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656A - 배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656A
KR20220155656A KR1020210063159A KR20210063159A KR20220155656A KR 20220155656 A KR20220155656 A KR 20220155656A KR 1020210063159 A KR1020210063159 A KR 1020210063159A KR 20210063159 A KR20210063159 A KR 20210063159A KR 20220155656 A KR20220155656 A KR 2022015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pe
plate
plate par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656A/ko
Publication of KR2022015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어 배관을 고정시키는 U볼트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 상기 U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U볼트와 상기 배관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식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고정 장치{PIP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플랫폼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은 U볼트에 의해 선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 배관과 U볼트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배관과 U볼트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재료를 개재하였다.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도 1에서와 같이 전기 절연성 피복재(1a)를 구비한 U볼트(1)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전기 절연성 피복재(1a)를 구비한 U볼트(1)는 피복재(1a)의 두께 등으로 인해 U볼트(1)의 양단 사이의 간격이 일반 U볼트와 다르게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U볼트(1)가 체결되는 서포트(2)의 설계 초기에는 서포트(2)에 형성하는 한 쌍의 U볼트 체결 홀 간 간격을 이에 맞게 설계하면 되지만, 일반 U볼트에 맞게 설계하여 제작 또는 설치까지 완료된 후 전기 절연성 피복재(1a)를 구비한 U볼트(1)로 교체하려는 경우에는 U볼트 체결 홀을 이에 맞게 다시 가공하거나 서포트(2)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U볼트(1)와 피복재(1a)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부식 우려도 있었다.
다른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일반 U볼트(1)와 배관(3) 사이에 전기 절연성 스트랩(strap)(1b)을 적용하기도 하였지만, 스트랩(1b)의 고정을 위해 U볼트(1)에 의해 스트랩(1b)을 관통시켜야 하였고, 그로 인해 U볼트(1)를 서포트(2)로부터 분리한 후 재 설치하여야 하는 등 많은 생산 공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3744호(2000.07.15, 가스배관 고정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관이 U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도 U볼트와 배관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식방지부재를 구비한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어 배관을 고정시키는 U볼트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 상기 U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U볼트와 상기 배관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식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부재는 상기 배관과 상기 U볼트 간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배관의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부재는, 상기 U볼트와 상기 배관 사이에서 상기 U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U볼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제1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는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제2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는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와 상기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2-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부는 각각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을 감싸는 전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이 U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도 U볼트와 배관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식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일반 U볼트가 기 설치된 상태에서도 설계 변경이나 U볼트의 분리 또는 교체 없이 부식방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갈바닉 부식 방지를 위한 배관 고정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갈바닉 부식 방지를 위한 배관 고정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부식방지부재의 설치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플레이트부, 제2-1 플레이트부 및 제2-2 플레이트부 각각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부식방지부재의 설치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는 U볼트(1), 서포트(2) 및 부식방지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부식방지부재(100)를 설치하기 전 상태, 즉 배관(3)이 U볼트(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U볼트(1)는 서포트(2)에 결합되어 배관(3)을 예를 들어 서포트(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U볼트(1)는 배관(3)을 감쌀 수 있고, U볼트(1)의 양단은 서포트(2)에 형성된 한 쌍의 U볼트 체결 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U볼트(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수나사에는 너트(4)가 체결될 수 있다.
서포트(2)는 구조물, 예를 들어 선체 등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어 U볼트(1)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2)는 브래킷(bracket)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식방지부재(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배관(3)이 U볼트(1)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U볼트(1)와 배관(3)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전기 절연성 재료, 예를 들어 테플론(Teflo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식방지부재(100)는 U볼트(1)와 배관(3) 간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U볼트(1) 및 배관(3)의 갈바닉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부식방지부재(100)는 제1 플레이트부(110) 및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10)는 U볼트(1)와 배관(3) 사이에서 U볼트(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부(110)는 도 5에서와 같이 평평한 플레이트 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배관(3)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려진 상태로 U볼트(1)와 배관(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10)의 길이(L1)는 배관(3)의 원주 길이의 3분의 2이상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120)는 각각 제1 플레이트부(110)의 측단에서 분기되어 U볼트(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부(120)는 도 5에서와 같이 평평한 플레이트 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부(110)가 U볼트(1)와 배관(3)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U볼트(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부식방지부재(100)는 U볼트(1)를 감싸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120)에 의해 U볼트(1)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120)는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121) 및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121)는 제1 플레이트부(110)의 제1 측단에서 각각 분기할 수 있다.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122)는 제1 플레이트부(110)의 제2 측단에서 각각 분기할 수 있다.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121)와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122)는 제1 플레이트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1 플레이트부(121) 사이에는 하나의 제2-2 플레이트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부(120)를 제1 플레이트부(110)의 일 측단에만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플레이트부(120)를 제1 플레이트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역에 걸쳐 형성할 수 있어 U볼트(1)에 대한 고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2 플레이트부(120) 각각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제2 플레이트부(120)의 굽힘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1 플레이트부(121)의 원위 말단에서 제2-2 플레이트부(122)의 원위 말단까지의 길이(L2)는 U볼트(1)의 원주 길이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식방지부재(100)는 U볼트(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U볼트(1)에 대한 고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2 플레이트부(122)의 폭(w)은 한 쌍의 제2-1 플레이트부(121) 사이의 간격(d)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U볼트(1)의 원주 길이가 제2-1 플레이트부(121)의 원위 말단에서 제2-2 플레이트부(122)의 원위 말단까지의 길이(L2)보다 큰 경우에 제2-1 플레이트부(121)와 제2-2 플레이트부(122)가 상호간에 겹쳐 U볼트(1)에 밀착되지 않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플레이트부, 제2-1 플레이트부 및 제2-2 플레이트부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부(110), 제2-1 플레이트부(121) 및 제2-2 플레이트부(122) 각각은 금속층(100a), 및 금속층(100a)을 감싸는 전기 절연층(100b)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100a)은 금속을 포함하여 제1 플레이트부(110), 제2-1 플레이트부(121) 및 제2-2 플레이트부(122)의 굽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굽힘 가공 후 형상 유지를 위해 필요한 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금속층(100a)은 예를 들어 1mm 두께의 스틸 재질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절연층(100b)은 전기 절연성 재료, 예를 들어 테플론(Teflon)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층(100a)의 표면 전역에 걸쳐 1mm 두께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U볼트 1a: 피복재
1b: 스트랩 2: 서포트
3: 배관 4: 너트
10: 배관 고정 장치 100: 부식방지부재
100a: 금속층 100b: 전기 절연층
110: 제1 플레이트부 120: 제2 플레이트부
121: 제2-1 플레이트부 122: 제2-2 플레이트부

Claims (4)

  1.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어 배관을 고정시키는 U볼트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 상기 U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U볼트와 상기 배관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부식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부재는,
    상기 U볼트와 상기 배관 사이에서 상기 U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U볼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제1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는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제2 측단에서 각각 분기되는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1 플레이트부와 상기 복수의 제2-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배관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2-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부는 각각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을 감싸는 전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
KR1020210063159A 2021-05-17 2021-05-17 배관 고정 장치 KR20220155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59A KR20220155656A (ko) 2021-05-17 2021-05-17 배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59A KR20220155656A (ko) 2021-05-17 2021-05-17 배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56A true KR20220155656A (ko) 2022-11-24

Family

ID=8423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159A KR20220155656A (ko) 2021-05-17 2021-05-17 배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56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4A (ko) 1998-08-12 2000-03-06 구자홍 정지 화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4A (ko) 1998-08-12 2000-03-06 구자홍 정지 화면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44B1 (ko) 배관용 클램프
US7575447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on of pipes
US20200116292A1 (en) Bending restrictor
US3990478A (en) Combined strengthening and corrosion protection of pipelines
KR101000029B1 (ko) 배관용 방진 고무마운트
KR20220155656A (ko) 배관 고정 장치
US8636877B2 (en) Sacrificial anode system
JPS62263987A (ja) 陰極保護システム
JP4847307B2 (ja) カソード防食システム及びカソード防食方法
US8400749B2 (en) Aircraft joint and bonding lead
US4692231A (en) Apparatus for cathodic protection of metal piping
US8399770B1 (en) Arm attachment bush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899249B2 (en) Strut insulators
JP4978861B2 (ja) 既設pc桁端部の電気防食方法
KR200181300Y1 (ko) 플랜지 이음에 있어서 갈바닉 부식 방지 장치
JPH11304054A (ja) 配管防食支持構造
CH575096A5 (en) Electrically insulated coupling for pipes - reduces incidence of corrosion by preventing flow of electrical corrosion enhancing currents
EP0132332A1 (en) Cathodic protection system for pipes
US20040112621A1 (en) Easy installation sub-grade conduit connector
JP3135432U (ja) 電気鉄道構造物
US7081187B1 (en) Internal cathodic protection system
CN217583648U (zh) 金属管道跨接件和金属管道系统
KR20140051999A (ko) 파이프 절연 조인트
CN213086116U (zh) 管道的牺牲阳极装置
CN111641051B (zh) 一种室外的金属电缆托架的接地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