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500A -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500A
KR20220151500A KR1020210058825A KR20210058825A KR20220151500A KR 20220151500 A KR20220151500 A KR 20220151500A KR 1020210058825 A KR1020210058825 A KR 1020210058825A KR 20210058825 A KR20210058825 A KR 20210058825A KR 20220151500 A KR20220151500 A KR 2022015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lid
support member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064B1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21005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being attached or integral and displaceable into a position overlying the top of the container, e.g. bails, corne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얇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 재질로서 딸기 포장용기를 성형하여 저렴한 원가로서 대량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얇은 두께로 성형되지만 적층시에 포장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포장용기의 변형과 딸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게 포장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the strawberry packing container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container in 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얇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 재질로서 딸기 포장용기를 성형하여 저렴한 원가로서 대량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얇은 두께로 성형되지만 적층시에 포장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포장용기의 변형과 딸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게 포장하는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딸기 포장용기는 딸기가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를 덮고 있는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딸기 포장용기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19546호(2003.07.12.)의 딸기 수납용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89440호(2005.07.14.)의 딸기포장용 소쿠리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해 덮개를 개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딸기 포장용기가 특허 제2087231호 로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는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을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한 투명재질로 구성하고, 용기 본체의 중심에 세워진 지지부에 의해 상측에 적층되는 포장용기의 바닥이 원터치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별도의 테이핑 작업 없이 적층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확인과 함께 다단으로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흔들림 없이 결속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딸기의 출하시 딸기를 포장한 포장용기를 다수 개 적층하여 유통하게 되므로 딸기를 담는 용기본체는 적층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반면에 뚜껑은 용기본체보다는 얇고 투명한 PET, PE 소재로 성형 되므로 뚜껑의 강도가 약하여 딸기를 담은 포장용기를 적층시 상부 포장용기의 전체 무게를 하부 포장용기의 뚜껑이 감당하여 쉽게 변형될 뿐 아니라 특히 포장용기는 다수 개가 적층 되므로 상부의 가압하중은 매우 커서 적층된 포장용기의 하부로 갈수록 뚜껑이 눌리고 짜부라지는 변형이 발생 되므로 내용물의 손상으로 인해 상품가치를 저하시키게 되는 일부 단점이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의 중심에 입설된 지지부는 용기본체와 뚜껑의 중심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일부 감당할 수 있을 뿐 지지부 외측의 뚜껑 상면 전체에 가해지는 무게는 감당할 수 없으며, 이러한 지지부는 상하 포장용기를 고정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지지부로 인해 용기본체의 포갬이 불가능하여 운반과 취급 및 보관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는 것으로, 포장용기를 구성하는 용기본체의 중심에 일체로 입설된 지지부를 강도를 가지는 별도의 지지부재로 분리 구성하여 용기본체에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조립 설치하고 포장용기의 적층시 강도를 가지는 지지부재의 결합으로 적층되게 하여 하부 포장용기의 뚜껑에 상푸 포장용기의 무게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장용기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와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조립식으로 결합하므로 용기본체의 적층이 가능하여 제작시나 운반 및 보관시에 매우 편리한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딸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저면 외주연에 받침테가 하향 돌출식으로 형성되며, 상부 외부연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플랜지와 외측단에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내저면 중심에는 상면에 수평면을 가진 융기부가 형성되어 저부에 요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융기부의 중심에 끼움홀이 요입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딸기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서 상면에 용기본체의 받침테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결합구멍이 뚫리고, 외주연에는 용기본체의 플랜지와 상향절곡부를 덮어 씌워 다수개의 체결돌기로서 체결하는 절곡테두리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의 융기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삽입되어 원터치식으로 조립 입설되는 경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하부가 용기본체의 끼움홀에 삽입되는 직경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한 원통중공형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홀에 끼워지는 하단 둘레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끼움홀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는 상향확장형 경사면과 걸림턱을 가지는 걸림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의 상단 외주연에는 고정편이 다수개 돌설되고, 용기본체의 융기부에 형성된 수평면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편과 동심에 위치하여 회전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편 내입공간을 가지는 "ㄱ" 자 형상의 고정편 내입구가 다수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삽탈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뚜껑의 결합구멍을 통해 관통되어 상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는 용기본체의 요입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뚜껑받침부에 뚜껑의 결합구멍 가장자리가 재치됨을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되는 포장용기를 강도를 가지는 지지부재의 조립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하부 포장용기에 상부 포장용기의 무게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뚜껑이 변형되어 눌림으로써 딸기가 손상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용기본체가 강도높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용기본체를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와 지지부재는 서로 원터치식으로 조립되므로 용기본체의 포갬이 가능하여 취급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3은는 본 발명의 조립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본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7은 용기본체 하부와 지지부재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를 다단 적층한 상태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한 전달을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예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지지부재의 평면도 이며,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본 지지부재의 평면도 이고, 도 7은 용기본체 하부와 지지부재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확대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를 다단 적층한 상태의 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는 크게 딸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1)을 가지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에 담긴 딸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에서 딸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뚜껑(3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심에 원터치식으로 조립 입설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0)의 저면 외주연에는 받침테(11)가 하향 돌출식으로 형성되며, 상부 외부연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플랜지(12)와 외측단에 상향절곡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본체(10)의 저면 중심에는 상면에 수평면(14)을 가진 소정 크기의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저부에 요입부(16)를 형성하며, 상기 융기부(15)의 중심에 끼움홀(17)이 요입 형성되어 그 내벽에 다수개의 걸림공(18)이 뚫려 있고, 융기부(15)에 형성된 수평면(14)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40)의 고정편(41)이 끼워져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고정편 내입공간(19a)을 가지는 "ㄱ" 자 형상의 고정편 내입구(19)가 다수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0)는 하부는 용기본체(10)의 끼움홀(17)에 삽입되는 직경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한 원통중공형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홀(17)에 끼워지는 하단 둘레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끼움홀(17)의 걸림공(18)에 끼워져 걸리는 상향확장형 경사면(20a)과 걸림턱(20b)을 가지는 걸림돌기(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돌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40)의 상단 외주연에는 용기본체(10)의 고정편 내입구(19)에 끼워지는 고정편(41)이 다수개 돌설되고 이의 하측부에는 후술하는 뚜껑(30)의 상면 중앙의 결합구멍(31)의 가장자리가 재치되는 뚜껑받침부(21)가 지지부재(40)의 본체와 간격을 두고 환설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40)의 상단에 돌출된 고정편(41)과 용기본체(10)의 요입부(16)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 내입구(19)는 동심에 위치하여 회전되면서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40)는 포장용기를 적층시 딸기를 담은 포장용기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뚜껑(30) 및 용기본체(10)보다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상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뚜껑(30)은 상면에 용기본체(10)의 받침테(11)가 안치되는 안치홈(3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수납공간(1)에 대응하는 수납공간(1)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지지부재(40)의 상부가 관통되어 용기본체(10)의 요입부(16)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되는 결합구멍(31)이 뚫리고, 외주연에는 용기본체(10)의 플랜지(12)와 상향절곡부(13)를 덮어씌워 다수개의 체결돌기(33)로서 체결하는 절곡테두리(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딸기 포장용기(100)는 용기본체(10)와 뚜껑(30),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와 뚜껑(30)보다 더 강한 경질의 지지부재(40)로 이루어져 조립되며 딸기 포장용기(100)를 적층시에는 지지부재(40)의 결합으로 적층되어 포장용기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단 적층시 무게로 인한 포장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데 그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딸기를 포장시에 먼저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융기부(15)의 끼움홀(17)에 지지부재(40)의 하부를 삽입하되 걸림돌기(20)와 걸림공(18)이 일치하도록 세워 강하게 힘을 가하면서 삽입하게 되면 걸림돌기(20)가 경사면(20a)에 의해 하강되면서 걸림턱(20b)이 걸림공(18)에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지지부재(40)는 용기본체(10)의 융기부(15)에 형성된 수평면(14)의 중심에 튼튼하게 입설되어 임의로는 분리되지 아니한다.
이 상태에서 딸기를 용기본체(10)에 담은 후 뚜껑(30)을 덮게 되는 데 뚜껑(30)의 상면 중앙에는 지지부재(40)의 상부가 관통되는 결합구멍(31)이 뚫려 있으므로 뚜껑(30)을 결합구멍(31)을 통해 지지부재(40)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끼워 덮게 되면 결합구멍(31)의 가장자리는 지지부재(40)의 뚜껑받침부(21)에 재치되고 이 상태에서 절곡테두리(34)의 체결돌기(33)로서 용기본체(10)와 통상과 같이 체결하게 되면 뚜껑(30)은 용기본체(10)의 상면에 튼튼하게 복착 되고, 내부에 수용된 딸기는 투명으로 된 뚜껑(3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딸기가 수용되어 포장된 포장용기를 다단 적층할 때에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또 다른 포장용기를 용기본체(10)의 받침테(11)가 뚜껑(30)의 안치홈(32)에 안치되도록 적층하되 상부 포장용기의 저부에 형성된 요입부(16)에 하부 포장용기의 뚜껑(30)의 결합구멍(31)을 통해 돌출된 지지부재(40)를 위치시키면 지지부재(40)의 하부가 결합된 끼움홀(17)이 하부 포장용기의 개방된 지지부재(4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부와 하부의 포장용기는 서로 밀착상태로 적층된다.
여기서 용기본체(10)의 저부에 형성된 요입부(16)의 높이와 뚜껑(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재(40)의 높이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로서 일치하므로 상부와 하부의 포장용기는 서로 밀착되는 데, 이같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포장용기를 약간 회전시켜 요입부(16)에 돌출된 "ㄱ"자 형상의 고정편 내입구(19)의 고정편 내입공간(19a)으로 하부의 지지부재(4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41)이 내입되도록 하면 고정편(41)과 고정편 내입구(19)의 내입공간(19a)은 동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편(41)이 고정편 내입구(19)에 긴밀히 내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적층된 상하부 포장용기는 튼튼하게 적층되는데, 여기서 딸기 포장용기(100)의 적층은 강도를 가진 경질 지지부재(40)의 적층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부 포장용기의 전체 하중이 하부 포장용기를 가압하지 않게 됨에 따라 하부 포장용기가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장용기를 다단으로 많은 수량을 적층하여도 경질의 지지부재(40)의 적층 결합으로 하부 포장용기를 가압하지 않고 튼튼하게 포장용기를 적층할 수 있으므로 변형되지 않아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적층된 포장용기를 분리할 때에는 상부 포장용기를 전기한 적층 결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편(41)이 고정편 내입구(19)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간단히 분리되므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적층시 지지부재(40)의 적층 결합으로 적층되므로 종래와 같이 포장용기의 무게 하중이 하부 포장용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아 포장용기가 변형되지 아니하므로 딸기의 손상 방지는 물론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고, 적층되는 포장용기의 하중을 지지부재(40)로서 감당하므로 용기본체(10) 또는 뚜껑(3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 용기본체(10)는 지지부재(40)와 조립식으로 분리되므로 운반과 보관시 용기본체(10)를 적은 부피로 적층할 수 있어 취급이 매우 편리한 등 여러가지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1 : 수납공간 10 : 용기본체 11 : 받침테 12 : 플랜지 13 : 상향절곡부 14 : 수평면 15 : 융기부 16 : 요입부 17 : 끼움홀 18 : 걸림공 19 : 고정편 내입구 19a : 고정편 내입공간 20 : 걸림돌기 20a : 경사면 20b : 걸림턱 21 : 뚜껑받침부 30 : 뚜껑 31 : 결합구멍 32 : 안치홈 33 : 체결돌기 34 : 절곡테두리 40 : 지지부재 41 : 고정편 100 : 딸기 포장용기

Claims (4)

  1. 딸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1)을 가지고, 저면 외주연에 받침테(11)가 하향 돌출식으로 형성되며, 상부 외부연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플랜지(12)와 외측단에 상향절곡부(13)가 형성되고, 내저면 중심에는 상면에 수평면(14)을 가진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저부에 요입부(16)를 형성하며, 상기 융기부(15)의 중심에 끼움홀(17)이 요입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담긴 딸기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서 상면에 용기본체(10)의 받침테(11)가 안치되는 안치홈(3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수납공간(1)에 대응하는 수납공간(1)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결합구멍(31)이 뚫리고, 외주연에는 용기본체(10)의 플랜지(12)와 상향절곡부(13)를 덮어씌워 다수개의 체결돌기(33)로서 체결하는 절곡테두리(34)가 형성된 뚜껑(3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융기부(15)에 형성된 끼움홀(17)에 삽입되어 원터치식으로 조립 입설되는 경질의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40)는 하부가 용기본체(10)의 끼움홀(17)에 삽입되는 직경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한 원통중공형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홀(17)에 끼워지는 하단 둘레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끼움홀(17)의 걸림공(18)에 끼워져 걸리는 상향확장형 경사면(20a)과 걸림턱(20b)을 가지는 걸림돌기(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40)의 상단 외주연에는 고정편(41)이 다수개 돌설되고, 용기본체(10)의 융기부(15)에 형성된 수평면(14)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편(41)과 동심에 위치하여 회전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편 내입공간(19a)을 가지는 "ㄱ" 자 형상의 고정편 내입구(19)가 다수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삽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30)의 결합구멍(31)을 통해 관통되어 상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40)는 용기본체(10)의 요입부(16)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돌출되고, 돌출된 상단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뚜껑받침부(21)에 뚜껑의 결합구멍(31) 가장자리가 재치됨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KR1020210058825A 2021-05-06 2021-05-06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KR10246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25A KR102468064B1 (ko) 2021-05-06 2021-05-06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25A KR102468064B1 (ko) 2021-05-06 2021-05-06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500A true KR20220151500A (ko) 2022-11-15
KR102468064B1 KR102468064B1 (ko) 2022-11-18

Family

ID=8404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25A KR102468064B1 (ko) 2021-05-06 2021-05-06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0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00Y1 (ko) * 2003-10-11 2004-01-16 김지태 딸기 포장용기
JP3108134U (ja) * 2004-10-06 2005-04-07 株式会社アグリス 果実果菜用容器
JP3207437U (ja) * 2016-08-30 2016-11-10 パール化成品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170132642A (ko) * 2016-05-24 2017-12-04 김영덕 과일보관용기
JP2018104063A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羽根 果菜類輸送容器
KR20190115842A (ko) * 2018-04-04 2019-10-14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34B2 (ja) 1991-06-17 2000-11-13 株式会社リケン 縦型電気炉
DE19603097C2 (de) 1996-01-29 1999-06-02 Loh Kg Rittal Werk Steuergerät mit Bedienfel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00Y1 (ko) * 2003-10-11 2004-01-16 김지태 딸기 포장용기
JP3108134U (ja) * 2004-10-06 2005-04-07 株式会社アグリス 果実果菜用容器
KR20170132642A (ko) * 2016-05-24 2017-12-04 김영덕 과일보관용기
JP3207437U (ja) * 2016-08-30 2016-11-10 パール化成品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2018104063A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羽根 果菜類輸送容器
KR20190115842A (ko) * 2018-04-04 2019-10-14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064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72B2 (en) Egg container with stack-spacing system
US20070164023A1 (en) Internal truss system for semi-rigid containers
US8418329B2 (en) Urn with latch
US5353982A (en) Fluent container
JP2020531374A (ja) 再使用可能な容器アセンブリ
US6244459B1 (en) Bulk packaging container
KR101838914B1 (ko) 과일보관용기
CN107487513A (zh) 运输容器
KR102468064B1 (ko) 적층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한 딸기 포장용기
KR101393207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102087231B1 (ko) 딸기 포장용기
KR102087236B1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KR200395626Y1 (ko) 종이박스
KR20180136125A (ko) 벽면체 및 기둥체를 동시에 지지하는 포장박스용 브래킷
KR200391522Y1 (ko) 진공용기
KR101928906B1 (ko) 커버가 구비된 딸기보관용기
WO2019198066A1 (en) A container
EP2842888B1 (en) A container assembly and a lid
KR20180109008A (ko) 프레임을 이용한 포장 상자
JP6978891B2 (ja) 鶏卵容器
JP2007022564A (ja) ファイバードラム
KR20090003889U (ko) 골판지 포장박스용 클립
KR200462032Y1 (ko) 파레트 다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파레트
KR20180000990U (ko) 저비용으로 디자인 변형이 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수납박스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