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201A -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201A
KR20220158201A KR1020210079074A KR20210079074A KR20220158201A KR 20220158201 A KR20220158201 A KR 20220158201A KR 1020210079074 A KR1020210079074 A KR 1020210079074A KR 20210079074 A KR20210079074 A KR 20210079074A KR 20220158201 A KR20220158201 A KR 2022015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ezel pattern
edge
area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호
김헌태
남혜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37,45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77922A1/en
Priority to CN202210563140.4A priority patent/CN115377151A/zh
Priority to EP22805011.8A priority patent/EP4343739A1/en
Priority to CN202221245556.3U priority patent/CN217719605U/zh
Priority to PCT/KR2022/007190 priority patent/WO2022245158A1/ko
Publication of KR2022015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하고, 윈도우모듈은, 제1 윈도우, 제1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 및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윈도우의 엣지에 중첩하고,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윈도우의 엣지에 비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폴딩 가능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딩되거나 롤링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윈도우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표시장치 및 기능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장치 외부에서 윈도우 엣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제1 윈도우; 상기 제1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엣지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제2 윈도우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모듈에는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의 길이는 상기 제2 베젤패턴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페턴 및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일체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외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윈도우의 두께는 15㎛ 내지 1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윈도우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PU(polyurethane), 또는 TAC(cellulose tri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윈도우는 화학 강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모듈 하측에 배치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 하측에 배치된 커버층; 상기 커버층 하측에 배치된 단차보상층; 및 상기 단차보상층 하측에 배치된 방열층;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베이스층; 및 상기 윈도우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페턴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의 엣지와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의 상기 엣지와 중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층에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윈도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베젤패턴; 및 상기 베젤패턴 아래에 배치된 박막 유리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윈도우 보호층과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내측 엣지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광 신호가 통과하는 제1 신호 영역 및 상기 제1 신호 영역에 인접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제1 윈도우; 상기 제1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엣지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모듈은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모듈에는 제1 비폴딩영역, 제2 비폴딩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과 상기 제1 비폴딩영역 또는 상기 제2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의 너비는 상기 제2 베젤패턴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외측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심미성을 유지하면서 표시장치 외부에서 윈도우의 손상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Ⅰ-Ⅰ'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RR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Ⅳ-Ⅳ'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절단선 Ⅳ-Ⅳ'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절단선 Ⅴ-Ⅴ'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절단선 Ⅵ-Ⅵ'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7a는 도 16에 도시된 절단선 Ⅶ-Ⅶ'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SS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절단선 Ⅷ-Ⅷ'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ED)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장치(ED)는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가요성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첩"의 의미는 평면 상에서 봤을 때, 구성들이 서로 중첩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는 "제3 방향(DR3)에서 측정한 두께"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폴딩영역(FA) 및 복수개의 비폴딩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폴딩영역(NFA1, NFA2)은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영역(FA)은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은 제1 방향(DR1) 상에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하나의 폴딩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영역들(NFA1, NFA2)이 도시되었으나, 폴딩영역(FA) 및 비폴딩영역(NFA1, NFA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D)는 3개 이상의 비폴딩영역들 및 비폴딩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폴딩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E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되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전자장치(ED)에서 생성된 이미지(IM)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제1 신호 영역(TA1), 제2 신호 영역(TA2),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 주변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은 광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광,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이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광 신호도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은 표시영역(DA)에 인접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을 통과하는 광 신호를 통해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적외선을 통해 외부 물체의 접근성을 판단할 수 있다.도 1에서는 1개의 제1 신호 영역(TA1)과 2개의 제2 신호 영역(TA2)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영역(TA1)은 생략되거나, 또는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 영역(TA2)은 생략되거나, 1개 존재하거나, 또는 3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전자장치(E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영역(FA)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전자장치(ED)가 폴딩될 수 있다. 일 예로, 폴딩축(FX)이 전자장치(ED)의 단변에 평행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축(FX)은 전자장치(ED)의 장변에 평행한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영역(FA)은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들(NFA2)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즉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 도 1 참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 도 1 참조)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er-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펼침 동작으로부터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펼침 동작,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윈도우모듈(WM), 표시모듈(DM), 지지부(SUP), 케이스(EDC), 및 전자모듈(CM, SN)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장치(ED)는 전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은 전자장치(ED)의 전면을 제공한다. 윈도우모듈(WM)은 베젤패턴(BP)을 포함하여 전자장치(ED)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모듈(WM)은 베젤패턴(BP)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전자장치(ED) 내부의 구성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모듈(DM)은 적어도 표시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전자장치(ED) 표시영역(DA, 도 1a 참조) 및 비표시영역(NDA, 도 1a 참조)에 각각 대응하는 활성영역(DP-DA) 및 비활성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부분과 영역/부분이 대응한다"는 것은 중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일한 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활성영역(DP-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전자장치(ED)의 구동을 위한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의 베젤패턴(BP)은 비활성영역(DP-NDA)에 중첩하게 배치되어, 전자장치(ED)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젤패턴(BP)은 비표시영역(NDA, 도 1 참조)에도 중첩하게 배치된다.
표시모듈(DM)은 비활성영역(DP-NDA) 상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부(DDV)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비활성영역(DP-NDA)에 결합된 회로필름(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필름(PCB)은 연성회로필름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패널(DP)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데이터 구동부(DDV)가 표시패널(DP) 상에 실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DDV)는 회로필름(FCB)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지지부(SUP)는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UP)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케이스(EDC)는 윈도우모듈(WM), 표시모듈(DM), 및 지지부(SUP)를 수용한다. 케이스(EDC)는 윈도우모듈(WM), 표시모듈(DM), 및 지지부(SUP)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케이스들(EDC1, EDC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D)는 2개의 케이스(EDC1, EDC2)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모듈(CM, SN)은 광신호를 출력하거나 수신하는 전자 부품일 수 있다.
전자모듈(CM, SN)은 제1 신호 영역(TA1) 및 제2 신호 영역(TA2)을 통해 광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일 예로 전자모듈(CM, SN)은 복수개의 센서들(SN)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M)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CM)는 제1 신호 영역(TA1)을 통해 자연광을 수신하고, 외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들(SN)은 제2 신호 영역(TA2)을 통해 자연광을 수신하는 근조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센서들(SN)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들(SN) 및 카메라(CM)는 제1 비폴딩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으나, 센서들(SN) 및 카메라(CM)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들(SN) 및 카메라(CM)는 표시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Ⅰ-Ⅰ'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SUP)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RR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a에서는 절단선 Ⅰ-Ⅰ'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모듈(WM), 표시모듈(DM), 및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SU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는 폴딩영역(FA),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이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은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표시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윈도우모듈(WM)은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개의 합성 수지 필름들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WM)은 하드코팅층(HC), 제1 윈도우(WP1), 제1 윈도우(WP1) 아래에 배치된 베젤패턴(BP), 제1 접착층(AL1), 제2 윈도우(W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WP1)는 윈도우 보호층일 수 있다. 제1 윈도우(WP1)의 두께는 50㎛ 내지 80㎛ 일 수 있다. 제1 윈도우(WP1)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트리아세틸셀루로오스(Triacetylcellulose), 또는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코팅층(HC)이 제1 윈도우(WP1)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문방지층, 및 비산 반사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윈도우(WP1)는 제1 접착층(AL1)에 의해서 제2 윈도우(WP2)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윈도우(WP1)는 제2 윈도우(WP2) 상면에 직접 배치된 플라스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윈도우(WP1)는 제2 윈도우(WP2)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무기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또는 유/무기 복합층 또는 기능성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접착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내지 제8 접착층(AL2~AL8)에 대해서 제1 접착층(AL1)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는 윈도우 베이스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윈도우(WP2)는 박막 유리 기판이거나, 또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윈도우(WP2)는 화학 강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두께는 15㎛ 내지 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윈도우(WP2)의 두께는 20㎛ 내지 50㎛일 수 있다. 제2 윈도우(WP2)는 폴딩과 펼침이 반복되더라도 주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베젤패턴(BP)은 제1 윈도우(WP1)의 일면 또는 제2 윈도우(WP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에는 제1 윈도우(WP1)의 하면에 배치된 베젤패턴(BP)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베젤패턴(BP)은 제1 윈도우(WP1)의 상면, 또는 제2 윈도우(WP2)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베젤패턴(BP)은 유색의 차광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패턴(BP)은 베이스 물질 및 베이스 물질에 혼합된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절단선 I-I'에 대한 단면도이므로, 베젤패턴(BP)이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표시장치(DD)의 다른 부분에서, 베젤패턴(BP)은 폴딩영역(FA)에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베젤패턴(BP)의 위치나 형상 및 길이는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모듈(DM)은 가요성 표시모듈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반사 방지층(RPL), 패널 보호층(PPL), 배리어층(BRL), 및 제2 내지 제6 접착층들(AL2~AL6)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 및 배리어층(BRL)은 표시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에서 표시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이 표시패널(DP)을 향해 입사된 후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RPL)은 화소들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외부광을 화소들과 동일한 색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은 윈도우모듈(WM)과 반사 방지층(R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에 의해 윈도우모듈(WM)과 표시모듈(DM)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은 반사 방지층(R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에 의해서 입력감지층(ISL) 및 반사 방지층(RP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 아래에는 표시패널(DP)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감지층(ISL)이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감지층(ISL) 및 표시패널(DP)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 아래에는 제4 접착층(AL4)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착층(AL4)은 표시패널(DP) 및 패널 보호층(PPL)을 서로 합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는 제5 접착층(AL5)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접착층(AL5)은 패널 보호층(PPL) 및 배리어층(BRL)을 서로 합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외부의 눌림에 따른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표시패널(DP)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광을 흡수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흑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표시모듈(DM) 위에서 표시모듈(DM)을 바라봤을 때, 배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배리어층(BRL)과 제1 플레이트(PLT1) 사이에 제6 접착층(AL6)이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L)과 제1 플레이트(PLT1)는 제6 접착층(AL6)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부(SUP)는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제1 플레이트(PLT1), 제2 플레이트(PLT2), 커버층(COV), 단차 보상층(CP), 방열층(RHL), 제7 접착층(AL7), 제8 접착층(AL8), 복수개의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 및 복수개의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T1)는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T1)는 60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T1)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PLT1)는 SUS 3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플레이트(PLT1)는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에는 복수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들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이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에 정의됨으로써,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플레이트(PLT1)가 폴딩영역(FA)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RR영역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PLT1)에 정의된 개구부들(OP)은 소정의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들(OP)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 대응하는 열을 기준으로, h 번째 열에 배치된 개구부들(OP) 및 h+1 번째 열에 배치된 개구부들(OP)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들(OP)이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에 정의됨으로써,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플레이트(PLT1)가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커버층(COV)은 제1 플레이트(PLT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COV)은 제1 플레이트(PLT1) 아래에서, 제1 플레이트(PLT1)에 정의된 개구부들(OP)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층(COV)은 제1 플레이트(PLT1)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COV)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커버층(COV)의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층(COV)은 시트 형태로 제조되어 제1 플레이트(PLT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T1) 아래에 제2 플레이트(PLT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COV)은 제1 플레이트(PLT1) 및 제2 플레이트(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LT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LT2)는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하는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하는 제2_2 플레이트(PLT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는 폴딩영역(FA) 아래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_1 플레이트(PLT2_1)는 제1 비폴딩영역(NFA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_2 플레이트(PLT2_2)는 제2 비폴딩영역(NFA2)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는 제1 플레이트(PLT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에서 제1 플레이트(PLT1)에 압력이 인가될 때,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에 의해, 개구부들(OP)이 정의된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방열층(RHL)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층(RHL)은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방열층(RHL)의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층(RHL)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PLT1, PLT2)와 함께 방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표시장치(DD)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방열층(RHL)은 제1 플레이트(PLT1) 및 제2 플레이트(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층(RHL)은 커버층(COV) 및 제2 플레이트(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방열층(RHL)의 부분은 벤딩되어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RHL)은 제1 방열부(RHP1), 제2 방열부(RHP2), 및 제1 방열부(RHP1)와 제2 방열부(RHP2) 사이에 배치된 제3 방열부(RH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부(RHP1)는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하고, 제2 방열부(RHP2)는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하고, 제3 방열부(RHP3)는 폴딩영역(FA)에 중첩할 수 있다.
제3 방열부(RHP3)의 일부분이 벤딩되어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된 제3 방열부(RHP3)의 일부분은 벤딩부(BAP)로 정의될 수 있다.
벤딩부(BAP)는 제1 및 제2 방열부들(RHP1, RHP2)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제2_1 플레이트(PLT2_1) 및 제2_2 플레이트(PLT2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벤딩부(BAP)는 하부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2 번 벤딩될 수 있으나, 벤딩부(BAP)의 벤딩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모듈(DM) 및 지지부(SUP)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벤딩부(BAP)는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방열부(RHP1), 제2 방열부(RHP2), 및 제3 방열부(RHP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층(RHL)이 폴딩영역(FA) 아래에 배치된 제3 방열부(RHP3)를 포함하여 표시장치(DD)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3 방열부(RHP3)는 벤딩부(BAP)를 포함하여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방열 성능은 방열층(RHL)의 면적에 비례하므로, 표시장치(DD)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DD)는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형의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층은 제3 방열부(RHP3)를 포함하지 않고 서로 이격된 제1 방열부(RHP1) 및 제2 방열부(RHP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열부(RHP1), 제2 방열부(RHP2), 및 제3 방열부(RHP3)를 포함하는 방열층(RHL)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7 접착층(AL7)은 제1 플레이트(PLT1) 및 방열층(RH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접착층(AL7)은 커버층(COV)과 방열층(RHL)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층(COV)이 제1 플레이트(PLT1)와 제1 접착층(A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7 접착층(AL7)은 서로 이격된 제7_1 접착층(AL7_1) 및 제7_2 접착층(AL7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7_1 접착층(AL7_1) 및 제7_2 접착층(AL7_2)은 제1 방향 상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7_1 접착층(AL7_1)은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하고, 제7_2 접착층(AL7_2)은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할 수 있다. 즉, 제7 접착층(AL7)은 폴딩영역(FA)과 비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SUP)의 폴딩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8 접착층(AL8)은 제2 플레이트(PLT2) 및 방열층(RH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8 접착층(AL8)은 서로 이격된 제8_1 접착층(AL8_1) 및 제8_2 접착층(AL8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8_1 접착층(AL8_1) 및 제8_2 접착층(AL8_2)은 제1 방향 상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8_1 접착층(AL8_1)은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하고, 제8_2 접착층(AL8_2)은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할 수 있다. 즉, 제8 접착층(AL8)은 폴딩영역(FA)과 비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SUP)의 폴딩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CP)은 커버층(COV)과 제2 플레이트(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CP)은 방열층(RHL)의 테두리 주변 및 제7 및 제8 접착층들(AL7, AL8) 각각의 테두리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차 보상층(CP)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방열층(RHL), 제7 접착층(AL7), 및 제8 접착층(AL8)은 커버층(COV)의 테두리 및 제2 플레이트(PLT2)의 테두리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CP)은 커버층(COV) 및 제2 플레이트(PLT2) 사이에서, 방열층(RHL), 제7 접착층(AL7), 및 제8 접착층(AL8)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단차를 보상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DD)는 제1 및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 SC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은 제7_1 접착층(AL7_1) 및 제7_2 접착층(AL7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은 커버층(COV) 및 방열층(RHL)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은 제7 접착층(AL7)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은 폴딩영역(FA)에 중첩하고, 제1 방열부(RHP1) 및 제2 방열부(RH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은 제3 방열부(RHP3)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열부(RHP3)는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절단선의 위치에 따라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이 도시되고,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은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표시장치(DD)의 다른 부분을 절단할 경우,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이 도시되지 않고,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이 도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1)의 개수 및 제2 서브 단차 보상층들(SCL2)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복수로 포함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윈도우모듈(WM)에는 제1 홀 영역(HA1) 및 제2 홀 영역(HA2)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모듈(DM) 및 지지부(SUP)에는 제1 홀 영역(HA1) 및 제2 홀 영역(HA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H1)은 제2 플레이트(PLT2), 단차 보상층(CP), 커버층(COV), 제1 플레이트(PLT1), 배리어층(BRL), 패널 보호층(PPL),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반사 방지층(RPL), 및 제2 내지 제6 접착층들(AL2~AL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홀(H2)은 제2 플레이트(PLT2), 단차 보상층(CP), 커버층(COV), 제1 플레이트(PLT1), 배리어층(BRL), 제5 접착층(AL5), 및 제6 접착층(AL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H1)에는 전술한 카메라(CM)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H2)에는 전술한 센서(SN)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COV) 및 단차 보상층(CP) 각각에서 제2 홀들(H2)은 일체로 정의될 수 있다. 방열층(RHL), 제7 및 제8 접착층(AL7, AL8), 및 제1 및 제2 서브 단차 보상층(SCL1, SCL2)은 제1 및 제2 홀(H1, H2)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층(COV) 및 제2 플레이트(PLT2) 각각에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방열층(RHL) 및 제7 및 제8 접착층(AL7, AL8) 각각에도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단차 보상층(CP)에도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를 통해서 제조 과정에서 제품의 고유 넘버인 셀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개구부(OP2)에는 테이프가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에 의해서 도 3의 회로필름(PCB)이 벤딩되어 제1 플레이트(PLT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폴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도 4a에 도시된 비폴딩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폴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장치(DD)가 단변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인폴딩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의 장변에 평행한 것일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DD)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표시면(DS, 도 1 참조)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도 5에 도시된 폴딩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비폴딩 상태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이러한 폴딩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가요성 표시모듈이므로 표시모듈(DM)의 폴딩영역(FA)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T1)에는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동작 시, 개구부들(OP)에 의해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PLT1)의 부분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방열층(RHL)은 표시장치(DD)가 폴딩될 때, 도 4a에 도시된 벤딩부(BAP)가 펼쳐지면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영역(FA)이 폴딩하면서 방열층(RHL)이 인장력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층(IS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감지층(ISL)은 층 형태일 수 있다. 즉 표시패널(DP) 상에 입력감지센서(ISU)가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구성이 B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 구성과 B 구성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및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층(SUB)은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두께를 갖는 박막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폴리이미드/적어도 하나의 무기층/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들,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복수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박막은 광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치되고, 일부 박막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은 무기층/유기층/무기층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ED)을 밀봉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일 예에서 입력감지층(ISL)은 개별 패널로 제공되어, 접착층을 통해 표시패널(DP)과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지층(TFE) 대신 봉지 기판(EC)이 표시패널(DP)에 결합되고, 봉지 기판(EC) 상에 입력감지층(ISL)이 패널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에 배치된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영역(AA1), 벤딩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AA1)은 각각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장변들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에는 활성영역(DP-DA) 및 비활성영역(DP-NDA)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활성영역(DP-DA) 및 비활성영역(DP-NDA)에 중첩할 수 있다. 벤딩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비활성영역(DP-NDA)에만 중첩할 수 있다. 벤딩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AA1)에는 제1 비폴딩영역(NFA1), 제2 비폴딩영역(NFA2), 및 폴딩영역(FA)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 상에서,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이 순서대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SUB) 및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는 표시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 복수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CSL2), 제1 전원 라인(PL1), 제2 전원 라인(PL2), 연결 라인들(CNL), 및 복수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되고, 화소들(PX)은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제1 영역(AA1)의 장변들에 각각 인접한 비활성영역(DP-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2 영역(AA2)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제2 영역(AA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PL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비활성영역(DP-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제1 영역(AA1)의 장변들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DA) 및 표시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영역(AA2)과 마주보는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1 전원 라인(PL1) 및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1 전원 라인(PL1)에 인가된 제1 전압을 화소들(PX)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패드들(PD)은 제2 영역(AA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 제1 전원 라인(PL1), 제2 전원 라인(PL2),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패드들(PD)에 연결된 회로필름(PCB)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필름(PCB)을 통해서 표시패널(DP)은 외부의 구동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WM)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에서는 윈도우모듈(WM)의 구성 중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모듈(WM)은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층(AL1, 도 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접착층(AL1, 도 4a)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윈도우(WP1)의 크기는 제2 윈도우(WP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에서 제1 윈도우(WP1)의 장변 길이(WD1)는 제2 윈도우(WP2)의 장변 길이(WD3)보다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윈도우(WP1)의 단변 길이(WD2)는 제2 윈도우(WP2)의 단변 길이(WD4)보다 클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보다 내측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윈도우(WP1)는 제2 윈도우(WP2)를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윈도우모듈(WM)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제2 윈도우(WP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윈도우(WP1)는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와 중첩하는 제1 부분(PT1) 및 제1 부분(PT1)에서 연장되고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와 비중첩하는 제2 부분(P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PT2)은 제1 부분(PT1)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제1 부분(PT1) 및 제2 부분(PT2)은 일체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윈도우(WP1)는 윈도우 보호층이고, 제2 윈도우(WP2)는 윈도우 베이스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윈도우(WP2)는 박막 강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WM)의 평면도이다.
도 8b에서는 윈도우모듈(WM)의 구성 중 제1 윈도우(WP1) 및 베젤패턴(BP)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베젤패턴(BP)은 제1 윈도우(WP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패턴(BP)은 제1 윈도우(WP1)의 하면에 유색의 차광물질이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베젤패턴(BP)은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BP1) 및 비폴딩영역(NFA1, NFA2)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BP2)을 포함한다. 제1 베젤패턴(BP1) 및 제2 베젤패턴(BP2)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윈도우(WP1)의 제1 부분(PT1)에 중첩한다. 예를 들어,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부분(PT1) 및 제2 부분(PT2)의 경계선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은 제2 부분(PT2)에 비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베젤패턴(BP2)은 제1 윈도우(WP1)의 제1 부분(PT1) 및 제2 부분(PT2)에 모두 중첩한다.
제1 베젤패턴(BP1)의 너비는 제2 베젤패턴(BP2)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DD)는 제1 베젤패턴(BP1) 및 제2 베젤패턴(BP2)을 포함하는 베젤패턴(BP)을 포함하여, 제1 윈도우(WP1)의 투과율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성에는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9a를 함께 참조하면, 도 9a는 폴딩영역(FA)을 절단한 윈도우모듈(WM)의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a에는 도 3에서 도시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이 함께 도시되었다. 평면 상에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은 윈도우모듈(WM)에 중첩할 수 있다. 케이스(EDC)의 측벽부분과 상측부분이 도시되었고, 이하에서 일부분(EDC-U)은 상측 부분으로 설명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 상에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은 윈도우모듈(WM)에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상측 부분(EDC-U)은 생략되고, 케이스(EDC)는 윈도우모듈(WM)의 측면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측 부분(EDC-U)과 윈도우모듈(WM)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거리는 2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측 부분(EDC-U)과 윈도우모듈(WM)의 상면은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EDC)와 윈도우모듈(WM)의 상면 또는 측면 사이에는 또 다른 구성(예컨대 접착층 또는 방수키트)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평면상에서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윈도우모듈(WM)에 중첩한다.
윈도우모듈(WM)은 제1 윈도우(WP1), 제1 윈도우(WP1)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WP2), 및 제1 베젤패턴(BP1)을 포함한다.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 제1 접착층(AL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윈도우(WP1) 및 제1 접착층(A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구성의 엣지와 제2 구성의 엣지가 정렬된다"는 것은 평면 상에서 제1 구성의 엣지와 제2 구성의 엣지가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비정렬되고,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에 비정렬될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윈도우(WP1)의 제1 부분(PT1)에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젤패턴(BP1)의 내측 엣지(B-IE1) 및 외측 엣지(B-OE1)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 엣지(B-OE1)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비정렬하고,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 엣지(B-OE1)에 비정렬된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 및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 엣지(B-OE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모듈(WM)의 외부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베젤패턴(BP1)으로부터 충분히 노출될 수 있다. 검사 장치를 통해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 발생한 미세한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 장치는 현미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WP1)의 상면 상에서 검사 장치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를 촬영하여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서 시작하는 크랙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접착층(AL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접착층(AL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엣지(B-OE1)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 및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 엣지(B-OE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윈도우(WP1)의 상면 상에서 검사 장치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를 촬영하여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서 시작하는 크랙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10은 전자장치(ED)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비폴딩영역(NFA1)을 절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윈도우모듈(WM)은 제1 윈도우(WP1), 제1 윈도우(WP1)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WP2), 및 제2 베젤패턴(BP2)을 포함한다.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 제1 접착층(A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젤패턴(BP2)은 전자장치(ED)의 장변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베젤패턴(BP2)은 제1 윈도우(WP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윈도우(WP1) 및 제1 접착층(A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베젤패턴(BP2)은 제1 윈도우(WP1)의 제1 부분(PT1) 및 제2 부분(PT2)에 모두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젤패턴(BP2)의 외측 엣지(B-OE2)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베젤패턴(BP2)의 외측 엣지(B-OE2)는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에 정렬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의 외측 엣지(B-OE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의 외측 엣지(B-OE2) 및 제2 베젤패턴(BP2)의 내측 엣지(B-I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평면 상에서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모듈(WM)의 외부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시인되지 않고, 표시장치(DD)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장치(DD)가 폴딩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비폴딩영역(NFA1, NFA2)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보다 클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 발생하는 크랙은 폴딩영역(FA)에서 발생되어 비폴딩영역(NFA1, NFA2)으로 전파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DD)는 폴딩영역(FA)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를 제1 베젤패턴(BP1)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에서 시작하는 크랙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폴딩영역(NFA1, NFA2)에 중첩하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함으로써, 표시장치(DD)의 심미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신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심미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2 베젤패턴(BP2)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베젤패턴(BP2)은 제1 접착층(AL1) 및 제2 윈도우(WP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Ⅳ-Ⅳ'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1a를 함께 참조하면, 도 11a는 전자장치(ED)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을 절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전자장치(ED)가 언폴딩된 상태에서는,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윈도우모듈(WM)은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한 제2 베젤패턴(B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ED)의 외부에서 비폴딩영역(NFA1, NFA2)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b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장치(ED)가 폴딩된 상태에서, 절단선 Ⅳ-Ⅳ'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함께 참조하면, 전자장치(ED)가 폴딩되면서 제1 윈도우(WP1) 및 케이스(EDC)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b에서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 및 케이스(EDC)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도 11a에서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 및 케이스(EDC)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a, 도 5, 도 11a, 및 도 11b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장치(DD)가 폴딩되면서 표시장치(DD)의 최상측에 있는 윈도우모듈(WM)은 앞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DD)의 폴딩영역(FA)이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인폴딩되면서, 지지부(SUP)부터 휘어지고 표시모듈(DM) 및 윈도우모듈(WM)의 단변은 지지부(SUP)의 단변보다 돌출될 수 있다. 특히, 표시장치(DD)의 최상층에 있는 윈도우모듈(WM)은 표시장치(DD)의 인폴딩 시 앞으로 돌출되어, 제1 윈도우(WP1) 및 케이스(EDC) 사이의 제2 거리(D2)가 전술한 제1 거리(D1)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제2 베젤패턴(BP2)은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에 중첩하고 전자장치(ED)의 단변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도 10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하여,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D)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전자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1)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이 순서대로 정의될 수 있다. 전자장치(ED-1)는 장변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전자장치(ED-1)가 인폴딩되면서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면(DS)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절단선 Ⅴ-Ⅴ'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1)의 폴딩영역(FA')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에는 전자장치(ED-1)의 구성 중 윈도우모듈(WM)만 도시하였으나, 윈도우모듈(WM) 아래에는 전술한 표시모듈(DM) 및 지지부(SUP)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1)의 폴딩영역(FA')의 단면은 도 9a에 도시된 폴딩영역(FA)의 단면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윈도우모듈(WM)은 폴딩영역(FA')에 중첩하게 배치된 제1 베젤패턴(BP1)을 포함하고,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베젤패턴(BP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D-1) 외부에서, 폴딩영역(FA')에 중첩하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의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9a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절단선 Ⅵ-Ⅵ'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1)의 제1 비폴딩영역(NFA1')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1)의 제1 비폴딩영역(NFA1')의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비폴딩영역(NFA1)의 단면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윈도우모듈(WM)은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한 제2 베젤패턴(B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ED-1)의 외부에서 제1 비폴딩영역(NFA1')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2)는 표시면(DS)이 곡면인 것일 수 있다. 표시면(DS)에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A1, DA2, DA3), 및 비표시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전자장치(ED-2)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표시영역(DA1, DA2, DA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표시영역(DA1, DA2, DA3) 및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표시영역(DA1, DA2, DA3)은 제1 표시영역(DA1), 제2 표시영역(DA2), 및 제3 표시영역(D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A1)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면일 수 있다.
제2 표시영역(DA2)은 제1 표시영역(DA1)에서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제3 표시영역(DA3)은 제1 표시영역(DA1)에서 제2 방향(DR2)으로 굴곡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DA2)과 제3 표시영역(DA3)은 제1 표시영역(DA1)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DA2), 및 제3 표시영역(DA3)은 각각 제1 표시영역(DA1)에 대해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 제2 내지 제3 표시영역들(DA2, DA3)에 의해 전자장치(ED-2)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영역(NDA)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7a는 도 16에 도시된 절단선 Ⅶ-Ⅶ'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2)는 윈도우모듈(WM), 윈도우모듈(WM) 아래에 배치된 표시모듈(DM), 및 표시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모듈(DM) 및 케이스(EDC) 사이에는 지지모듈이 배치되고, 지지모듈은 윈도우모듈(WM) 및 표시모듈(DM)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모듈(DM) 및 케이스(EDC) 사이에는 전자모듈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EDC)는 표시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의 하부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은 제1 표시영역(DA1)에 대응하는 평탄 영역(W-FA), 제2 표시영역(DA2) 및 제3 표시영역(DA3)에 대응하는 굴곡 영역(W-C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굴곡 영역(W-CA)들은 평탄 영역(W-FA)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7a에서는 굴곡 영역(W-CA)을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 실시예의 윈도우모듈(WM)은 평탄 영역(W-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굴곡 영역(W-C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SS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SS영역은 윈도우모듈(WM)의 굴곡 영역(W-CA)을 확대한 단면도일 수 있다. 윈도우모듈(WM)의 굴곡 영역(W-CA)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베젤패턴(BP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윈도우(WP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는 제1 접착층(A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젤패턴(BP1')은 제1 접착층(AL1) 및 제2 윈도우(W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 엣지(B-OE1) 및 제1 베젤패턴(BP1')의 내측 엣지(B-IE1)는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베젤패턴(BP1')의 외측엣지(B-OE1) 및 제1 윈도우(WP1)의 엣지(P-E)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가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장치(ED-2)는 외부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를 검사하여, 크랙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절단선 Ⅷ-Ⅷ'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2)의 비표시영역(NDA)에는 제2 베젤패턴(BP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비표시영역(NDA)의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비폴딩영역(NFA1)의 단면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2)의 비표시영역(NDA)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2 베젤패턴(BP2)에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ED-2)의 외부에서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D-2)의 비표시영역(NDA)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ED-2)는 표시영역(DA1, DA2, DA3)의 적어도 일부에 굴곡 영역(W-CA)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 영역(W-CA)에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는 제1 베젤패턴(BP1')으로부터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D-2)의 외부에서 굴곡 영역(W-CA)에 중첩한 제2 윈도우(WP2)의 엣지(W-E)를 검사하고, 크랙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젤패턴 및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제1 베젤패턴은 폴딩영역에 중첩하고, 제2 베젤패턴은 비폴딩영역에 중첩한다. 제1 베젤패턴은 제2 윈도우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베젤패턴은 제2 윈도우의 엣지와 중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서 제2 윈도우의 엣지 중 폴딩영역에 중첩한 부분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제2 윈도우의 엣지 중 폴딩영역에 중첩한 부분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윈도우의 엣지에서 시작하는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서 제2 윈도우의 엣지 중 비폴딩영역에 중첩한 부분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WM: 윈도우모듈
WP1: 제1 윈도우 WP2: 제2 윈도우
P-E: 제1 윈도우의 엣지 W-E: 제2 윈도우의 엣지
BP: 베젤패턴 BP1, BP2: 제1 및 제2 베젤패턴
B-OE1: B-OE2: 외측 엣지 B-IE1, B-IE2: 내측 엣지
DM: 표시모듈 SUP: 지지부
EDC: 케이스 ED: 전자장치

Claims (26)

  1.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제1 윈도우;
    상기 제1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엣지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제2 윈도우의 길이보다 큰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에는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 중첩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의 너비는 상기 제2 베젤패턴의 너비보다 작은 표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페턴 및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일체의 형상인 표시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된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외측에 정렬된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제2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의 두께는 15㎛ 내지 100㎛ 인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PU(polyurethane), 또는 TAC(cellulose tri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는 화학 강화 유리 기판인 표시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모듈 하측에 배치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 하측에 배치된 커버층;
    상기 커버층 하측에 배치된 단차보상층; 및
    상기 단차보상층 하측에 배치된 방열층;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베이스층; 및
    상기 윈도우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페턴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의 엣지와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의 상기 엣지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윈도우 베이스층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층에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1 부분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중첩하는 표시장치.
  18. 폴딩영역 및 비폴딩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윈도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보호층 아래에 배치된 베젤패턴; 및
    상기 베젤패턴 아래에 배치된 박막 유리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에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윈도우 보호층과 비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내측 엣지에 정렬된 표시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에 정렬된 표시장치.
  21. 광 신호가 통과하는 제1 신호 영역 및 상기 제1 신호 영역에 인접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제1 윈도우;
    상기 제1 윈도우 아래에 배치된 제2 윈도우;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 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엣지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는 전자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모듈은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에는 제1 비폴딩영역, 제2 비폴딩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1 베젤패턴과 상기 제1 비폴딩영역 또는 상기 제2 비폴딩영역에 중첩하는 제2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에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 중첩하는 전자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의 너비는 상기 제2 베젤패턴의 너비보다 작은 전자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패턴은 제1 외측 엣지 및 제1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젤패턴은 제2 외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를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측 엣지 및 제2 내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된 전자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내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외측 엣지는 상기 제2 윈도우의 상기 엣지보다 외측에 정렬된 전자장치.
KR1020210079074A 2021-05-21 2021-06-18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158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37,457 US20220377922A1 (en) 2021-05-21 2022-05-05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210563140.4A CN115377151A (zh) 2021-05-21 2022-05-19 显示装置
EP22805011.8A EP4343739A1 (en) 2021-05-21 2022-05-19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202221245556.3U CN217719605U (zh) 2021-05-21 2022-05-19 显示装置
PCT/KR2022/007190 WO2022245158A1 (ko) 2021-05-21 2022-05-19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28 2021-05-21
KR20210065528 2021-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201A true KR20220158201A (ko) 2022-11-30

Family

ID=8423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74A KR20220158201A (ko) 2021-05-21 2021-06-18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2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172B1 (ko) 표시장치
CN111554183A (zh) 显示装置
KR102504397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639429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4001589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27710A (ko) 표시 장치
CN114078377A (zh) 显示设备
EP395809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138311A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4495706A (zh) 电子设备
EP387959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158201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217719605U (zh) 显示装置
KR20220158186A (ko) 이형 필름
CN114078382A (zh) 显示设备
KR102622426B1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17740539U (zh) 显示装置
KR20200042056A (ko) 표시 장치
US202201230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11637A (ko) 이형 필름
KR20230056821A (ko) 전자 장치
KR20230114801A (ko) 표시모듈 및 이의 검사방법
KR20210125636A (ko) 표시장치
KR20240038845A (ko) 보호필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CN117789597A (zh) 显示模块以及用于将显示模块和窗构件附接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