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707A -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707A
KR20220158707A KR1020227032171A KR20227032171A KR20220158707A KR 20220158707 A KR20220158707 A KR 20220158707A KR 1020227032171 A KR1020227032171 A KR 1020227032171A KR 20227032171 A KR20227032171 A KR 20227032171A KR 20220158707 A KR20220158707 A KR 2022015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agnosis
cognitive dysfunction
diagnostic
distribut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코 다케다
류이치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오사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22015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41)와,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시각적인 강조 없이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며, 진단부(39)는,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Description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피검사자의 두부(頭部)와 시선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뇌기능에 관계된 질환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시선 검출을 이용한 의료 진단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신경 장애의 진단을 위해 피검사자의 안구 운동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는, 망막이나 시신경 등의 눈의 질환 또는 두개(頭蓋) 내 질환 등에 있어서 나타나는 시신경 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시각 검사용 차트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6 내지 특허문헌 9는, 촬상 카메라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시선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자폐증을 진단하는 자폐증 진단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0은, 피검사자의 시선 및 동공을 검출하여, 피검사자의 뇌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뇌기능 질환 진단 지원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1은, 시각 인지 장애의 진단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진단 지원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2는, 거친 화상으로부터도 안구 운동의 초동(初動) 시간을 검출 가능한 안구 운동 계측 장치 및 계측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3은,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6-7088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7088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16-52311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56080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16354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92621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91235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6104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6104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81758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7-15886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7-176302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9/098173호 공보
일반적으로, 인지 기능 장애나 인지증의 진단에는, 대면으로의 문진 형식에 의한 인지 기능 검사(신경 심리학 검사)가 종래 이용되어 왔다. 인지 기능 검사에 있어서, 검사자가,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질문을 피검사자에게 던지고, 그것에 대한 구두(口頭)나 쓰기·도형 묘사에 의한 회답의 내용을 채점하여, 인지 기능 스코어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는, 검사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간략한 Mini-Mental State Exam(MMSE)으로도 15~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문진 형식의 성질상, 피검사자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매우 크다는 문제도 있다. 또, 문진을 행하는 검사자의 기량의 차이나, 회답의 해석이 검사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어, 스코어의 편차가 크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3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여, 새로운 진단 수법을 이용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記銘)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상기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상기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시각적인 강조 없이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상기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상기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시각적인 강조 없이 상기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다른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례(症例) 특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한 진단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 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기억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기억 장애가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진단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진단용 영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1을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1을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진단용 영상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5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5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진단용 영상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는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20을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20을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인지 기능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24를 이용한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도 25의 지시문 영역의 주시율과 MMSE 스코어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도 25의 빗나간 오답 화상의 주시율과 MMSE 스코어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나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단계, 단계의 순서 등은 일례이며,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꼭 엄밀하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 형태)
이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
도 1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2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표시부(10), 촬상 장치(20) 및 PC(Personal Computer, 퍼스널 컴퓨터)(30)를 구비한다. 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PC(30)를 주된 제어 장치로 하여, 추가로, PC(30)에 표시부(10) 및 촬상 장치(20)를 부가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10)는, 표시면(11)을 갖는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이며,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한다. 표시부(1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용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고령자여도 보기 쉬운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또한, 표시부(10)는, PC용 모니터여도 되고, 시판의 대형 TV를 모니터로 해도 된다. 또, 표시부(10)는,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 대신에, 표시면(11)으로서의 스크린과 프로젝터로 구성해도 된다.
촬상 장치(20)는, 표시부(10)에 장착 가능한 모듈이며, 적어도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부(21) 및 광원부(24)를 구비한다.
촬상부(21)는, 카메라(22) 및 카메라(23)를 갖는 스테레오 카메라이다. 카메라(22) 및 카메라(23)는, 각각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여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카메라(22) 및 카메라(23)는, 각각 가시광 카메라여도 된다. 또, 촬상부(21)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아니라 단체(單體)의 카메라여도 되고, 3개 이상의 카메라여도 된다.
광원부(24)는, 적외선을 조명광으로 하여 피검사자에게 조사하는 광원(25) 및 광원(26)을 구비한다. 광원(25) 및 광원(26)은 각각,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광원(25) 및 광원(26)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여도 된다. 또한, 피검사자의 조명 환경이 충분히 밝은 경우에는, 촬상 장치(20)는 광원부(2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촬상 장치(20)는, 표시부(10)의 상부에 장착해도 되고, 분할하여 좌우에 장착해도 된다.
PC(30)는, 프로세서(31), 기억부(32), 입력부(33), 출력부(34), 표시부(35), 인터페이스부(36), 검출부(37), 작성부(38) 및 진단부(39)를 구비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기능 블록 중, 프로세서(31), 기억부(32), 입력부(33), 출력부(34), 표시부(35) 및 인터페이스부(36)는, 시판되고 있는 컴퓨터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다른 기능 블록, 즉 검출부(37), 작성부(38) 및 진단부(39)는, 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프로세서(3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서(31)는, 기억부(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른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기억부(32)는, 프로세서(3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프로세서(31)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32)는, 데이터베이스(324)를 구성한다. 기억부(3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는, 각종 펌 웨어, OS(Operating System),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웨어 이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기억부(32)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진단용 영상 데이터, 증례 특징 데이터, 시점 데이터, 분포 맵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진단용 영상 데이터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으로 작성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이다. 증례 특징 데이터는,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시점 데이터는,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위치와 시각을 나타내는 시계열적인 데이터이다. 분포 맵은, 작성부(38)에 의해 작성되고, 시점 데이터에 따라 시계열적인 시점을 이차원 평면에 차례차례 실시간으로 플롯한 것이며, 시점의 이차원적인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기억부(3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는 메인 메모리 또는 일차 메모리와, HDD(Hard Disc Drive) 장치나 SSD(Solid State Drive) 장치로 구성되는 보조 메모리 또는 이차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기억부(32)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의 총칭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입력부(33)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 패드 등을 포함하고, 조작자의 조작을 접수한다.
출력부(34)는, 예를 들어 스피커이며,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부(35)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유저(여기에서는 검사하는 사람)의 모니터용으로 분포 맵이 중첩된 진단용 영상 등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36)는, 케이블을 통해 표시부(10) 및 촬상 장치(20)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인터페이스부(36)는, 예를 들어,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및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갖는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36)는, HDMI(등록상표) 케이블을 통해 표시부(10)를 접속하고, USB 케이블을 통해 촬상부(21) 및 광원부(24)를 접속한다.
검출부(37)는,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부(37)는,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피검사자의 시선을 검출하고, 시선이 표시면(11)에 교차하는 점의 좌표를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의 위치로서 검출한다. 시점의 위치의 검출은, 주기적으로 행해진다. 주기는, 수10mS 내지 수100mS 사이로 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100mS여도 된다. 검출부(37)는, 예를 들어, 시각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x, y, t)의 집합을, 시계열적인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점 데이터로서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x, y는 평면(예를 들어, 표시면(11) 또는 진단용 영상)의 좌표, t는 시각이다.
작성부(38)는,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한다. 분포 맵은, 예를 들어, 상기 좌표 데이터(x, y, t)에 대응하는 마크(예를 들어 색이 있는 도트)를 이차원 평면 상에 플롯한 도면이고, PC(30)의 표시부(35)에 표시되는 진단용 영상에 실시간으로 중첩된다. 상기의 마크는,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시점일수록 밝게 표시해도 된다.
진단부(39)는,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을 진단한다.
이상과 같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상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상기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38)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310)를 기억하는 기억부(32)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특징을 갖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인지 기능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내는 PC(30)는, 노트형 컴퓨터여도 되고 타블렛형 컴퓨터여도 되고 데스크탑형 컴퓨터여도 된다.
다음에,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와 비교하여, 표시부(10), 촬상부(20), 검출부(37) 및 작성부(38)가 삭제된 점과, 취득부(41)가 추가된 점이 상이하다. 이하, 같은 점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a 중의 표시부(10), 촬상부(20), 검출부(37) 및 작성부(38)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아이 트래킹용 구성에 대응한다. 도 1b의 구성예에서는, 도 1a로부터 분포 맵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중심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취득부(41)는, 외부의 장치가 작성한 분포 맵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32)에 저장한다. 당해 분포 맵 데이터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 대상이 된다.
또한, 취득부(41)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분포 맵 데이터, 진단용 영상 데이터, 증례 특징 데이터, 및 시점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면 된다. 예를 들어, 분포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단용 영상 데이터, 증례 특징 데이터 등이 이미 기억부(32)에 저장되어 있으면, 취득부(41)는 분포 맵 데이터만을 취득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취득부(41)는, 첫 번째의 피검사자에 대해서는, 당해 피검사자에 대응하는 분포 맵 데이터, 진단용 영상 데이터, 증례 특징 데이터, 및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두 번째 이후의 피검사자에 대해서는, 분포 맵 데이터만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도 1a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도 1b의 취득부(41)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외부의 장치는, 아이 트래킹에 의해 피검사자의 시계열적인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고, 아이 트래킹의 수법 및 분포 맵을 작성하는 구성은 따지지 않는다. 또, 외부의 장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와 인터넷, 전화 회선 또는 전용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도 2a의 외관예와 같은 대형 표시부(10)를 갖는 장치가 아니어도 되고, 스마트 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도 2b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의 다른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타블렛형 스마트 장치로서, 표시부(10) 및 촬상부(22) 등 도 1a와 기능적으로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도 2b의 표시부(10)는, 도 2a의 표시부(10) 및 PC(30)의 표시부(35)를 겸용한다. 표시면(11)의 표면에는 터치 패널이 형성되어 있다.
촬상부(22)는, 스마트 장치의 전면(前面) 카메라이다. 촬상부(22)는, 예를 들어, 얼굴 인증 기술로 눈의 위치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아이 트래킹에 사용된다. 이 경우, 광원부(24)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피검사자에 대한 영상 표시는, 표시부(10)에 이루어진다. 또, 검사자의 터치 패널 조작에 따라,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이 타블렛 장치 내부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장치는, 피검사자와 검사자가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또는, 검사자가 피검사자에게 표시부(10)를 보여줌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한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로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타블렛형 단말,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이들 장치의 앱으로서 작성된다. 또한, 도 2b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도 1b와 기능적으로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1 기억부(32)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다음에, 기억부(3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부(32)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기억부(32)는, 진단용 영상 데이터(300), 증례 특징 데이터(310), 프로그램(320), 시점 데이터(322), 분포 맵 데이터(323)를 기억한다. 프로그램(320)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32)는, 데이터베이스(324)를 포함한다.
진단용 영상 데이터(300)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내지 제 영상 데이터(303)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의 집합이다.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은,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 혹은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작성된 영상, 또는,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감별하기 위해 작성된 영상이다.
증례 특징 데이터(310)는,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3 특징 데이터(313)를 포함하는 복수의 특징 데이터의 집합이다.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3 특징 데이터(313)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내지 제3 영상 데이터(304)와 각각 대응한다.
프로그램(320)은, 각종 펌 웨어, OS(Operating System),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웨어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포함한다.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은, 컴퓨터 즉 PC(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고, 촬상부(21)에 의해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분포 맵이 갖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이 중, PC(30)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검출부(37)의 기능이다. PC(30)가,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것은, 상기의 작성부(38)의 기능이다. PC(30)가,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진단부(39)의 기능이다.
시점 데이터(322)는,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위치와 시각을 나타내는 시계열적인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시각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x, y, t)의 집합이다.
분포 맵 데이터(323)는, 이미 설명한 분포 맵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데이터베이스(324)는, 각종 데이터 등을 축적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24)는, 기억부(32)의 일부가 아니어도 되고, 기억부(32)의 외부에 구비해도 된다. 또, 데이터베이스(324)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32)는, 도 3에 나타낸 프로그램 및 데이터 이외에, 피검사자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진단 데이터나, 피검사자마다의 시점 데이터(322), 분포 맵 데이터(323) 및 진단 데이터를 관련짓는 데이터도 기억한다.
계속해서,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의 증례 특징 데이터(310)는,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3 특징 데이터(313)를 포함한다. 동 도면에서는,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3 특징 데이터(313) 각각의 특징과 대응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기록하고 있다.
제1 특징 데이터(311)는, 제1 특징과 기억 장애를 대응짓고 있다. 제1 특징은, 기억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특징은, 기억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기명 영상을 제시한 후에 기억 상기 화상을 제시했을 때, 시점의 분포 맵에 있어서 기억 상기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 낮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제1 특징은, 제1 영상 데이터(301)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기명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주고, 또한, 기억 상기용 화상을 제시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2 특징 데이터(312)는, 제2 특징과 실어증을 대응짓고 있다. 즉, 제2 특징은, 실어증이 있는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특징은, 정답 화상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지를 갖는 화상에 대한 시점의 분포 맵에 있어서 정답에 대한 주시율이 작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2 특징은, 제2 영상 데이터(302)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2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3 특징 데이터(313)는, 제3 특징과 인지 기능 장애를 대응짓고 있다. 즉, 제3 특징은, 인지 기능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특징은, 정답 화상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지를 갖는 화상에 대한 시점의 분포 맵에 있어서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 작지 않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3 특징은, 제3 영상 데이터(303)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3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1.2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의 처리예]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대해서, 그 처리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진단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제1 진단 처리(S10) 내지 제3 진단 처리(S30)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도 5 진단 처리예는, 주로 PC(30)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처리이다.
제1 진단 처리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및 제1 특징 데이터(311)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2 진단 처리는, 제2 영상 데이터(302) 및 제2 특징 데이터(312)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3 진단 처리는, 제3 영상 데이터(303) 및 제3 특징 데이터(313)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3 진단 처리 각각의 시간은, 0.5분 내지 몇 분 정도이다.
또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3 진단 처리의 순서는, 도 5와는 상이한 순서여도 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3 진단 처리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진단 처리예의 개시 전에, 시점 검출의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행해도 된다.
[2.1 제1 진단 처리]
다음에, 도 5의 단계 S10에 있어서의 제1 진단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1 특징을 이용하여 기억 장애를 진단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진단 처리(S10)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 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PC(30)는, 우선,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고(S61), 피검사자에게 특정 화상 또는 문자열의 영역을 기명시키기 위한 처리인 루프 1(S62~S65)을 실행한다.
루프 1에 있어서 PC(30)는, 기명하기 위한 진단용 영상을 표시하고(S63), 그 직후에 다른 영상을 표시한다(S64). 루프 1의 반복 횟수 N은, 2 이상이어도 된다.
단계 S63에서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화면 상의 특정 도형 혹은 영역에 무의식적으로, 즉 언어 지시를 개재하지 않고 집중시키는 기명용 영상이 제시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진단용 영상은, 기명 영상 b11과 기명 영상 b12를 시간순으로 포함한다. 기명 영상 b11은 Ta초간 표시되며, 그 직후에 기명 영상 b12가 Tb초간 표시된다. 예를 들어, 시간 Ta는 5초 정도, 시간 Tb는 3초 정도여도 된다.
기명 영상 b11은, 표시면(11)의 상부에 10개, 하부에 10개인 합계 20개의 시계 화상을 포함한다. 20개의 시계 화상 중, 최하단 우측에서 두 번째의 시계 화상 M1만이 회전하고 있다. 이 회전은, 시계의 바늘의 고속 회전이어도 되고, 시계 화상 자체의 회전이어도 된다. 다른 19개의 시계 화상은 정지해 있다. 이는, 시계 화상 M1에 피검사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함이다.
기명 영상 b12에서는, 회전하고 있는 시계 화상 M1만이 강조되도록 점선 테두리가 부가되며, 또한, 다른 시계 화상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고 피검사자의 주의를 시계 화상 M1에 주의를 집중시키도록 하고 있다.
단계 S64에서는, Tc초간 다른 영상을 표시하여, 기명의 인터벌 시간을 두고 있다. Tc는 예를 들어 60초 정도여도 된다.
도 7에 있어서의 2회째의 반복에 있어서의 표시 시간 Td, Te 및 Tf는, 1회째의 반복에 있어서의 Ta, Tb 및 Tc와 같아도 되고, 상이한 시간이어도 된다.
이러한 루프 1의 반복에 의해, 피검사자의, 화면 상의 시계 화상 M1에 무의식적으로 주의가 집중되어, 기억이 강화된다.
PC(30)는, 루프 1 후에, 기억을 상기시키기 위한 평가용 영상 b3을 Tg초간 표시한다(S66). 시간 Tg는 예를 들어 5초 정도여도 된다. 도 7의 평가용 영상 b3은, 시계 화상 M1 대신에 시계 화상 M3을 갖는다. 즉, 평가용 영상 b3은, 20개의 시계 화상 전부 정지해 있으며, 본래는 특정 도형에만 주의를 끄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는 기명용 영상(기명 영상 b11 및 b12)에서, 본 내용이 기억에 남아 있기 때문에, 기명용 영상에서 주의가 집중되어 있던 특정 도형 또는 영역으로 무의식적으로 시선을 향해 버린다. 특정 도형 또는 영역은, 기명 영상에서 기명한 도형 또는 영역이며, 도 7에서는, 시계 화상 M1과 같은 위치의 정지된 시계 화상 M3이다.
이에 반해, 기억 장애가 있는 피검사자는, 기억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기명되지 않기 때문에, 시계 화상 M3에 무의식적으로 시선이 향하지 않고, 랜덤으로 보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래서, PC(30)는, 기억력의 정량적 평가로서, 기억 상기를 위한 평가용 영상에 있어서의 특정 도형 또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관심 영역 내의 주시율 Vb를 기억력의 스코어로서 산출한다(S67). 여기서, 주시율 Vb는, 평가용 영상에 대응하는 시점의 분포 패턴에 있어서 관심 영역인 시계 화상 M3의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이어도 된다.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b가 역치 th1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68). 주시율 Vb가 역치 th1보다 크다고 판정힌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기억 장애가 없다고 진단한다(S69).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b가 역치 th1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2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70). 주시율 Vb가 역치 th1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2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S71).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b가 역치 th2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72). 주시율 Vb가 역치 th2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기억 장애가 있다고 진단한다(S73).
역치 th1 및 역치 th2는, 기억 장애의 유무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시율 Vb를 산출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기억 장애가 없음」, 「기억 장애가 의심됨」, 「기억 장애가 있음」의 3종류의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진단 결과를 기억 장애의 유무를 나타내는 2종류로 해도 되고, 기억 장애의 유무 및 정도를 나타내는 4종류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의 플로차트는, 단계 S61~S66 대신에,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단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취득하는 단계로 치환된 플로차트는, 도 1b의 PC(30)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도 1a의 PC(30)로 실시해도 된다. 다음에, 제1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MMSE 30점인 기억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9는, MMSE 14점인 기억 장애가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MMSE의 스코어는 30점 만점이며, 30점은 정상인을 나타내고, 스코어가 낮을수록 중증 인지 기능 장애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PC(30)의 표시부(35)에 표시되는 기명 영상 b11, 기명 영상 b12 및 평가용 영상 b3에 분포 맵을 중첩한 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명 영상 b11 및 기명 영상 b12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시점은, 시계 화상 M1에 집중되어 있다. 기명 영상 b11 및 기명 영상 b12는,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용 화상인 시계 화상 M1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인 정지된 시계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이다. 기명 영상에 대한 시점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도 기억 장애가 있는 피검사자도 거의 같고, 제1 영역의 시계 화상 M1에 시점이 집중되어 있다.
도 8의 평가용 영상 b3에 있어서, 기억 장애가 없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기명의 효과의 발현으로서, 관심 영역의 시계 화상 M3에 대한 주시율 81%로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9의 평가용 영상 b3에 있어서, 기억 장애가 있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기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관심 영역의 시계 화상 M3에 대한 주시율 0%로 낮게 되어 있다.
제1 진단 처리에서는, 기억을 상기시키는 평가용 영상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 내의 주시율을 기억력의 스코어로서, 피검사자의 기억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기억 장애를 진단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41)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시각적인 강조 없이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며, 진단부(39)는,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또, 제1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는,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38)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부(39)는,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키고, 또한,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시각적인 강조 없이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이에 따르면, 인지 기능 장애 중 기억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문자에 의한 지시 및 음성에 의한 지시를 이용하지 않아도 진단할 수 있다. 모국어가 상이한 복수의 피검사자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불과 몇 분 사이에 기억 장애의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은, 제1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기명 영상과, 제1 영역을 갖고 복수의 제2 영역을 갖지 않는 제2 기명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영역의 기명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과 평가용 영상 사이에 표시되는, 다른 영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기명과 평가 사이에 다른 영상의 표시 기간을 둠으로써, 피검사자가 기억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할 수 없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어,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과 다른 영상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영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반복에 의해 피검사자에 대한 제1 영역의 기명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제1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랜으로서,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시각적인 강조 없이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 제1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키고, 또한,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시각적인 강조 없이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2.2.1 제2 진단 처리(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예)]
다음에, 도 5 중의 단계 S20에 있어서의 제2 진단 처리에 대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2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2 특징을 이용하여 실어증을 진단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진단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PC(30)는, 우선,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고(S101), 표시면(11)에 진단용 영상을 표시하며(S102), 진단용 영상 중의 정답 영역의 주시율 Vc를 산출한다(S103).
여기서의 진단용 영상은, 정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영상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진단용 영상 c11이 Ta초간 표시된 후에 진단용 영상 c12가 Tb초간 표시된다. 시간 Ta, Tb 각각은, 예를 들어 5초 내지 10몇 초 정도여도 된다.
진단용 영상 c11은, 중앙부에 시계 화상을 갖고, 주위에 선택지가 되는 4개의 영역을 갖는다. 진단용 영상 c12는, 진단용 영상 c11에 대해, 중앙부의 시계 화상에 지시문을 겹친 점이 상이하다. 지시문은 「이것의 이름은 무엇입니까?」이다. 지시문 주위의 4개의 영역은, 정답 문자열 화상 「토케이」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 화상 「토마토」, 「에비」, 「케이토」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단용 영상에서는, 예를 들어 기존의 물품의 화상과, 그 물품의 올바른 호칭과 잘못된 호칭을 포함하는 선택지로서의 복수의 영역을 갖는다. 선택지의 수는 임의이다. 또 「이것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라고 하는 지시문을 표시한다. 피검사자는, 지시문에 의해 정답 선택지를 응시하도록 촉구된다.
또한, 도 11과 같은 2개의 진단용 영상 c11 및 c12 대신에, 도 12에 나타내는 1개의 진단용 영상 c13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진단용 영상의 표시 후에 정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시점의 주시율 Vc를 산출한다(S103). 여기서, 주시율 Vc는, 진단용 영상에 대응하는 시점의 분포 패턴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이어도 된다.
다음에,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c가 역치 th3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주시율 Vc가 역치 th3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실어증이 없다고 진단한다(S105).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c가 역치 th3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4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106). 주시율 Vc가 역치 th3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4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한다(S107).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c가 역치 th4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108). 주시율 Vc가 역치 th4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실어증이 있다고 진단한다(S109).
역치 th3 및 역치 th4는, 실어증의 유무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시율 Vc를 산출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플로차트는, 단계 S101, S102 대신에,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단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취득하는 단계로 치환된 플로차트는, 도 1b의 PC(30)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도 1a의 PC(30)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실어증이 없음」, 「실어증이 의심됨」, 「실어증이 있음」의 3종류의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진단 결과를 실어증의 유무를 나타내는 2종류로 해도 되고, 실어증의 유무 및 정도를 나타내는 4종류 이상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MMSE 30점인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4는, MMSE 14점인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 c12에 있어서, 실어증이 없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 c111에 대한 주시율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14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 c12에 있어서, 실어증이 있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의 주시율이 낮게 되어 있다.
정답이 되는 제1 영역에 대한 주시율 Vc가 역치 th3을 넘는 경우, 그 지시문에 대한 정답을 맞췄다고 판단, 즉 물품 호칭의 능력이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는, 「토케이」의 정답 선택지를 역치 이상의 비율로 바라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는, 정답 이외의 선택지를 바라보는 상대적인 비율이 커진다. 따라서, 제2 진단 처리에서는, 정답 선택지에 대한 주시율을 지표로 하여 피검사자의 실어증의 유무 및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2.2.2 제2 진단 처리(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제1 예)]
상기의 제2 진단 처리에서는 언어 지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계속해서,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제1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진단용 영상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진단용 영상 c21은, 피검사자용 표시면(11)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정답 영역과,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오답 영역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단용 영상 c21은, 행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문자를 포함한다. 정답 영역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로 구성된 행 또는 열에 대응한다. 오답 영역은, 의미가 없는 문자열로 구성된 행 또는 열에 대응한다. 「당고」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행은 정답 영역이다. 이것 이외의 행 및 열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는 오답 영역이다.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6은, 조작자용 표시부(35)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15의 진단용 영상 c21에 대해, 평가용 영역으로서의 정답 영역 c211을 파선 테두리로 명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15의 진단용 영상 c21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 분포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MMSE 30점인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5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8은, MMSE 14점인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5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진단용 영상 c21에 있어서, 실어증이 없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영역 c211에 대한 주시율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18의 진단용 영상 c21에 있어서, 실어증이 있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영역 c211과는 관계없이, 랜덤인 경향이 있다.
진단용 영상 c21에서는, 행렬형 또는 바둑판형으로 문자가 늘어서 있다. 이 중에서, 어느 특정 부분에만 「의미가 있는 연결로서의 문자열」이 존재하고 있다. 그 외의 부분은, 어떠한 방향으로 읽어도 의미가 있는 연결로서의 문자열이 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행렬형의 문자열이 표시된 경우에,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는, 그 중에서 의미가 있는 연결된 문자열을 찾아낼 수 있고, 그 부분을 바라보는 주시율이 무의식 중에 높아진다.
한편,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는, 의미가 있는 연결을 갖는 문자열을 찾아낼 수 없기 때문에, 그 특정 부분에 대한 주시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지 않고, 전체를 랜덤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제2 진단 처리에서는, 의미가 있는 연결을 갖는 문자열의 부분(즉 정답 영역)에 대한 주시율이 역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지표로 하여, 객관적인 실어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도 15의 진단용 영상 c21에서는, 3문자×3문자의 히라가나의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중에서, 최하단 행 3문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 읽으면 「당고」(경단)로 의미가 있는 문자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것 이외의 조합은 기본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열로 되어 있다. 이 「당고」를 찾아내도록 촉구하는 지시문으로서의 문자 및 음성은 일절 제시되지 않지만, 실어증이 없는 정상인은 무의식 중에 이 의미가 있는 연결인 문자열 「당고」에 대한 주시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반해,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는, 이 의미가 있는 연결을 갖는 문자열을 인식하지 못하고, 「당고」에 대한 주시율이 높아지지 않고, 다른 영역, 혹은 화면 전체를 랜덤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2.2.3 제2 진단 처리(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제2 예)]
또한,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제2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도 10의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언어 지시를 이용하지 않는 진단용 영상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는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진단용 영상 c31은, 피검사자용 표시면(11)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정답 영역과,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오답 영역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단용 영상 c31은, 「타나바타」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열이 정답 영역이며, 이것 이외의 행 및 열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는 오답 영역이다.
또, 도 20은, 조작자용 표시부(35)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도 19의 진단용 영상 c31에 대해, 평가용 영역으로서의 정답 영역 c311을 파선 테두리로 명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19의 진단용 영상 c31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 분포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MMSE 30점인 실어증이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9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2는, MMSE 14점인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19를 이용한 제2 진단 처리에서 얻어진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진단용 영상 c21에 있어서, 실어증이 없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영역 c311에 대한 주시율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22의 진단용 영상 c31에 있어서, 실어증이 있는 사람의 시점 분포는, 정답 영역 c311과는 관계없이, 랜덤인 경향이 있다.
도 19의 진단용 영상 c31에서는, 4문자×4문자의 히라가나의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중에서, 오른쪽에서 2열째 4문자를 위에서 아래를 향해 읽으면 「타나바타」(칠석)으로 의미가 있는 문자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것 이외의 조합은 기본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열로 되어 있다. 이 「타나바타」를 찾아내도록 촉구되는 지시문 및 지시 음성은 일절 제시되지 않는다. 실어증이 없는 없는 정상인은 무의식 중에 의미가 있는 연결인 문자열 「타나바타」에 대한 주시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반해, 실어증이 있는 피검사자는, 이 의미가 있는 연결을 갖는 문자열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위에 대한 주시율이 높아지지 않고, 다른 영역, 혹은 화면 전체를 랜덤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41)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용 영상은, 진단용 정답 화상 또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다른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진단부(39)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의 주시율 또는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를 진단한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부(39)는, 진단용 정답 화상 또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다른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의 주시율 또는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를 진단한다.
이에 따르면,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불과 몇 초 내지 몇 십초 사이에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41)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용 영상은, 정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진단부(39)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부(39)는, 정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이에 따르면, 인지 기능 장애 중 실어증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불과 몇 초 내지 몇 십초 사이에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용 영상은, 기존의 물건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을 묻는 질문문을 포함하는 질문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정답 영역인 제1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 이외의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오답 영역인 제2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질문문이라고 하는 언어 지시를 이용하여 물건의 명칭에 관한 실어증의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용 영상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정답 영역과,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정답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지시문 및 음성 지시를 이용하지 않고 실어증의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용 영상은, 행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고, 정답 영역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행 또는 열에 대응하며, 오답 영역은,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행 또는 열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진단용 영상을 단순화하여, 지시문 및 음성 지시를 이용하지 않고 실어증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진단용 영상은, 진단용 정답 화상 또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다른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의 주시율 또는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진단용 정답 화상 또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다른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의 주시율 또는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다른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진단용 영상은, 정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 제2 진단 처리를 행하는 다른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정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2.3 제3 진단 처리]
다음에, 도 5 중의 단계 S30에 나타낸 제3 진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3 특징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한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진단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PC(30)는, 우선,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고(S201), 표시면(11)에 진단용 영상을 표시하고(S202), 진단용 영상 중의 오답 영역의 주시율 Va를 산출한다(S203).
여기서의 진단용 영상은,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영상이다. 예를 들어, 진단용 영상은, 제1 도형을 나타내는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제1 도형의 직시를 유도하는 지시문을 포함하는 지시문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한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2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하지 않은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다른 제2 영역을 갖는 영상이다.
도 24의 예는, 피검사자용 표시면(11)에 표시되는 진단용 영상 a1을 나타낸다. 이 진단용 영상 a1은, 「육각형을 응시해 주세요」라는 지시문 주위에,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및 삼각형의 각 도형을 갖는다.
도 25는, 도 23의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평가용 영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의 예는, PC(30)의 표시부(35)에 표시되는 평가용 영상으로서의 진단용 영상 a1을 나타낸다. 도 25의 진단용 영상 a1은, 제1 도형으로서의 육각형의 정답 화상 a11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육각형을 응시해 주세요」라는 지시문 영역 a12와,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제2 영역은, 제1 도형과 유사한 오각형의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2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한 칠각형의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2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하지 않은 삼각형의 빗나간 오답 화상 a13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PC(30)는, 진단용 영상의 표시 후에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오답 영역에 대한 시점의 주시율 Va를 산출한다(S203). 여기서, 주시율 Vc는, 진단용 영상에 대응하는 시점의 분포 패턴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이어도 된다. 또, 주시율 Va의 산출 대상이 되는 오답 영역은, 빗나간 오답 화상 a13의 제2 영역이어도 되고, 지시문 영역 a12여도 되고, 빗나간 오답 화상 a13의 제2 영역과 지시문 영역 a12를 합친 영역이어도 된다.
다음에,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a가 역치 th5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04). 주시율 Va가 역치 th5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인지 기능 장애가 있다고 진단한다(S205).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a가 역치 th5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6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06). 주시율 Va가 역치 th5보다 작으며, 또한, 역치 th6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S207).
또한, PC(30)는, 산출한 주시율 Va가 역치 th6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208). 주시율 Va가 역치 th6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에게 인지 기능 장애가 없다고 진단한다(S209).
역치 th5 및 역치 th6은,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시율 Va를 산출함으로써,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플로차트는, 단계 S201, S202 대신에,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단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취득하는 단계로 치환한 플로차트는, 도 1b의 PC(30)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도 1a의 PC(30)로 실시해도 된다.
도 26은, 인지 기능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에 대한 도 24를 이용한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분포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과 같이, 인지 기능 장애가 없는 피검사자는 화면 상의 지시문에 따라 선택지 중에서 정답 화상 a11을 선택하여, 그것을 주시한다.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은 낮고, 특히 빗나간 오답 화상 a13에 대한 주시율은 극단적으로 낮다.
제3 진단 처리는, 정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 아니라,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나, 지시문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지표로서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 즉, 진단용 영상 중의 지시문 영역에 대한 주시율이나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은,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과 역상관(逆相關)하기 때문에, 이들 주시율을 지표로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에 관해서는, 특히, 「빗나간 오답 화상 J에 대한 주시율이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과 역상관한다. 예를 들어, 4개의 선택지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1개를 정답 화상으로 한 경우, 나머지의 3개는 오답 화상으로 한다. 이 3개의 오답 화상 중의 1개를 정답으로부터 동떨어진 내용의 화상으로 하여 특히 빗나간 오답 화상으로 한다. 즉, 빗나간 오답 화상은, 인지 기능이 정상이면 분명하게 오답으로 판정되는 선택지이다. 정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은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과 양의 상관을 나타내지만, 빗나간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은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과 음의 상관을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낸 진단용 영상은, 4개의 화상이 선택지(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삼각형)로서 표시되며, 또한, 「육각형을 응시해 주세요」라는 지시문이 표시된다. 육각형이 「정답 화상」이 되고, 이 경우, 삼각형이 「빗나간 오답 화상」이 된다. 오각형과 칠각형은 정답이 되는 육각형과 유사하기 때문에 선택을 현혹시킬 수 있지만, 정상인에게 있어서, 삼각형은 선택을 현혹시키지 않는다.
도 27은,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도 25의 지시문 영역의 주시율과 MMSE 스코어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8은,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도 25의 빗나간 오답 화상의 주시율과 MMSE 스코어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시문 영역 a12에 대한 주시율, 및, 빗나간 오답 화상 a13에 대한 주시율은, 모두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스코어(MMSE 스코어)와 통계학적 의미로 음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 관점에서 제3 진단 처리는, 정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 아니라,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이나, 지시문 영역에 대한 주시율을 지표로서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41)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용 영상은,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진단부(39)는,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또, 제3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고, 진단부(39)는,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한다.
이에 따르면,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오답 화상에 대한 주시율을 지표로 하여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또한, 불과 몇 초 내지 몇 십초 사이에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용 영상은, 제1 도형의 직시를 유도하는 지시문을 포함하는 지시문 영역과, 제1 도형을 나타내는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한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2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하지 않은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다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진단부(39)는, 지시문 영역 또는 다른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지시문 영역 또는 다른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지표로 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또, 제3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진단용 영상은,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 제3 진단 처리를 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진단부(39)는,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진단용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시켜,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주시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동시에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부(21)는 복수의 피검사자를 촬상하고, 검출부(37)는 피검사자마다 시점을 검출하며, 작성부(38)는 피검사자마다 분포 맵을 작성하고, 진단부(39)는 피검사자마다 진단하면 된다. 또,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가, 동시에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촬상 장치(20)를 복수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 장치(20)와 피검사자는, 1 대 1이어도 되고, 1대 다(多)여도 된다. 이로 인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또한, 집단 검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예시로서 기재된 것이며, 본원에 따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 기재 내용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본원에 따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 도면 및 청구 범위 또는 이에 균등한 범위에 있어서 당업자가 도출 가능한 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다.
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0: 표시부
11: 표시면 20: 촬상 장치
21: 촬상부 22, 23: 카메라
24: 광원부 25, 26: 광원
30: PC 31: 프로세서
32: 기억부 33: 입력부
34: 출력부 35: 표시부
36: 인터페이스부 37: 검출부
38: 작성부 39: 진단부
300: 진단용 영상 데이터 301: 제1 영상 데이터
302: 제2 영상 데이터 303: 제3 영상 데이터
310: 증례 특징 데이터 311: 제1 특징 데이터
312: 제2 특징 데이터 313: 제3 특징 데이터
320: 프로그램
32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322: 시점 데이터
323: 분포 맵 데이터 324: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
    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記銘)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상기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상기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시각적인 강조 없이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기명 영상, 및, 상기 제1 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지 않는 제2 기명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평가용 영상 사이에 표시되는 다른 영상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다른 영상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5.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
    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진단용 정답 화상 또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다른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용 영상에 대한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영역의 주시율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정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오답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실어증이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기존의 물건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을 묻는 질문문을 포함하는 질문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당해 물건의 명칭 이외의 문자열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을 갖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의미가 없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을 갖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행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의미가 있는 문자열로 구성된 행 또는 열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의미가 없는 문자열로 구성된 행 또는 열에 대응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높은 경우, 인지 기능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제1 도형의 직시를 유도하는 지시문을 포함하는 지시문 영역과,
    제1 도형을 나타내는 상기 정답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한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제2 영역과,
    제1 도형과 유사하지 않은 도형을 나타내는 오답 화상을 포함하는 다른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지시문 영역 또는 상기 다른 제2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2. 진단용 영상에 대한 피검사자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취득하고, 상기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되는 기명 화상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강조 없이 표시되는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제1 영상, 및,
    상기 기명 화상과 유사하고 시각적인 강조 없이 상기 기명 화상과 같은 위치에 표시되는 평가용 화상을 포함하는 제3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평가용 영상을 시간순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평가용 영상에 대한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주시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시율이 역치보다 낮은 경우, 기억 장애가 의심된다고 진단하는 것을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KR1020227032171A 2020-03-27 2021-02-12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KR202201587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9001 2020-03-27
JP2020059001 2020-03-27
PCT/JP2021/005216 WO2021192704A1 (ja) 2020-03-27 2021-02-12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707A true KR20220158707A (ko) 2022-12-01

Family

ID=7789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171A KR20220158707A (ko) 2020-03-27 2021-02-12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41614A1 (ko)
EP (1) EP4129200A1 (ko)
JP (1) JPWO2021192704A1 (ko)
KR (1) KR20220158707A (ko)
CN (1) CN115315217A (ko)
AU (1) AU2021243430A1 (ko)
BR (1) BR112022019268A2 (ko)
CA (1) CA3176116A1 (ko)
TW (1) TWI801813B (ko)
WO (1) WO2021192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2562B (zh) * 2023-01-17 2023-11-11 國立臺灣大學 自閉症光譜量表的問題篩選方法及篩檢患有自閉症的兒童的方法和系統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1048B2 (ko) 1973-11-23 1982-12-22 Gen Electric
JPS5761049B2 (ko) 1974-11-11 1982-12-22 Nippon Zeon Co
JPS5817582B2 (ja) 1973-06-07 1983-04-08 ダイナポル サンカボウシザイニヨル カシヨクセイヒンノ アンテイカホウ
JPS5912351B2 (ja) 1976-06-21 1984-03-22 野田合板株式会社 外装用化粧合板
JPS5926210B2 (ja) 1977-04-12 1984-06-2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高周波加熱装置
JPH0670884A (ja) 1992-07-09 1994-03-15 A T R Shichokaku Kiko Kenkyusho:Kk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H0670885A (ja) 1992-07-09 1994-03-15 A T R Shichokaku Kiko Kenkyusho:Kk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4116354B2 (ja) 2001-08-27 2008-07-09 武敏 鈴木 視覚検査用チャート
JP4560801B2 (ja) 2007-01-19 2010-10-13 武敏 鈴木 視覚検査用チャート
JP2016523112A (ja) 2013-05-31 2016-08-08 ディグニティー ヘルス 神経疾患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158866A (ja)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診断支援装置、診断支援方法、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JP2017176302A (ja) 2016-03-29 2017-10-05 ヤンマー株式会社 眼球運動計測装置、眼球運動計測方法および眼球運動計測プログラム
WO2019098173A1 (ja) 2017-11-14 2019-05-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785A1 (en) * 2004-04-02 2005-10-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diagnosing and managing memory impairment using images
CN102245085B (zh) * 2008-10-14 2015-10-07 俄亥俄大学 利用眼跟踪的认知和语言评估
US20140186806A1 (en) * 2011-08-09 2014-07-03 Ohio University Pupillometric assessment of language comprehension
JP5912351B2 (ja) 2011-09-05 2016-04-27 国立大学法人浜松医科大学 自閉症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自閉症診断支援装置
JP5761048B2 (ja) 2012-01-24 2015-08-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自閉症診断支援装置、および自閉症診断支援方法
JP5761049B2 (ja) 2012-01-24 2015-08-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自閉症診断支援装置、および自閉症診断支援方法
EP2811907A4 (en) * 2012-02-09 2015-07-08 Anthrotronix Inc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JP5817582B2 (ja) 2012-02-22 2015-11-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脳機能疾患診断支援装置および脳機能疾患診断支援方法
JP5926210B2 (ja) 2012-03-21 2016-05-25 国立大学法人浜松医科大学 自閉症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自閉症診断支援装置
US20130345593A1 (en) * 2012-06-21 2013-12-26 Adam Burns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 Individual's Impairment
JP7167737B2 (ja) * 2018-03-26 2022-11-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7268307B2 (ja) * 2018-08-31 2023-05-0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装置の作動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82B2 (ja) 1973-06-07 1983-04-08 ダイナポル サンカボウシザイニヨル カシヨクセイヒンノ アンテイカホウ
JPS5761048B2 (ko) 1973-11-23 1982-12-22 Gen Electric
JPS5761049B2 (ko) 1974-11-11 1982-12-22 Nippon Zeon Co
JPS5912351B2 (ja) 1976-06-21 1984-03-22 野田合板株式会社 外装用化粧合板
JPS5926210B2 (ja) 1977-04-12 1984-06-2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高周波加熱装置
JPH0670885A (ja) 1992-07-09 1994-03-15 A T R Shichokaku Kiko Kenkyusho:Kk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H0670884A (ja) 1992-07-09 1994-03-15 A T R Shichokaku Kiko Kenkyusho:Kk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4116354B2 (ja) 2001-08-27 2008-07-09 武敏 鈴木 視覚検査用チャート
JP4560801B2 (ja) 2007-01-19 2010-10-13 武敏 鈴木 視覚検査用チャート
JP2016523112A (ja) 2013-05-31 2016-08-08 ディグニティー ヘルス 神経疾患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158866A (ja)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診断支援装置、診断支援方法、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JP2017176302A (ja) 2016-03-29 2017-10-05 ヤンマー株式会社 眼球運動計測装置、眼球運動計測方法および眼球運動計測プログラム
WO2019098173A1 (ja) 2017-11-14 2019-05-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3380A (zh) 2022-04-01
WO2021192704A1 (ja) 2021-09-30
JPWO2021192704A1 (ko) 2021-09-30
TWI801813B (zh) 2023-05-11
CN115315217A (zh) 2022-11-08
EP4129200A1 (en) 2023-02-08
US20230141614A1 (en) 2023-05-11
AU2021243430A1 (en) 2022-10-06
CA3176116A1 (en) 2021-09-30
BR112022019268A2 (pt)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657B1 (ko)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Wilkinson et al. Eye tracking research to answer questions abou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amad et al. A feasibility study of autism behavioral markers in spontaneous facial, visual, and hand movement response data
DeWall et al. Social exclusion and early-stage interpersonal perception: selective attention to signs of acceptance.
Heaton et al. Reduced visual exploration when viewing photographic scene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N112535479B (zh) 一种情绪加工倾向的确定方法及相关产品
CN112890815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孤独症辅助评估系统和方法
Kim et al. Technostress causes cognitive overload in high-stress people: Eye tracking analysis in a virtual kiosk test
Tan et al. Virtual classroom: An ADHD assessment and diagnosis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lmourad et al. Analyzing the behavior of autistic and normal developing children using eye tracking data
El Haddioui et al. Learner behavior analysis through eye tracking
KR20220158707A (ko)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Thiessen et al. The effect of human engagement depicted in contextual photographs on the visual attention patterns of adul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Pepe et al. A consideration of signature complexity using simulators’ gaze behaviour
CN111341444B (zh) 智能绘画评分方法及系统
KR101357493B1 (ko) 듀얼 태스크 패러다임을 이용한 치매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4220522B (zh) 基于视觉认知注意的心理测评数据采集与干预方法及系统
Khosravi et al. Employing a Wearable Eye-tracker to Observe Mind-wandering in Dynamic Stimuli
WO2024019006A1 (ja) ストループ検査方法、ストループ検査プログラム、ストループ検査システム、ストループ検査画像生成方法、ストループ検査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検査方法
Toptan et al. Eye-hand Coordination based Properties for Social Capability Representation: a Case Study
Miles et al. EM-COGLOAD: An investigation into age and cognitive load detection using eye tracking and deep learning
Takahashi et al. Novel scotoma detection method using time required for fixation to the random targets
Tsang et al. Comparing Eye-tracking Data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US9757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arameters of eye fixation
Garaas et al. The visual implications of inspection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