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725A -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25A
KR20220157725A KR1020210065630A KR20210065630A KR20220157725A KR 20220157725 A KR20220157725 A KR 20220157725A KR 1020210065630 A KR1020210065630 A KR 1020210065630A KR 20210065630 A KR20210065630 A KR 20210065630A KR 20220157725 A KR20220157725 A KR 20220157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access control
unit
elastic memb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현
Original Assignee
유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현 filed Critical 유주현
Priority to KR102021006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725A/ko
Publication of KR2022015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모듈,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와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통해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 구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선택적 및 자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은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전진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동작부와 일체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동작부의 전진방향 동작 후 압축 해제 과정을 통해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구성을 통해, 탄성부재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탄성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ACCESS CONTROL MODULE AND AUTOMATIC ACCESS DEVICE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회사 및 보안시설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빈번하고 사람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장소에서, 출입 장치는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장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의 입구에 설치되는 지하철 게이트에 있어서, 사용자는 카드 및 현금 등 이용요금을 지불하는 경우나 노약자 및 장애인 등에 해당하여 특정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하철 게이트를 통과하여 지하철역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출입장치에 있어서 출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 통제 모듈이 필요하다.
출입 통제 모듈이 동작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통해 동작이 조절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모듈은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통해 동작되는 경우가 있다. 즉,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발생시켜 형성된 반발력을 통해 출입 통제 모듈의 내부 부재들이 움직여 출입장치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모듈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출입 통제 모듈은 한번 동작한 후 원상태로 복원해야 하는데, 복원을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가 인장상태 및 원상태를 반복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출입 통제 모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가 출입장치를 통해 출입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별도 조정없이 사용자의 출입을 자동적으로 통제하고, 사용자의 출입 및 개폐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출입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 특허공보 제10-2014-0123562호는 게이트의 출입통제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의 목적은,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전진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동작부와 일체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동작부의 전진방향 동작 후 압축 해제 과정을 통해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구성을 통해, 탄성부재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통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모듈,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와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통해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 구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선택적 및 자동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자동 출입 장치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출입구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모듈,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 및 상기 출입 통제 모듈과 접촉하여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 방향 동작 후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작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홀과 가까울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틀은 상기 동작부의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는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동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가 관리자로부터 사전에 입력받은 설정기준과 불일치하는 사용자 출입정보를 입력 받거나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지 못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는 상기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사용자 출입시 상기 회전 모듈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에 설치되는 회전 작동하는 출입차단기를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방향 동작 후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작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용부를 감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적의 넓이는 상기 관통홀과 가까울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 방향 동작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는, 압축을 해제하여 상기 동작부를 밀쳐냄으로써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와 결합하여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받침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틀은 상기 동작부의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에 따르면,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전진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동작부와 일체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동작부의 전진방향 동작 후 압축 해제 과정을 통해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구성을 통해, 탄성부재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탄성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모듈,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와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통해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 구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선택적 및 자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 및 작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입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 및 작용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자동 출입 장치(1)에 있어서, 자동 출입 장치(1)는 사용자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출입 조건에 관한 이용 정보를 입력 받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는 경우, 자동 출입 장치(1)는 동작을 멈추어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출입 조건에 관한 이용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에도 사전에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은 동작 기준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자동 출입 장치(1)는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커니즘에 의하면, 자동 출입 장치(1)는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관리자의 관리가 없더라도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자동 출입 장치(1)는 본체(10), 회전 모듈, 출입 통제 모듈(12), 제한부(13), 제어 모듈(14) 및 유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부품을 외부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외관 디자인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모듈은 출입구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봉(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봉(110)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회전봉(110)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봉(110)은 사용자를 출입장소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모듈은 회전봉(1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봉(110)의 회전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111)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봉(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봉(11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111)는 복수의 이(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가 제한부(13)에 걸림으로써, 회전부재(111)의 동작은 제한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모듈(12)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구동되고, 회전 모듈의 회전 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입조건이 맞지 않은 경우, 내부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발생하고, 내부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출입 통제 모듈(12)은 동작하여 회전 모듈의 회전 동작을 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면, 출입 통제 모듈(12)은 사용자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모듈(12)은 하우징(120), 동작부(121), 작용부(122) 및 탄성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출입 통제 모듈(1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0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00)에 작용부(122)가 삽입되어, 작용부(122)는 관통홀(120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작부(121)의 중심에서 관통홀(1200)을 향하는 방향을 '전진 방향'이라 정의한다.
동작부(121)는 하우징(120)과 연결되고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부(121)는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발생시켜 본체(10)와의 반발력을 통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부(121)는 하우징(120)에 관통하여 하우징(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동작부(121)는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121)의 위치 및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부(122)는 동작부(121)와 일체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부(122)는 관통홀(1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동작부(121)와 결합하여 동작부(121)와 일체로 전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작용부(122)의 길이방향은 전진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또한, 작용부(122)의 일단에는 제한부(13)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용부(122)는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여 제한부(13)와 접촉하여 제한부(13)를 밀 수 있다.
탄성부재(123)는 동작부(121)의 전진 방향 동작 후 동작부(121)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에 전류의 흐름이 중단되는 경우, 동작부(121)의 전진 방향 동작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123)는 압축을 해제하여 동작부(121)를 밀쳐냄으로써 동작부(121)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23)의 인장력이 아닌 압축력을 통해 동작부(121)를 원위치로 복원시킴으로써, 탄성부재(123)의 마모 및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123)에 의한 복원 원리는 탄성부재(123)의 수명을 연장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탄성부재(123)는 관통홀(1200)과 동작부(121) 사이에 위치하여 동작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121)의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123)는 관통홀(1200) 및 동작부(121)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123)는 작용부(122)를 감는 형상을 포함하고, 작용부(122)는 탄성부재(123)를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용부(122)는 동작부(121)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23) 및 관통홀(1200)을 차례로 관통하여 본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작용부(12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탄성부재(123)의 단면적의 넓이는 관통홀(1200)과 가까울수록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23)는 테이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23)는 관통홀(1200)과 가까울수록 단면적의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123)가 압축 및 해제되는 과정에서 스프링당 마찰력을 줄여 탄성부재(123)의 마모 및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하우징(120)은 탄성부재(12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받침틀(1201)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틀(1201)은 동작부(121)의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틀(1201)은 관통홀(1200)과 근접한 탄성부재(123)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틀(1201)은 제1홈과 연결되고, 탄성부재(123)가 결합된 동작부(121)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121)의 작동에 의해 탄성부재(123)가 압축 및 해제되는 과정에서, 받침틀(1201)은 탄성부재(123) 및 동작부(121)가 흔들리거나 작동경로를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부(13)는 출입 통제 모듈(12)과 접촉하여, 출입 통제 모듈(12)의 구동에 의해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회전 모듈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부(13)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일면에 동작부(121)의 작동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면, 제한부(13)는 회전 운동하고, 제한부(13)의 타면이 회전부재(111)의 복수의 이에 접촉하게 되어, 제한부(13)는 회전 모듈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한부(13)의 구조 및 형상은 반드시 도면에 제시되는 구조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모듈(14)은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를 토대로 출입 통제 모듈(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은 입력부(140), 감지부(141) 및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카드 및 현금 등을 통한 이용요금 지불에 관한 이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노약자 및 장애인여부 등과 같은 출입 허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0)에서 입력 받은 정보는 조절부(142)의 작동 기준이 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게이트인 경우,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이용 요금 지불수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본체(10)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감지부(141)는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1)는 회전부재(1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부(141)의 위치에 따르면, 감지부(141)는 회전부재(111)의 회전운동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조절부(142)에 송신할 수 있다.
조절부(142)는 입력부(140)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감지부(141)에서 감지한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 정보를 토대로, 출입 통제 모듈(12)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가 관리자로부터 사전에 입력받은 설정기준과 불일치하는 사용자 출입정보를 입력 받거나 입력부(140)가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지 못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서, 감지부(141)에서 회전 모듈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면, 조절부(142)는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발생시켜 출입 통제 모듈(1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유지부(15)는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사용자 출입시 회전 모듈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부(15)는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 모듈이 회전하는 경우 스프링은 압축될 수 있다. 사용자 출입시 회전 모듈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압축된 스프링은 압축을 해제하면서 회전 모듈을 회전 전과 동일하게 만들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자동 출입 장치
10: 본체
12: 출입 통제 모듈
13: 제한부
14: 제어 모듈
15: 유지부
110: 회전봉
111: 회전부재
120: 하우징
121: 동작부
122: 작용부
123: 탄성부재
140: 입력부
141: 감지부
142: 조절부
1200: 관통홀
1201: 받침틀

Claims (17)

  1.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자동 출입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출입구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모듈;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 및
    상기 출입 통제 모듈과 접촉하여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 방향 동작 후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작부와 결합되는, 자동 출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홀과 가까울수록 넓어지는, 자동 출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틀은 상기 동작부의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동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관리자로부터 사전에 입력받은 설정기준과 불일치하는 사용자 출입정보를 입력 받거나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지 못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을 동작시키는, 자동 출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과 접촉하여 사용자 출입시 상기 회전 모듈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10. 출입구에 설치되는 회전 작동하는 출입차단기를 통제하는 출입 통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용부; 및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방향 동작 후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동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작부와 결합되는, 출입 통제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용부를 감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출입 통제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적의 넓이는 상기 관통홀과 가까울수록 넓어지는, 출입 통제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상기 전진 방향 동작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는, 압축을 해제하여 상기 동작부를 밀쳐냄으로써 상기 동작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출입 통제 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와 결합하여 상기 동작부와 일체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동작하는, 출입 통제 모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받침틀을 포함하는, 출입 통제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은
    상기 동작부의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출입 통제 모듈.

KR1020210065630A 2021-05-21 2021-05-21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KR20220157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30A KR20220157725A (ko) 2021-05-21 2021-05-21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30A KR20220157725A (ko) 2021-05-21 2021-05-21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25A true KR20220157725A (ko) 2022-11-29

Family

ID=8423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630A KR20220157725A (ko) 2021-05-21 2021-05-21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7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5175C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US5439262A (en) Locking/release mechanism for a pivot bolt of a closed-circuit door opener
US5586355A (en) Safety device for a vertically stored dock leveler
SE461473B (sv) Anordning vid doerr foer att foerhindra klaemskador
KR20220157728A (ko) 자동 출입 장치
KR20220157725A (ko) 출입 통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 장치
KR101426869B1 (ko) 선형 모터 브레이크
CA2374204A1 (en) Control of the movement of a sliding or swinging and sliding door in its end closing area
EP0561332A1 (en) Safety catch for storage box lid
US4896909A (en) Opener
US20110121967A1 (en) Tamper-proof security system component
JP2006213513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WO2007084190A1 (en) Door assembly including a brake member
JP2000248826A (ja) 自動ドアの安全装置
JP672345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エレベータドアのリンク
US3330923A (en) Safety edge mechanism for doors
EP3041017A1 (en) Adjustable door sensor
KR10214790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손끼임 방지 장치
GB2166798A (en) Security device
KR101995662B1 (ko)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JP3042292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自動閉じ装置
JPH0826637A (ja) エレベータ扉
EP3816385A1 (en) Locking device for pedestrian gates
JP4458589B2 (ja) 蓋又は扉開閉検出装置
KR950029527A (ko) 자동식 회전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