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624B1 -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 Google Patents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624B1
KR102210624B1 KR1020190120876A KR20190120876A KR102210624B1 KR 102210624 B1 KR102210624 B1 KR 102210624B1 KR 1020190120876 A KR1020190120876 A KR 1020190120876A KR 20190120876 A KR20190120876 A KR 20190120876A KR 102210624 B1 KR102210624 B1 KR 102210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abinet
sub
products
bo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최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미 filed Critical 최선미
Priority to KR102019012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서로 크기가 다른 상품함들을 조합하여 판매할 다양한 크기의 상품들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 캐비닛과, 상기 서브 캐비닛과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 캐비닛의 상품함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아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하며, 고객의 조작을 입력받아 고객이 선택한 상품함을 개방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메인 캐비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가 다른 상품함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판매할 수 있고, 매장 상황에 따라 상품함들이 배치된 서브 캐비닛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Expandable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무인 자동 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automatic vending machine)는 현금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인식시켜 결제를 하면 티켓, 도서, 캔음료, 과자, 커피 등 고객가 원하는 물건이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만들어진 무인 판매기계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인건비의 상승, 장소의 제한 및 구입의 편리성 등에 따라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무인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내장하는 상품수납부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고객이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에 전달하는 배송수단과, 구매자가 상품 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상품 값을 결제하는 결제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신호와 결제시스템의 신호를 받아서 상품을 인출하도록 동작을 지령하는 제어부와, 이들 모든 구성이 수용되고 상품 수납부의 상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0736302호로 공고된 '무인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인출하는 바구니를 X-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인출하도록 하고, 어떠한 상품이라도 그 포장된 상태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수납부의 상품을 인출구로 배송하기 위한 배송수단이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함과 아울러 캐비닛의 확장이 불가능하고, 상품 수납부의 크기가 일정하여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소규모 판매점의 폐점율이 증가하고, 고객과 점원이 대면하지 않는 언택트 서비스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음에 따라 무인 판매점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무인 판매점의 운영을 위해서는 자동판매기가 필요한데,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이 복잡하고 캐비닛의 확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품함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고, 배송수단이 필요없어 구성이 간단하며, 필요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확장이 용이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장치는 서로 크기가 다른 상품함들을 조합하여 판매할 다양한 크기의 상품들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 캐비닛과, 상기 서브 캐비닛과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 캐비닛의 상품함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아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하며, 고객의 조작을 입력받아 고객이 선택한 상품함을 개방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메인 캐비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캐비닛은 판매할 상품들이 진열된 상품함들로 이루어진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와 상기 서브 캐비닛을 제어하여 상품함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상품을 등록하며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상기 함체부 및 상기 서브 캐비닛과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부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해당 상품함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캐비닛은 상기 메인 통신부 및 각 상품함들과 통신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와,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함들과,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하여 해당 상품함의 도어록을 오픈/클로즈 제어하기 위한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품함과 키오스크가 일체로 된 단일 캐비닛형 자동 판매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장치는 판매할 상품들이 진열된 상품함들로 이루어진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제어하여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고,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부는 메인 통신부와 각 상품함들과 통신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와,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함과,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하여 각 상품함의 도어록을 오픈/클로즈 제어하기 위한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상기 서브 통신부와 연결되어 함체부와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을 입력받고 결제부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상기 서브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가 다른 상품함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판매할 수 있고, 매장 상황에 따라 상품함들이 배치된 서브 캐비닛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판매 및 구매 프로세스가 편리하고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매할 상품에 따라 적합한 규격의 모듈로 구성된 판매 캐비닛을 선택하여 원하는 스펙의 자동판매기 구성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손쉽게 진열하여 판매할 수 있는 구조이며, 뛰어난 시인성과 공간 효율적인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캐비닛 하나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고, 메인 캐비닛에 여러 개의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운영할 수 있는 구조이며, 따라서 매장 크기에 따라 서브 캐비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이고, 순서를 바꿔가며 원하는 타입의 무인 판매장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매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이 고려된 인체공학적인 구조의 설계로 안정성, 이동성, 내구성이 강화된 견고한 구조이고, 다양한 악조건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완성된 구조로서 운영 중 발생하는 시스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넓은 화면의 키오스크를 통한 직관적이고 심플한 화면의 판매 및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매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관리 및 장애 발생 시 응급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캐비닛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15칸 구조를 도시한 예,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32칸 구조를 도시한 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45칸 구조를 도시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개의 메인 캐비닛과 5개의 서브 캐비닛으로 구성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이용한 무인 판매점의 예,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인 판매점의 배치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이용한 이동형 무인 판매점의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신규 서브 캐비닛을 설치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위탁 판매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무인 판매점에 분산 설치된 자동 판매장치와,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서버(40), 관리자 단말기(50), 운영자 단말기(60)로 구성되고, 자동 판매장치는 메인 캐비닛(10)과 복수의 서브 캐비닛(20)들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캐비닛(10)은 판매할 상품들이 진열된 상품함(200)들로 이루어진 함체부(20-1)와, 함체부(20-1)와 서브 캐비닛(20-2~20-N)을 제어하여 상품함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상품을 등록하며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100)로 구성된다.
키오스크(100)는 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4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121)와, 서브 통신부(22-1~22-N)와 연결되어 함체부(20-1) 및 복수의 서브 캐비닛(20-2~20-N)과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12),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122),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104)과, 터치패널(104)의 조작을 입력받고 결제부(122)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해당 서브 컨트롤러(220)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120)로 구성된다.
함체부(20-1)는 메인 통신부(12) 및 각 상품함(200)들과 통신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1)와,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함(200)과, 서브 통신부(22-1)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0)와 통신하여 각 상품함의 도어록(230)을 오픈/클로즈 제어하기 위한 서브 컨트롤러(200)로 구성된다.
또한 서브 캐비닛(20-2~20-N)은 메인 통신부(12) 및 각 상품함(200)들과 통신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2~22-N)와,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함(200)들과, 서브 통신부(22-2~22-N)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0)와 통신하여 각 상품함의 도어록(230)을 오픈/클로즈 제어하기 위한 서브 컨트롤러(200)로 구성된다.
서비스 서버(40)는 전국에 분산되어 있는 무인 판매점들에 설치된 자동판매장치의 각종 정보와, 진열 가능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 대여 운영시 대여 운영자 정보, 유지관리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있다.
관리자 단말기(50)와 운영자 단말기(60)는 PC나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서, 서비스 서버(40)에 접속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자동 판매장치의 상태정보 등을 모니터링하거나 유지보수 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캐비닛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캐비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하우징(14)에 키오스크(100)와 상품함(200)들이 일체로 장착되어 독립형으로도 운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캐비닛 하우징(14)의 상단에는 각 서브 통신부(22-1~22-N)와 통신선을 연결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12)와, 해당 캐비닛의 상품함들을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1)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캐비닛 하우징(14)의 하단에는 조명(26-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 하우징(14)의 상단에는 네임 플레이트(24-1)가 설치되어 해당 캐비닛을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키오스크(100)는 키오스크 하우징(102), 터치패널(104), 키오스크 하우징(102)을 개방하기 위한 키(106), 지폐 투입구(108), 잔돈 배출구(110), 카드 리더기(112), 바코드 리더기(114), 영수증 프린터(1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상품함(200)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문(202)에는 함번호(204)와 진열 상품의 가격표(206)가 부착되어 있다. 상품함(200)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장착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16칸의 소형 상품함과 3칸의 중형 상품함으로 이루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캐비닛(10) 하나로 싱글 자동판매기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메인 캐비닛(10)에 다수의 서브 캐비닛(20-2~20-N)을 연결하여 멀티 자동판매기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15칸 구조를 도시한 예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32칸 구조를 도시한 예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캐비닛의 45칸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캐비닛의 구조는 판매할 상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 캐비닛이 15칸, 32칸, 45칸의 상품함(200)을 갖는 구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비닛 하우징(28)의 상단에 메인 통신부(12)와 통신선을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캐비닛의 상품함들(200)을 통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2)와, 해당 캐비닛을 식별하기 위한 네임 플레이트(24-2)가 설치되어 있고, 캐비닛 하우징(28)의 하단에는 조명(26-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 하우징(28)에는 8칸의 소형 상품함과, 4칸의 중형 상품함, 3칸의 대형 상품함이 조합되어 총 15칸의 상품함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각 상품함(200)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문(202)에는 함번호(204)와 진열 상품의 가격표(206)가 부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비닛 하우징(28)의 상단에 메인 통신부(12)와 통신선을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캐비닛의 상품함들(200)을 통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3)와, 해당 캐비닛을 식별하기 위한 네임 플레이트(24-3)가 설치되어 있고, 캐비닛 하우징(28)의 하단에는 조명(26-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 하우징(28)에는 동일 크기의 상품함이 4x8로 배열되어 총 32칸의 상품함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각 상품함(200)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문(202)에는 함번호(204)와 진열 상품의 가격표(206)가 부착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비닛 하우징(28)의 상단에 메인 통신부(12)와 통신선을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캐비닛의 상품함들(200)을 통신선으로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22-N)와, 해당 캐비닛을 식별하기 위한 네임 플레이트(24-N)가 설치되어 있고, 캐비닛 하우징(28)의 하단에는 조명(26-N)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 하우징(28)에는 24칸의 소형 상품함과, 18칸의 중형 상품함, 3칸의 대형 상품함이 조합되어 총 45칸의 상품함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각 상품함(200)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상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문(202)에는 함번호(204)와 진열 상품의 가격표(206)가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장치는 무인 판매점에 메인 케비닛(10)과 복수의 서브 캐비닛(20)을 배치한다. 서브 캐비닛(20)에서 해당 서브 통신부와 각 상품함들을 통신선으로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메인 캐비닛(10)과 서브 캐비닛(20)을 통신선으로 연결한다(S1,S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선으로 연결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무선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어 키오스크(100)를 통해 서비스 서버(40)와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40)에 무인 판매점을 등록하고, 키오스크(100)에서 상품함 레이아웃을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S3,S4). 상품함 레이아웃은 새로 접속된 서브 캐비닛의 상품함 구조를 해당 키오스크(100)의 로컬 폴더에 등록하는 절차이다.
상품함 레이아웃 설정이 완료되면, 빈 상품함들을 찾아 판매할 상품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한 후 해당 상품함에 판매할 상품을 진열한다(S5,S6).
이후 고객이 무인 판매점에 들어와 진열된 상품을 확인한 후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00)에서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고, 소정의 결제를 수행하면 해당 상품함(200)을 오픈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한다(S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개의 메인 캐비닛과 5개의 서브 캐비닛으로 구성한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메인 캐비닛(10)에 5개의 서브 캐비닛(20-2~20-6)을 연결하여 총 181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멀티 자동판매기를 구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 자동판매기는 소형 매장, 콜라보 매장, 팝업 매장, 이동식 컨테이너 매장 등에 적합한 구성이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 캐비닛 1개에 7개의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총 241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멀티 자동판매기를 구성할 수도 있고, 메인 캐비닛 2개에 10개의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총 362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멀티 자동판매기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메인 캐비닛 2개에 14개의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총 482개의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의 크기나 공간 구조에 따라 메인 캐비닛과 서브 캐비닛의 수를 늘리거나 줄이고 순서를 바꿔가며 원하는 타입의 무인 판매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이용한 무인 판매점의 예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인 판매점의 배치 예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평수 약 8평 기준으로 12개의 캐비닛으로 총 362개의 상품함을 구성한 후, 매장 상황에 따라 음료 자동판매기나 테이블을 준비하여 휴게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고, 크레인 뽑기 등을 설치하여 게임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으며, 샘플 테이블을 설치하여 체험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를 이용한 이동형 무인 판매점의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9M x 3M의 표준 콘테이너를 이용하여 14 캐비닛, 총 422개의 상품함으로 멀티 자동판매기를 구성한 후 매장 상황에 따라 음료 자동판매기나 테이블을 준비하여 휴게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고, 크레인 뽑기 등을 설치하여 게임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으며, 샘플 테이블을 설치하여 체험 코너로 운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형 무인 판매점은 필요에 따라 고객이 많은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매출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판매장치는 도심 속 중소형 무인 판매점으로 설치하여 선물용품, 주얼리, 패션, 의류, 화장품, 빵이나 아이스크림 체인점 등의 영업 마감 후 야간 무인판매 등에 이용할 수 있거나 도로변, 공원, 터미널, 아파트단지 등의 간이 편의점으로 설치하여 생활용품이나 식품 등을 판매할 수도 있다. 특히 식품 등의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장치는 상품함에 냉장시설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신규 서브 캐비닛을 설치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자로 로그인 후, 관리자 모드에서 캐비닛 관리를 선택한 후 상품함 설정을 터치하면 '타입생성'이나 '타입선택'을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이 나타난다(S401~S404). 타입생성은 A,B,C 3종류의 그리드 위에 새로운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타입선택은 로컬폴더에 저장된 이미 설정된 타입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타입선택'을 터치하면, 로컬 폴더에 저장된 캐비닛 타입들을 표시하여 원하는 타입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타입생성'을 터치하면, A,B,C 3 종류의 그리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그리드에서 드래그하여 타입을 생성하면 로컬 폴더에 저장하고 레이아웃을 설정한다(S405~S411).
이와 같이 서브 캐비닛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면, 신규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확장할 경우 실제 서브 캐비닛의 구조와 키오스크 화면의 서브 캐비닛 이미지를 일치시켜 고객의 상품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키오스크에서 관리자나 운영자로 로그인 후, 빈 상품함을 확인하여 상품함을 선택하고, 판매할 상품정보를 입력한다(S501,S502). 상품정보 입력은 서비스 서버(40)에 접속하여 상품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나 바코드 리더기(114)를 이용하여 바코드 스캔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어 판매금액을 설정하고 상품 등록을 터치하면, 해당 상품함이 개방(open)되어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한다(S504~S506).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키오스크 화면의 예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고객이 진열 상품을 확인한 후 키오스크(100)에서 해당 상품을 선택하면, 상품정보를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S701~S703). 상품정보에는 함번호, 상품명, 상품사용법, 상품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품 값을 현금이나 카드로 결제하면, 해당 상품함을 개방함과 아울러 영수증을 출력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한다(S704~S706).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서 위탁 판매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위탁 판매는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고, 캐비닛 전체 또는 상품함 일부를 대여해 자신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위탁 판매 계약을 처리한 후 판매자 인증하고, 대여 상품함을 확인한다(S801~S803).
이어 대여 상품함을 선택하고, 판매할 상품정보를 입력한다(S804). 상품정보 입력은 서비스 서버(40)에 접속하여 상품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나 바코드 리더기(114)를 이용하여 바코드 스캔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어 판매금액을 설정하고 상품 등록을 터치하면, 해당 대여 상품함이 개방(open)되어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한다(S805~S808).
이러한 절차는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위탁판매 계약, 판매관리, 정산/시간제 대여, 기간제 대여/회원제와 성과에 따른 혜택 등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개인사업 또는 기업형 체인사업 형태의 무인 판매점을 개설한 후, 전체 또는 일부를 위탁 판매점으로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메인 캐비닛 12: 메인 통신부
14,28: 캐비닛 하우징 20-1: 함체부
20-2~20-N: 서브 캐비닛 22-1~22-N: 서브 통신부
24-1~24-N: 네임 플레이트 26-1~26-N: 조명
30: 통신망 40: 서비스 서버
50: 관리자 단말기 60: 운영자 단말기
100: 키오스크 102: 키오스크 하우징
104: 터치패널 106: 키
108: 지폐투입구 110: 잔돈배출구
112: 카드 리더기 114: 바코드 리더기
116: 영수증 프린터 120: 메인 컨트롤러
121: 서버 통신부 122: 결제부
200: 상품함 202: 유리문
204: 함번호 206: 가격표
220: 서브 컨트롤러 230: 도어록

Claims (5)

  1. 서로 크기가 다른 상품함들을 조합하여 판매할 다양한 크기의 상품들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 캐비닛과, 상기 서브 캐비닛과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 캐비닛의 상품함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판매할 상품을 등록받아 상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하며, 고객의 조작을 입력받아 고객이 선택한 상품함을 개방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메인 캐비닛을 포함하는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캐비닛은
    판매할 상품들이 진열된 상품함들로 이루어진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와 상기 서브 캐비닛을 제어하여 상품함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상품을 등록하며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상기 함체부 및 상기 서브 캐비닛과 통신하기 위한 메인 통신부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부의 결제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해당 상품함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캐비닛은
    상기 메인 통신부 및 각 상품함들과 통신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서브 통신부와,
    판매할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함들과,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하여 해당 상품함의 도어록을 오픈/클로즈 제어하기 위한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는 신규 서브 캐비닛을 연결하여 확장할 경우 관리자 모드에서 캐비닛 관리를 선택한 후 상품함 설정을 터치하면 '타입생성'이나 '타입선택'을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이 나타나고,
    '타입선택'을 터치하면, 로컬 폴더에 저장된 캐비닛 타입들을 표시하여 원하는 타입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신규 서브 캐비닛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타입생성'을 터치하면, A,B,C 3 종류의 그리드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그리드에서 드래그하여 타입을 생성하면 로컬 폴더에 저장하고 신규 서브 캐비닛의 레이아웃을 설정하여
    확장된 신규 서브 캐비닛의 구조와 키오스크 화면의 서브 캐비닛 이미지를 일치시켜 고객의 상품 선택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0876A 2019-09-30 2019-09-30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KR102210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76A KR102210624B1 (ko) 2019-09-30 2019-09-30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76A KR102210624B1 (ko) 2019-09-30 2019-09-30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624B1 true KR102210624B1 (ko) 2021-02-01

Family

ID=7457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76A KR102210624B1 (ko) 2019-09-30 2019-09-30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7929A (zh) * 2021-10-08 2021-12-17 杭州杂货电科技有限公司 一种讲解器组团租赁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20220151418A (ko) * 2021-05-06 2022-11-15 최선미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487A (ja) * 2006-12-28 2008-07-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装置
KR20130116556A (ko) * 2012-04-16 2013-10-24 류인익 위탁 자동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5944699B2 (ja) * 2012-03-09 2016-07-05 株式会社クボタ 自販機システム
KR20180040702A (ko) * 2015-08-21 2018-04-20 키릴 예두아르도비치 피시크 규제 상품의 원격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5487A (ja) * 2006-12-28 2008-07-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装置
JP5944699B2 (ja) * 2012-03-09 2016-07-05 株式会社クボタ 自販機システム
KR20130116556A (ko) * 2012-04-16 2013-10-24 류인익 위탁 자동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0702A (ko) * 2015-08-21 2018-04-20 키릴 예두아르도비치 피시크 규제 상품의 원격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418A (ko) * 2021-05-06 2022-11-15 최선미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KR102565602B1 (ko) * 2021-05-06 2023-08-09 최선미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CN113807929A (zh) * 2021-10-08 2021-12-17 杭州杂货电科技有限公司 一种讲解器组团租赁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3807929B (zh) * 2021-10-08 2024-03-08 杭州杂货电科技有限公司 一种讲解器组团租赁方法、系统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083B2 (en) Retail convenience market technology with enhanced vendor administration and user mobile app functionality
US8473864B2 (en) Virtual visual selection merchandising interface
US9990658B2 (en) Retail location robotic wall system
RU22665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унктов покупки продуктов
JP5564615B2 (ja) 職場または管理された環境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自動販売機
CN108564444B (zh) 一种自动售货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203084827U (zh) 智能互动体验自助售货机
CN105431872A (zh) 零售系统
KR101520338B1 (ko)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시각화 매장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매장 통합 관리 프로그램
KR102210624B1 (ko) 확장형 자동 판매장치
US20140316917A1 (en) Retail convenience market technology with enhanced vendor administration and user mobile app functionality
CN107657728A (zh) 自助式智能售卖机、售卖系统及其售卖方法
US8583280B1 (en) Vending machine nutriti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ing standard inventory control system components
JP2001338345A (ja) 2画面入力posシステム及び商品選択入力方法
JPH09212749A (ja) オーダーエントリーシステム
US11315130B2 (en) Vending machine
JP2007011510A (ja) 無人フリーマーケットシステム
RU2723144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дажей товаров
KR20090110027A (ko) 자동판매기능을 갖춘 매장용 진열대
JPH08166992A (ja) 商品販売システム及び商品販売方法
KR20020086809A (ko) 자동 판매기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24267A (ja) 自動販売機のデータ設定装置
JP2006227780A (ja) 商品陳列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2018955A1 (ja) 自動販売機
JPH04181497A (ja) ストアの商品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