상기 제2스터드(32)는 3개가 살치되지만, 상기 제1스터드(31)는 4개가 설치되는 바, 상기 제1스터드(31)가 상기 제2스터드(32) 보다 촘촘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스터드(31)는 항상 지면과 접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스터드(31)가 상기 제2스터드(32)보다 촘촘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타이어(1)가 안정적인 접지성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와 상기 숄더부(12)의 경계에서는 제3스터드(33)가 설치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와 상기 숄더부(12)의 경계는 라인 L3가 되는데, 상기 라인 L3 상에 추가로 상기 제3스터드(33)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스터드(32)가 지면에 접하기 전에 상기 제3스터드(33)가 지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타이어(1)의 접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제3스터드(33)의 개수는 상기 제2스터드(32)의 개수보다 적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제2스터드(32)의 개수에 비하여, 50%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을 보면, 2개의 상기 제2스터드(32)마다 상기 제3스터드(33)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스터드(33)는 모두 상기 제2스터드(32)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도 3에서 상기 제3스터드(33)는 라인 L1이나 라인 L2 상에서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스터드(33)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의 상기 제2스터드(32) 마다 설치되되, 상기 제3스터드(33)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제2스터드(32)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스터드(33)가 설치되는 간격을 상기 타이어(1)의 축방향에서 살펴보면, 상기 제3스터드(33)와 상기 제2스터드(32) 사이의 간격(C1)은 상기 제3스터드(33)와 상기 제1스터드(31)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1스터드(31) 사이의 간격(C2)보다 좁거나 같게 형성된다(C1 ≤ C2). 즉, 상기 제3스터드(33)는 상기 제2스터드(32)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량이 선회하여, 상기 타이어(1)가 횡력을 받는 경우,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숄더부(12)로 접지되면서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터드(31), 상기 제2스터드(32) 및 상기 제3스터드(33)는 동일한 스터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스터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터드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의 스터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차량의 선회시, 상기 타이어(1)에 횡력이 가해지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이 직진 주행시(도 4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드 중심부(11)에 형성된 상기 제1스터드(31)가 지면에 접지되면서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차량이 선회하는 경우(도 4의 하부)는, 상기 타이어(1)에 횡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타이어(1)는 횡방향으로 변형되고 일측의 상기 제1스터드(31)는 지면과 접지력이 약해지는데, 이때 타측의 상기 제2스터드(32)가 지면과 접지되면서 상기 타이어(1)가 안정적으로 접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제3스터드(33)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스터드(32)가 접지하기 전에 상기 제3스터드(33)가 먼저 접지된다.
1 : 공기입 타이어
10 : 트레드
11 : 트레드 중심부
12 : 숄더부
15 : 데코블럭
31 : 제1스터드
32 : 제2스터드
33 : 제2스터드
100 : 공기입 타이어
110 : 트레드
111 : 트레드 중심부
112 : 숄더부
120 : 사이드월부
130 : 스터드

Claims (12)

  1.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중심부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사이드월부로 연결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트레드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에 둘레에 간격을 두고 제1스터드가 설치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제2스터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터드는 상기 제1스터드와 교번(交番)하여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터드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간격보다,
    상기 제1스터드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터드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를 따라 데코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데코블럭에 상기 제2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블럭마다 상기 제2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와 상기 트레드 중심부의 경계에 제3스터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터드의 개수는,
    상기 제2스터드의 개수보다 적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터드는 상기 제2스터드의 개수보다 50% 적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터드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둘레를 따라 2개의 상기 제2스터드 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터드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터드와 상기 제2스터드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3스터드와 상기 제1스터드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1스터드 사이의 간격보다 좁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210067013A 2021-05-25 2021-05-25 공기입 타이어 KR10254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13A KR102548595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13A KR102548595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00A true KR20220159100A (ko) 2022-12-02
KR102548595B1 KR102548595B1 (ko) 2023-06-29

Family

ID=8441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13A KR102548595B1 (ko) 2021-05-25 2021-05-25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9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109A (ja) * 1985-05-14 1986-11-19 Bridgestone Corp 牽引,制動性能にすぐれる空気入りタイヤ
KR900002967A (ko) * 1988-08-11 1990-03-23 킨사꾸 기다 스파이크 타이어
KR970012470U (ko) 1995-09-29 1997-04-25 차량용 가변 스파이크 타이어
WO2004103738A1 (ja) * 2003-05-26 2004-12-02 The Yokohama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WO2009147046A1 (en) * 2008-06-03 2009-12-10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Tyre for driving on ice
KR101311867B1 (ko) * 2011-08-19 2013-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터드 식입용 타이어 트레드
WO2018210460A1 (de) * 2017-05-18 2018-11-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DE102017219036A1 (de) * 2017-10-25 2019-04-2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profilierten Laufstreifen mit Spikes
JP2021070450A (ja) * 2019-11-01 2021-05-0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109A (ja) * 1985-05-14 1986-11-19 Bridgestone Corp 牽引,制動性能にすぐれる空気入りタイヤ
KR900002967A (ko) * 1988-08-11 1990-03-23 킨사꾸 기다 스파이크 타이어
KR970012470U (ko) 1995-09-29 1997-04-25 차량용 가변 스파이크 타이어
WO2004103738A1 (ja) * 2003-05-26 2004-12-02 The Yokohama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WO2009147046A1 (en) * 2008-06-03 2009-12-10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Tyre for driving on ice
KR101311867B1 (ko) * 2011-08-19 2013-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터드 식입용 타이어 트레드
WO2018210460A1 (de) * 2017-05-18 2018-11-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DE102017219036A1 (de) * 2017-10-25 2019-04-2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profilierten Laufstreifen mit Spikes
JP2021070450A (ja) * 2019-11-01 2021-05-0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95B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5988B2 (en) Tread for radial tyre the elements in relief of which are provided with incisions having broken line or undulated line traces in the direction of their depth
US8281830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pattern including land portions having rib-like configurations
EP1995080B1 (en) Pneumatic tire
US8991451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ribs, open sipes and multisipes
US8434535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circumferential auxiliary grooves
US20040069389A1 (en) Tire tread with multi-planar chamfers
JPH0547405B2 (ko)
US7506676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V-shaped transverse grooves
US20030192634A1 (en) Tire used in winter
EP2316665B1 (en) Pneumatic tire
JP2001121926A (ja) 空気入りタイヤ
US6823912B2 (en) Pneumatic tire having asymmetric block pattern
CA2320831A1 (en) Winter tyre for vehicle, particularly a traction winter tyre for heavy trucks
US20060048876A1 (en) Pneumatic tire
KR102548595B1 (ko) 공기입 타이어
AU2018402887B2 (en) Pneumatic tire
EP3670209A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US11214097B2 (en) Pneumatic tire
EP0135467B1 (en) Pneumatic tire
US11667158B2 (en) Pneumatic tire
CN111716964B (zh) 轮胎
JP200121312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912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9242513B2 (en) Pneumatic tire
US11752806B2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