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08A - 레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08A
KR20220152608A KR1020210059710A KR20210059710A KR20220152608A KR 20220152608 A KR20220152608 A KR 20220152608A KR 1020210059710 A KR1020210059710 A KR 1020210059710A KR 20210059710 A KR20210059710 A KR 20210059710A KR 20220152608 A KR20220152608 A KR 2022015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sensor
support di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홍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준 filed Critical 홍성준
Priority to KR102021005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608A/ko
Publication of KR2022015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3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으면 철근을 레이저가 배치된 커팅부까지 자동으로 이동시켜 레이저에 의해 철근을 절단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 장치{Laser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으면 철근을 레이저가 배치된 커팅부까지 자동으로 이동시켜 레이저에 의해 철근을 절단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판 등의 대형 철근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있다.
종래에는, 철근을 절단하기 전에 작업자들이 철근을 직접 들어 지지다이에 올려 놓고, 지지다이를 레이저가 있는 커팅장치로 이동시킨 후 레이저에 의해 철근이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철근은 작업자가 하나씩 하나씩 수거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철근 절단작업은, 작업자가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은 후 별도로 지지다이를 레이저의 하부까지 이동시켜 배치하여야 하고, 레이저에 의해 절단된 철근을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수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좋지 못하다.
또한,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을 때, 철근의 하면이 지지다이에 접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을 지지다이의 상부에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지지다이가 레이저가 장착된 커팅부로 이동하여 철근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철근은 한쪽 방향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을때 철근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장치는, 상면에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다이와; 상기 지지다이의 상면에 철근이 안착되어 있지는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다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와; 상기 수평구동부에 의해 이동된 철근을 레이저로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수평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다이의 상면에 철근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다이를 상기 커팅부 내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레이저를 작동시켜 상기 철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이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구동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철근의 투입시 상기 철근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철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미끄럼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단이 뾰쪽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하면에 점접촉으로 접하면서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가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미끄럼부재의 상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장착된 제1센서와;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된 제2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철근을 감지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철근을 감지하면, 상기 철근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수평구동부재를 작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부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커팅부의 외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절단된 철근을 상기 받침부재 및 미끄럼부재보다 더 높게 부양시킨다.
상기 부양부재는 상호 이격된 상기 받침부재 사이를 통해 승강된다.
상기 부양부재는,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승시 상기 철근의 하부에 접하는 부양대와; 상기 부양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양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길이 신축에 의해 상기 부양대를 상기 승강부재에 대하여 상승시키는 경사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양대는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경사형성부재는 상기 부양대의 타단과 상기 승강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길이 신축에 의해 상기 부양대를 경사지게 배치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철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부양대가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철근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철근이 감지되면, 상기 부양대를 하강시켜 상기 철근이 상기 받침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팅부에 의한 상기 철근의 절단이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안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부양대를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시켜 상기 부양대가 절단된 철근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경사형성부재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부양대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승하여 상기 부양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부양대의 상부에 놓인 절단된 철근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부양대를 따라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부양대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볼캐스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저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철근을 지지다이의 상부에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지지다이가 레이저가 장착된 커팅부로 이동하여 철근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철근은 한쪽 방향으로 수거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을 지지다이에 올려 놓을때 철근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2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지지다이에 철근이 투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지지다이에서 철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구조도.
본 발명의 레이저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이(10)와, 센서(20)와, 수평구동부(30)와, 커팅부(40)와, 제어부(미도시)와, 부양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다이(10)는 상면에 철근(61)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프레임부재(11)와 이동부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11)는 상기 지지다이(1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빈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구동부(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1)의 상면에는 상기 철근(61)의 투입시 상기 철근(61)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철근(6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미끄럼부재(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부재(13)는 볼캐스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2)에는 상단이 뾰쪽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61)의 하면에 점접촉으로 접하면서 상기 철근(61)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14)가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다.
상기 미끄럼부재(13)의 상단은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위와 같이 상기 미끄럼부재(13)의 상단이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철근(61)를 외부에서 상기 이동부재(12)에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상기 철근(61)의 하면이 상기 미끄럼부재(13)에 접하여 쉽게 이동하면서도 상단이 날카로운 상기 받침부재(14)에 걸려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20)는 상기 지지다이(10)의 상면에 철근(61)가 안착되어 있지는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20)는, 상기 프레임부재(11)에 장착된 제1센서(21)와, 상기 이동부재(12)에 장착된 제2센서(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구동부(30)는 상기 지지다이(10)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부재(1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수평구동부(30)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구동수단 예를 들어 벨트, 기어, 리니어모터, 체인 등으로 이루어져, 전기인가에 따른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수평구동부(30)에 의해 이동된 철근(61)를 레이저로 절단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21)가 상기 철근(61)를 감지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2센서(22)가 상기 철근(61)를 감지하면, 상기 철근(61)가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면에 배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수평구동부(30)를 작동시킨다.
상기 수평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커팅부(40)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를 작동시켜 상기 철근(61)를 절단하도록 한다.
상기 부양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12)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상기 부양부재(50)는 상호 이격된 다수개의 상기 받침부재(14) 사이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상기 부양부재(5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이동부재(12)가 상기 커팅부(40)의 외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부재(50)를 상기 이동부재(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시켜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절단된 철근(62)를 상기 받침부재(14) 및 미끄럼부재(13)보다 더 높게 부양시킨다.
즉, 상기 이동부재(12)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면에 배치된 철근(61)는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철근(61)의 하면은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과 이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양부재(50)는, 부양대(51)와, 승강부재(52)와, 경사형성부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양대(5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받침부재(14) 사이에 배치되고, 상승시 상기 철근(61)의 하부에 접한다.
상기 부양대(5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볼캐스터(54)가 장착되어 있어, 상부에 배치되는 철근(61)가 수평방향으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52)는 상기 부양대(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양대(5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재(52)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형성부재(53)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신축에 의해 상기 부양대(51)를 상기 승강부재(52)에 대하여 상승시킨다.
상기 부양대(51)는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52)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경사형성부재(53)는 상기 부양대(51)의 타단과 상기 승강부재(52)의 타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형성부재(53)의 길이 신축에 의해 상기 부양대(51)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양대(51)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12)에 장착된 상기 제2센서(22)에서 상기 철근(61)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재(52)를 작동시켜 상기 부양대(51)가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철근(61)를 외부로부터 상기 지지다이(10)가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투입하게 되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61)의 하면은 상기 프레임부재(11)에 장착된 상기 미끄럼부재(13)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61)의 하면은 상기 부양대(51)의 상면에 장착된 볼캐스터(54)에 접하면서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양대(51)의 상면은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철근(61)의하면은 상기 받침부재(14)와 접하고 있지 않다.
상기 철근(61)가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부로 모두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부재(11)에 장착된 상기 제1센서(21)에서 상기 철근(61)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이동부재(12)에 장착된 제2센서(22)에서 상기 철근(61)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센서(22)는 약간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22)보다 약간 위에 있는 상기 철근(61)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근(61)가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부에 모두 올려졌다고 판단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상기 부양대(51)를 하강시켜 상기 철근(61)가 상기 받침부재(1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재(52)를 하강시켜 상기 부양대(51)가 상기 받침부재(14)보다 더 낮게 하강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부양대(51)에 올려져 있던 상기 철근(61)는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상기 수평구동부(30)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부재(12)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철근(61)를 상기 커팅부(40)로 이동시키고,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철근(61)를 절단하도록 한다.
상기 철근(61)의 절단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구동부(30)는 상기 이동부재(12)를 상기 커팅부(4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부재(11)의 내부로 다시 이동시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철근(61)의 절단이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12)가 상기 프레임부재(11)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2)를 이용하여 상기 부양대(51)를 상기 받침부재(14)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시킨다.
그러면, 절단된 철근(62)는 상기 부양대(51)에 의해 약간 더 상승하면서 지지되게 된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형성부재(53)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부양대(51)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부양대(51)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절단된 철근(62)를 지지하는 상기 부양대(51)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부양대(51)의 상부에 놓인 절단된 철근(62)는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부양대(51)를 따라 한쪽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지지다이(10)의 상부에 놓인 다수개의 절단된 철근(62)를 하나씩 하나씩 어렵게 수거할 필요없이, 상기 지지다이(10)의 외부 한쪽에 위치하면서 상기 부양대(51)를 따라 하강되는 절단된 철근(62)들을 한꺼번에 수거하여 다른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61)를 투입하게 되면 철근(6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자동으로 철근(61)를 절단하고, 절단된 철근(62)를 한방향으로 모아 작업자가 절단된 철근(62)를 쉽게 수거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레이저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지지다이, 11 : 프레임부재, 12 : 이동부재, 13 : 미끄럼부재, 14 : 받침부재,
20 : 센서, 21 : 제1센서, 22 : 제2센서, 30 : 수평구동부,
40 : 커팅부,
50 : 부양부재, 51 : 부양대, 52 : 승강부재, 53 : 경사형성부재, 54 : 볼캐스터,
61 : 철근, 62 : 절단된 철근.

Claims (1)

  1. 상면에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다이와;
    상기 지지다이의 상면에 철근이 안착되어 있지는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다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와;
    상기 수평구동부에 의해 이동된 철근을 레이저로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수평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다이의 상면에 철근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다이를 상기 커팅부 내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레이저를 작동시켜 상기 철근을 절단하고,
    상기 지지다이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구동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철근의 투입시 상기 철근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철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미끄럼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단이 뾰쪽하게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하면에 점접촉으로 접하면서 상기 철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가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미끄럼부재의 상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장착된 제1센서와;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된 제2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철근을 감지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철근을 감지하면, 상기 철근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수평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부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양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커팅부의 외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절단된 철근을 상기 받침부재 및 미끄럼부재보다 더 높게 부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장치.
KR1020210059710A 2021-05-10 2021-05-10 레이저 장치 KR20220152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10A KR20220152608A (ko) 2021-05-10 2021-05-10 레이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10A KR20220152608A (ko) 2021-05-10 2021-05-10 레이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08A true KR20220152608A (ko) 2022-11-17

Family

ID=8423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10A KR20220152608A (ko) 2021-05-10 2021-05-10 레이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KR101848024B1 (ko) 금속판 절단장치
KR102134475B1 (ko) 철판 절곡 장치
KR20180067292A (ko) 승강작업대
KR20220152608A (ko) 레이저 장치
KR10206533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판재 절단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US3874477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horing up the base frame of lifts hoists and the like
KR101862300B1 (ko) 샤링기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JP2009107746A (ja) 高所作業用昇降装置
CN216582948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生产的上料装置
CN213504722U (zh) 一种板材上料装置
JP2007062891A (ja) パレット積み降ろし装置
KR102035194B1 (ko) 가이드 조정이 가능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KR101903689B1 (ko) 블록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연결 방법
CN218483756U (zh) 烟叶上料机构
CN105398080B (zh) 一种全自动移模推料装置
CN211847001U (zh) 一种双电机升降机械伸展装置
JPH07223707A (ja) 自動倉庫の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11565260U (zh) 一种用于金属件加工翻转装置
CN213887986U (zh) 一种建筑工程用钢筋等长切割装置
JPH06199406A (ja) 自動倉庫の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110240085B (zh) 一种感应锌锅用丝杆提升装置
CN216038445U (zh) 一种具有称重结构的液压提升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