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237A -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237A
KR20220157237A KR1020210065081A KR20210065081A KR20220157237A KR 20220157237 A KR20220157237 A KR 20220157237A KR 1020210065081 A KR1020210065081 A KR 1020210065081A KR 20210065081 A KR20210065081 A KR 20210065081A KR 20220157237 A KR20220157237 A KR 2022015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terminal
cable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334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21006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3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미널에 결합되고, C링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체인 제 2절연체를 좌우측으로 분리 제작하고 상호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을 압착시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서 분리한 다음 제 2절연체의 좌우측을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터미널에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압착한 후 제 2절연체의 좌우측을 나사 결합하고, 제 2커넉테 몸체를 커플링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C링의 분해없이 제 2절연체를 분리하여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케이블 압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VOLTAGE CABLE WITH IMPROVED WIRING}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절연체를 3개로 제작하고, 2개를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C링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체에서 절연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압착시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서 분리한 다음 절연체를 분리시켜 터미널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터미널에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압착한 후 분리된 절연체를 나사 결합하고,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C링의 분해없이 절연체를 분리하여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케이블 압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장치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을 전자장치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케이블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터미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의 절연체에 조립된 터미널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는 다양한 세기의 전압에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고전압용 커넥터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1)는 케이블(C)이 삽입되어 압착되는 터미널(10)과, 터미널(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실링 및 절연시키는 제 1절연체(20)와, 터미널(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 1절연체(20)와 압입 결합되어 절연시키는 제 2절연체(30)와, 제 1절연체(20)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N)가 형성되며, 터미널(10)과 대응되는 커넥터(미도시)에 고정시키는 커플링 너트(40)와, 제 2절연체(30)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N)가 형성되며, 커플링 너트(40)와 나사 결합되어 터미널(10)과 제 1, 2절연체(20, 30)를 고정시키는 연결 너트(50) 및 커플링 너트(40)에 제 2절연체(30)를 고정시키는 C링(6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1)의 케이블 압착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연결 너트(50)를 커플링 너트(40)에서 분리한 다음 C링(60)을 제 2절연체(30)의 결합홈(31)에서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터미널(10)을 분리한 후 터미널(10)을 감싸고 있는 제 1, 2절연체(20, 30)를 분해하여 터미널(10)을 노출시킨 다음, 케이블(C)을 터미널(10)에 삽입한 후 압착한다. 이때, 연결 너트(50)와 제 2절연체(30)를 케이블(C)에 먼저 삽입시킨다.
이어서, 역순으로 터미널(10)에 제 1, 2절연체(20, 30)를 결합한 후 제 1절연체(10)를 커플링 너트(40)에 삽입한 후 C링(60)을 제 2절연체(30)에 결합한다. 이때, C링(60)이 커플링 너트(40) 내부에 인입되면서 제 2절연체(30)를 고정시킨다.
이후, 연결 너트(50)를 커플링 너트(40)에 결합하여 케이블(C) 연결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 2절연체에 고정된 C링을 분해해야만 제 2절연체가 터미널에서 분리되어 터미널이 노출되기 때문에 C링을 분해시 전 구성품이 모두 분해되고, 케이블 압착한 다음 전 구성품을 재조립해야만 하기 때문에 케이블 압착이 복잡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체를 3개로 제작하고, 2개를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C링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체에서 절연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압착시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서 분리한 다음 절연체를 분리시켜 터미널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터미널에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압착한 후 분리된 절연체를 나사 결합하고,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C링의 분해없이 절연체를 분리하여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케이블 압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블이 삽입되어 압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일단에 결합되어 실링 및 절연시키는 제 1절연체와;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절연체와 압입 결합되어 절연시키는 제 2절연체와;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절연체와 분리 결합되는 제 3절연체와; 상기 제 1, 2절연체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과 대응되는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커플링 너트와; 상기 제 3절연체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가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너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에 제 1~3절연체를 고정시키는 연결 너트; 및 상기 커플링 너트 내부에 상기 제 2절연체를 고정시키는 C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절연체는 상기 터미널의 타단 외측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절연체와 압입 결합되며, 일단에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2절연체는 상기 C링이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3절연체는 상기 터미널의 타단 외측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일단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절연체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3절연체는 상기 제 2절연체에서 분리시 상기 케이블을 상기 터미널에 구비된 케이블 삽입홀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블 삽입홀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도록 상기 케이블 삽입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절연체를 3개로 제작하고, 2개를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C링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체에서 절연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압착시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서 분리한 다음 절연체를 분리시켜 터미널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터미널에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압착한 후 분리된 절연체를 나사 결합하고,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C링의 분해없이 절연체를 분리하여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케이블 압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100)는 터미널(110)과, 제 1절연체(120)와, 제 2절연체(130)와, 제 3절연체(140)와, 커플링 너트(150)와, 연결 너트(160) 및 C링(170)으로 구성된다.
먼저, 터미널(110)은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 내부에 핀 형태의 단자(11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케이블 삽입홀(113)이 구비되며, 단자(111) 측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오링(O)이 삽입되도록 오링홈(A)과 하기에서 설명할 제 2절연체(130)와 고정되도록 고정홈(116)이 구비된 결합턱(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절연체(120)는 절연 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미널(110) 일단, 즉 단자(111) 측에 결합되어 실링 및 절연시킨다. 이때, 제 1절연체(120)는 일끝단 외주면에 실링을 위한 오링(O)이 삽입되도록 오링홈(A)이 형성되고, 제 2절연체(130)가 밀착 결합되도록 밀착턱(12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절연체(130)는 절연 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미널(110)의 타단, 즉 케이블 삽입홀(113) 측을 통해 결합턱(115)에 결합되며, 제 1절연체(120)의 밀착턱(121)과 일단이 압입 결합되어 절연시킨다.
그리고, 제 2절연체(130)는 터미널(110)의 타단 외측이 내부에 삽입되고, 제 1절연체(120)와 압입 결합되며, 일단에 외측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제 3절연체(140)가 결합되도록 나사산(T)이 형성되고, C링(170)이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131)이 구비되며, 타단 내측에 터미널(110)의 고정홈(116)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턱(133)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제 3절연체(140)는 절연 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미널(110)의 타단, 즉 케이블 삽입홀(113) 측을 통해 삽입되어 제 2절연체(130)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 3절연체(140)는 일단 내측면에 나사산(T)이 형성되어 제 2절연체(130)의 나사산(T)과 나사 결합된다.
또한, 제 3절연체(140)는 제 2절연체(130)에서 분리시 케이블(C)을 터미널(110)에 구비된 케이블 삽입홀(113)에 삽입한 후 케이블 삽입홀(113) 외측을 가압하여 케이블(C)을 압착하도록 케이블 삽입홀(1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커플링 너트(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터미널(110)이 고정된 제 1, 2절연체(120, 130)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N)가 형성되며, 터미널(110)이 결합되도록 전자 기기에 구비된 수커넥터(미도시)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결 너트(1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제 3절연체(140)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N)가 형성되며, 커플링 너트(150)와 나사 결합되어 터미널(110)에 제 1~3절연체(120~140)를 고정시킨다.
또한, C링(17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제 2절연체(130)의 결합홈(131)에 체결된 상태에서 커플링 너트(150) 내부로 인입되어 제 2절연체(130)를 커플링 너트(150)에 고정시켜 터미널(110)과 제 1절연체(120)를 커플링 너트(150)에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의 케이블 압착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오링홈(A)에 오링(O)이 결합된 터미널(110)에 오링홈(A)에 오링(O)이 결합된 제 1절연체(120)를 단자(111) 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제 3절연체(140)과 결합된 제 2절연체(130)를 터미널(110)의 케이블 삽입홀(113) 측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홈(133)에 터미널(110)의 결합턱(115)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 1절연체(120)의 밀착턱(121)에 압입 결합시킨다.
이어서, 터미널(110)과 결합된 제 1, 2절연체(120, 130)를 커플링 너트(150)에 일부 삽입한 다음 C링(170)을 제 2절연체(130)의 결합홈(131)에 체결한 상태에서 C링(170)을 좁히면서 제 1, 2절연체(120, 130)를 커플링 너트(150) 내부로 완전 삽입시켜 커플링 너트(150)에 터미널(110)과, 제 1, 2절연체(120, 130)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연결 너트(160)를 커플링 너트(150)에 나사 결합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미널(11)에 케이블(C)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연결 너트(160)를 커플링 너트(150)에서 분리한 다음 제 3절연체(140)을 제 2절연체(130)에서 분리하면 터미널(110)이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C)을 터미널(110)의 케이블 삽입홀(113)에 삽입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한다. 이때, 연결 너트(160)와 제 3절연체(140)를 케이블(C)에 먼저 삽입시킨다.
이어서, 역순으로 터미널(110)에 제 3절연체(140)를 결합한 후 제 3절연체(140)의 나사산(T)과 제 2절연체(130)의 나사산(T)을 상호 결합한다.
이후, 연결 너트(160)를 커플링 너트(150)에 결합하여 케이블(C) 연결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절연체를 3개로 제작하고, 2개를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C링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체에서 절연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압착시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서 분리한 다음 절연체를 분리시켜 터미널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터미널에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압착한 후 분리된 절연체를 나사 결합하고, 연결 너트를 커플링 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C링의 분해없이 절연체를 분리하여 터미널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케이블 압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110 : 터미널 20, 120 : 제 1절연체
30, 130 : 제 2절연체 140 : 제 3절연체
40, 150 : 커플링 너트 50, 160 : 연결 너트
60, 170 : C링

Claims (5)

  1. 케이블이 삽입되어 압착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일단에 결합되어 실링 및 절연시키는 제 1절연체와;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절연체와 압입 결합되어 절연시키는 제 2절연체와;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절연체와 분리 결합되는 제 3절연체와;
    상기 제 1, 2절연체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과 대응되는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커플링 너트와;
    상기 제 3절연체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노브가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너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에 제 1~3절연체를 고정시키는 연결 너트; 및
    상기 커플링 너트 내부에 상기 제 2절연체를 고정시키는 C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연체는,
    상기 터미널의 타단 외측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절연체와 압입 결합되며, 일단에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연체는,
    상기 C링이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절연체는,
    상기 터미널의 타단 외측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일단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절연체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절연체는,
    상기 제 2절연체에서 분리시 상기 케이블을 상기 터미널에 구비된 케이블 삽입홀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블 삽입홀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도록 상기 케이블 삽입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210065081A 2021-05-20 2021-05-20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24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81A KR102524334B1 (ko) 2021-05-20 2021-05-20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081A KR102524334B1 (ko) 2021-05-20 2021-05-20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237A true KR20220157237A (ko) 2022-11-29
KR102524334B1 KR102524334B1 (ko) 2023-04-24

Family

ID=8423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081A KR102524334B1 (ko) 2021-05-20 2021-05-20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33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786B2 (ja) * 1992-02-14 2001-10-15 アイティーティー・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 電気導体終端装置に関する改良
US6786767B1 (en) * 2000-06-27 2004-09-07 Astrolab, Inc. Connector for coaxial cable
KR20060085654A (ko) * 2003-09-09 2006-07-27 콤스코프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노스 캐롤라이나 향상된 절연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및 관련 방법
KR20070027769A (ko) * 2004-07-16 2007-03-09 존 메잘린구아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케이블용 압축 커넥터
JP2012527730A (ja) * 2009-05-22 2012-11-08 ジョーン メッツァリンガ アソシエイツ, インク. 電気的導通部材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30000423U (ko) * 2012-12-04 2013-01-17 주식회사동진티아이 피메일 커넥터
KR200477717Y1 (ko) * 2014-02-12 2015-07-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JP2016122598A (ja) * 2014-12-25 2016-07-07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ケーブル
KR20170047890A (ko) * 2015-10-26 2017-05-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KR200485364Y1 (ko) * 2016-07-14 2017-12-29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크림프형 동축커넥터
KR101953094B1 (ko) * 2018-06-18 2019-03-05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전선배관 이음용 커플링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786B2 (ja) * 1992-02-14 2001-10-15 アイティーティー・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 電気導体終端装置に関する改良
US6786767B1 (en) * 2000-06-27 2004-09-07 Astrolab, Inc. Connector for coaxial cable
KR20060085654A (ko) * 2003-09-09 2006-07-27 콤스코프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노스 캐롤라이나 향상된 절연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및 관련 방법
KR20070027769A (ko) * 2004-07-16 2007-03-09 존 메잘린구아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케이블용 압축 커넥터
JP2012527730A (ja) * 2009-05-22 2012-11-08 ジョーン メッツァリンガ アソシエイツ, インク. 電気的導通部材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50080630A (ko) * 2009-05-22 2015-07-09 존 메잘린구아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적 연속성 부재를 구비한 공축 케이블 커넥터
KR20130000423U (ko) * 2012-12-04 2013-01-17 주식회사동진티아이 피메일 커넥터
KR200477717Y1 (ko) * 2014-02-12 2015-07-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JP2016122598A (ja) * 2014-12-25 2016-07-07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ケーブル
KR20170047890A (ko) * 2015-10-26 2017-05-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KR200485364Y1 (ko) * 2016-07-14 2017-12-29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크림프형 동축커넥터
KR101953094B1 (ko) * 2018-06-18 2019-03-05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전선배관 이음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334B1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58640A (ja) 多極コネクタ
US4684201A (en) One-piece crimp-type connector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7048578B2 (en) Tooless coaxial connector
EP2722937B1 (en) Connector assembly
US4352240A (en) Method of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US5496968A (en) Shielded cable connecting terminal
US3588783A (en) Multiple conductor cable connector
JP5392640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
JP5728549B2 (ja) 電源ケーブルコネクタ
EP3174165A1 (en) Cable connector
JP2010061891A (ja) コネクタ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KR102524334B1 (ko)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US4324949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conductors together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US11101604B2 (en) Connector
KR102056934B1 (ko) 쉴드쉘과 와이어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고전압 커넥터
JP200010052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3144243U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H11262151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JPH0113340Y2 (ko)
JPH11262153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