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618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618A
KR20220157618A KR1020210065363A KR20210065363A KR20220157618A KR 20220157618 A KR20220157618 A KR 20220157618A KR 1020210065363 A KR1020210065363 A KR 1020210065363A KR 20210065363 A KR20210065363 A KR 20210065363A KR 20220157618 A KR20220157618 A KR 2022015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ver
washing
dishwash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김미영
이원준
손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618A/ko
Priority to PCT/KR2022/006673 priority patent/WO2022245036A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6Arrangements to detect or remove bad smells or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 상기 배수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를 통해, 섬프 내의 악취가 세척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여, 세척대상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와,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를 포함한다.
세척조의 하부에는 섬프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섬프의 내부에는 배수구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배수구가 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에서 발생된 악취가 세척조 내로 역류하여 위생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문헌 20-2009-0001289는, 섬프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개시하고 있으나, 커버가 배수구를 과도하게 막음으로 인해, 세척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문헌 20-2009-000128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척조 내의 위생상태가 개선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배수구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살균기능이 탑재된 배수구 커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척수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는 배수구 커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필터의 인출이 용이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섬프; 및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배수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커버를 이동시켜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배수구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제 1기어; 및 상기 커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 1기어와 맞물리는 제 1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모터; 상기 제 2모터와 연결되는 제 2기어; 상기 제 2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랙; 및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어, 커버가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랙은,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테두리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접촉되는 상기 제 2랙의 상단부는, 상기 커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 제 2랙과 커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랙이 관통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어, 제 2랙의 상하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모터; 상기 제 3모터와 맞물리는 제 3기어; 및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제 3기어와 맞물리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기어와 맞물리는 제 3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튜브; 상기 분사튜브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튜브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4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를 향해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모터, 제 2모터, 제 3모터 및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구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제 2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제 3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 제 2모터 및 제 3모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제 2모터와 상기 제 3모터를 지지하는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사암으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상기 제 1랙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조가 수용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 1랙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 1랙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커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 2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필터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3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했을 때, 자외선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었을 때, 자외선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홀더가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4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 상기 배수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형성되는 물탱크; 및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물탱크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가이드에 의해 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섬프의 내측벽에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가 관통되는 터널; 상기 가이드에 배치되는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탈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를 통해, 섬프 내의 악취가 세척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터와 랙만을 이용해 커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의 개폐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셋째, 커버에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구비하여, 배수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자외선 빛을 통해 필터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모터와 랙을 통해 커버를 배수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세척수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모터와 랙을 통해 필터를 배수구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필터의 인출이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종단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상승 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상승 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회전 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회전 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상승 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상승 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상승 후 개폐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상승 후 섬프 내부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상승 전 섬프 내부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의 고정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세척조(100)(도 2참조)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식기세척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방은 개구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개구부(10s)(도 3참조)를 통해 세척대상을 세척조(100)로 투입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의 개구부(10s)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20)는 개구부(10s)를 폐쇄하여 세척조(100)를 밀폐시킬 수 있고, 개구부(10s)를 개방하여 세척조(100)를 캐비닛(10)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바디(21)와, 도어바디(2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도어(22)와, 도어바디(21)와 하부도어(22)를 연결하는 링크(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바디(21)는, 링크(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바디(21)는, 링크(23)를 회전축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캐비닛(10)의 개구부(10s)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바디(2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0s)를 개방시켰을 때, 세척조(100)의 세척공간(100S)은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하부도어(22)는,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도어(22)는, 도어바디(2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도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23)는, 하부도어(22)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다. 링크(23)는, 도어바디(21)와 하부도어(22)를 연결할 수 있고, 도어바디(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도어(20)는, 하부도어(22)와 링크(23) 없이 단일의 도어바디(2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20)는,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된 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세척공간(100S)을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세척공간(100S)을 밀폐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도어(20)의 상측에 연결되는 컨트롤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식기세척기(1)의 구동정보를 표시하고, 식기세척기(1)의 행정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도어(20)에 연결되어, 도어(2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도어바디(21)와 연결되어 도어바디(2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캐비닛(10)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켰을 때, 세척공간(100S)은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후술할 개폐장치(300)를 동작시키는 버튼(31)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31)은, 후술할 컨트롤러(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26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31)을 눌러 개폐장치(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211)의 청소가 필요할 때, 버튼(31)을 눌러 커버(310)를 이동시켜 배수구(210s)를 개방시키고, 필터(211)가 상승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211)의 청소가 끝난 후, 필터(211)를 섬프(210) 내에 배치시키고, 버튼(31)을 눌러 필터(211)를 하강시키고, 커버(310)를 이동시켜 배수구(210s)가 폐쇄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하여 측방에서 투시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세척조(100)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1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의 하측에는,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동부(200)가 배치된다. 구동부(2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후술할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되는 구동공간(2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상부랙(110)과, 상부랙(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하부랙(12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상부랙(110) 및 하부랙(120)에 안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가 배치될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일 수 있고,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과 나란하게 배치된 두 종류의 프레임이 교차되어 형성된 십자가형상일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도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튜브(Tube)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랙(110)의 하측 또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십자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사암"으로 이름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분사튜브(150)와, 상부랙(110)과 하부랙(120) 사이에 배치된 어퍼분사튜브(160)와, 상부랙(110)의 상측에 배치된 탑분사튜브(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 및 어퍼분사튜브(160)는, "분사암"으로 이름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각각은, 세척펌프(22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구동부(200)로부터 연장된 제 1분사관(130) 및 제 2분사관(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분사관(130)은, 전환밸브(24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어퍼분사튜브(16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분사관(140)은, 전환밸브(24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탑분사튜브(1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제 1분사관(130)과 연결되어, 제 1분사관(13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제 2분사관(140)과 연결되어, 제 2분사관(14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제 1분사관(130) 및 제 2분사관(140)을 각각 구비하지 않고, 단일의 제 2분사관(140)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퍼분사튜브(160)와 탑분사튜브(170)는, 제 2분사관(140)에 각각 연결되어, 제 2분사관(14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환밸브(240)를 통해 제 2분사관(140)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어퍼분사튜브(160)와 탑분사튜브(170)로 각각 분배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전환밸브(240)와 연결되어, 전환밸브(240)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부랙(120)의 하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복수개의 로어분사노즐(15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분사노즐(151)은, 세척공간(100s)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하부랙(120)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분사암)(16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상부랙(110)의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복수개의 어퍼분사노즐(161)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분사노즐(161)은, 세척공간(100s)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상부랙(110) 및 제취장치(300)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로어분사노즐(151)과 어퍼분사노즐(161)은, "분사노즐"로 이름될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세척조(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세척조(100) 내부를 향해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조(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노즐(180)이 배치된다. 스팀분사노즐(180)은 도어(20)에 인접한 세척조(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하부랙(1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구동부(200)의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에서 발생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은, 세척대상,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및 스팀노즐(18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구동공간(200S)은, 세척공간(100S)의 하측에 형성된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세척공간(100S)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210)와, 섬프(210)에 집수된 세척수를 세척조(100)를 향해 압출하는 세척펌프(220)와,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 내에 유동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230)와, 세척펌프(220)로부터 압출된 세척수를 분배하는 전환밸브(240)와, 섬프(210)에 집수된 세척수를 캐비닛(10) 외부로 압출하는 배수펌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210)는, 집수되는 세척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210)는, 외부수원(미도시)과 급수관(2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외부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관(213)에는, 급수관(213) 내의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밸브(214)가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섬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 내부로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220)가 가동되면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세척펌프(220)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 내로 유입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거나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세척펌프(220)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에서 가열된 온수상태의 세척수는, 펌프토출관(234)을 통해 전환밸브(240)로 유입될 수 있다. 전환밸브(240)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암(150), 제 1분배관(130) 및 제 2분배관(140)으로 분배될 수 있다. 전환밸브(240)는,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암(150), 제 1분배관(130) 및 제 2분배관(14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세척펌프(220)에서 가열된 스팀상태의 세척수는, 스팀노즐유입관(183)을 통해 스팀노즐(180)로 유동할 수 있다. 스팀노즐(180)은, 스팀노즐유입관(183)을 통해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254)과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 내부에 집수된 세척수는, 배수펌프(250)에 의해 압출되어, 배수관(254)을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공간(100s)에는, 세척조(10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19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90)는,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섬프(210)의 상측에는, 후술할 배수구(210s)를 개폐하는 커버(310)가 배치된다. 커버(310)는, 배수구(210s)를 개방하여 세척조(100) 내의 세척수를 섬프(210) 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배수구(210s)를 폐쇄하여 세척조(100) 내의 세척수가 섬프(2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후술할 개폐장치(3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모터(331, 341, 351, 361) 및 램프(3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구동공간(200s)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개폐장치(300) 및 컨트롤패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커버(310)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어(20)를 개방하여, 세척공간(100s)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척공간(100s) 내에서 커버(31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내부구조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어(20)는 캐비닛(10)으로부터 회전되어, 개구부(10s)를 개방시킬 수 있다. 세척공간(100s)에는,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랙(12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공간(100s)에는,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50, 160)이 배치된다. 로어분사암(150)은, 세척조(100)의 로어플레이트(101)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101)는, 세척공간(100s)의 하측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배수구(210s)는, 로어플레이트(101)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210s)는, 세척공간(100s)과 섬프(21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분사암(150, 160)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대상을 세척한 뒤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구(210s)는, 로어분사암(150)과 도어(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배수구(210s)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배수구(210s)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배수구(210s)를 개폐시킬 수 있다. 커버(310)는, 로어분사암(150)과 도어(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개폐장치(300)를 상측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개페장치(30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장치(300)는, 배수구(210s)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310)와, 후술할 모터(331, 341, 351)를 지지하는 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310)는, 섬프(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플레이트(10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로어플레이트(101)의 상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31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버(31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배수구(210s)를 개방할 수 있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수구(210s)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310)는, 회전되어 상하방향으로 기립될 수 있다. 커버(310)는 기립되어 배수구(210s)를 완전개방시킬 수 있고, 필터(211)는 인출가능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섬프(21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필터(21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하우징(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212)은 원통형일 수 있고, 상부에 배수구(210s)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공간(100s)에서 배수구(210s)로 유입된 세척수는, 필터하우징(2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11)는, 필터(2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그립(211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211a)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가 완전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립(211a)을 파지하여 필터(211)를 섬프(2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커버(310)는,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램프(312)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312)는, 커버(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312)는, 커버(310)가 배수구(210s)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섬프(210) 내부를 향해 자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램프(312)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빛은, 섬프(210) 내부와 필터(211)를 살균시킬 수 있다.
다만, 램프(312)의 배치위치는 커버(310)의 하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312)는, 섬프(210)의 내측벽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필터(2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램프(312)는, 섬프(210)의 내부공간에 자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장치(300)는, 커버(3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유닛(330)과, 커버(310)를 회전시키는 제 2유닛(340)과, 필터(2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3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닛(330)은, 제 2유닛(340) 및 제 3유닛(35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유닛(340)은, 제 3유닛(35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닛(330)은, 커버(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1)와, 모터(331)와 연결되는 제 1기어(332)와, 커버(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필터하우징(212)의 외측에서 제 1기어(332)와 맞물리는 제 1랙(33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1)는, 블록(3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고,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331)는, 필터하우징(2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31)는, 제 2모터(341) 및 제 3모터(351)와의 구분을 위해 "제 1모터(331)"로 이름될 수 있다.
제 2유닛(340)은, 필터하우징(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모터(341)와, 제 2모터(341)와 연결되는 제 2기어(342)와, 제 2기어(342)와 맞물리고 제 2모터(341)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랙(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모터(341)는, 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모터(341)는, 커버(310)가 회전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유닛(350)은, 필터하우징(2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모터(351)와, 제 3모터(351)와 연결되는 제 3기어(352)(도 11 참조)와, 필터(211)가 안착되고 제 3기어(352)와 맞물리는 서포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모터(351)는, 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3모터(351)는, 필터(2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커버(310)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조 및 이동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6은 커버(310)가 상승되기 전의 제 1유닛(33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커버(310)가 상승된 이후의 제 1유닛(33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 1모터(331)는, 블록(320)에 안착될 수 있다. 제 1모터(331)는, 블록(320)에 고정될 수 있다.
블록(320)은, 섬프(210)의 외측에서 섬프(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21)와, 베이스플레이트(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블록(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모터(331)의 제 1모터축(331a)은, 제 1블록(322)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기어(332)는, 제 1블록(322)을 관통한 제 1모터(331)의 제 1모터축(331a)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 1랙(33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바디(333a)와, 제 1바디(333a)로부터 돌출되고 복수의 톱니(Gear tooth)가 형성된 제 1치합부(333b)와, 제 1바디(333a)를 커버(31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3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바디(333a)와 제 1치합부(333b)와 커넥터(333c)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바디(333a)는, 필터하우징(212)의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치합부(333b)는, 필터하우징(21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기어(332)와 맞물릴 수 있다. 제 1치합부(333b)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톱니(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기어(332)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넥터(333c)는, 제 1랙(330)을 커버(3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3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힌지축(315)은, 커넥터(333c)를 관통할 수 있고, 커넥터(333c)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블록(320)은, 베이스플레이트(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2블록(323) 및 제 3블록(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블록(323)과 제 3블록(324)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랙(333)은, 제 2블록(323)과 제 3블록(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랙(333)은, 제 2블록(323)과 제 3블록(324)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블록(323) 및 제 3블록(324)은, 제 1랙(333)의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고, 제 1랙(33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랙(333)은, 제 2블록(323)과 제 2블록(32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제한받고, 필터하우징(212)의 외벽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고, 제 1기어(332)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제 1모터(331)의 구동에 의해 제 1기어(332)가 회전되면, 제 1랙(333)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랙(333)은, 섬프(210) 상단부(210a)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다. 제 1랙(333)은, 상방으로 이동되어 섬프(2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3s)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333s)는, 제 1랙(333)에서 섬프(210)의 상측에 노출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랙(333)은, 상방으로 이동되어 커버(3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310)는, 제 1랙(333)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섬프상단부(210a)와의 사이에 간격(G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 1랙(3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방으로 이동되어 간격(G1)을 유지할 수 있다. 커버(31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배수구(210s)는 개방될 수 있다. 세척공간(100s)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커버(310)와 섬프상단부(210a) 사이의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커버(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및 이동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8은 커버(310)가 회전되기 전의 제 2유닛(34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9은 커버(310)가 회전된 이후의 제 2유닛(34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 2모터(341)는, 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모터(341)는, 베이스플레이트(321)에 고정될 수 있다.
블록(320)은, 베이스플레이트(3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 4블록(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모터(341)의 제 2모터축(341a)은, 제 4블록(326)을 관통할 수 있다. 제 2기어(342)는, 제 4블록(326)을 관통한 제 2모터축(341a)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 2랙(34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바디(343a)와, 제 2바디(343a)로부터 돌출된 제 2치합부(3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바디(343a)와 제 2치합부(343b)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바디(343a)는, 제 1랙(333)에 함몰된 홈(333d)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바디(343a)는, 홈(333d)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바디(343a)는, 홈(333d) 내에서 제 1랙(333)에 의해 이동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제 2치합부(343b)는, 제 2바디(343a)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톱니(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치합부(343b)는, 제 2기어(342)와 맞물릴 수 있고, 제 2기어(342)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랙(343)은, 제 2랙(343)의 상단부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이동되어 커버(310)와 접촉되는 엣지(343c)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343c)는, 커버(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엣지(343c)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310)의 하면(313)은, 엣지(343c)와 접촉될 수 있고, 엣지(343c)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다. 커버(310)의 하면(313)은, 엣지(343c)와 접촉되는 테두리(313b)와, 테두리(313b)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림부(313a)와, 테두리(313b)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 루프(313c)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312)는 루프(313c)에 배치될 수 있다.
림부(313a)와 테두리(313b)와 루프(313c)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313b)는, 루프(313c)로부터 림부(313a)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테두리(313b)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엣지(343c)와 테두리(313b)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엣지(343c)와 테두리(313b)가 접촉되어 테두리(313b)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질 때, 엣지(343c)와 테두리(313b)의 접촉상태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고, 엣지(343c)와 테두리(313b) 간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치합부(343b)는, 제 2기어(342)의 회전에 의해 제 2바디(343a)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바디(343a)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엣지(343c)는 테두리(313b)와 접촉되어 커버(310)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제 2바디(343a)는, 제 1랙(333)에 형성된 홈(333d)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커넥터(333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커넥팅바디(333c1)와, 커넥팅바디(333c1)로부터 커버(3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 1돌기(333c2)와, 커넥팅바디(333c1)로부터 제 1돌기(333c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돌기(333c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바디(333c1)는 제 1바디(333a)의 상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돌기(333c2)는, 제 1랙(333)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필터(211)와 간섭될 수 있다. 제 1돌기(333c2)는, 제 1랙(333)이 하방으로 이동될 때, 그립(211a)과 간섭되어 제 1랙(333)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310)는, 커버(310)의 하면(313)으로부터 돌출되고 힌지축(315)이 관통되는 힌지돌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돌기(314)는, 테두리(313b)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힌지축(315)은, 힌지돌기(314)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힌지축(315)은, 힌지돌기(31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힌지돌기(314)와 제 2돌기(333c3)는, 힌지축(3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축(315)은, 힌지돌기(314)와 제 2돌기(333c3)를 동시에 관통할 수 있고, 힌지돌기(314)와 제 2돌기(333c3)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커버(310)와 제 1랙(333)은, 힌지축(31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힌지축(315)은, 힌지돌기(314)와 제 2돌기(333c3)를 관통하여, 커버(310)를 제 1랙(3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랙(343)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엣지(343c)는 테두리(313b)와 접촉되고 커버(310)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제 1랙(333)과 힌지축(31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커버(310)는, 제 2랙(343)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짐과 동시에 힌지축(31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필터(211)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 및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10은 개폐장치(300)를 하측에서 바라본 형태이고, 도 11은 고정블록(325)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 3유닛(350)을 투시한 것이고, 도 12는 고정블록(325)이 제거된 상태에서 필터(211)를 들어올려 투시한 것이다.
제 3유닛(350)은, 필터하우징(2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유닛(350)은, 필터하우징(212)의 하단(212a)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블록(320)은, 베이스플레이트(3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필터하우징(212)의 하부를 둘러싸는 고정블록(32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325)은, 필터하우징(212)의 하단(212a)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제 3유닛(350)은, 동력을 제공하는 제 3모터(351)와, 제 3모터(351)와 연결되는 제 3기어(352)와, 필터(212)가 안착되고 제 3기어(352)와 맞물리는 서포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모터(351)는, 필터하우징(2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필터하우징(212)의 하단(212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3유닛(350)은, 제 3모터(350)의 모터축(미도시)이 관통되고 고정블록(325)에 고정되는 지지블록(32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기어(352)는, 제 3모터(351)의 모터축(미도시)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지지블록(325a)은, 제 3모터(351)와 제 3기어(3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53)는, 필터(211)가 안착되는 지지판(353a)과, 지지판(353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 3기어(352)와 맞물리는 제 3랙(353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212)의 하단(212a)은 환형일 수 있고, 지지판(353a)은 원판형일 수 있다. 지지판(353a)은, 필터하우징(212)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3랙(353b)은, 지지판(353a)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랙(353b)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톱니(Gear tooth)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랙(353b)은, 제 3기어(352)와 맞물릴 수 있고, 제 3기어(352)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3모터(351)의 구동에 의해 제 3기어(352)가 회전되면, 제 3기어(352)와 맞물린 서포터(353)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서포터(353)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서포터(353)의 상측에 안착된 필터(21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3모터(351)의 구동에 의해 서포터(353)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필터하우징(212)의 하단(212a)과 간격(G2)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터(353)는, 상기 간격(G2)만큼 필터(211)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페장치(400)를 설명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410)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410)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섬프(210)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400)는, 배수구(210s)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410)와, 섬프(210) 내에 배치되고 배수구(210s)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형성되는 물탱크(420)와, 커버(410)로부터 물탱크(420)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430)를 포함한다.
커버(410)는, 배수구(210s)를 개폐할 수 있고, 섬프(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410)는, 필터(2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10)는 필터(211)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탱크(420)는, 섬프(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필터하우징(2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탱크(420)는, 섬프(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배수구(210s)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420)는, 물탱크(420) 내부와 섬프(2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레인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홀(421)은, 물탱크(420)의 측벽에 개구될 수 있다. 물탱크(42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드레인홀(421)을 통해 물탱크(42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가이드(430)는, 커버(410)와 연결될 수 있고, 커버(4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물탱크(42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다. 가이드(430)의 하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물탱크(42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장치(400)는, 가이드(430)가 관통되는 터널(44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440)은, 섬프(21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터널(440)은, 필터하우징(212)의 내측면으로부터 섬프(2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430)는, 커버(410)로부터 물탱크(420)를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터널(440)을 통과할 수 있다. 터널(440)은, 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가이드(43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물탱크(420)와 가이드(430)와 터널(440)은, 필터하우징(212)과 필터(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11)는, 필터하우징(212)의 내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필터(211)와 필터하우징(212) 사이에는 이격공간(212s)이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420), 가이드(430) 및 터널(440)은, 상기 이격공간(212s)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430)는, 커버(410)에 탈착될 수 있다. 커버(410)는, 가이드(43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개폐장치(400)는, 가이드(430)에 배치되는 제 1결합부재(431)와, 커버(410)에 배치되고 제 1결합부재(431)와 탈착되는 제 2결합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431)는, 가이드(43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4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결합부재(411)는, 커버(4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커버(4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결합부재(431)와 제 2결합부재(411)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다. 제 1결합부재(431)와 제 2결합부재(411)는, 자성에 의해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다만, 제 1결합부재(431)와 제 2결합부재(411)의 결합방식은 자성이 아닌, 후크체결방식이나 스크류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방으로 이동된 커버(410)와 필터(211)를 가이드(430)로부터 분리하여 섬프(2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분사암(150, 160, 170)으로부터 세척조(100) 내부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세척공간(100s) 내의 세척수는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로 유입된다. 섬프(21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섬프(210) 내부에 수위를 형성하고, 일부는 물탱크(420) 내로 유입되어 물탱크(420) 내부에 수위를 형성한다. 물탱크(420) 내부에 위치한 가이드(430)는, 물탱크(420) 내부에 형성된 세척수가 발생시키는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떠오른다. 커버(410)는, 상방으로 이동된 가이드(430)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커버(410)와 일체형인 필터(211) 또한 상방으로 이동된다. 커버(410)는, 가이드(43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로어플레이트(101)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고, 로어플레이트(101)와의 사이에 간격(G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410)가 로어플레이트(101)의 상측에 이격됨으로 인하여, 배수구(210s)는 개방될 수 있고, 세척수는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섬프(21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펌프유입관(219)을 통해 세척펌프(220)로 유입되어 세척조(100) 내부로 재순환된다.
배수펌프(250)가 가동되어 섬프(210) 내의 세척수가 섬프(210) 외부로 빠져나가면, 물탱크(420) 내부의 세척수는 드레인홀(421)을 통해 물탱크(42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물탱크(420) 내부의 수위는 낮아질 수 있고, 물탱크(420) 내부에 형성된 세척수가 발생시키는 부력에 의해 떠오른 가이드(430)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430)와 연결된 커버(410)는, 가이드(430)가 하강함에 따라 가이드(43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커버(41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로어플레이트(101)에 접촉될 수 있고, 배수구(210s)를 폐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분사암(150)이 정렬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5는 로어분사암(150)이 고정되는 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분사암(150)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제 1분사튜브(150a)(도 16참조)와, 세척수가 분사되고 제 1분사튜브(150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분사튜브(150b)(도 16참조)와,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허브(152)와, 허브(152)에 배치되는 스토퍼(153)와, 허브(152)가 수용되는 허브케이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 각각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1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허브(15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고, 허브(152)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토퍼(153)는, 허브(15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스토퍼(153)와 결합되어 분사암(150)을 고정시키는 정렬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모듈(360)은, 동력을 제공하는 제 4모터(361)와, 제 4모터(361)와 연결되는 제 4기어(362)와, 제 4기어(362)와 맞물리고 허브(152)를 향해 연장되는 제 4랙(363)과, 제 4랙(363)에 배치되고 스토퍼(153)와 결합되는 홀더(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모터(361)와 제 4기어(362)는, 허브케이스(15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랙(363)은, 허브케이스(154)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4모터(361)는, 허브케이스(154)에 고정될 수 있다.
제 4모터(361)가 가동되어 제 4기어(362)가 도 1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4랙(363)은 허브(152)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홀더(364)는, 제 4랙(363)과 함께 허브(152)를 향하여 이동되어 스토퍼(153)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암(150)은, 홀더(364)와 스토퍼(153)의 결합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 4모터(361)가 가동되어 제 4기어(362)가 도 1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4랙(363)은 허브(1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홀더(364)는, 제 4랙(363)과 함께 허브(1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토퍼(153)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홀더(364)와 스토퍼(153)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다. 홀더(364)와 스토퍼(153)는, 자성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다만, 홀더(364)와 스토퍼(153)의 결합방식은 자성이 아닌, 후크체결방식이나 스크류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개폐장치(300, 400)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개폐장치(300, 400)는 도 16에 도시된 (a), (b), (c), (d)의 순서로 작동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동작상태를 (a)상태, (b)상태, (c)상태, (d)상태로 이름한다.
(a)상태는, 커버(310)가 개방되기 전에 분사암(150)이 정렬되는 상태일 수 있다. (a)상태에서 도어(20)는 회전되어 개구부(10s)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는 십자가형일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의 사이에는 공간(150s)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는 사이각(A)을 형성할 수 있고, 공간(150s)은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 사이에서 사이각(A)만큼 벌어진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 1분사튜브(150a)와 제 2분사튜브(150b) 사이의 공간(150s)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커버(31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커버(310)와 분사암(150)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다.
제 4모터(361)는, 커버(310)가 개방되기 전에 구동되어, 홀더(364)를 스토퍼(153)와 결합시킴으로써, 분사암(150)이 형성하는 공간(150s)에 커버(310)가 위치되도록 분사암(150)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홀더(364)와 스토퍼(153)가 결합되는 위치는, 커버(310)가 분사암(150)이 형성하는 공간(150s)에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b)상태는, 커버(31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배수구(210s)를 개방하는 상태일 수 있다. (b)상태에서 커버(31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로어플레이트(101)와의 사이에 간격(G1)을 형성할 수 있다.
(b)상태에서 제 1모터(331)가 구동되어 커버(3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c)상태는, 커버(310)가 회전되어 배수구(210s)를 완전개방하는 상태일 수 있다. (c)상태에서 커버(310)는 B방향으로 회전되어 필터(211)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c)상태에서 제 2모터(341)가 구동되어 커버(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d)상태는, 필터(211)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인출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상태일 수 있다. (d)상태에서 필터(211)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로어플레이트(101)와의 사이에 간격(G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램프(312)는 오프(Off)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d)상태에서 필터(211)를 인출하여, 필터(211)를 청소할 수 있다. 필터(211)의 청소가 종료된 이후, 사용자는 필터(211)를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에 배치시킨 뒤, 버튼(31)을 눌러 배수구(210s)가 폐쇄되도록 개폐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도 17은, 식기세척기(1)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식기세척기(1)의 작동과정은, 세척조(10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행정(S100)과, 섬프(210) 내부에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살균행정(S200)과, 컨트롤패널(3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단계(S300)와, 필터(211)가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개폐장치(300)가 제어되는 인출행정(S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행정(S100)은, 분사암(150, 160, 170)으로부터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과정일 수 있다.
세척행정(S100)은, 세척펌프(220)가 구동되어 분사암(150, 160, 170)으로 세척수가 분배되는 세척행정시작단계(S110)와, 개폐장치(300)의 구동에 의해 커버(310)가 상승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행정(S100) 중에, 세척공간(100s) 내에는 분사암(150, 160, 170)으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고, 커버(310)는 상승되어 배수구(210s)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세척행정(S100) 중에 커버(310)가 상승되도록 제 1모터(331)를 제어할 수 있다.
세척행정(S100) 중에, 세척공간(100s)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배수구(210s)를 통해 섬프(210) 내로 유입되어 세척펌프(22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살균행정(S200)은, 세척행정(S1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살균행정(S200)은, 세척수의 분사가 중지되는 세척행정종료단계(S210)와, 섬프(210) 내로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세척펌프(220)의 구동을 중지시켜 세척행정(S100)을 종료시킬 수 있다. 세척행정(S100)이 종료되면, 분사암(150, 160, 170)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가 중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세척행정(S100)이 종료되면 커버(310)가 하강되도록 제 1모터(331)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도어(20)가 개구부(10s)를 개방시킬 때, 커버(310)가 하강되도록 제 1모터(331)를 제어할 수 있다. 커버(310)는 하강되어 배수구(210s)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섬프(210)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이물질이 세척조(100)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세척행정(S100)이 종료되면 램프(312)를 온(On)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램프(312)를 통해 자외선 빛이 조사되도록 램프(312)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312)는, 섬프(210) 내부로 자외선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섬프(210) 내부공간 및 필터(211)를 살균시킬 수 있다. 이 때, 커버(310)가 배수구(210s)를 폐쇄한 상태이므로, 램프(312)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빛은 세척조(100) 내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척행정(S100)이 종료되었을 때, 도어(20)는 회전되어 개구부(10s)를 개방시킬 수 있고, 커버(310)는 램프(312)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빛이 개구부(10s)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수구(210s)를 차폐시킬 수 있다.
신호감지단계(S300)에서 컨트롤러(260)는, 버튼(31)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30)에 구비된 버튼(31)을 눌러 필터(211) 청소가 요구된다는 신호를 컨트롤러(260)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감지단계(S300)에서 상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컨트롤러(260)는, 살균행정(S200)이 지속되도록 개폐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감지단계(S300)에서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260)는, 인출행정(S400)이 진행되도록 개폐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출행정(S400)은, 분사암(150)이 정렬되는 단계(S410)와, 커버(310)가 상승되는 단계(S420)와, 커버(310)가 회전되는 단계(S430)와, 필터(211)가 상승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행정(S400)이 개시될 때,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개구부(10s)는 오픈(Open)된 상태일 수 있다.
인출행정(S400)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60)는, 커버(310)가 분사암(150)이 형성하는 공간(150s)에 위치되도록 제 4모터(361)를 제어할 수 있다(S410). 인출행정(S400)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60)는, 홀더(364)가 스토퍼(153)와 결합되도록 제 4모터(361)를 제어할 수 있다.
인출행정(S400)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60)는, 램프(312)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S420). 인출행정(S400)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60)는, 램프(312)를 통해 자외선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램프(312)를 제어할 수 있다(S420).
인출행정(S400)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60)는, 커버(310)가 상승되도록 제 1모터(331)를 제어할 수 있다(S420).
커버(310)가 상승된 이후, 컨트롤러(260)는, 커버(310)가 회전되도록 제 2모터(341)를 제어할 수 있다(S430).
커버(310)가 회전되어 배수구(210s)를 완전개방한 이후, 컨트롤러(260)는, 필터(211)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제 3모터(351)를 제어할 수 있다(S440).
컨트롤러(260)는, 도어(10)가 개구부(10s)를 개방하고 커버(310)가 배수구(210s)를 폐쇄했을 때는 자외선 빛이 섬프(210) 내로 조사되도록 램프(31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도어(10)가 개구부(10s)를 개방하고 커버(310)가 배수구(210s)를 개방했을 때는 자외선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램프(312)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방으로 이동된 필터(211)를 캐비닛(10) 외부로 인출하여 필터(211)를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211)의 청소가 종료된 이후, 필터(211)를 섬프(210) 내에 배치시키고 버튼(31)을 눌러 개폐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211)를 섬프(210) 내에 배치시키고 버튼(31)을 누르면, 컨트롤러(260)는, 필터(211)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제 3모터(351)를 제어한 뒤, 커버(310)가 섬프(210)를 향하여 회전되도록 제 2모터(341)를 제어한 뒤, 커버(310)가 하강하여 배수구(210s)를 폐쇄하도록 제 1모터(331)를 제어한 뒤, 램프(312)로부터 자외선 빛이 조사되도록 램프(3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0: 캐비닛 20: 도어
30: 컨트롤패널 100: 세척조
150: 분사암 200: 구동부
210: 섬프 211: 필터
220: 세척펌프 300: 개폐장치
310: 커버 320: 블록
330: 제 1유닛 331: 제 1모터
340: 제 2유닛 341: 제 2모터
350: 제 3유닛 351: 제 3모터
360: 정렬모듈 361: 제 4모터

Claims (17)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
    상기 배수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배수구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제 1기어; 및
    상기 커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 1기어와 맞물리는 제 1랙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모터;
    상기 제 2모터와 연결되는 제 2기어;
    상기 제 2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랙; 및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랙은,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테두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식기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접촉되는 상기 제 2랙의 상단부는,
    상기 커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식기세척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랙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랙이 관통되는 홈이 형성된 식기세척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모터;
    상기 제 3모터와 연결되는 제 3기어; 및
    상기 필터가 안착되고, 상기 제 3기어와 맞물리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기어와 맞물리는 제 3랙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튜브;
    상기 분사튜브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튜브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4모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필터를 향해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모터;
    상기 필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3모터;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 빛을 조사하는 램프; 및
    상기 모터, 제 2모터, 제 3모터 및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커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구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제 2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제 2모터의 구동이 중지된 이후 상기 제 3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 제 2모터 및 제 3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수용되고,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필터하우징; 및
    상기 필터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제 2모터와 상기 제 3모터를 지지하는 블록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사암으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상기 제 1랙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가 수용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 1랙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 1랙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커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 2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필터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3모터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했을 때, 자외선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하고,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었을 때, 자외선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제 1분사튜브;
    세척수가 분사되고 상기 제 1분사튜브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분사튜브;
    상기 제 1분사튜브와 상기 제 2분사튜브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어 상기 분사암을 고정시키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4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패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홀더가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4모터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16.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가 통과되는 필터;
    상기 배수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섬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위가 형성되는 물탱크; 및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물탱크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의 내측벽에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가 관통되는 터널;
    상기 가이드에 배치되는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결합부재와 탈착되는 제 2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065363A 2021-05-21 2021-05-21 식기세척기 KR20220157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63A KR20220157618A (ko) 2021-05-21 2021-05-21 식기세척기
PCT/KR2022/006673 WO2022245036A1 (ko) 2021-05-21 2022-05-1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63A KR20220157618A (ko) 2021-05-21 2021-05-2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18A true KR20220157618A (ko) 2022-11-29

Family

ID=8414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363A KR20220157618A (ko) 2021-05-21 2021-05-2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57618A (ko)
WO (1) WO202224503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289U (ko) 2007-08-01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876A (ja) * 1993-06-11 1994-12-22 Shinkawa Ltd ワイヤボンデイング方法及び装置
KR950024482U (ko) * 1994-02-17 1995-09-13 식기세척기의 필터커버 자동개폐장치
KR100635633B1 (ko) * 2004-10-08 2006-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식기세척기
KR20110037807A (ko) * 2009-10-07 2011-04-13 신해 우수량 증감에 따른 그레이팅 안전 커버 자동개폐장치
KR20190002308U (ko) * 2018-03-08 2019-09-18 (주)테바 싱크대용 배수캡
KR102659836B1 (ko) * 2018-11-30 2024-04-24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289U (ko) 2007-08-01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5036A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562B2 (en)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ES2312681T3 (es) Sistema de control de llenado para un lavavajillas integrado en fregadero.
US20050229652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US7520283B2 (en) Water level senso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20190360142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8342Y1 (ko) 젖병 세척기
US7694689B2 (en) Dish washer and sump mounting structure thereof
US20050028850A1 (en) Dish washing machine
KR20220157618A (ko) 식기세척기
KR100413125B1 (ko) 젖병장치용 세척기
US20060060223A1 (en) Dishwasher
KR200239277Y1 (ko) 젖병장치용 세척기
JPH10180212A (ja) 噴射式洗浄機
KR100413124B1 (ko) 젖병장치용 세척기
KR20210149490A (ko) 식기세척기
KR100450977B1 (ko) 젖병세척기
JP2949170B2 (ja) 食器洗浄装置
JP2001252234A (ja) 食器洗浄機
JP7126151B2 (ja) 靴洗浄装置
KR20030022463A (ko) 젖병세정장치
KR0129480B1 (ko) 자동 쌀세척기
JPH0938602A (ja) 洗浄機
US20060054197A1 (en) Dishwasher
JP7281626B2 (ja) 洗濯機
KR102120787B1 (ko) 언더 커버형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