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670A - 몰드-인 패스너 - Google Patents

몰드-인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670A
KR20220156670A KR1020227039415A KR20227039415A KR20220156670A KR 20220156670 A KR20220156670 A KR 20220156670A KR 1020227039415 A KR1020227039415 A KR 1020227039415A KR 20227039415 A KR20227039415 A KR 20227039415A KR 20220156670 A KR20220156670 A KR 2022015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roduct
fastener
foam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652B1 (ko
Inventor
폴 조셉 보익트
빅터 호르스트 케일
Original Assignee
벨크로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크로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벨크로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5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43Means for positioning the lining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3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and-loop typ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8Upholstery or cushions, e.g. vehicle upholstery or interior pad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 F16B2001/00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몰드 인 패스너 제품이, 수지 필름 또는 직물 시트와 같은, 가요성 기재, 및 상기 가요성 기재의 하나의 측부의 단지 일부를 커버하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하나의 측부의 일 구역을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하는 수지층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재로부터 맞물림 가능 헤드까지 상기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보유하는 것인, 수지층을 포함한다.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이, 가요성 기재에 접합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 패스너 요소들 중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노출된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재의 경계 한정된 부분을 경계 한정한다. 제품은, 예를 들어 발포체 시트 완충체의 넓은 오목한 구역을 커버하기 위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몰드-인 패스너
본 발명은, 몰드-인 패스너 제품들에, 그리고 그러한 제품들을 제조하는 그리고 사용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분리 가능한 패스너들이, 자동차 시트의 제조에서, 폴리우레탄 발포체 내장재(foam bun)에, 때때로 트림 커버(trim cover)로 지칭되는, 천을 씌운 시트 커버의 부착 시에, 사용된다. 분리 가능한 패스너의 하나의 부분이, 발포체 몰딩 프로세스 도중에, 폴리우레탄 시트 내장재의 표면 내로 통합되며, 그리고 종종, 발포체 내로 몰딩된다는 점에서, '몰드-인(mold-in)' 제품으로 지칭된다. 분리 가능한 패스너의 짝을 이루는 부분(mating portion)은, 발포체 시트 내장재에 대한 분리 가능한 부착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커버에 부착된다. 내장재 표면 내에서의 통합을 위해 발포체 몰드 내에 사용되는 분리 가능한 패스너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분리 가능한 패스너 시스템의 후크 부분이다. 이러한 후크 부분은, 하나의 표면 상의 후크들 또는 베이스 지지 탄력적 패스너 요소들을 갖는다. 후크-지지 표면의 반대의 베이스의 표면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양한 구성에 의해 고착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조립체들에서,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는 재료가, 자석들을 갖도록 마련되는, 몰드 캐비티 벽의 홈통에서의 조립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에 부착된다. 흔히 얇은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의, 보호층이, 몰딩 프로세스 도중에 후크들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탄력적 후크들, 또는 후크들 둘레에 제공되는 가스켓 위에 배치된다. 후크들의 상당한 발포체 오염은, 패스너의 짝을 이루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하는 그들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한 체결 장치들은, 클램셸 몰드의 하나의 표면에 적용되고, 일반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화학적 혼합물이, 몰드 내로 주입된다. 몰드의 상측 표면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화학물질이 반응하며 그리고 가요성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되는 동안에, 폐쇄되고 클램핑된다.
본 발명이 여러 양태들이, 가요성 기재 및, 가요성 기재의 하나의 측부의 단지 일부를 커버하도록 하며 그리고 가요성 기재의 상기 하나의 측부의 일 구역을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하는, 수지층을 갖는, 몰드 인 패스너 제품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층은, 가요성 기재로부터 맞물림 가능 헤드까지 상기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resin stem)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보유한다.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이, 가요성 기재에 접합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 패스너 요소들 중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노출된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재의 일부분을 경계 한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측방 에지들과 경계 한정된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의 경우에,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된다.
몰드-인 적용들을 위해, 강자성 스트립은, 스트립이 몰드 표면에 대해 패스너 제품을 유지하는 가운데,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경계 한정된 부분의 노출된 구역의 부분은, 경계 한정된 부분의 하나의 측부로부터 반대편 측부까지와 같이, 경계 한정된 부분의 전체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재는, 부직포 소재와 같은, 직물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직물 시트이다. 일부의 경우에, 수지층은, 직물 시트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다.
일부 예들에서, 가요성 기재는, 수지층의 조성과 상이한 조성의 수지의 필름과 같은, 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지 필름이다.
일부 구성에서, 수지층은,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의 형태이고, 각 수지 레인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하는 가운데, 각 쌍의 인접한 레인들이, 노출된 가요성 기재의 레인에 의해 분리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평행한 레인들의 각각의 부분들이, 경계 한정된 부분 내부에 놓인다. 바람직하게, 강자성 스트립은, 평행한 레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로지른다. 일부 예들에서, 가요성 기재는, 수지의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이다. 바람직하게, 노출된 가요성 기재의 각 레인은,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경계 한정된 부분의 범위의 8 퍼센트 미만의 폭이다.
일부 구성에서, 수지층은, 수지의 복수의 별개의 섬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지의 복수의 별개의 섬의 형태이고, 각 수지 섬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하는 가운데, 인접한 섬들이, 노출된 가요성 기재에 의해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과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과 동일한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스트립은, 인접한 스트립 부분들 사이의 경계 한정된 부분 내에 통기 간극을 한정한다. 일부의 경우에, 간극은, 경계 한정된 부분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를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약간의 발포체가 경계 한정된 부분 내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 결정된다. 일부 예들에서, 간극은, 구불구불한 경로와 같은, 적어도 30도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경로를 한정한다.
수지의 레인들을 갖는 일부 실시예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평행한 레인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서로 등지는 종방향 측부들과 접경한다.
바람직하게, 경계 한정된 부분의 최소 대 최대 측방 직교 치수(lateral orthogonal dimension)의 비율이, 0.3 내지 1.0 사이이다. 일부 예들에서, 경계 한정된 부분의 최소 측방 치수는, 적어도 50 mm이다. 일부의 경우에, 수지층은, 가요성 기재로부터 측정 시 0.025 내지 0.5 밀리미터 사이의 전체 두께를 갖고, 및/또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은, 수지층으로부터 0.13 내지 1.6 mm 사이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스너 제품은, 복수의 강자성 스트립이 연속적인 가요성 기재를 따라 개별적인 이격된 영역들을 경계 한정하는 가운데, 롤 형태로 감긴다.
일부의 경우에, 수지층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에 부가하여 기재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수지의 하나 이상의 강화 리브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리브는, 패스너 제품의 굽힘 강도를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는, 예를 들어, 완충체 표면의 굴곡도(waviness)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패스너 제품은, 기재를 관통하는 이격된 구멍들을 한정하는 가운데, 구멍들은 패스너 제품의 굽힘 강도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일부의 경우에, 전략적으로 배치되는 구멍들 및 강화 리브들의 조합이, 느낌 및 기능 양자 모두를 위해, 완충체의 표면의 강도를 윤곽 형성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패스너 제품은 또한, 터치 패스너 요소들 반대편의 기재의 측부 상에 배치되는, 수지 필름을 갖는다. 일부의 경우에, 필름은, 제품이 발포체 완충체 몰드 내에 삽입체로서 사용될 때, 발포체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기재를 통해 한정되는 구멍들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일부 적용들을 위해, 패스너 제품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 반대편의 가요성 기재의 측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발포체의 층을 구비한다. 일부 다른 적용을 위해, 가요성 기재는, 발포체의 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발포체의 층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가요성 기재 및, 가요성 기재의 하나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가요성 기재의 경계 한정된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 한정하는,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을 갖는, 몰드 인 패스너 제품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들이,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가요성 기재 상에 지지되고, 각 수지 레인은, 가요성 기재로부터 멀어지게 맞물림 가능 헤드로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을 각각 구비하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하는 가운데, 각 쌍의 인접한 레인들은, 노출된 기재 표면의 레인에 의해 분리된다. 강자성 스트립은,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레인의 수지의 평행한 레인들 및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레인을 분리하는 노출된 기재 표면의 레인을 가로지른다.
일부의 경우에, 스트립은, 발포체 몰딩 도중에 몰드 표면에 대해 패스너 제품을 유지함에 의해,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은, 패스너 제품의 외측 주연부 둘레에, 및/또는 가요성 기재의 측방 에지와 경계 한정된 영역 사이에, 발포체 몰딩 도중에 몰드 표면에 대해 유지되는 가스켓과 함께, 상기 영역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의 경우에, 노출된 기재 표면의 레인은, 경계 한정된 영역의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재는, 부직포 소재와 같은, 직물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직물 시트의 형태이다. 일부의 경우에, 수지층은, 직물 시트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재는, 수지층의 조성과 상이한 조성의 수지의 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지 필름의 형태이다.
일부 구성에서, 가요성 기재는, 수지의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이다.
일부 배열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과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일부 다른 배열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과 동일한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일부의 경우에, 스트립은, 인접한 스트립 부분들 사이의 경계 한정된 영역 내에 통기 간극을 한정한다. 간극은,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를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약간의 발포체가 경계 한정된 영역 내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 결정된다. 일부 구성에서, 간극은, 적어도 30도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경로를 한정한다.
바람직하게, 경계 한정된 영역의 최소 대 최대 측방 직교 치수의 비율이, 0.3 내지 1.0 사이이다. 많은 예들에서, 경계 한정된 영역의 최소 측방 치수는, 적어도 50 mm이다. 수지층은, 가요성 기재로부터 측정 시 0.025 내지 0.5 밀리미터 사이의 전체 두께를 갖고, 및/또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은, 수지층으로부터 0.13 내지 1.6 mm 사이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스너 제품은, 복수의 강자성 스트립이 연속적인 가요성 기재를 따라 개별적인 이격된 영역들을 경계 한정하는 가운데, 롤 형태로 감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매립된 패스너 제품을 구비하는 발포체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은, 몰드 캐비티의 내부 표면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몰드 인 제품을 배치하는 단계;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발포 수지가, 캐비티 내부의 용적을 채우기 위해 그리고 제품의 경계 한정된 부분 또는 영역 반대편의 측부를 맞물기 위해 유동하고 팽창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발포 수지를 캐비티로 도입하는 단계; 및 발포체 제품의 표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몰드 인 제품을 갖는, 몰딩된 발포체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팽창된 발포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들에서, 몰드 캐비티의 내부 표면은, 볼록 표면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은, 발포체 몰딩 도중에 몰드 표면에 대해 패스너 제품을 유지함에 의해,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한다.
일부 예들에서, 몰드 인 제품을 배치하는 단계는, 몰드 표면에 대해 강자성 스트립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들에서, 스트립은, 인접한 스트립 부분들 사이의 경계 한정된 영역 내에 통기 간극을 한정하여, 발포 수지를 도입하는 단계가,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들을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일부 발포체가 통기 간극을 통해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 유동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한다.
수지층이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들의 형태인 그리고 발포체 제품이 시트 완충체인, 일부의 경우에, 몰드 인 제품을 배치하는 단계는, 수지의 레인들이, 착좌를 위해 설치될 때의 시트 완충체 내에서의 수직 배향에 대응하도록 선택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몰드 인 제품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패스너 제품은, 본질적으로, 발포체 완충체의 착좌 표면과 같은, 발포체 제품의 전체 횡방향 범위를 커버하도록 크기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몰드 인 터치 패스너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은, 직물 시트의 일 측부 상에 수지층을 몰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직물 시트의 상기 일 측부의 일 구역을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하는 것인, 수지층을 몰딩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에, 상기 직물 시트로부터 멀어지게 맞물림 가능 헤드로 상기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 시트에 접합되며 그리고,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 중의 적어도 일부 및 노출된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직물 시트의 부분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 한정하는,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의 경우에, 방법은, 또한, 상기 시트를 복수의 별개의 터치 패스너 제품으로 분리하는 단계로서, 각 제품은 상기 직물 시트의 개별적인 경계 한정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지층에 복수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수지층을 몰딩하는 동안에 수지 스템들을 몰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지층을 몰딩하는 단계는, 상기 직물 시트를 가로질러 이격되는 수지의 일련의 종방향 레인으로서 수지층을 몰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적용들에서, 강자성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스텐실을 통해 상기 직물 시트의 하나의 측부에 유동 가능한 강자성 스트립 소재를 도포하는 것, 또는 상기 직물 시트의 선택된 영역들 상에 유동 가능한 강자성 스트립 분무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무된 강자성 가스켓 소재는, 상기 직물 시트의 상기 하나의 측부에 대해 압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의 경우에,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상기 수지층의 일부분 및 노출된 직물 소재의 일부분 양자 모두를 가로질러 분무되며, 그리고 이어서, 분무된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상기 수지층의 상기 일부분에 대해 압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수지층을 몰딩하는 단계 이후에 제공된다. 일부의 경우에, 강자성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지층의 선택된 구역들로부터 스템들이 몰딩되며, 그리고 강자성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구역들에 스트립 소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강자성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층 및 노출된 직물 시트 양자 모두를 가로질러, 유동 가능한 스트립 소재로 강자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들에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를 통한 다이 커팅(die cutting)에 의해, 별개의 터치 패스너 제품들로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재는, 직물 시트이거나, 또는 직물 시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직물 시트의 섬유들을 봉지한다(encapsulate). 일부의 경우에, 가요성 기재는, 수지 필름이거나, 또는 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시트 완충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은, 몰드 캐비티의 내부 표면에 대해, 그의 설명된 형태들 중의 임의의 것의, 이상에 설명된 제품을 배치하는 단계, 이어서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및 발포 수지가, 캐비티 내부의 용적을 채우기 위해 그리고 경계 한정된 영역 반대편의 제품의 측부를 맞물기 위해, 유동하고 팽창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발포 수지를 캐비티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팽창된 발포 수지는, 토퍼 패드의 표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몰드 인 제품을 갖는, 몰딩된 발포체 토퍼 패드를 형성하도록 경화된다. 토퍼 패드는 이어서, 시트 완충체에 대한 시트 커버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노출되는 경계 한정된 영역들을 구비하는 시트 완충체를 형성하도록, 몰딩된 시트 완충체 베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일부 예들에서, 토퍼 패드는, 시트 완충체의 착좌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토퍼 패드는, 중앙 착좌 영역 및 중앙 착좌 영역의 양측의 덧받침부들(bolsters) 양자 모두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캐비티에 도입되는 발포 수지는, 몰딩된 시트 완충체 베이스보다 더 부드럽도록 토퍼 패드를 몰딩하기 위해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차량 시트 완충체들과 같은, 시트 커버 상에 유지하기 위해서와 같이, 넓은 영역들을 가로질러 분산되는 체결 기능들을 갖는, 몰딩된 제품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완충체 표면의 오목 영역들에서의 그러한 넓은 영역 체결은, 커버가 시트 완충체의 오목 곡률을 추종하는 것에 실패하는 경우의, 커버의 '붕 뜨는 연결(bridging)'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한 넓은 영역 체결은, 또한, 시트 커버의 국부적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더 넓은 영역 및 복수의 맞물림에 걸쳐 체결을 분산시킴에 의해, 국부적 체결 부재들에 가해지는 전단 부하들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형성되는 패스너 제품들은, 또한, 많은 수의 더 작은 별개의 패스너 제품들을 개별적으로 배치해야만 하지 않는 가운데, 더욱 복잡한 완충체 지형들을 가로질러 시트 커버를 유지함에 의해, 더욱 복잡한 시트 윤곽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세부사항들이, 첨부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이,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넓은 커버 범위의 체결 영역들의 상이한 배열들을 동반하는, 발포된 시트 완충체들을 도시한다.
도 2는, 하나의 측부 상의 패스너 후크 및 다른 측부 상의 부직포 표면을 도시하는, 패스너 제품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체결 영역을 경계 한정하는 강자성 스트립을 갖는, 제1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의 것과 유사하지만 사인파형 레인들 및 강자성 스트립의 모서리들에 있는 통기 간극들을 갖는,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품으로부터 절사된, 제2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간극들을 한정하는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의 제1 배열을 도시하는, 제3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열을 생성하도록 강자성 스트립 소재를 도포하는 데 유용한, 형판(template)을 도시한다.
도 7은 강자성 스트립 소재의 도포를 위해 패스너 재료의 시트와 중첩되는 도 6의 형판을 예시한다.
도 8은, 간극들을 한정하는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의 제2 배열을 도시하는, 제4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열을 생성하도록 강자성 스트립 소재를 도포하는 데 유용한, 형판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간극들을 한정하는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의 제3 배열 및 제4 배열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8의 제품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품 부분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에 체결 섬들의 어래이를 구비하는, 제5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품의 패스너 요소들 반대편 측부 상에 강자성 스트립을 구비하는, 제6 패스너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패스너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장치를 예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장치 상에서 생성되는, 연속적인 패스너 제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시트 발포체 완충체 몰드 캐비티의 일부분을 통해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품의 체결 측부 상의 강자성 스트립에 의해 몰드 표면에 대해 유지되는, 패스너 제품의 에지를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품의 반대편 측부 상의 강자성 스트립에 의해 몰드 표면에 대해 유지되는, 패스너 제품의 에지를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 선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체결 영역들을 갖는 발포체 토퍼 패드 및 몰딩된 발포체 완충체 베이스를 갖는, 시트 완충체의 분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의 어레이의 에지들을 따라 연장되는 강화 리브들을 갖는, 패스너 제품들의 부분들의 확대 사시도들이다.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한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차량의 승객 시트를 위한 발포체 시트 완충체(10a)는, 윤곽 형성된 발포체 코어(12) 및, 별개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예를 들어, 본 도면에서 보기에는 너무 작은, 후크들)이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승객들로부터의 하중 하에서의 사용 도중에 커버를 움직이지 않도록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최종 시트의 의도된 형상 및 윤곽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 커버의 하측면과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노출되는, 체결 영역(16)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상측 표면(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 영역(16)은, 발포체 코어의 대략 오목형의 상측 표면(14)의 거의 대부분을 커버하며, 그리고 경계부(18)에 의해 그의 주연부 둘레에서 경계 한정된다. 직물 시트(20)의 형태의 기재가, 체결 영역을 가로질러 고정되고, 발포체 코어의 표면에 접합된다. 직물 시트(20)는, 예를 들어, 부직포, 직조물 또는 편물 섬유 소재일 수 있을 것이다. 부직포 기재들의 예들이, 양자 모두 Hanes Companies(https://hanescompanies.com/), Leggett&Platt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Foamguard LX 47754 및 LX Gray FR 15025와 같은, 스펀본드 부직포들, 및 예를 들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무어스빌 소재의 Sommers Nonwoven Solutions로부터 입수 가능한, 30 내지 200 gsm(바람직하게, 100 내지 150 gsm)의 중량 범위의 폴리프로필렌의 SMS 부직포들을 포함한다. 직물 시트의 다른 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직물 시트의 단지 일부분만을 커버하는, 수지층(22)이, 직물 시트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예에서, 수지층은, 노출된 직물 시트의 레인들에 의해 분리되는, 수지의 여러 평행한 레인들의 형태이다. 수지의 레인들은, 이하에 논의될 것으로서, 직물 시트로부터 맞물림 가능 헤드까지 상기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을 각각 구비하는, 여러 개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보유한다. 수지의 레인들은, 윤곽 형성된 표면에 대해 밀접하게 시트 커버를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커버가 분리되는 것 및 표면의 오목한 부분들을 가로질러 붕 떠서 연결되는 것(bridging)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 완충체의 윤곽을 추종한다. 시트 등 부분을 따라, 레인들은, 착좌를 위해 배치되는 시트 완충체와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도 1b는, 각각 개별적인 경계부에 의해 경계 한정되며 그리고 발포체의 노출된 구역들에 의해 다른 체결 영역들로부터 분리되는, 복수의 체결 영역(16)을 갖는 발포체 시트 완충체(10b)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영역들은, 시트 완충체의 목 구역 내의 만곡된 경계부를 갖는 타원형 영역, 등 구역 내의 직사각형 영역, 및, 시트 완충체의 하부 구역 내의, 측부 덧받침부들을 포함하는, 완충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넓은 영역을 포함한다. 체결 영역들의 이러한 레이아웃은, 단지 제공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체결 영역들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넓은 체결 영역들이 노출된 발포체의 좁은 스트립들에 의해 분리되며 그리고 좁은 세장형 체결 영역들이 시트 완충체 내의 주름들에 뒤따르는 배열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체결 영역 배열들이, 예상된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되는 체결 영역들은 각각, 체결 영역의 최소 대 최대 측방 직교 치수의 비율이, 0.3초과, 또는 0.3 내지 1.0 사이인, 넓은 영역을 커버한다. 또한, 각각의 체결 영역에 대해, 최소 측방 치수는, 적어도 50 mm이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수지층(22)은, 층의 수지가 영구적인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의 표면 섬유들을 봉지하도록, 시트의 표면 상으로 몰딩됨에 의해서와 같이, 직물 시트(20)에 적층된다. 영구적이라는 것은, 직물 시트와 수지층 사이의 접합이, 적어도 패스너 요소들이 견딜 수 있는 박리력(peeling force)보다 상당히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에서, 수지층은, 기재에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층에 의해 지지되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은, 각각, 직물 시트로부터 멀어지게 맞물림 가능 헤드(28)로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26)을 구비한다. 단지 하나의 터치 패스너 요소만 도시되지만, 층(22)은 일반적으로, 각각 층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열들 및 행들로 배열되는, 수백 개의 그러한 요소를 지지할 것이다. 요소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J-자형 후크들, 또는 야자수 또는 버섯-타입 패스너 요소들, 또는 섬유들을 맞물기에 유용한 임의의 다른 형상의 터치 패스너 요소들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적용에서, 패스너 요소들은, Velcro Europe S.A.에 의해 상표명 SUPERVELOCK으로 또는 Velcro USA Inc.에 의해 VELCRO Brand P87S로 생산되는, 사변형 버섯형-요소들(quadralobal mushroom-elements)이다. 낮은 윤곽의 버섯-타입 패스너 요소들 또한 유용하다. 수지층 자체는, 매우 얇으며(예를 들어, 직물 시트 표면으로부터 단지 약 0.025 내지 0.5 mm 사이만큼만 연장됨), 그리고 가요성이다. 일부의 경우에, 수지층은, 시트 외부에 인식 가능한 두께를 갖지 않도록, 직물 시트 표면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다. 수지층의 노출된 표면으로부터 단지 약 0.13 내지 1.6 mm 사이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되는, 터치 패스너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작다. 적절한 터치 패스너 요소들은, HK409(0.13 mm 높이, 0.1 mm 두께), HK99(1.6 mm 높이, 0.3 mm 두께), HK22(0.7 mm 높이, 0.2 mm 두께) 및 HK108(0.4 mm 높이, 0.15 mm 두께)을 포함한다. 열 내부에서 패스너 요소들의 인접한 열들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0.1 내지 0.2 mm일 수 있을 것이다. HK108은, 그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Cornu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9,958,070호에 설명된다.
도 3은, 시트 완충체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대표적인 패스너 제품(30), 또는 패스너 제품이 그로부터 절단되는 패스너 제품 예비 성형물을 도시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이것은, 직물 시트(20)의 직사각형 조각으로서 도시되지만, 임의의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수지층(22)은, 그들 사이에 시트가 노출되는 좁은 레인들(34)을 동반하는 가운데, 시트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지의 여러 별개의 레인들(32)의 형태이다. 층(22)의 별개의 레인들로의 분리는, 요구되는 윤곽을 추종하도록 쉽게 씌우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품의 가요성을 향상시킨다. 각 수지 레인(32)은, 예를 들어, 1.5 내지 15 mm의 너비의 노출된 직물 레인들(34)과 함께, 1.5 내지 15 mm 사이의 너비일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각 수지 레인(32)은, 8.0 mm 너비이며, 그리고 레인들의 각각의 인접한 쌍은, 2.0 mm 폭의 레인(34)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예에서, 각 수지 레인(32)은, 레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14열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보유하고, 각 열은 길이의 cm 당 9개의 터치 패스너 요소를 포함한다.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36)은, 수지 레인들(32)이 그 위에서 지지되는 직물 시트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터치 패스너 요소들 중의 일부를 포함하는 직물 시트의 체결 영역 또는 경계 한정된 부분(38)을 경계 한정한다. 강자성 스트립은, 직물 시트의 측방 에지들과 경계 한정된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 완충체로 발포될 때, 스트립(36)은, 시트 완충체의 체결 영역의 경계부(18, 도 1a 및 도 1b 참조)를 경계부를 형성할 것이다. 스트립(36)은, 제품 상에 노출되며, 그리고 여러 개의 수지 레인들(32) 및 직물 레인들(34)과 교차한다. 이러한 예에서, 스트립은, 제품의 정사각형 부분을 경계 한정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품의 하나의 측부 상에서, 레인들의 길이들이, 노출되며 그리고 경계 한정된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제품(미도시)의 다른 측부 상에서, 직물 시트는, 수지 레인들의 어떠한 노출된 수지도 동반하지 않는 가운데, 경계 한정된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측부 상의 노출된 직물 표면과 중첩되도록, 하나의 측부 상에서 경계 한정된 부분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직물 레인들(34)은, 경계 한정된 부분(38)에, 유리한 정도의 가요성 및 표면들에 합치하기 위한 능력을 부여한다. 강자성 스트립 자체는 또한, 전체 제품이, 시트 발포 도중에 몰드 표면에 합치하기 위해 그리고 사용 시의 분리 없이 탄력적인 시트 뒤틀림을 허용하기 위해, 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극도로 가요성이다. 넓은 영역들을 커버하기 위한 패스너 제품들에서, 경계 한정된 부분의 최소 대 최대 측방 직교 치수의 비율은, 0.3 보다 크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체결 요소들의 레인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직선형, 평행, 및 일정한 폭의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제품(30a)은, 수지층을 이루는 수지의 이격된 레인들이 선형이 아니라 사인파형인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예의 레인들은, 여전히 동일한 폭의 것이며, 그리고 여전히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며, 그리고 이상에 논의된 것과 유사한 폭의 것이다. 레인들은, 사인파형이 또는 삼각형(톱니형) 경로들이 아닌, 다른 만곡된 경로를 추종할 수 있을 것이다. 순수하게 선형의 경로를 벗어나는 것은, 모든 방향의 굽음에 대한 증가된 가요성을 제품에 부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시트 커버 소재를 통해 레인들의 방향 및 에지들을 식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레인들은, 각 적용에서 최적의 체결 성능에 적합한, 다른 배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레인들의 폭들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레인들의 폭들이, 제품의 폭을 가로질러 동등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패스너 제품(40)은, 강자성 스트립이 나머지 직물 시트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는 가운데, 단지 강자성 스트립 및 경계 한정된 부분(38)만 남도록, 예를 들어 강자성 스트립(36)의 외측 주연부 둘레에서의 다이 커팅에 의해, 도 3의 패스너 제품(30)으로부터 절단된, 유용한 패스너 제품이다. 더 큰 제품에서 제품(40)을 잘라내기 위해, 시트는, 강자성 스트립(36)의 외측 에지에서, 또는 강자성 스트립 너머로 연장되는 몇 밀리미터의 짧은 가장자리를 남기도록,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적용들을 위해, 과도한 가장자리는, 발포 도중에 기포 생성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자성 스트립으로 이들을 봉지하거나 오염시킴에 의해 (또는 강자성 스트립 너머의 가장자리로부터 이들을 제거함에 의해), 패스너 요소들을 제품의 주연부에서 기능적이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은, 사용 시 레인들의 단부들에 박리 부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평행한 수지 레인들 및 직물 레인들은 각각, 전체 경계 한정된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하나의 방향으로 전체 경계 한정된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직물 레인들(34)은, 그러한 굽힘이 수지층의 상당한 굽힘을 요구하지 않음에 따라, 씌우는 도중에 반대 방향으로 굽히기 위한 제품의 가요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레인들의 배향은, 발포 몰드 내에서의 설치 도중에 의도되는 굽힘의 방향으로 최상의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직물 시트는, 몰드 표면의 윤곽을 추종하기 위한 더욱 더 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이다. 노출된 직물 시트의 각 레인(34)은, 바람직하게,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레인들을 횡단하는 방향에서의 경계 한정된 부분의 범위의 8 퍼센트 미만의 폭이다. 많은 적용들을 위해, 수지(체결) 레인들에 대응하는 경계 한정된 영역의 총 퍼센트는, (총 경계 한정된 영역의) 40 내지 80 퍼센트 사이, 바람직하게 60 퍼센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스너 제품(50)이, 강자성 스트립(36)이 경계 한정된 부분 또는 체결 영역(38)을 함께 경계 한정하는 4개의 별개의 세그먼트(52)인 것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세그먼트들은, 발포 도중에 통기구들로서 기능하며 그리고 발포체가 그를 따라 경화되면서 유동하는 좁은 통로들을 형성하는, 좁은 간극들(54)을 한정하기 위해 그들의 단부에서 서로 이격된다. 간극들(54)의 폭 및 길이는, 단지 작은 양의 발포체만이, 경계 한정된 부분(38)에 진입하도록 그리고, 체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노출되는 충분한 체결 요소들은 남기도록, 단지 모서리들 근처의 비교적 작은 개수의 체결 요소들만을 오염시키도록, 선택된다. 일부 적용들에서, 간극들은, 부분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를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약간의 발포체가 경계 한정된 부분 내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 결정된다. 원하는 양의 발포체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들은, 발포 수지 점도 및 압력의 함수일 것이지만, 최소한의 횟수의 시도로 이러한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의해 쉽게 결정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좁은 간극들(54)을 한정하도록 강자성 스트립을 구성하는 것은,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을 형성하도록 성형되는 세장형 개구들(58)을 한정하는 형판(56)을 통한, 패스너 시트에 대한 유동 가능한 강자성 스트립 소재의 도포를 가능하게 한다. 형판 소재의 좁은 브릿지들(60)은, 개구들을 분리하며 그리고 세그먼트들 사이에 간극들(54)을 형성한다. 형판(56)은, 금속 심 스톡(metal shim stock)과 같은 강성 또는 반강성 소재일 수 있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체결 요소들의 상부 위에서의 생성되는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다.
다른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 형상들 및 배열들이, 예상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패스너 제품(62)이, 그들 사이에 간극들(66)을 한정하는 중첩 아암들을 갖는, 중첩된 컵 형상 세그먼트들(64)의 형태의 강자성 스트립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발포체가 그를 따라 경계 한정된 부분(38)에 도달하기 위해 유동해야만 하는 긴 유동 길이를 한정하는, 긴 간극들을 제공하여, 체결 영역 내로의 더 낮은 유동 침투를 초래하도록 한다.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의 발포체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직선형의 (구불구불하지 않은) 경로의 능력은, 경로를 따르는 전체 유동 길이, 유동에 수직인 간극의 최소 측방 치수, 발포 수지의 점도, 간극 개구부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 그리고 얼마나 빠르게 수지가 몰드 표면에 대해 경화되는지의 함수일 것이다. 도 9는, 중첩된 컵 형상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대응하는 형판(68)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체결 영역 또는 경계 한정된 부분(38)을 경계 한정하는,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의 다른 배열들을 도시한다. 도 10의 배열에서, 4개의 세그먼트(70)는 각각, 정사각형 체결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를 경계 한정하며 그리고, 강자성 스트립을 가로질러 직선형으로 연장된 경우보다 더 긴 유동 길이를 한정하도록 하기 위해, 체결 영역의 측부들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간극들(72)을 따라 2개의 다른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다. 도 11의 예에서, 4개의 세그먼트(74)는 각각, 정사각형 체결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를 경계 한정하며 그리고, 발포체 유동을 늦추도록 그리고 적은 전체 발포체 침입을 초래하도록, 통로를 따르는 발포체의 유동을 갑자기 방향을 변경하도록 강제하는 굴곡된 유동 통로들을 한정하는, 간극들(76)을 따라 2개의 다른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구불구불한 경로 유동 채널의 예이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경로는, 적어도 30도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할 것이다. 이상의 간극 배열들은 모두, 기포 생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체 통기구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경로들을 따르는 발포체 응고는, 체결 영역의 에지들에서의 발포체에 대한 패스너 제품의 고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상의 예들 중 임의의 것의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은, 여러 개의 수지 레인들(32) 및 직물 레인들(34)을 가로지른다. 수지 레인들(32)을 가로질러,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개별적인 체결 요소들(도 12에서 생략됨)을 봉지한다. 직물 레인들(34)을 가로질러,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직물 시트의 표면 섬유들을 봉지하며 그리고 인접한 수지 레인들의 서로 등지는 종방향 측부들과 접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64)은, 다른 실시예들의 다른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들과 유사하게, 발포체가 레인들을 따라 또는 레인들 사이로 그리고 체결 영역 내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세그먼트를 가로지르는 임의의 경미한 침입이, 상당한 개수의 패스너 요소들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도 13에서,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64)는, 2개의 직물 레인(34) 및 수지 레인(32)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그리고 도면의 우측부에 있는 수지 레인(32)의 단지 일부를 봉지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 스트립 세그먼트는, 가로지르는 수지 레인들의 패스너 요소들(24)을 완전히 봉지하며 그리고 그러한 패스너 요소들 위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양자 모두 수지 레인 베이스들(22)로부터 수직으로 측정되는 것으로서, 전체 스트립 높이는, 패스너 요소들의 전체 높이의 0.5 내지 3.0배 사이일 수 있을 것이다. 스트립이 패스너 요소들(24)보다 더 큰 높이까지 연장되는 예들에서, 발포 도중에 상측 스트립 표면과 몰드 표면 사이의 생성되는 간극은, 발포체가 생성되는 간극을 통해 유동하는 것 및 경계 한정된 영역 내에서 패스너 요소들을 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
이상에 설명된 예들에서, 패스너 요소들을 지지하는 수지층은, 경계 한정된 부분 또는 체결 영역(38)의 범위를 가로질러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격된 수지 레인들(32)의 형태이다. 그러나,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에 노출된 직물 시트를 남기는, 수지층의 다른 배열들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직물 시트(20)는, 노출된 직물 시트 표면의 연속적인 영역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수지의 별개의 섬들(78)을 보유한다. 각 섬(island)은, 섬 표면의 수지와 일체형으로 몰딩되는, 복수의 패스너 요소를 보유한다. 강자성 스트립(36)은, 여러 개의 별개의 섬들을 포함하는 경계 한정된 부분(38)을 경계 한정하는 가운데, 강자성 스트립의 부분들이, 시트 완충체 형성 도중에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에서 발포체가 섬들 너머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섬들 및 노출된 직물 시트 표면과 중첩된다. 노출된 직물 시트의 연속적인 영역(80)은, 패스너 제품이 체결 영역 내부에서 모든 방향으로 특히 낮은 굽힘 저항을 갖도록, 양자 모두의 방향으로 경계 한정된 영역의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배열에서, 수지층은, 섬들 및 레인들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설명된 예들에서, 강자성 스트립은, 가요성 기재의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하는 수지층과 동일한 측부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가요성 기재는, 직물 시트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기재는, 수지 필름의 형태일 수 있고, 및/또는 강자성 스트립은, 여전히 체결 영역을 경계 한정하는 가운데, 제품의 반대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5의 패스너 제품(82)에서, 강자성 스트립(36)은, 가요성 기재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20a)의 배면측에, 말하자면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하는 수지 레인들(32) 반대편 측부 상에, 지지된다. 비록 패스너 제품의 반대 측부 상이지만, 강자성 스트립(36)은, 여전히,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으로서, 강자성 스트립 반대편 측부 상의 체결 영역 내로의 발포체 침입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수지 필름은, 공기에 대해 불투과성일 수 있으며, 또는 통기를 위한 미세 천공부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수지 필름은, 수지 레인들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그의 평면 내에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이상의 직물 예들과 유사하게, 필름은, 연속적이며, 그리고 수지 레인들 아래에 놓인다. 필름은, 그에 대해 몰딩될 발포체에 대한 최적의 접착을 위해 선택되는 수지일 수 있을 것이다. 강자성 스트립 및 수지 레인들은, 수지 필름(20a)의 동일한 측부 상에 지지될 수 있다는 것, 및 강자성 스트립 및 수지 레인들은, 직물 시트의 반대편 측부 상에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의 경우에, 기재는, 배면 코팅 또는 결합층을 형성하는 필름을 갖는 섬유 직물과 같이, 섬유 직물 및 필름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면, 패스너 제품의 이상의 예들은, 형성 방법 및 레인/섬 분포 및 기판 소재에 대한 것으로서 양자 모두의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Krantz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7,048,818호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개별적인 섬들 또는 이격된 레인들 내에, Kennedy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48,419호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직물 시트 표면 상에, 그의 패스너 요소들과 함께, 수지층을 먼저 몰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그리고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성 방법은, 예비 성형된 직물 시트 소재(20)와 함께 회전하는 성형 롤(84) 및 압력 롤(86) 사이의 죔부(nip) 내로 유동 가능한 수지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몰딩 죔부에서, 수지는, 시트의 표면 섬유들을 봉지하며 그리고 또한, 적어도 패스너 요소들의 스탬들을 형성하기 위해 성형 롤 내의 개별적인 막힌 캐비티들을 채운다. 수지는, 시트 상에 수지 체결 레인들을 형성하기 위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뜸틀 다이(deckled die)로부터의, 수지의 연속적인 레인들로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수지의 별개의 침착물로서, 예를 들어, 그러한 침착물을 몰딩 죔부 바로 상류의 성형 롤 또는 직물 시트의 표면 상에 인쇄함으로써,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직물 시트 및 수지가 수지를 응고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냉각된 성형 롤 상에서 운반되면, 시트는, 벗김 롤(88) 주변을 통과함에 의해 롤로부터 벗겨진다. 단지 패스너 요소 스템들만이 롤(84) 상에 몰딩되는 경우, 이러한 지점에서, 헤드들이,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버섯-타입 패스너 요소들을 형성하기 위해, 스템들 상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제품(90)은, 하나의 측부 상에 수지의 레인들 또는 섬들을 갖는 패스너 재료의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시트이며, 각 레인 또는 섬은, 맞물림 가능 패스너 요소들을 보유한다. 그러한 제품은, 이후의 처리를 위해 감길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 스트립 도포 스테이션(92) 내로 바로 급송될 수 있을 것이다. 시트 상에 직접적으로 수지의 레인들을 몰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패스너 재료의 예비 성형된 레인들이, 시트에, 특히 수지 필름의 형태의 시트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테이션(92), 유동 가능한 강자성 스트립 소재가, 순환 형판 벨트(94)를 통해, 초과 재료가 통과 회차들 사이에 벨트의 표면으로부터 긁히는 가운데, 제품의 체결 측부 상으로 분무된다. 벨트는, 분무 도중에 그리고 벨트가 제품의 표면 상에 응고하는 강자성 스트립들을 남기도록 제품으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제품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히터(95)(또는, UV-경화 가능 소재의 경우, 경화 오븐)를 통과한 이후에, 제품은, 이어서, 발포체 장벽들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일관된 두께 및 평평한 상측 표면들을 갖도록 하기 위해, 냉각 중인 강자성 스트립들을 가볍게 압축하도록 이격된 죔부(미도시)를 통해 통과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부터, 제품은, 롤들(96, 98) 사이의 다이 커팅 죔부를 통해 이동하고, 여기서 제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강자성 스트립의 외측 주연부 둘레에서 절단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제품(100)은,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 요소들이 그로부터 연장되는 수지의 별개의 레인들 또는 섬들과 중첩되는 강자성 스트립들을 보유하는 종방향으로 연속적인 직물 시트이고, 각 강자성 스트립 및 연관된 경계 한정된 영역은, 둘러싸는 소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별적인 몰드-인 제품으로서 운송을 위해 포장될 수 있는, 별개의 패스너 제품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다이 커팅은, 단지 시트 소재를 천공하지만, 각 제품의 에지들에 둘러싸는 소재에 대한 작은 브릿지들을 남기고, 연속적인 시트는, 제품들의 나중의 분리를 위해 감길 수 있을 것이다.
강자성 소재는, 패스너 요소들이 그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강자성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패스너 요소들 위에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품이 스테이션(92)에 도달하기 이전에, 강자성 소재에 의해 커버될 영역들 내의 패스너 요소들은, 표면으로부터 그들을 기계적으로 절단함에 의하거나, 또는 다른 체결 요소들은 온전히 남겨두는 가운데 그러한 체결 요소들의 수지가 그들의 개별적인 베이스들로 유동하도록 야기하는 초음파 호른(ultrasonic horn)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대안적으로,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충분한 유연성이 있는 소재의 사전 형성된 스트립들의 접착과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표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자성 스트립 소재는, 철 분말과 같은, 자기적으로 끌리는 미세한 입자들을 봉지하는, 탄력적 수지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소재로 형성되는 강자성 스트립들은 또한, 사용된 시트 완충체의 폐기 도중에 쉽게 절단되는 장점을 갖는다. 일부의 경우에, 강자성 스트립 소재의 수지 캐리어(resin carrier)가, 제품에 도포된 이후에 소재가 그에 노출되는, 자외선 복사에 의해 경화 가능하다. 직물 상에 분무 또는 스크린 인쇄될 수 있는 적당한 강자성 소재의 예가, 70/30 체적 비율로 혼합되는, (Quebec Metal Powders, QC, Ontario로부터의) Atomet 29 및 (Prisa Paint, Mexico로부터의) 수성 아크릴 페인트 ES 7174 회색의 혼합물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품이 개별적인 몰드-인 패스너 제품들의 나중의 분리를 위해 감겨야 하는 경우, 강자성 스트립들은, 서로 인접한 중첩 영역 내에 특정 시트 완충체를 위해 필요한 모든 패스너 제품들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들은, 각 시트를 위해 필요함에 따라 스풀로부터 벗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3개의 제품이, 도 1b에 도시된 시트 완충체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3개의 패스너 제품에 대응하는 3개의 중첩된 세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감길 때, 제품의 상측 표면 상의 노출된 패스너 요소들은, 사용될 때까지 제품을 감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제품의 반대 측부 상의 직물 시트의 섬유들을 해제 가능하게 맞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품들이 분리된 제품들로서 운송되어야 하는 경우, 임시 커버들이, 다른 제품들의 섬유 직물과의 사전 맞물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 영역 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커버들은, 제품이 몰드 내로 배치되기 이전에, 제거되고 폐기될 수 있거나, 또는 패스너 요소들을 오염으로부터 추가로 보호하기 위해, 제자리에 남겨지며 그리고 발포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임시 커버는, 트림 커버의 위치설정을 허용하도록 패스너 요소들의 사전 맞물림을 방지함에 의해, 시트 조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얇은 시트 또는 마스크가, 대안적으로, 발포체 시트 완충체와 트림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커버 위치설정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발포체 시트 완충체가, 2개의 몰드 반쪽(104) 사이에 한정되는 몰드 캐비티(102) 내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액체 발포 수지를 캐비티 내로 도입하기 이전에, 제품(40)과 같은 몰드-인 제품이, 몰드 반쪽(104)의 표면에 대해 배치되며 그리고 몰드 표면 내에 매립되는 영구 자석(108)과 몰드-인 제품의 강자성 스트립(36)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자석(108)은, 발포 수지가 몰드-인 제품의 체결 영역 내로 침입하는 것 및 체결 요소들을 오염시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몰드 표면에 대해 몰드-인 제품(40)의 전체 주연부를 유지하도록, 강자성 스트립과 정렬하기 위한 위치들에서 몰드 표면 내에 매립되는 일련의 그러한 자석들 중의 하나 일 수 있을 것이다. 자석(들)(108)은, 몰드 표면에 대해 제품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표면 상에 제품을 정확하게 배치하도록 도움을 준다. 몰드-인 제품이 배치되면, 몰드 캐비티가 폐쇄되며, 그리고 팽창하는 발포 수지가, 몰드-인 제품의 노출된 배면에 접합된다. 응고되는 발포체 시트 완충체가 몰드로부터 당겨질 때, 몰드-인 제품(40)은, 완충체의 표면 내에 매립되며 그리고 패스너 요소들은, 시트 커버의 하측면과의 맞물림을 위해 노출된다.
이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몰드-인 제품의 반대 측부 상의 강자성 스트립(36)이, 또한, 오염되지 않은 체결 영역 내부에 패스너 요소들의 대부분을 남기기에 충분할 정도로 발포체 침입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 매립된 자석(108)에 대한 인력에 의해, 몰드 표면에 대해 제품의 체결 측부를 유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강자성 스트립(36)이 패스너 요소들(24)(도 20)을 갖는 수지 레인(34)과 교차하면, 패스너 요소 헤드들은, 단지 발포 수지의 유동에 대해 노출되는 패스너 요소들(24) 사이의 간극들만 남기고, 몰드 표면에 대해 긴밀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간극들은 함께, 일부 발포 수지가 체결 영역 내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너무 많은 패스너 요소들을 오염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도록 허용하는, 제한된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강자성 스트립(36)이 직물 레인(34)(도 21)과 교차하면, 직물 레인 아래에 놓이는 강자성 스트립의 부분은, 직물 레인에서 유동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자석(108)을 향해 직물 레인을 끌어당긴다. 일부의 경우에, 조합된 직물 및 강자성 스트립은, 직물 레인이, 충분한 폭인 경우, 수지 레인들에 인접하게 단지 작은 유동 면적만 남기고, 몰드 표면에 정확하게 접촉할 정도로, 충분히 가요성이다.
이어서 도 22를 참조하면, 일부의 경우에, 이상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은, 각각 개별적인 경계부를 가지며 그리고, 노출된 기재 재료에 의해 둘러싸이는 또는 노출된 기재 재료와 교대로 놓이는, 체결 후크들의 이격된 레인들 또는 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체결 영역들(16)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몰딩된 토퍼 패드(11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의 경우에, 기재 재료는 또한, 체결 영역들 사이에 토퍼 패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한다. 토퍼 패드(110)는, 예를 들어, 토퍼 패드의 발포체 몸체(112)가 형성될 때, 패스너 재료가 그 내부에서, 후크들의 이격된 레인들 또는 섬들 및 하나의 체결 영역(16)을 형성하는 경계부를 각각 보유하는 별개의 기재들로서, 또는 모든 체결 영역들(16)의 모든 요소들을 지지하며 그리고 토퍼 패드의 상측 표면을 형성하도록 크기 결정되는 단일 기재로서, 배치되며, 그리고 자석들에 의해 유지되는, 성형된 발포 캐비티 내에서 토퍼 패드를 형성함에 의해, 평평하지 않은 형상을 갖도록 몰딩된다. 몰딩된 토퍼 패드(110)는, 몰드로부터 제거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화염 적층 또는 분무 접착제에 의해, 시트 완충체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체 완충체 베이스(114)에 부착된다. 일부의 경우에, 필름이, 완충체 베이스에 대한 토퍼 패드의 접착제 접합 이전에, 발포체 토퍼 패드의 하측면에 부착된다. 압력-민감형 접착제가, 완충체 베이스에 대한 토퍼 패드의 부착 직전에 제거되는 이형 라이너와 함께, 필름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체 베이스(114)는, 립부(116)에 의해 경계 한정되며 그리고, 토퍼 패드가 최종 시트 완충체 내부에 들어가도록, 발포체 토퍼 패드(110)를 수용하도록 크기 결정되는,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토퍼 패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완충체의 실질적으로 모든 착좌 표면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별개의 삽입체들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퍼 패드의 발포체 재료는, 완충체의 나머지의 발포체와 상이한 구조적 속성들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러한 체결 토퍼 패드는, 완충체 베이스보다 더 부드럽고, 더욱 탄력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일 수 있을 것이다. 토퍼 패드는, 예를 들어, 단지 완충체 덧받침부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평평한 중앙 착좌 영역만을 커버할 수 있을 것이다. 토퍼 패드의 공칭 발포체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25 mm일 수 있으며, 그리고 토퍼 패드가 특정 형상으로 몰딩되기 때문에, 두께는, 더 부드러운 느낌이 요구되는 영역들에서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패드를 가로질러 변할 수 있을 것이다. 토퍼 패드 발포체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입방미터 당 25 내지 65 킬로그램의 발포체 밀도를 갖는 개방 셀형 폴리우레탄이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언급된 제품들의 체결 영역들은, 최종 시트 완충체 표면 내에 요구되는 레벨의 굽힘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후크들의 몰딩된 어레이는, 시트 커버의 섬유질 하측면이 수형 패스너 요소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야기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회피하기 위해, 강도의 급격한 변화를 회피하도록 그리고 시트 완충체 표면 강도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것이다. 요구되는 표면 강도의 발포체 토퍼 패드 또는 플러스 패드를 통합하는 것은 또한, 완충체를 가로질러 요구되는 강도 윤곽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체결 영역들은 또한, 요구되는 완충체 하중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단순히 완성된 제품 내에서 굴곡도(waviness)에 대한 임의의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영역들 내의 표면 굽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간결함을 위해 수직 블록들로 이러한 2개의 도면에 예시되는) 수형 패스너 요소들의 레인들이, 제품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레인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제품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레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강화 리브들(118)을 포함하도록 몰딩될 수 있다. 리브들은, 패스너 요소들 사이에서 레인을 따라, 또는 이러한 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들의 에지들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들은, 도 24에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 또는 도 23에 도시된 쐐기 형상과 같은, 쉽게 탈형되는, 임의의 요구되는 형상일 수 있다. 패스너 요소들을 바라보는 경사진 표면을 동반하는, 쐐기 형상은, 맞물림을 위해 후크들을 향한 시트 커버의 걸림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이, 레인들 사이의 영역은, 패스너 요소들 및 리브들의 수지가 그 위에 몰딩되는, 노출된 기재일 수 있거나, 또는 몰딩된 수지 표면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의 경우에, 별도의 기재가 제공되지 않으며 그리고, 패스너 제품의 전체 베이스가, 패스너 요소들 및 리브들이 그로부터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나 죔부로 임의의 기재(20)를 도입하지 않는, 롤 몰딩 장치를 사용하여) 몰딩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된다. 그러한 경우에, 제품의 강도는, 요구되는 영역들 내의 표면 상에 리브들 및 다른 돌출부들을 선택적으로 몰딩함에 의해 그리고, 몰딩된 베이스를 통한 구멍들의 다이 커팅 영역들에 의해서와 같이, 몰딩 이후에 다른 영역들 내의 재료를 제거함에 의해, 체결 영역 삽입체를 형성하기 위해 나머지로부터 다이 커팅될 임의의 섹션의 폭 및 길이를 가로질러 요구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패스너 제품은, 강화 리브들(118) 및 굴곡-향상 구멍들(120) 양자 모두를 특징으로 한다. 얇은 필름(122)이, 우수한 발포체 접합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제품이 완충체 또는 토퍼 패드 발포 도중에 삽입체로서 사용될 때 제품의 체결 측부에 대한 발포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들(120)을 가로지르는 것을 포함하여, 제품의 배면을 가로질러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필름은, 예를 들어, 제품의 웹을 형성하는 모든 재료(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 또는 몰딩된 패스너 수지)의 뒷받침판으로서 적층되는, 0.01 mm PET 필름일 수 있다.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토퍼 패드(110)가, 토퍼 패드가 완충체 베이스의 몰딩 도중에 완충체 베이스의 발포체에 영구적으로 접합되도록, 완충체 베이스가 그 내부에서 형성되는 몰드 내로 대신 삽입된다. 이러한 예에서, 토퍼 패드는, 완충체- 몰딩 캐비티 내로 삽입되기 이전에 평평하지 않은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그의 표면 상에서의 패스너 제품의 열성형에 의해 또는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평한 발포체 토퍼 패드가,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체결 영역 경계부들 상에 작용하는 몰드 표면 내의 자석들의 인력에 의해, 요구되는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완충체 발포 도중에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토퍼 패드의 발포체 층은, 임의의 부직포 기재의 포함 없이, 체결 영역들을 지지하는 기재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2개의 예 중 하나에서, 필름의 층이, 바람직하게, 몰딩 도중에 완충체 발포체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토퍼 패드의, 비-체결 표면 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다른 비-체결 영역들 내에, 제공된다.
다수의 예들이 예시 목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첨부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뒤따르는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 다른 예들 및 수정예들이 존재하며 그리고 존재하게 될 것이다.

Claims (18)

  1. 패스너 제품으로서,
    가요성 기재(20);
    상기 가요성 기재의 하나의 측부의 단지 일부를 커버하며 그리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하나의 측부의 일 구역을 노출된 상태로 남도록 하는 수지층(22)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재로부터 맞물림 가능 헤드(28)까지 상기 층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수지 스템(26)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터치 패스너 요소(24)를 보유하는 것인, 수지층(22); 및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36)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재에 접합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24) 중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노출된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경계 한정된 부분(38)을 경계 한정하는 것인, 가요성 강자성 스트립(36)
    을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스트립(36)은,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38)과 상기 가요성 기재의 측방 에지들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강자성 스트립은, 상기 가요성 기재(20)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며, 및/또는 노출된 구역의 부분은,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의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재(20)는, 직물 시트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가요성 기재는, 부직포 소재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수지층(22)은, 상기 직물 시트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22)은,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32)을 포함하고, 각 수지 레인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을 보유하며, 각 쌍의 인접한 레인들은, 노출된 가요성 기재의 레인(34)에 의해 분리되고, 특히 상기 평행한 레인들(32) 각각의 부분들은,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38) 내부에 놓이며, 및/또는 상기 강자성 스트립(36)은, 상기 평행한 레인들(32)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로지르는 것인, 패스너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재(20)는, 수지의 상기 레인들(32)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이고, 및/또는 노출된 가요성 기재의 각 레인(34)은, 상기 평행한 레인들(32)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행한 레인들(32)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38)의 범위의 8 퍼센트 미만의 폭이며, 및/또는 상기 강자성 스트립은, 상기 평행한 레인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서로 등지는 종방향 측부들과 접경하는 것인, 패스너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22)은, 수지의 복수의 별개의 섬(78)을 포함하고, 각 수지 섬은,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을 보유하는 가운데, 인접한 섬들이, 노출된 가요성 기재(80)에 의해 분리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스트립(36)은, 상기 가요성 기재(20)의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24)과 동일한 측부 상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강자성 스트립(36)은, 인접한 스트립 부분들 사이의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 내에 통기 간극(66, 72, 76)을 한정하며, 특히 상기 통기 간극(66, 72, 76)은,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38)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를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약간의 발포체가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 내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및/또는 상기 통기 간극(76)은, 적어도 30도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경로를 한정하는 것인, 패스너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의 최소 대 최대 측방 직교 치수의 비율이, 0.3 내지 1.0 사이이고, 및/또는 상기 경계 한정된 부분의 최소 측방 치수는, 적어도 50 mm인 것인, 패스너 제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22)은, 상기 가요성 기재(20)로부터 측정 시 0.025 내지 0.5 밀리미터 사이의 전체 두께를 갖고, 및/또는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은, 상기 수지층으로부터 0.13 내지 1.6 mm 사이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22)은, 상기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에 부가하여 상기 기재(2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수지의 하나 이상의 강화 리브(118)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는, 패스너 제품의 굽힘 강도를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20)를 관통하는 이격된 구멍들(120)이 한정되고, 상기 구멍들은 패스너 제품의 굽힘 강도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배열되며, 및/또는 패스너 제품은, 터치 패스너 요소들(24) 반대편의 상기 기재의 측부 상에 배치되는, 수지 필름(122)을 더 포함하고, 특히 상기 필름은, 상기 기재를 통해 한정되는 구멍들(120)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패스너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재(20)는, 발포체의 층을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제품.
  13. 매립된 패스너 제품(40)을 구비하는 발포체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몰드 캐비티(102)의 내부 표면에 대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스너 제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캐비티를 폐쇄하는 단계;
    발포 수지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용적을 채우기 위해 그리고 경계 한정된 영역(38) 반대편의 제품의 측부를 맞물기 위해, 유동하고 팽창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발포 수지를 상기 캐비티에 도입하는 단계; 및
    발포체 제품의 표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패스너 제품(40)을 갖는, 몰딩된 발포체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팽창된 발포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캐비티의 내부 표면은, 볼록 표면이고, 및/또는 강자성 스트립(36)은, 발포체 몰딩 도중에 상기 내부 표면에 대해 상기 패스너 제품(40)을 유지함에 의해,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38)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하며, 및/또는 상기 강자성 스트립의 일부분이, 발포체 몰딩 도중에 몰드 표면에 대해 유지되는 강자성 스트립(36)에 의해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의 발포체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과 상기 가요성 기재(20)의 측방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인접한 스트립 부분들 사이의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38) 내에 통기 간극(66, 72, 76)을 한정하며, 그리고 발포 수지를 도입하는 단계는,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 내부의 모든 터치 패스너 요소들(24)을 오염시키지 않는 가운데, 일부 발포체가 상기 통기 간극을 통해 상기 경계 한정된 영역 내로 유동하는 것을 야기하는 것인,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22)은, 수지의 복수의 평행한 레인(32)을 포함하고, 발포체 제품은, 시트 완충체를 포함하며, 그리고 패스너 제품(40)을 배치하는 단계는, 수지의 레인들(32)이, 착좌를 위해 설치될 때의 상기 시트 완충체 내에서의 수직 배향에 대응하도록 선택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패스너 제품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및/또는 패스너 제품(40)은, 본질적으로 발포체 제품의 전체 횡방향 범위를 커버하도록 크기 결정되는 것인,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캐비티(102)는, 토퍼 패드의 표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패스너 제품을 갖는 몰딩된 발포체 토퍼 패드(110)를 형성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방법은, 시트 완충체에 대한 시트 커버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노출되는 경계 한정된 영역들(38)을 구비하는 시트 완충체를 형성하도록, 몰딩된 시트 완충체 베이스(114)에 상기 토퍼 패드를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퍼 패드(110)는, 상기 시트 완충체의 착좌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형성하고, 특히 상기 토퍼 패드는, 중앙 착좌 영역 및 중앙 착좌 영역의 양측의 덧받침부들(bolsters) 양자 모두를 형성하며, 및/또는 상기 캐비티에 도입되는 발포 수지는, 상기 몰딩된 시트 완충체 베이스(114)보다 더 부드럽도록 상기 토퍼 패드를 몰딩하기 위해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227039415A 2020-04-29 2021-04-28 몰드-인 패스너 KR102529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7020P 2020-04-29 2020-04-29
US63/017,020 2020-04-29
PCT/US2021/029576 WO2021222364A1 (en) 2020-04-29 2021-04-28 Mold-in faste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670A true KR20220156670A (ko) 2022-11-25
KR102529652B1 KR102529652B1 (ko) 2023-05-04

Family

ID=7597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415A KR102529652B1 (ko) 2020-04-29 2021-04-28 몰드-인 패스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83625B2 (ko)
EP (1) EP4143446B1 (ko)
KR (1) KR102529652B1 (ko)
CN (1) CN115461548A (ko)
MX (1) MX2022013459A (ko)
WO (1) WO2021222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3446B1 (en) 2020-04-29 2023-10-04 Velcro IP Holdings LLC Mold-in fasteners
US20230104258A1 (en) * 2021-10-06 2023-04-06 Velcro Ip Holdings Llc Seat cover fastening
US11813777B1 (en) 2022-06-30 2023-11-14 Lear Corporation Kind of foam mold design for concave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40081A1 (en) * 2016-02-23 2017-08-24 Taiwan Paiho Limited Fastening strip for fixing a seat covering to a seat cushion of a ca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6278A (fr) * 1983-12-13 1989-06-27 Bruno Queval Bande d'accrochage destinee a etre fixee en cours de moulage sur un article a mouler et son procede de fixation
US4784890A (en) 1986-06-20 1988-11-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ssembly with peripheral temporary attachment layer
KR940006314B1 (ko) * 1987-12-15 1994-07-16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죔쇠 부재
US5260015A (en) 1991-08-16 1993-11-09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hook fastener
JP2788564B2 (ja) 1992-02-10 1998-08-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シートクッション用の面ファスナー片連結体
US5606781A (en) 1995-02-17 1997-03-04 Velcro Industries, B.V. Separable fastener having a bald perimeter rib bounded by fastening elements
US5945193A (en) * 1995-12-06 1999-08-31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 with porous metal containing layer
DE69707682T2 (de) 1996-07-17 2002-09-12 Minnesota Mining & Mfg Klettband verwendbar als einlageelement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solchen klettbandes mit einem einsatzformteil
US6460230B2 (en) * 2000-01-12 2002-10-08 Kuraray Co., Ltd. Mold-in fastening member and production of molded resin article having mold-in fastening member
AU2001245702A1 (en) 2000-03-14 2001-09-24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ing
US7108814B2 (en) * 2004-11-24 2006-09-19 Velcro Industries B.V. Molded touch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DE602007006038D1 (de) * 2006-11-10 2010-06-02 Velcro Ind Biegsame klettverschlussprodukte
US20160207432A1 (en) 2009-03-18 2016-07-21 Hwa Cheng Teoh Vehicle seat cover system
TWI381813B (zh) * 2010-01-12 2013-01-11 Taiwan Paiho Ltd A Velcro assembly for a foamed article and a foamed article comprising the adhesive tape assembly
KR101605234B1 (ko) 2010-07-16 2016-03-21 제럴드 로샤 형태적으로 안정한 신축성 터치 파스너 스트립
US9826801B2 (en) * 2015-06-17 2017-11-28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958070B2 (en) 2015-12-18 2018-05-01 Velcro BVBA Membrane edge sealing
US10421414B2 (en) 2016-12-01 2019-09-24 Lear Corporation Contour connect
EP4143446B1 (en) 2020-04-29 2023-10-04 Velcro IP Holdings LLC Mold-in faste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40081A1 (en) * 2016-02-23 2017-08-24 Taiwan Paiho Limited Fastening strip for fixing a seat covering to a seat cushion of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9664A1 (en) 2021-11-04
US11731542B2 (en) 2023-08-22
MX2022013459A (es) 2022-11-16
KR102529652B1 (ko) 2023-05-04
US11383625B2 (en) 2022-07-12
EP4143446A1 (en) 2023-03-08
US20220297580A1 (en) 2022-09-22
EP4143446B1 (en) 2023-10-04
WO2021222364A1 (en) 2021-11-04
CN115461548A (zh)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652B1 (ko) 몰드-인 패스너
US7488527B2 (en) Molded touch fasteners
CN103327845B (zh) 触摸紧固产品面配置
EP0921739B1 (en) Separable fastener having a perimeter cover gasket
US9445650B2 (en) Male surface fastener member for use in a cushion body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606781A (en) Separable fastener having a bald perimeter rib bounded by fastening elements
US7971325B2 (en) Touch fastener products
KR20130041254A (ko) 성형면 파스너
JP6628817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
EP3925479B1 (en) Molded hook-and-loop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hook-and-loop fastener
US20230404220A1 (en) Flexible touch fastener products
US20230032238A1 (en) Mold-in fastener products
JP3644546B2 (ja) モールド成形用面ファスナー体
JP4368473B2 (ja)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