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553B1 - 조립형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조립형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553B1
KR101124553B1 KR1020100087407A KR20100087407A KR101124553B1 KR 101124553 B1 KR101124553 B1 KR 101124553B1 KR 1020100087407 A KR1020100087407 A KR 1020100087407A KR 20100087407 A KR20100087407 A KR 20100087407A KR 101124553 B1 KR101124553 B1 KR 10112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product
partition wall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남택근
Original Assignee
김병철
주식회사 티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주식회사 티엔코리아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10008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복수의 상기 상품이 각각 수납되는 본체 공간을 가지고, 본체 공간의 외측면을 따라서 종방향과 횡방향에 각각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고정 삽입홈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크기로 구비되어 일측 끝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격벽 돌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 공간을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뉘어 지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격벽 돌기가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최소 단위의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최소의 상기 본체 공간의 전면이 개폐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에 수납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자동 판매기 {assembly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조립형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自動販賣機, automatic vending machine)는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화폐나 신용 카드와 같은 화폐 대체 수단을 이용한 무인 판매기이다. 자동 판매기는 차표, 담배, 커피, 음료, 기타 제품 등의 판매기로서,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이 자동적으로 나오게 된 기계이다.
자동 판매기는 소비 패턴에 대한 변화와 상품 정보에 대한 공개 등으로 인한 새로운 유통 구조의 필요성과 인건비 상승, 판매 장소의 제한 및 구입의 편리성 등과 같은 편의성에 의해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자동 판매기가 보급이 늘어나면서 인력 부족은 완화하고, 소비 환경과 소비 양식이 변화되며, 24시간 무인 판매가 가능하면서 현금 판매에 따른 자금의 회전이 촉진되고, 판매 물품의 전시에 따른 자체적인 판촉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인건비 상승에 대한 해결책 등을 제시할 수 있어 그 설치되는 수량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위치와 판매되는 물품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 판매기는 음료, 식품, 담배, 티켓 등의 기호 물품 및 우표, 엽서, 양말, 휴지, 위생 용품, 신문, 잡지 등의 일상 용품 등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장치와 화폐 교환, 집찰, 개찰, 증명 사진 자동 촬영 등의 일정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장치 등의 종류가 있다. 이런, 자동 판매기는 공공 시설, 터미널, 공장, 학교, 각종 건물, 숙박 업소 등에 설치되어 무인 매점으로서의 큰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물품이 외부로 전시되면서 물품을 선택하여 화폐를 지불하면 안쪽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선택적으로 자유 낙하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로 토출되어 판매를 실시하게 된다. 이런,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많은 수량을 물품을 보관하고 있어 판매 후에도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이 다 소모된 후에 물품이 다시 공급하여 판매할 수 있음에 따라 관리 주기가 늘어나 물품의 판매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물품이 전시되는 부분과 물품이 판매되도록 보관되는 부분이 각각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자체의 크기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 설치 및 이동이 어려우며, 설치의 큰 공간이 필요하고, 제작 비용도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보관된 물품을 자유 낙하에 의해 인출시킴에 따라 고가의 제품이나 얇은 유리 제품 등을 판매하게 되면 자유 낙하 시에 발생된 충격량이 물품에 전달되어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는 판매되는 물품이 보관된 상태에서 공급됨에 따라 보관을 위해서는 냉장, 냉동 및 실온 등의 온도 조건, 및 판매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온도 조건과 크기가 동일 또는 유사 물품을 판매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판매되는 물품이 서로 다른 온도 조건과 크기를 가지고 있으면 보관되는 부분이 각각 분리되어 각 물품에 맞도록 크기와 온도 조건을 가져야 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을 판매하는 것보다 장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 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물품을 하나의 자판기에서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각각의 물품 별로 구획된 공간에 보관하여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가 개발되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자동 판매기는 판매 물품을 구획된 각 공간에 보관한 상태에서 제어부의 작동으로 각각의 공간에 전시된 물품을 바로 구매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자동 판매기는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고가의 물품이나 얇은 유리 제품처럼 손상이 쉬운 물품을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판매할 수 있음에 판매 물품을 다양화 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자동 판매기는 각각 구획된 공간에 판매 물품이 보관되어 공급시킴에 따라 장치의 크기를 축소하면서 다양한 물품을 판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자동 판매기는 복수의 공간이 구획되어 각각 물품이 보관되는 것으로 구획된 공간의 크기에 따라 판매되는 물품이 정해져 있음에 따라 판매 물품이 정해져 있어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의 자동 판매기는 구획된 공간이 정해져 있어 그 공간에 알맞은 물품 만을 판매될 수 있음에 따라 다른 크기에 물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공간을 가지는 다른 자동 판매기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으로 판매되는 상품의 크기와 판매 위치에 따라 조립 형태로 수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판매자가 원하는 상품으로 교체가 용이하고, 원하는 판매 위치로 이동이 간편한 조립형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자동 판매기는 복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복수의 상기 상품이 각각 수납되는 본체 공간을 가지고, 본체 공간의 외측면을 따라서 종방향과 횡방향에 각각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고정 삽입홈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크기로 구비되어 일측 끝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격벽 돌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 공간을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뉘어 지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격벽 돌기가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최소 단위의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최소의 상기 본체 공간의 전면이 개폐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에 수납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격벽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한 상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 공간이 구획되고, 각각 구획된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각각의 상기 본체 공간이 개폐되도록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격벽과 상기 도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은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의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수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로 복수로 배열된 상태로 안쪽에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상기 본체 공간이 구획되도록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격벽으로 구획되는 최소의 상기 본체 공간을 개폐 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분할되는 크기가 조절되는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배열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본체 공간이 개폐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조립된 일측으로 상기 도어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장치,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조립된 일측으로 개폐 시에 상기 잠금 장치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 잠금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는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 되도록 잠금 및 잠금이 해제되면서 상기 상품을 전시 및 판매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품에 따라 지불되는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 투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된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품 선택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폐 투입구와 상기 상품 선택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화폐 투입구에서 투입되는 화폐 상황과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되는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상품에 따라 상기 화폐 투입구에 화폐를 지불한 상태로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선택된 상기 상품이 판매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어에 바깥 둘레와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일측면이 지지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양측에 상기 도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연결 프레임, 상기 도어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의 바깥 둘레 위치와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 고정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는 마감재,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립된 상기 도어의 상기 격벽과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바깥 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격벽 위치로 설치되어 조립된 상기 도어를 상기 격벽에 힌지 결합시키는 도어 힌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연결 위치에서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종방향과 횡방향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 고정체로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는 상기 도어를 연결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마감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의 바깥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 힌지로 개폐되는 조립된 상기 도어의 바깥 둘레를 마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안쪽에는 복수의 상기 격벽이 각각 고정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된 통공 형태의 격벽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격벽의 상기 본체 안쪽 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 고정공에 삽입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고정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된 상기 상품이 설치되도록 구획되는 상기 격벽이 배열되는 위치에 상기 격벽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고정체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격벽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는 상기 격벽을 연결시키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종방향 양끝과 횡방향 양끝에 각각 상기 격벽 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본체 공간의 안쪽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상품이 수납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최소 단위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 공간에 빛을 조사하도록 복수로 배치된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최소 단위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 공간에 냉 난방을 실시하도록 복수로 배치된 냉 난방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와 상기 냉 난방 장치는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서 각각 수납되어 있는 상기 상품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기 위해서 수납되는 자동 판매기의 본체에 복수의 상품을 각각 수납하도록 공간을 나누는 격벽과 격벽으로 나뉘어진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도어를 상호 조립될 수 있는 최소 단위체로 구비되어 있어 판매자가 조립에 의해 상품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판매 효율성이 향상되고, 격벽과 도어가 규격화되어 조립에 의해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품의 크기에 따라 조립이 가능한 격벽과 도어가 설치되어 판매자가 원하는 상품과 판매 위치를 조정하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의 크기로 격벽과 도어를 각각 구비하여 상호 조립될 수 있음에 따라 판매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최소 단위체로 구비되어 있는 격벽과 도어가 횡방향과 종방향에 상품이 설치되는 최소 공간 위치에 각각의 발광 및 온도가 조절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품이 설치되는 공간이 확대되어도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및 온도가 조절되는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환경을 조절할 수 있어 여타의 장치를 상품에 따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상품의 전시성과 보관성이 향상되면서도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격벽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도어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복수의 도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간격으로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또 다른 간격으로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자동 판매기가 설치된 구성은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격벽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도어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주요 부분인 복수의 도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간격으로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조립형 자동 판매기의 상품의 크기에 따라 또 다른 간격으로 조절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자동 판매기(100)는 상품(1)이 진열되어 판매되도록 수납되는 본체부(110), 격벽부(120), 도어부(130), 조명 장치(140), 냉 난방 장치(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복수의 상품(1)이 각각 진열 판매되도록 수납되는 본체(111), 화폐 투입구(115), 상품 선택부(116), 제어 장치(117), 그리고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본체(111)는 복수의 상품(1)이 진열되어 판매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격벽부(120), 도어부(130), 조명 장치(140), 그리고 냉 난방 장치(150)가 수납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본체 공간(112)을 가진다. 본체 공간(112)의 안쪽 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각 떨어져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고정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삽입홈(113)은 본체 공간(112)에 진열 및 판매되는 상품(1)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격벽부(120)의 설치 위치로 형성되어 격벽부(120)가 고정 삽입홈(113)에 삽입 고정되어 본체 공간(112)에 안쪽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체(111)의 안쪽에는 본체 공간(112)의 후면 방향으로 격벽부(120)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된 통공 형태로 복수의 격벽 고정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 고정공(114)은 판매자가 원하는 상품(1)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격벽부(120)가 삽입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화폐 투입구(115)는 본체(111)의 전면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판매되는 상품(1)에 따라 지급되는 화폐가 투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폐 투입구(115)는 제어 장치(117)에 연결되어 투입되는 화폐의 액면가와 수량에 따른 신호를 송부하여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금액이 지불되는지 확인되면서 화폐를 보관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16)는 본체(111)의 전면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판매되는 상품(1)의 전시 위치에 따라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된다. 상품 선택부(116)는 제어 장치(117)에 연결되어 선택된 상품(1)에 따라 화폐 투입구(115)에서 투입된 금액이 일치하면 선택된 상품이 구매될 수 있도록 신호를 송부한다.
제어 장치(117)는 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화폐 투입구(115), 상품 선택부(116), 그리고 격벽부(1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117)는 상품 선택부(116)에서 선택된 상품(1)에 따라 화폐 투입구(115)에서 투입된 화폐의 금액이 일치하면 격벽부(120)를 작동시켜 수납되어 있는 상품(1)이 판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18)는 본체(111)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17)와 연결되어 화폐 투입구(115)에서 투입되는 금액과 상품 선택부(116)에서 선택된 상품(1)을 외부에 표시하여 구매자가 정확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격벽부(120)는 본체(111)의 안쪽에 상품이 수납되도록 본체 공간(112)을 구획하는 격벽(121), 격벽 돌기(122), 고정체(123), 연결체(124), 그리고 잠금 장치(126)를 포함한다. 격벽(121)은 본체 공간(112)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어 있는 상품(1)이 수납되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있다. 격벽(121)은 상품이 보관되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최소 단위 크기로 구비되어 상품(1)의 크기에 따라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수량을 조절하면서 복수로 조립된다. 즉, 상품(1)의 크기에 따라서 최소 크기로 구비된 격벽(121)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수량과 위치가 조절되면서 설치되어 있어 본체 공간(112)은 상품의 크기에 따른 조립을 판매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격벽(1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21)은 크기가 서로 다른 상품(1)을 판매자가 원하는 위치에 수납되도록 조립시킬 수 있어 판매의 편의성을 향상된다.
격벽 돌기(122)는 격벽(121)의 양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본체 공간(112)에 격벽(121) 설치 시에 본체 공간(112)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고정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격벽(121)이 상호 연결 시에 연결체(124)에 삽입되어 본체 공간(112)에 설치되는 격벽(121)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격벽 돌기(122)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품이 수납되도록 조립되는 각각의 격벽(121)에 돌출되어 있어 본체 공간(112)과 접촉되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고정 삽입홈(113)에 삽입 고정되고, 격벽(121)이 상호 연결되는 위치로는 연결체(124)가 삽입되어 연결 고정된다.
고정체(123)는 격벽(121)의 본체(1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된 격벽 고정공(11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고정체(123)는 격벽(121)의 설치 시에 본체(111)의 폐쇄된 후면에 복수로 관통된 격벽 고정공(114)에 삽입 고정되어 격벽(121)이 본체 공간(112)의 안쪽에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판매자가 원하는 크기와 위치에 다양한 크기의 상품(1)을 수납하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위치와 수량이 조절되면서 조립되는 격벽(121)이 고정체(123)로 본체(111)의 안쪽으로 관통된 격벽 고정공(114)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체(124)는 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 공간(112)의 안쪽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격벽(121)의 연결 부분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체(124)에는 종방향의 양끝과 횡방향에 양끝에 연결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125)은 격벽(121)의 상호 연결 시에 격벽 돌기(122)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격벽(121)이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는 격벽 돌기(122)가 연결홈(125)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잠금 장치(126)는 격벽(121)의 전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어부(130) 폐쇄 시에 접촉되는 일측에 위치하고 있다. 잠금 장치(126)는 제어 장치(117)와 연결되어 제어 장치(117)의 작동에 따라 도어부(130)를 잠금 및 잠금이 해제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본체 공간(112)의 전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잠금 장치(126)는 격벽(121)으로 구획된 본체 공간(112)의 안쪽으로 상품(1)이 수납된 상태에서 전시 시에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화폐가 지불되어 상품(1)이 선택된 후에 제어 장치(117)의 작동으로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부(130)가 개방되어 안쪽에 수납된 상품(1)이 외부로 판매될 수 있다.
도어부(130)는 격벽(121)으로 구획된 각각의 본체 공간(112)의 개방된 전면으로 배치된 도어(131), 연결 프레임(132), 연결 고정체(134), 도어 힌지(135), 마감재(136), 그리고 잠금체(137)를 포함한다. 도어(131)는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격벽(121)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는 본체 공간(112)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어(131)는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로 형성되어 있는 격벽(121)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조립된 최소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품(1)의 크기가 커지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한 상태로 연결 프레임(132)과 연결 고정체(134)로 상호 연결 조립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격벽(121)으로 나뉘어진 본체 공간(112)을 각각 개폐시킬 수 있다.
즉, 격벽(121)과 도어(131)는 상품(1)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로 형성되어 상품의 크기에 따라 상호 조립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 및 종 횡방향 각각에서 확장되도록 조립됨에 따라 상품(1)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격벽(121)으로 분할되는 본체 공간(112)과 분할된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도어(131)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가 상품(1)을 원하는 위치에 전시 및 판매시킬 수 있도록 격벽(121)과 도어(13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형태로 구비되어 상품(1)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전시 및 판매가 가능하고, 조립을 해제한 후에 재 조립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상품(1)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로 판매가 가능하여 판매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131)는 안쪽에 설치되는 상품(1)이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 소재의 도어(131)는 상품(1)의 형태와 종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전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립되는 도어(131)의 바깥 둘레와 연결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도어(131)가 삽입되는 삽입홈(133)을 가진다. 연결 프레임(132)은 양측에 삽입홈(133)을 가지도록 단면이 대략 영문 “H”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131)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31) 설치 시 바깥면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된 도어(131)를 보호하면서 격벽(121)과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132)은 복수로 조립되는 각각의 도어(131)의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각각의 도어(131)가 각각 삽입홈(133)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 고정체(134)는 도어(131)의 바깥면과 연결 부분에 각각 설치된 연결 프레임(132)을 상호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 프레임(132)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 고정체(1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립되는 도어(131)의 바깥 면과 연결 부분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연결 프레임(132)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 고정체(134)는 상품(1)의 크기에 따라 격벽(121)으로 나뉘어진 본체 공간(112)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31)를 연결 프레임(132)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시키고, 조립된 도어(131)의 바깥 면에 연결 프레임(132)을 삽입시킨 상태로 각각의 연결 프레임(132)을 연결 고정체(134)로 상호 고정시켜 본체 공간(112)의 크기에 따라 개방된 전면이 개폐되도록 조립된 도어(131)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킨다.
도어 힌지(135)는 도어(131)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132)의 격벽(121)과 힌지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 프레임(132)과 연결 고정체(134)로 조립된 도어(131)가 개폐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어 힌지(135)는 도어(131)의 바깥면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 프레임(132) 중에 격벽(121)과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132)의 상부 끝과 하부 끝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된 도어(131)가 개폐 되도록 격벽(121)에 힌지 결합 시킨다.
마감재(136)는 도어(131)의 바깥 면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132)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 삽입홈(133)에 삽입되어 있으며, 조립된 도어(131)의 바깥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마감재(136)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31)가 연결 프레임(132)과 연결 고정체(134)로 조립된 후에 바깥 둘레에 설치되어 조립된 도어(131)의 바깥 둘레를 보호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마감재(136)는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체(137)는 조립된 도어(131)의 격벽(121) 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조립된 도어(131) 폐쇄 시에 격벽(121)의 안쪽 전면에 배치된 잠금 장치(126)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잠금 장치(126)에 잠금 및 잠금이 해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잠금체(137)는 도어(131)의 격벽(121) 방향으로 제어 장치(117)로 작동되는 잠금 장치(126)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명 장치(140)는 본체(111)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격벽(121)으로 구획되는 최소 단위의 본체 공간(112)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조명 장치(140)는 격벽(121)으로 구획되는 본체 공간(112)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품에 빛을 조사하여 투명 소재의 도어(131)를 통해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잇는 전시 효과를 향상시킨다.
냉 난방 장치(150)는 본체(111)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격벽(121)으로 구획되는 최소 단위의 본체 공간(112)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냉 난방 장치(150)는 격벽(121)으로 구획되는 본체 공간(112)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품(1)의 온도 조건에 따라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여 상품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냉 난방 장치(150)는 전력의 극성에 따라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열전 소자가 설치되어 각 상품에 따라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자동 판매기 110 : 본체부
111 : 본체 112 : 본체 공간
113 : 고정 삽입홈 114 : 격벽 고정공
115 : 화폐 투입구 116 : 상품 선택부
117 : 제어 장치 118 : 표시부
120 : 격벽부 121 : 격벽
122 : 격벽 돌기 123 : 고정체
124 : 연결체 125 : 연결홈
126 : 잠금 장치 130 : 도어부
131 : 도어 132 : 연결 프레임
133 : 삽입홈 134 : 연결 고정체
135 : 도어 힌지 136 : 마감재
137 : 잠금체 140 : 조명 장치
150 : 냉 난방 장치

Claims (7)

  1. 복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복수의 상기 상품이 각각 수납되는 본체 공간을 가지고, 본체 공간의 외측면을 따라서 종방향과 횡방향에 각각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고정 삽입홈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쪽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가 되는 기 설정된 크기로 구비되어 일측 끝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격벽 돌기를 가지고, 상기 본체 공간을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뉘어 지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격벽 돌기가 상기 고정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최소 단위의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최소의 상기 본체 공간의 전면이 개폐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에 수납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개폐되는 도어
    를 포함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격벽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한 상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본체 공간이 구획되고, 각각 구획된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각각의 상기 본체 공간이 개폐되도록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격벽과 상기 도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은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최소 단위의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수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로 복수로 배열된 상태로 안쪽에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상기 본체 공간이 구획되도록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격벽으로 구획되는 최소의 상기 본체 공간을 개폐 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서로 크기가 다른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분할되는 크기가 조절되는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배열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본체 공간이 개폐되도록 조립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조립된 일측으로 상기 도어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장치,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나뉘어진 상기 본체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조립된 일측으로 개폐 시에 상기 잠금 장치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 잠금체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 되도록 잠금 및 잠금이 해제되면서 상기 상품을 전시 및 판매시킬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품에 따라 지불되는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 투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된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품 선택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폐 투입구와 상기 상품 선택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상품이 판매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화폐 투입구에서 투입되는 화폐 상황과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되는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상품에 따라 상기 화폐 투입구에 화폐를 지불한 상태로 상기 잠금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선택된 상기 상품이 판매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어에 바깥 둘레와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일측면이 지지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양측에 상기 도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연결 프레임,
    상기 도어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의 바깥 둘레 위치와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 고정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바깥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는 마감재,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립된 상기 도어의 상기 격벽과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바깥 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기 격벽 위치로 설치되어 조립된 상기 도어를 상기 격벽에 힌지 결합시키는 도어 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호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연결 위치에서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종방향과 횡방향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 고정체로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는 상기 도어를 연결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마감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의 바깥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 힌지로 개폐되는 조립된 상기 도어의 바깥 둘레를 마감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쪽에는 복수의 상기 격벽이 각각 고정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된 통공 형태의 격벽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상기 본체 안쪽 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 고정공에 삽입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고정체를 더 구비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된 상기 상품이 설치되도록 구획되는 상기 격벽이 배열되는 위치에 상기 격벽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고정체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격벽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는 상기 격벽을 연결시키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종방향 양끝과 횡방향 양끝에 각각 상기 격벽 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본체 공간의 안쪽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상품이 수납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연결 부분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최소 단위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 공간에 빛을 조사하도록 복수로 배치된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으로 최소 단위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 공간에 냉 난방을 실시하도록 복수로 배치된 냉 난방 장치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조명 장치와 상기 냉 난방 장치는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서 각각 수납되어 있는 상기 상품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형 자동 판매기.
KR1020100087407A 2010-09-07 2010-09-07 조립형 자동 판매기 KR10112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07A KR101124553B1 (ko) 2010-09-07 2010-09-07 조립형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07A KR101124553B1 (ko) 2010-09-07 2010-09-07 조립형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553B1 true KR101124553B1 (ko) 2012-03-16

Family

ID=4614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407A KR101124553B1 (ko) 2010-09-07 2010-09-07 조립형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3583A1 (zh) * 2017-06-07 2018-12-13 深圳正品创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柜
CN109243062A (zh) * 2018-09-18 2019-01-18 昆山他趣智能科技有限公司 酒店客房用自动售货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2545A (ja) * 1996-04-11 1997-10-31 Mitsushingu:Kk 自動販売機の家具調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9982Y1 (ko) * 2003-09-24 2004-01-31 고흥곤 상품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2545A (ja) * 1996-04-11 1997-10-31 Mitsushingu:Kk 自動販売機の家具調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9982Y1 (ko) * 2003-09-24 2004-01-31 고흥곤 상품 자동판매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3583A1 (zh) * 2017-06-07 2018-12-13 深圳正品创想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柜
CN109243062A (zh) * 2018-09-18 2019-01-18 昆山他趣智能科技有限公司 酒店客房用自动售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3789A (zh) 一种自动售货机
KR200466229Y1 (ko)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EP2548182B1 (en) Vendor
KR101021585B1 (ko) 멀티 농축산물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24553B1 (ko) 조립형 자동 판매기
KR101112770B1 (ko) 판매 공간이 조절되는 자동 판매기
JPH1040458A (ja) 自動販売機
JP2020080070A (ja) 物品販売機の搬出機構
MX2015001875A (es) Aparato de almacenamiento de productos.
KR20090110027A (ko) 자동판매기능을 갖춘 매장용 진열대
JP6855871B2 (ja) 自動販売機
KR101806458B1 (ko) 자동판매기
KR102565602B1 (ko)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JP7151800B2 (ja) 自動販売機
KR102343914B1 (ko)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
JP3644793B2 (ja) 自動販売機
JP2767234B2 (ja) 自動販売機
JP3718918B2 (ja) 自動販売機
KR200375242Y1 (ko) 히트펌프가 탑재된 독립 인출식 자동판매기
KR20039020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장고를 갖는 자동판매기
JPH0729055A (ja) 自動販売機
JP2004164174A (ja) 自動販売機
JPH08129674A (ja) 自動販売機
JPH11120431A (ja) 自動販売機
JPH0358194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