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9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90A
KR20210149490A KR1020200066601A KR20200066601A KR20210149490A KR 20210149490 A KR20210149490 A KR 20210149490A KR 1020200066601 A KR1020200066601 A KR 1020200066601A KR 20200066601 A KR20200066601 A KR 20200066601A KR 20210149490 A KR20210149490 A KR 2021014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uide
sump
sterilization uni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황규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490A/ko
Publication of KR2021014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바닥을 형성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에 분사된 세척수를 집수시키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며, 상기 섬프를 향해 자외선(UV)을 조사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의 표면에 묻어 있는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터브의 내부에 식기를 안착시키는 선반 및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조작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세척실에 식기를 수납 또는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는 상기 분사노즐에서 상기 선반에 안착된 식기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오물을 제거하고 청결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예비세척, 본세척, 헹굼, 가열헹굼 및 건조로 이루어지는 코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세척 행정에서는 세제가 투입되고, 히터를 통한 세척이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은 상기 터브 내의 공간에서 세제를 섞은 세척수가 세척펌프를 통해 순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의 코스 동작 이후, 상기 식기세척기는 섬프 등에 잔수가 남을 수 있다. 상기 잔수에는 오염 물질 등으로 인하여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식기 및/또는 세척조로도 번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식기세척기는 살균 동작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식기세척기는 필터를 살균하기 위해 별도의 반사판을 설치하여 필터로 빛이 조사되도록 제공되거나, 도어의 내측에 살균장치를 설치하여 식기를 향해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식기세척기의 살균 동작은 식기 및/또는 세척조에 집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세균 번식이 시작될 수 있는 섬프 등의 잔수에 대한 살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DE 102017112460 A1 JP 2008036232 A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잔수를 살균하기 위해 섬프(또는 저수조)에 UV(Ultraviolet rays) LED(Light-Emitting Diode)가 효율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V LED 등을 포함하는 살균유닛이 섬프(또는 저수조)에 잔수의 누설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와, 상기 살균유닛이 효과적으로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가 제안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V LED의 광원으로부터 잔수에 직접 빛이 조사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유닛이 설치될 때 방향성에 대한 오조립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한 살균유닛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바닥을 형성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에 분사된 세척수를 집수시키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며, 상기 섬프를 향해 자외선(UV)을 조사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느 후방벽; 및 상기 전방벽의 하단과 상기 후방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는, 상기 전방벽, 상기 후방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후방벽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섬프와 연통되며,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라인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배수공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는, 상기 전방벽의 일 측단과 상기 후방벽의 일 측단을 연결하는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상하 방향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필터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이드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가이드; 및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2 가이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벽에서 상기 제 1 가이드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선과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 2 가이드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 2 선은 수직으료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살균유닛이 결합되는 유닛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설치부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사개구; 및 상기 후방벽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사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선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선홈은, 상기 살균유닛의 UV LED의 탈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UV광원이 구비되는 UV LED;
상기 UV LED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 및 윈도우가 고정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섬프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섬프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공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UV LED가 사선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UV 광원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섬프로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광원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홀은 상기 고정리브가 규정하는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섬프로 블루 라이트를 조사하는 블루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며, 중심부를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수플레이트; 상기 집수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집수홀을 형성하는 집수리브; 상기 집수리브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가이드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삽입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프레임은, 배수공으로 곧장 연통되는 필터의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필터의 절개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함몰부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의 절개부의 외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필터가이드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집수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필터어셈블리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셩시키는 히터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상기 히터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히터설치공간과 상기 섬프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잔수에 조사되는 빛의 영역이 최적화되므로, 살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UV LED의 형상을 이용한 설치 구조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UV LED가 포함된 살균유닛이 섬프를 규정하는 후방벽에 고정 및 체결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또한, UV LED를 고정하는 케이스의 고정리브가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살균유닛의 오조립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가 살균유닛을 설치할 때 또는 살균유닛을 조립할 때, 설치 방향이 사용자에게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필터어셈블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가이드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에 살균유닛이 설치되기 때문에, 잔수가 남을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오염물질이 존재할 확률이 높은 공간으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잔수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보다 넓게 커버할 수 있으므로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살균유닛이 섬프(또는 저수조)를 형성하는 벽의 개구에 설치될 때, 작동 중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를 실링(sealing)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UV LED의 광원으로부터 잔수에 직접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살균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기존 베이스판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하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실의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살균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살균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의 조립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결합된 살균유닛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프에 잔수가 있는 경우 살균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영역(또는 살균 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의 설치 위치에 따른 살균성능을 비교한 실험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하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실의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살균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11)을 형성하는 터브(10) 및 상기 터브(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10)는 내부에 세척실(1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척실(11)은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세척실(11)에는 식기 등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또는 랙)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미도시)은 식기 등이 안착된 상태로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선반은 소정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브(11)의 내면에는 상기 선반이 상기 도어(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상기 레일에 지지되는 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의 외면은 식기세척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BOX)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터브(10)는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내부 공간(또는 세척실)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세척실(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스위치(23, 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 24)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push)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3,24)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sens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위치(23,24)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전원이나, 상기 식기세척기(1)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 버튼(23)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스위치(23,24)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버튼(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서로 구분되는 한 쌍의 도어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20)는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상부도어(21) 및 하부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는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터브(10)로부터 각각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20)의 닫힘 상태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상기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세척실(11)은 상기 도어(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세척수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21)는 상단 모서리에 회전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단 모서리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도어(22)는 하단 모서리에 전 심이 위치하도록 상단 모서리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가 회전하면서, 상기 터브(1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세척실(1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세척실(1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세척실(11)의 선반으로 식기를 투입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1)는 상기 터브(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판(20), 상기 베이스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실(1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30, 또는 세척 날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0)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미도시),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킬 수 있는 히터어셈블리(40), 세척수를 여과(“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50) 및 상기 베이스판(20)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살균하는 살균유닛(100)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20)은 상기 세척실(11)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0)은 상기 터브(10)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판(20)는 터브(1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또는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펌프 등 각 구성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박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30)은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암(30)은 세척실(11)로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다수 개의 노즐(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노즐(31)은 상기 분사암(3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노즐(31)은 세척수를 상방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선반에 수납된 각종 세척대상에 세척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암(30)은 반경 방향을 향하여 곡선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분사암(30)의 회전을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노즐(31)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30)은 상기 공급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유로(23)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판(20)에는 세척수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급유로(23,25,26) 및 상기 공급유로(23,25,26)를 커버하는 워터가이드(3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가이드(35,36)와 상기 공급유로(23,25,26)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급유로(23,25,26)는, 급수원과 연결된 상기 공급펌프(미도시)에 의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23), 상기 유입유로(23)로부터 세척실(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분사암(30)으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하부 공급유로(25), 상기 공급유로(23)로부터 세척실(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미도시)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상부 공급유로(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23)에는 세척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미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가 상기 베이스판(2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급유로(25)는 상기 유입유로(2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분사암(30)이 구비된 경우, 각 분사암(30)의 위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급유로(26)는 상기 유입유로(2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터브(10)의 후방부로 세척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유로(23)에는 하부 공급유로(25) 또는 상기 상부 공급유로(26)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전환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세척실(11)에 분사된 세척수가 후술할 섬프(201)로 유동할 때, 상기 세척수의 재순환을 위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상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판(20)은 상기 세척수의 재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6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가 형성하는 둘레 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섬프(201)의 바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순환유로부(60)는 배수관(미도시)이 결합되는 배수라인 설치부(250)의 일 측 방향으로 이격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부(60)와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6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를 거쳐 필터링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를 통과하여 상기 순환유로부(60)로 유입된 세척수는 다시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공급유로(23)로 유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척수는 세척 후 깨끗하게 필터링되어 다시 세척 대상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60)는 상기 필터링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순환유로공간(65) 및 이를 커버하는 타공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공간(65)은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공간이며,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필터(55)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공간(65)은 섬프(201)와 공간이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유로공간(65)은 상기 섬프(20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공간(65)은 후술할 살균유닛(100)의 설치 위치와 구획되는 함몰부(20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60)는 섬프(201)로 집수된 세척수의 오염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순환유로공간(65)에 위치하여, 세척수의 탁도 등을 포함한 오염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40)는 세척수를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스팀은 세척실(11)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0)은 섬프(20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이물질이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라인설치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는 상기 섬프(201)와 연통하는 배수공(25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수공(255)은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의 하단에 형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공(255)과 상기 순환유로공간(65)의 사이에는 필터어셈블리(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는 상기 배수공(255)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미도시)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0)은 히터어셈블리(40) 및 필터어셈블리(50)가 설치되는 함몰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함몰부(2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터브(10)의 바닥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하부도어(2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베이스판(20)의 전방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가 형성하는 공간은,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201) 및 상기 히터어셈블리(40)가 설치되는 히터설치공간(2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섬프(201)는 상기 순환유로(65)와 맞닿는 함몰부(20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히터설치공간(202)은 상기 섬프(201)와 맞닿은 함몰부(200)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프(201)는 세척수를 집수, 회수 또는 저장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201)는 상기 히터설치공간(202) 보다 하방으로 더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섬프(201)의 바닥은 상기 히터설치공간(202)의 바닥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섬프(201)를 형성하는 후방벽(210), 전방벽(220) 및 바닥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벽(220)과 상기 후방벽(21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벽(220)과 상기 후방벽(210)은,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벽(220)과 상기 후방벽(210)은 상기 섬프(201)를 형성하기 위해 평평한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벽(230)은 상기 전방벽(220)과 상기 후방벽(2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벽(220)의 하단과 상기 후방벽(21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벽(230)은 평평한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벽(230)은 상기 히터설치공간(202)의 바닥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설치공간(202)의 바닥은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섬프(201)는 상기 함몰부(200)의 최하단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벽(230)의 전단과 후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전방벽(220) 및 후방벽(21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벽(210), 전방벽(220) 및 바닥벽(230)은, 내부 공간인 섬프(201)가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BOX)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섬프(201)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후방벽(210)에 형성되는 유닛설치부(215)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201)를 규정하는 일 측면에는 상기 순환유로(65)와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일 측면은 상기 후방벽(210)의 일 측단과 상기 전방벽(220)의 일 측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순환유로(65)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와 상기 순환유로(65) 사이에는 필터어셈블리(50)가 위치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섬프(201)를 규정하는 타 측면은 상기 일 측면과 마주보도록 양측 방향으로 이격 위치하며, 상기 타 측면에는 상기 히터설치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살균유닛(100)이 설치되는 유닛설치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설치부(215)는 상기 후방벽(2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닛설치부(215)는 후술할 제 1 가이드(241)와 제 2 가이드(242)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벽(210)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후방벽(210)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벽(210)에 위치된 살규유닛(100)은, 전방벽(220)에 설치된 경우 보다 구조적 간섭, 예를 들어, 필터어셈블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 등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영역(즉, UV 조사 영역)이 넓어지며, 살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벽(210)에 위치된 살규유닛(100)은, 바닥벽(230)에 설치된 경우 보다, 상기 살균유닛(100)이 잔수에 잠긴 상태에서 빛을 조사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막(Bio Film) 생성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살균 영역(즉, UV 조사 영역)이 넓어지며, 살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닛설치부(215)는 상기 살균유닛(100)에 삽입되도록 상기 후방벽(210)을 전후 방향을 개방시키는 조사개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개구(216)로 후술할 살균유닛(100)의 윈도우(120)가 상기 섬프(201)로 노출되며, 따라서 잔수에 UV LED 또는 Blue LED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00)는 필터어셈블리(5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필터가이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가이드(24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탈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이드(240)는, 필터어셈블리(50)의 내부공간(50a)으로 유입된 세척수에 잔존하는 미세한 이물질이 다시 공급유로(23,25,26)로 순환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경계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잔수가 집수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살균유닛(100)이 최적의 살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설치 위치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필터가이드(24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상하 방향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241)와 제 2 가이드(242),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부를 삽입시키는 제 3 가이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삽입 또는 분리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241)는 상기 후방벽(210) 및 상기 바닥벽(230)이 만나는 일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이드(241)는 상기 후방벽(210)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 1 가이드(241)는 상기 후방벽(2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이드(241)는 상기 후방벽(21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또는 순환유로부(60)가 형성되는 일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일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바닥벽(230) 및 상기 섬프(201)를 규정하는 일 측면이 만나는 일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일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와 상기 순환유로부(60)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와 상기 순환유로부(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유로부(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상기 제 2 가이드(242)의 사이로 규정되는 함몰부(200)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필터가이드(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염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경계 영역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벽(2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다 세균이 번식하기 유리한 환경 또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유닛(100)의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또 달리 표현하면,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배수공(255)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유닛(100)는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가 형성되는 상기 함몰부(200)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배수 동작 이후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의 주위에는 잔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살균 영역이 보다 효율적이고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100)은 상기 배수공(255)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살균유닛(100)은 잔수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잔수의 수위 보다 낮은 위치에서 잔수로 빛을 바로 조사하는 경우 보다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잔수의 수위 보다 낮은 위치에서 곧장 잔수로 빛을 조사한다면, 생물막(Bio Film)이 생성되어 살균 성능을 저감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241) 및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241) 및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벽(210)에서 상기 제 1 가이드(241)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선과 상기 섬프(201)를 규정하는 일 측면에서 상기 제 2 가이드(242)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의 제 2 선은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상기 제 2 가이드(242)는, 상기 섬프(201)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 1 사분면에 살균유닛(100)과 배수라인 설치부(25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제 1 가이드(24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242)의 하단까지 바깥 방향으로 호를 그리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바닥벽(23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함몰 공간이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가 원주 방향을 따라 약 270°만큼 연장되고, 나머지 90°만큼 절개 형성되면,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각도만큼 연장 또는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절개 각도는 후술할 필터(55)가 형성되는 둘레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가이드(243)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와 형합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 모서리는 후술할 제 3 삽입프레임(530)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섬프(201) 내로 회수될 때, 상기 세척수에는 세척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섬프(13) 내로 회수되는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섬프(201)에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필터가이드(240)에 의해 상기 섬프(201)에 상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섬프(201)의 상부를 커버하는 집수플레이트(51),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어 회수되는 세척수를 섬프(201)로 낙하시키는 집수홀(53), 상기 집수홀(53)을 형성하는 집수리브(52)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50)를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손잡이(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플레이트(51)는 중심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중심부에 집수리브(52)와 복수 개의 집수홀(53)이 형성되기 때문에 세척수를 용이하게 섬프(201)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집수플레이트(51)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플레이트(51)는 상기 섬프(20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즉, 함몰부(200)의 상면을 커버하는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어셈블리(40)의 상면과 상기 집수플레이트(51)는 상기 함몰부(200)에 끼워져 개방된 함몰부(20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집수플레이트(51)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통공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플레이트(51)로 떨어진 세척수 및 이물질은, 집수리브(52)를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따라 집수홀(53)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일부 세척수는 상기 다수 개의 통공을 통해 곧장 섬프(201)로 낙하할 수 있다.
즉,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 또는 잔여물은 상기 통공을 통해 직하방에 위치하는 섬프(201)로 빠지는 것이 아니라, 집수홀(53)로 향하게 되고, 상기 다수 개의 통공에는 매우 작은 직경을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세척수만이 섬프(201)로 집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4)는 사용자 편의와 세척물의 세척에 구조적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20)의 전단과 맞닿는 집수플레이트(51)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리브(52)는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집수홀(5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집수리브(52)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리브(52)는 상기 복수 개의 집수홀(53)이 형성되도록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집수홀(53)은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개방 공간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집수홀(53)은 개방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크기가 상이한 이물질은 복수 개의 홀을 통과하면서 차례로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상기 집수리브(52)의 외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필터프레임(56), 상기 상부필터프레임(56)의 하단 일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필터프레임(57), 상기 필터프레임(57)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530, 제 3 삽입프레임) 및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5)는 상기 상부필터프레임(56)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필터프레임(57)에 의해 양측 또는 원주 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하부프레임(53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55)를 지지하는 상부필터프레임(56), 필터프레임(57) 및 하부프레임(530)은,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5)는 상기 원기둥의 둘레면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55)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55)는 메쉬(mesh)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5)는 어느 두 필터프레임(57)의 사이가 개방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내부공간(50a)을 둘러쌀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느 두 필터프레임(57)의 사이는, 약 9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어느 두 필터프레임(57)의 사이에 개방된 둘레 면을 “필터의 절개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의 절개부는 필터(55)의 중심축으로부터 내각이 예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5)는 상기 필터의 절개부의 외각을 따라 호를 그리도록 연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절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결합 또는 맞닿는 제 1 삽입프레임(510)과, 상기 제 2 가이드(242)와 결합 또는 맞닿는 제 2 삽입프레임(5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프레임(510)은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삽입프레임(520)은 상기 제 2 가이드(242)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삽입프레임(510)은 어느 일 필터프레임(57)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삽입프레임(520)은 어느 타 필터프레임(57)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프레임(510)의 상단에서는 상기 제 1 가이드(241)가 삽입되는 제 1 끼움부(515)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삽입프레임(520)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가이드(242)가 삽입되는 제 2 끼움부(5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끼움부(515) 및 상기 제 2 끼움부(525)는, 상기 제 1 가이드(241)와 상기 제 2 가이드(242)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끼움부(51) 및 상기 제 2 끼움부(52)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필터어셈블리(50)의 설치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방으로 단부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끼움부(515)의 상단(516)은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끼움부(525)의 상단(526)은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2 끼움부의 상단(516,526) 위치로 상기 필터어셈블리(50)를 정렬하여 상기 제 1 가이드(241) 및 상기 제 2 가이드(242)에 상기 제 1 삽입프레임(510) 및 상기 제 2 삽입프레임(520)이 삽입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어셈블리(50)의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530)은 상기 제 3 가이드(243)에 하단이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530)은 제 3 삽입프레임(530)이라 이름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50)가 상기 섬프(13)에 설치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단은 상기 섬프(202)의 바닥벽(23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내부공간(50a)이 상기 배수공(255)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상기 필러터엠블리(5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공간에 의해, 상기 필터(55)의 내부 공간(50a)과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사이에는, 별도의 구성이 없이 곧장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65)와 상기 배수라인설치부(250)의 사이에 필터(55)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살균유닛(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살균유닛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의 조립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결합된 살균유닛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닛설치부(215)는 조사개구(216)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단차지게 확장 형성되는 오링홈(217), 상기 후방벽(210)의 배면(211)에서 사선 방향으로 단차지게 함몰되는 사선홈(218) 및 상기 살균유닛(100)과 체결을 가이드하는 체결가이드(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선홈(218)은, 후방벽(210)의 배면(211)을 기준으로, 제 1 거리만큼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선홈(218)은 후술할 UV LED의 올바른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UV LED가 상기 사선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선홈(218)은 상기 조사개구(216)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폭은 후술할 분리면(111)의 폭과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사선홈(218)은 상기 유닛설치부(215)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제 1 사분면에 위치하는 후방벽의 배면(211)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공간에는 후술할 분리면(111)이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정리브(115)가 끼워질 수 있다.
또 달리 표현하면, 상기 사선홈(218)은 상기 유닛설치부(215)의 호(arc)의 일 부분이 사선지게 바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선홈(218)은 유닛설치부(215)의 중심 점을 지나는 수평선으로부터 예각을 가지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달리 표현하면, 상기 사선홈(218)은, 체결부(112)의 돌출 방향과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부케이스(110)의 원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오링홈(217)은,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전방으로 함몰되고 조사개구(216)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홈(217)에는 후술할 오링(150)이 위치하여, 상기 조사개구(216)에 의해 살균유닛(100)이 설치되는 틈을 누설이 없도록 실링(Sealing) 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219)는 상기 배면(211)으로부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사개구(2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직선 상에 대칭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219)는 후술할 내부케이스(110)의 체결부(112)와 형합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유닛(100)은, 살균을 위한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광원(106)이 구비된 UV LED(105), 블루(Blue) 라이트를 조사할 수 있는 블루 LED(107), 상기 UV LED(105)와 상기 블루 LED(107)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110),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외부케이스(140), 상기 외부케이스(140)에 끼워지는 오링(150),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윈도우(120) 및 상기 윈도우(120)의 외둘레가 끼워지도록 둘러싸며, 상기 윈도우(120)를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40)에 고정시키는 가스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50)는 모자 형상 또는 원반 형상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50)는 중심부의 내면에 가스켓(130)이 끼워지는 가스켓삽입홈(14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삽입홈(143)은 상기 윈도우(120)가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120)를 둘러싸도록 결합시킨 가스켓(130)은 상기 가스켓삽입홈(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40)의 전면 중심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40)는 전방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링가이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링가이드(145)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오링(145)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링(150)은 상기 오링가이드(145)를 둘러싸도록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링은 상기 유닛설치부(215)의 오림홈(217)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링(150)은 고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20)는 자외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석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윈도우(120)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스켓(130)은 고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기 가스켓(130) 및 윈도우(1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둘레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가이드(219)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1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2)의 전면은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체결가이드(219)가 삽입되는 홈(219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12) 및 상기 체결가이드(219)는 공통의 축을 따라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상기 UV LED(105)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고정리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15)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리브(115)는 사각형의 3개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15)는 상기 UV LED(105)가 사선 방향으로 고정 또는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리브(115)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후면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사선 방향으로 두 개의 장변이 형성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고정리브(115)는 상기 사선홈(218)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리브(115)의 양 측벽 또는 두 개의 장변은 상기 사선홈(218)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UV LED(105)는 고정리브(11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장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은 고정리브(115)의 단변이 되며, 상기 단변은 1개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115)는 사각 형상의 함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 공간에 삽입된 상기 UV LED(105)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115)는 상기 UV LED를 수용하고, 사용자에게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사선홈(218)에 안착 또는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UV LED(105)를 상기 고정리브(115)에 결합시킬 때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유닛(100)을 상기 유닛설치부(215)에 설치할 때, 올바른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중심 점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상기 UV LED(105)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리브(115)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형성되는 고정돌기(1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15a)는, 상기 사선홈(218)에 안착되는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15)의 단변에 대응하는 반대편 단변은,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UV LED의 접촉 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선홈(218)에 안착되는 위치로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단변에는 고정리브(115)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사선홈(218)으로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UV LED(105)를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15a)로부터 상기 사선홈(218)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후면을 분리면(111)이라 이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분리면(111)으로 손 끝을 접근시켜 상기 UV LED(105)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15)에 의해 규정되는 UV LED(105) 결합 공간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광원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홀(113)은 상기 UV LED(105)의 UV 광원(106)이 노출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V 광원(106)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윈도우(120)를 투과하여 상기 섬프(201)에 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상기 블루 LED(107)의 광원이 상기 윈도우(120)를 통해 노출되도록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상기 고정리브(115)의 후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후크(116,116a,11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116,116a,116b)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116,116a,116b)는 상기 UV LED(105)의 후단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원홀(113)에 UV 광원(106)이 위치하도록 UV LED(105)를 상기 고정리브(115)로 삽입할 때, 전방으로 그대로 끼움 결합하여 안정적어로 UV LED(10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는 상기 블루 LED(107)를 고정시키는 고정기둥(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둥(117)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후방으로 연장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117)의 내부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기둥(117)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척수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한 후 재순환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세척수가 순환하기 위해, 공급펌프(미도시)가 구동되고, 배수펌프(미도시)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즉, 세척수의 순환을 위해서는, 공급펌프만 구동되어야 한다.
세척실(11)에서 떨어지는 세척수는, 상기 함몰부(200)로 모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면은 상기 함몰부(200)를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어셈블리(40)의 상면에 떨어지는 세척수도 상기 집수플레이트(51)를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어셈블리(40)의 상면에는 세척수가 상기 필터어셈블리(50)로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타공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로 유동한 세척수 중 일부는, 상기 집수플레이트(51)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섬프(201)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플레이트(51)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홀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매우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플레이트(51)의 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은 나머지 세척수의 유동과 함께 필터어셈블리(50)의 중심부에 형성된 집수리브(52)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집수플레이트(51)는 상기 집수리브(52)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포함한 세척수는 상기 집수리브(52)에 의해 형성되는 집수홀(53)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홀(53)은 면적 또는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은 상기 집수홀(5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홀(53)을 통과하여 내부공간(50a)으로 낙하하는 세척수에는 보다 상기 집수홀(53)에서 거르지 못한 미세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이물질은 측면 둘레(또는 원주)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필터(55)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이물질이 걸러진 세척수는, 다시 펌프를 통하여 공급유로(23)로 공급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만약, 세척수의 오염도에 따라 재순환시키지 않고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미세 이물질은 배수펌프(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배수공(255, 도7 참고)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필터(55)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도 배출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펌프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공급펌프의 구동은 정지될 것이다.
또한, 가늘고 긴 형태 등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은 집수리브(52)에 의해 걸러질 수 있기 때문에, 배수공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수 과정이 종료된 후에도, 상기 섬프(201)의 바닥 부분에는 잔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잔수는 오랜 시간 방치시 세균이 번식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상술한 살균유닛(100)을 통해 상기 잔수에 자외선(UV) 및 블루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프에 잔수가 있는 경우 살균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영역(또는 살균 영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의 설치 위치에 따른 살균성능을 비교한 실험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벽(210)에 형성되는 유닛설치부(215)에 결합되는 살균유닛(100)은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잔수(W)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잔수를 향하여 자외선(UV) 및/또는 블루라이트를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로 조사(화살표 L)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방벽(220)에 살균유닛(100)이 결합된다면, 상기 필터어셈블리(50), 상기 순환유로(65)에 의해 구조적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공(255, 도7 참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잔수가 발생되기 쉬운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고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만약, 상기 바닥벽(230)에 살균유닛(100)이 결합된다면, 잔수로 곧장 빛을 조사하게 되어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르면 (석영)윈도우(120)의 표면에 생물막(Bio Film)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생물막에 의해 UV LED(105) 및 Blue LED(107)에서 조사되는 빛이 흡수되고 굴절되어 살균 성능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상기 함몰부(200)의 후방벽(210)에 살균유닛(10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유닛(100)은 잔수의 수위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도 12의 실험결과에서 명확히 증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살균유닛(100)이 전방벽(220)에 설치된 경우(F), 살균유닛(100)이 바닥벽(230)에 설치된 경우(B) 및 살균유닛(100)이 후방벽(210)에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R), 살균 성능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도 12의 실험에서 UV LED(105)는 약 6시간 동일하게 조사되었으며, 살균 성능의 목표(Target)수치는 3으로 규정되었다.
6시간 후, 살균유닛(100)이 후방벽(210)에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R)에 살균 성능은 약 5.44이다. 이 경우, 상술한 다른 경우(F,B) 보다 향상된 결과를 획득한 것을 실험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 LED(105)의 조사 영역은 잔수 300(mm^3)을 기준으로, 살균유닛(100)이 후방벽(210)에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R)가 87.1%, 살균유닛(100)이 전방벽(220)에 설치된 경우(F)가 84.8%, 살균유닛(100)이 바닥벽(230)에 설치된 경우(B)가 86.5%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살균유닛(100)이 후방벽(210)에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250) 보다 높게 설치된 경우(R)는, 다른 경우보다 살균 성능 및 조사 영역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식기세척기
10: 터브
20: 베이스판
100: 살균유닛
200: 함몰부

Claims (20)

  1. 세척실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바닥을 형성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세척실에 분사된 세척수를 집수시키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며, 상기 섬프를 향해 자외선(UV)을 조사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느 후방벽; 및
    상기 전방벽의 하단과 상기 후방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벽을 포함하며.
    상기 섬프는, 상기 전방벽, 상기 후방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후방벽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섬프와 연통되며,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라인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배수공 보다 높게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라인 설치부는, 상기 전방벽의 일 측단과 상기 후방벽의 일 측단을 연결하는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상하 방향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필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이드는,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가이드; 및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2 가이드의 사이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에서 상기 제 1 가이드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선과 상기 함몰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 2 가이드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 2 선은 수직으료 교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살균유닛이 결합되는 유닛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닛설치부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사개구; 및
    상기 후방벽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사개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선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홈은, 상기 살균유닛의 UV LED의 탈착을 가이드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UV광원이 구비되는 UV LED;
    상기 UV LED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 및 윈도우가 고정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섬프에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섬프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공 보다 높게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UV LED가 사선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UV 광원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섬프로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광원홀을 형성하며,
    상기 광원홀은 상기 고정리브가 규정하는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섬프로 블루 라이트를 조사하는 블루 LED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며, 중심부를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집수플레이트;
    상기 집수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집수홀을 형성하는 집수리브;
    상기 집수리브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가이드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삽입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프레임은, 배수공으로 곧장 연통되는 필터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필터의 절개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함몰부의 내벽에 설치되는 식기세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의 절개부의 외각을 따라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필터가이드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집수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필터어셈블리의 설치 방향을 가이드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066601A 2020-06-02 2020-06-02 식기세척기 KR20210149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01A KR20210149490A (ko) 2020-06-02 2020-06-02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01A KR20210149490A (ko) 2020-06-02 2020-06-0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90A true KR20210149490A (ko) 2021-12-09

Family

ID=7886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01A KR20210149490A (ko) 2020-06-02 2020-06-0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600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루카스 살균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232A (ja) 2006-08-08 2008-02-21 Sharp Corp 食器洗い機
DE102017112460A1 (de) 2016-06-30 2018-01-04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232A (ja) 2006-08-08 2008-02-21 Sharp Corp 食器洗い機
DE102017112460A1 (de) 2016-06-30 2018-01-04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600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루카스 살균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65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UV generator
KR20040046942A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KR20080108528A (ko) 식기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세척기
KR20210149490A (ko) 식기세척기
KR101322548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5557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기
KR200397408Y1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결합 구조
KR20050122354A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장착구조
KR20060115480A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JP2008036232A (ja) 食器洗い機
KR101053750B1 (ko) 식기 세척기의 유로 전환부 누수 방지 구조
KR20050016016A (ko) 식기 세척기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230022655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WO2019019733A1 (zh) 洗鞋装置
CN220259007U (zh) 杯具的清洗消毒装置
KR20050115724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100052217A (ko) 식기 세척기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