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418A -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418A
KR20220151418A KR1020210058641A KR20210058641A KR20220151418A KR 20220151418 A KR20220151418 A KR 20220151418A KR 1020210058641 A KR1020210058641 A KR 1020210058641A KR 20210058641 A KR20210058641 A KR 20210058641A KR 20220151418 A KR20220151418 A KR 2022015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oor
box
sales
refrig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602B1 (ko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최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미 filed Critical 최선미
Priority to KR102021005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6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냉장 자동 판매장치는 판매할 냉장 상품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판매함과, 판매함들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판매함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내장 도어와, 제어신호에 따라 내장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과, 복수의 판매함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함체부와,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분산 배치된 온도센서와, 함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외장 도어와, 제어신호에 따라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설비와, 온도센서를 통해 내부공간의 위치별 온도를 입력받아 내부공간의 온도가 일정한 저온도를 유지하도록 냉장설비를 제어하고, 상품 진열과정에서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고 해당 판매함에 판매할 상품을 넣을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을 제어하며, 상품 구매과정에서 고객이 상품을 선택한 후 결제하면 선택된 상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Refrigeration automatic vending device with double door structure }
본 발명은 냉장형 무인 자동 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 도어와 내장 도어를 분리 적용한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automatic vending machine)는 현금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인식시켜 결제를 하면 티켓, 도서, 캔음료, 과자, 커피 등 고객이 원하는 물건이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만들어진 무인 판매기계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인건비의 상승, 장소의 제한 및 구입의 편리성 등에 따라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무인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내장하는 상품수납부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고객이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에 전달하는 배송수단과, 구매자가 상품 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상품 값을 결제하는 결제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신호와 결제시스템의 신호를 받아서 상품을 인출하도록 동작을 지령하는 제어부와, 이들 모든 구성이 수용되고 상품 수납부의 상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냉동.냉장 보관이 필요한 상품을 무인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하기 위해서는 냉동.냉장 기능을 갖는 무인 자동 판매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2065306호로 공고된 '냉동 냉장 무인 자동 판매장치'는 지지바 위에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어 상품의 무게를 감지한 후 인식표 리더기로 읽은 상품의 종류와 변동 무게에 따른 상품의 판매량을 산출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동.냉장 무인 자동 판매장치는 상품 판매실이 상품별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형 통 구조로 되어 있고, 상품 판매실 전체를 하나의 도어로 열고 닫도록 함으로써 냉장 성능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구매를 위해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품 진열 상태가 흐트러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일도어를 갖는 경우 환풍기 동작 등에 따라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오염원들이 유입되기 쉬워 위생적으로도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품 별로 판매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고 각 판매함 마다 독립적으로 내장 도어를 설치함과 아울러 판매함 전체를 밀폐하기 위한 외장 도어를 추가로 구비하여 냉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별로 판매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고, 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송수단이 필요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 배출이 곤란한 무거운 상품도 판매할 수 있는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냉장 자동 판매장치는 판매할 냉장 상품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판매함과, 상기 판매함들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판매함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내장 도어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장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과, 상기 복수의 판매함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분산 배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함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외장 도어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설비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내부공간의 위치별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일정한 저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장설비를 제어하고, 상품 진열과정에서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고 해당 판매함에 판매할 상품을 넣을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을 제어하며, 상품 구매과정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한 후 결제하면 선택된 상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키오스크를 포함하여 외장 도어와 내장 도어가 분리된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함은,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내부에 냉장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에는 상기 내장 도어의 상단이 판매함의 상측에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진열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내장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에는 해당 판매함의 함번호, 상품명, 금액 등이 문자 혹은 QR 코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진열공간에는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키오스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부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해당 판매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임의포장 또는 비포장식품, 양념갈비, 반찬, 해산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별도의 배출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자동 배출이 곤란한 무거운 상품도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자동 배출장치가 복잡한 구조여서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장치는 수동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판매 상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배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상품의 이동과정이 없이 그 자리에서 꺼내므로 배출과정에서 상품이 훼손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싱글도어로 구성된 수동배출 자동판매기의 경우, 결제한 상품 이외의 상품을 가져갈 수 있어 상품의 보안과 냉장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 도어 안쪽에 잠금 가능한 내장 도어로 상품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중 도어에 의해 먼지 등의 유입을 막아 내부공간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고, 상품 판매함의 냉장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중 도어를 열고 상품을 꺼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에서 판매를 위해 상품을 진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장 혹은 냉동 상태로 보관이 필요한 상품은 냉장 판매함 혹은 냉동 판매함에 보관하여 판매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장'이란 용어가 '냉장 또는 냉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중 도어를 열고 상품을 꺼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판매 케비닛(100a) 안에 키오스크(110), 함체부(120a), 냉기 발생부(130), 냉기 가이드부(140), 음료 판매함(150), 전자 레인지(160)가 실장되어 있고, 키오스크(110)가 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72) 및 결제서버(176)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서비스 관리자나 무인 판매시설 운영자는 단말(174)을 통해 서비스 서버(172)와 연결되어 분산 설치된 다수의 무인 판매시설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키오스크(110)는 컨트롤러(111), 터치패널(112), 결제부(113), 프린터(114), 리더기(115), 음성안내기(116), 통신부(117) 등을 구비하여 함체부(120a)의 내부공간을 소정의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장설비를 제어함과 아울러 냉장 상품을 판매함(120-1~120-19)에 진열할 수 있게 하고 고객이 냉장 상품을 구매하는 전체 과정을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2)은 컨트롤러(111)의 제어하에 관리자나 구매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메뉴 버튼과 판매함 선택 버튼을 표시함과 아울러 조작을 입력받아 컨트롤러(111)로 전달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판매함(120-1~120-19)의 배열형태와 동일하게 해당 판매함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을 동일한 배열 형태로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판매함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실시예의 터치패널은 32인치의 넓은 화면으로 되어 있다.
결제부(113)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을 읽기 위한 카드 리더기나 지폐를 인식하기 위한 지폐 인식기, 각종 페이들 처리하기 위한 NFC 리더기 등으로 구현되어 구매할 상품의 비용을 결제할 수 있게 하고, 필요시 컨트롤러(111)를 통해 결제서버(176)와 연동되어 결제를 처리한다.
프린터(114)는 결제 결과 영수증 등을 프린트하기 위한 것이고, 리더기(115)는 QR 코드 등을 읽어 컨트롤러(111)로 전달하며, 음성안내기(116)는 동작중 사용자의 조작을 안내하거나 작동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부(117)는 유무선 통신모듈로 구현되어 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72)와 통신할 수 있게 하고, 필요시 고객의 단말과도 무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컨트롤러(111)는 터치패널(112)에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버튼 조작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판매함의 내장 도어(121)를 잠금 혹은 잠금해제하기 위해 도어록(122)을 제어함과 아울러 조명등(124)을 점등하여 선택된 판매함을 표시하게 한다. 또한 컨트롤러(111)는 함체부(120a)에 분산 설치된 온도센서들(120b)로부터 함체부 내부공간의 온도를 입력받아 소정의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기 발생부(130)와 냉기 가이드부(1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11)는 사용자가 음료를 선택하면 음료 판매함(150)을 제어하여 선택된 음료를 배출구(152)로 배출시키고, 구매과정에서 전자렌지 사용을 선택하면 해당 냉장 상품 배출 후 전자렌지(16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도시락 등을 무인 판매할 경우에 해당 도시락을 구매하면서 전자렌지 사용을 선택하면, 해당 도시락 구매 후 전자렌지(160)를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함체부(120a)는 내부 공간에 다양한 크기의 판매함(120-1~120-19)들이 배열되어 각 판매함(120-1~120-19)에 판매할 냉장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하고,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정 위치에 온도센서(120b)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함체부 전면에는 내부 공간 전체를 밀폐하기 위한 외장 도어(104)가 설치되어 있다. 외장 도어(104)는 판매함에 진열된 상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되어 있고, 손잡이(104a)를 잡고 열고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판매함들(120-1~120-19)은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내부에 냉장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에는 내장 도어(121)의 상단이 판매함의 상측에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진열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내장 도어(121)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122)이 설치되어 있다. 내장 도어(121)는 바람직하게는 진열공간에 전시된 상품을 내장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되어 있다.
또한 판매함들(120-1~120-19)의 전면에는 해당 판매함의 함번호, 상품명, 금액 등이 문자로 표시되어 있거나 QR코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명패(126)가 부착되어 있고, 진열공간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124)도 진열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직육면체형 판매함은 냉기의 순환 및 통과를 위해 상판과 하판이 봉형태로 구현되거나 관통공이 형성된 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의 상측에 동일한 크기의 판매함들(120-1~120-16)이 4x4 형태로 배치됨과 아울러 하측에 상측보다 큰 사이즈의 판매함(120-17~120-19)이 3개 배열되어 총 19개의 판매함이 배열되어 있다.
냉기 발생부(130)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컴프레셔와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냉장(냉동)설비이고, 냉기 가이드부(140)는 냉기 발생부(130)에서 생성된 냉기를 함체부(120a)의 내부공간으로 골고루 분배시키기 위한 송풍기 및 배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료 판매함(150)은 키오스크의 후방에 설치되어 캔 형태의 음료를 적층시켜 놓은 후 순차적으로 배출구(152)로 배출시켜 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것이다. 음료 판매함(150)의 구조 및 동작은 통상의 음료 판매함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렌지(160)는 컨트롤러(111)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되도록 되어 있으며, 냉장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구매자가 '전자렌지 사용'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 판매 후 소정 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되어 구매자가 구매한 냉장 상품을 데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에서 판매를 위해 상품을 진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판매자가 키오스크(110)에서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로그인하면, 상품을 진열하거나 진열된 상품을 교환 혹은 회수하기 위한 메뉴 버튼을 터치패널에 표시한다(S101~S103). 터치패널의 화면 하단에는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 들이 항상 표시될 수도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 버튼(스위치)을 이용할 수도 있다.
판매자가 '진열' 버튼을 선택하면, 키오스크(110)는 빈 판매함을 표시하거나 표시된 판매함에서 빈 판매함을 선택하게 한다(S104,S105).
이어 키오스크(110)는 선택된 판매함에 진열할 상품의 정보(상품명, 설명, 금액, 사진 등)를 입력받아 상품을 등록한다(S106). 이때 진열할 상품의 QR 코드나 고유 식별번호 등을 이용하면 별도의 상품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서비스 서버(172) 등과 연동되어 바로 상품정보가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서버(172)에 판매할 상품 정보나 가격 등을 먼저 등록해 놓고 QR코드를 발행하면, 키오스크의 리더기(115)를 통해 QR코드를 읽어 별도의 입력없이 상품을 등록할 수도 있다.
상품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판매함의 내장 도어(121)의 잠금을 해제하고 조명등(124)을 점멸하여 이를 표시한다(S107). 이에 따라 판매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장 도어(104)를 열고, 선택된 판매함의 내장 도어(121)를 열어 판매할 냉장 상품을 해당 판매함의 진열공간에 진열한다(S108).
진열을 완료하고 내장 도어(121)와 외장 도어(104)를 모두 닫으면, 키오스크(110)가 진열완료로 판단하여 해당 판매함의 도어록을 잠그고, 판매시작 버튼을 누르면 판매개시를 안내한다(S109~S112).
키오스크(110)는 진열이나 구매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일정시간이 되면 무인 자동판매장치의 판매 현황이나 동작 상태를 서비스 서버(172)로 보고한다(S113). 이에 따라서 시비스 서버(172)는 분산 설치된 판매자의 무인 판매대 현황을 통계처리하여 관리자나 운영자에게 전달한다.
한편, 판매자가 '회수/교환' 버튼을 선택하면, 표시된 판매함에서 회수/교환할 판매함을 선택하게 한다(S114,S115).
회수/교환할 판매함이 선택되면, 해당 판매함의 판매동작을 중지하고, 내장도어(121)의 잠금을 해제한 후 조명등(124)을 점멸하여 이를 표시한다(S116,S117). 이에 따라 판매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장 도어(104)를 열고, 선택된 판매함의 내장 도어(121)를 열어 진열된 냉장 상품을 회수하거나 교환한다(S118).
회수/교환이 완료되어 내장 도어(121)와 외장 도어(104)를 모두 닫으면, 키오스크(110)가 회수/교환 완료로 판단하여 해당 내장 도어(121)를 잠그고, 회수일 경우 해당 상품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으며, 교환일 경우 판매시작 버튼을 누르면 판매개시를 안내한다(S119,S12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매자가 판매함에서 진열된 상품을 보고, 구매할 상품의 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확인한 후 구매를 결정한다(S201).
키오스크 터치패널에서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의 판매함을 선택하면, 장바구니 저장여부를 표시하여 선택된 상품을 장바구니에 저장하거나 구매를 결정하게 한다(S202). 즉, 2개 이상의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바구니 기능을 이용하여 구매할 상품을 모두 장바구니에 저장한 후 일괄하여 구매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매를 결정하면, 결제할 상품 금액을 표시함과 아울러 전자렌지 사용여부를 안내하고, 전자렌지 사용을 선택하면 상품 금액에 전자렌지 사용 요금을 추가한다(S203~S206).
이어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절차를 처리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상품이 진열된 판매함의 내장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조명등을 점멸하여 이를 표시한다(S207,S208).
이에 따라 구매자가 외장 도어(104)를 열고, 이어 잠금이 해제된 판매함의 내장 도어(121)를 열어 구매한 상품을 인출한다(S209).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인출한 후 내장 도어(121)와 외장 도어(104)를 모두 닫으면, 해당 판매함들의 내장 도어(121)를 모두 잠그고, 구매과정에서 전자렌지 사용을 선택하였으면 전자렌지(160)에 전원을 일정시간 공급하여 전자렌지(16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S210,S211).
키오스크(110)는 구매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일정시간이 되면 무인 자동판매장치의 판매 현황이나 동작 상태를 서비스 서버(172)로 보고한다(S212). 이에 따라서 시비스 서버(172)는 분산 설치된 판매자의 무인 판매 현황을 통계처리하여 관리자나 운영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매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임의포장 또는 비포장식품, 양념갈비., 반찬, 해산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는 구매자가 내장도어를 열고 상품을 직접 인출하는 수동 배출 구조이므로 저렴하게 제작 가능해 판매상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배출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으며, 상품의이동 과정이 없이 그 자리에서 꺼내므로 배출과정에서 상품이 훼손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싱글도어로 구성된 수동배출 자동판매기의 경우 결제한 상품 이외의 상품을 가져갈 수 있어 상품의 보안과 냉장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도어 안쪽에 잠금 가능한 내장도어로 상품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품 판매함의 냉장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냉장 자동판매장치에서 음료 판매함(150)과 전자렌지(160)를 제거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키오스크(2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21인치 터치스크린(212)을 사용하여 키오스크 부분을 중간 정도의 크기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200)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함체부의 전면에 하나의 외장 도어(204)가 설치되어 있고, 판매함들(220-1~220-19)이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내부에 냉장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에는 내장 도어(221)의 상단이 판매함의 상측에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진열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판매함들(220-1~220-19)의 전면에는 해당 판매함의 함번호, 상품명, 금액 등이 문자로 표시되어 있거나 QR코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명패(226)가 부착되어 있고, 진열공간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도 진열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냉장 자동판매장치에서 전자렌지(160)를 제거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키오스크(3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10인치 터치스크린(312)을 사용하여 키오스크 부분을 좁게 구성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자동 판매장치(300)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함체부의 전면에 하나의 외장 도어(304)가 설치되어 있고, 함체부 내부에 있는 판매함들(320-1~320-24)이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내부에 냉장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에는 내장 도어(321)의 상단이 판매함의 상측에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진열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냉장 자동판매장치(300)는 판매함들(320-1~320-24)이 4x6으로 배열되어 총 24개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200,300: 냉장 자동 판매장치 100a: 무인 판매 캐비넷
102: 통신망 104,204,304: 외장 도어
110,210,310: 키오스크 120a: 함체부
120-1~120-19,220-1~220-19,320-1~320-24: 판매함
121,221,321: 내장 도어
130: 냉기 발생부 140: 냉기 가이드부
150: 음료 판매함 160: 전자렌지

Claims (3)

  1. 판매할 냉장 상품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판매함;
    상기 판매함들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판매함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내장 도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장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
    상기 복수의 판매함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분산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함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외장 도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함체부의 내부공간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설비; 및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내부공간의 위치별 온도를 입력받아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일정한 저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장설비를 제어하고, 상품 진열과정에서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고 해당 판매함에 판매할 상품을 넣을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을 제어하며, 상품 구매과정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한 후 결제하면 선택된 상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해당 판매함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여
    외장 도어와 내장 도어가 분리된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함은,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내부에 냉장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을 제공하고, 전면에는 상기 내장 도어의 상단이 판매함의 상측에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진열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내장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에는 해당 판매함의 함번호, 상품명, 금액 등이 문자 혹은 QR코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진열공간에는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부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해당 판매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KR1020210058641A 2021-05-06 2021-05-06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KR10256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1A KR102565602B1 (ko) 2021-05-06 2021-05-06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1A KR102565602B1 (ko) 2021-05-06 2021-05-06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18A true KR20220151418A (ko) 2022-11-15
KR102565602B1 KR102565602B1 (ko) 2023-08-09

Family

ID=8404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41A KR102565602B1 (ko) 2021-05-06 2021-05-06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42Y1 (ko) * 2004-11-15 2005-02-07 주식회사 바이오프라임 히트펌프가 탑재된 독립 인출식 자동판매기
KR20120008233U (ko) * 2011-05-23 2012-12-03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KR102210624B1 (ko) * 2019-09-30 2021-02-01 최선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42Y1 (ko) * 2004-11-15 2005-02-07 주식회사 바이오프라임 히트펌프가 탑재된 독립 인출식 자동판매기
KR20120008233U (ko) * 2011-05-23 2012-12-03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KR102210624B1 (ko) * 2019-09-30 2021-02-01 최선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602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223A (en) Automated vending system for floral arrangements
AU2005280363B2 (en) Point of purchase dispensing device with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6464104B1 (en) Vending system
JP2013088936A (ja) 自動販売機
KR20090122842A (ko)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GB2549127A (en) A vending apparatus
KR102565602B1 (ko)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KR102210624B1 (ko)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JP3182874U (ja) 小型冷蔵庫
JP2018133049A (ja) 会計装置
JP5696500B2 (ja) 自動販売機
KR20090110027A (ko) 자동판매기능을 갖춘 매장용 진열대
RU85079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для цветов (варианты)
JPH1040458A (ja) 自動販売機
KR100732033B1 (ko) 숙박업소를 위한 자동판매기용 결제카드 판매와 정산시스템및 그 방법
CN113129500A (zh) 自动售货机及其显示控制方法、自动售货机系统
CN108629893B (zh) 自动售货机
JPH06509434A (ja) 自動販売機
US20070262083A1 (en) Vending machine with non-vend storage area and modular storage unit
WO2007100400A2 (en) Propane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providing propane cylinders
GB2143661A (en) Sales arrangements
JP2767234B2 (ja) 自動販売機
TWM595858U (zh) 貼身衣物自動販賣機
KR200490285Y1 (ko) 무료 상품 제공실을 포함하는 객실용 자동 판매기
KR20100058000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